KR20130137918A - 수직 적층형 화분 - Google Patents

수직 적층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918A
KR20130137918A KR1020120061614A KR20120061614A KR20130137918A KR 20130137918 A KR20130137918 A KR 20130137918A KR 1020120061614 A KR1020120061614 A KR 1020120061614A KR 20120061614 A KR20120061614 A KR 20120061614A KR 20130137918 A KR20130137918 A KR 20130137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reservoir
nutrient
water
vertically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665B1 (ko
Inventor
박병찬
박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스테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스테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스테이션
Priority to KR102012006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6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화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 바닥의 구조를 경사지게 함으로서 화분에 적치된 식생토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미량의 양액공급만으로도 화분전체가 항시 습윤 상태를 유지하는 적층형 화분을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수직 적층형 화분{POT}
본 발명은 수직 적층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녹화나 꽃벽 조성을 위해 수직 적층되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 내부 식생토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식물 뿌리성장을 견실하게하며, 미량의 수분 공급으로도 장기간 화분 내에 습기가 유지되도록 하기위하여 화분의 바닥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화분 바닥이 저수부와 공기소통구가 분리되도록 한 수직적층형 화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밀집되어 도시화가 이루어진 곳에서는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도시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그마한 자투리 공간이라도 녹화에 이용하도록 하며 심지어는 가로변이나 건물의 벽면등에도 조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38646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309852 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99542 호 등이 있는데 이들 특허는 가로변 화분들을 적층하고 적층된 화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조경을 하는 것이다.
이들 화분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외부로부터 화분내부로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공급된 물은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수가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외부 저수조로부터 화분내부로 공급된 양액이 머물지 않고 하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당량의 양액을 공급해 주어야 되어서 화분의 관리주기(외부 저수조에 양액 보충)를 짧게 하며 이를 막기 위하여 화분의 하단을 밀폐 시킬 수 있는데 , 그렇게 되면 식생토의 통풍이 어렵게 되어 식물 뿌리 성장에 극히 열악한 환경이 된다. 또한, 화분의 바닥이 평면 형태로 되어있고 양액 배수구가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배수되는 양액과 하부에 몰려있는 수분으로 인하여 배수구를 통한 공기 소통은 어렵게 되고 식물 뿌리 성장에 한층 더 열악한 환경이 조성되게 되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도1에는 이러한 적층형 화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들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화분 바닥의 구조를 경사지게 함으로서 화분에 적치된 식생토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미량의 양액공급만으로도 화분전체가 항시 습윤 상태를 유지하는 적층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 적층형 화분을 제공하는데 상기 수직 적층형 화분은 바닥과 측면이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화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데 상기 화분의 마주보는 한쌍의 면은 경사를 이루고 있어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화분의 단면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 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중 어느 한쪽 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중 어느 한쪽에는 양액저수통이 결합되는데 양액저수통과 화분사이에는 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물이송수단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액저수통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월류관이 형성되는데 상기 월류관의 상단과 하단은 뚫려 있어 양액저수통에 들어오는 물은 월류관의 높이까지만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액저수통은 한개 이상 적층되며 외부의 최하단의 양액저수통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제어센서가 설치되어 최하단의 양액저수통이 일정 이상의 수위가 되면 최상단으로 공급되는 양액의 공급이 차단되어 모든 양액저수통마다 일정한 수위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액저수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두개이상 적층할때 양액저수통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한개이상의 양액저수통은 격자형의 화분결합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이송수단은 물에적신 천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직적층형 화분에 의하여 화분에 적치된 식생토에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미량의 양액공급만으로도 화분전체가 항시 습윤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적층형 화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2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적층형화분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적층형 화분은 옆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마름모꼴 혹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로 향한 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로서 두 개의 면이 서로 마주보며 서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은 폐쇄되어 있어 안쪽으로 식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분의 정면에서 보이는 제1경사면(10)은 밀폐되어 있으며 반대쪽의 제2경사면은(12) 양액(11)이 저수되는 높이 아래쪽으로는 밀폐되어 있으며 양액(11)이 저수되는 높이 이상은 다수개의 공기소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경사면(12)에는 상단부로부터 양액이 흐를 수 있는 유로(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유로(32)에는 공기소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는 안 된다. 유로(32)는 화분(10)의 후면에 연결된 양액저수통(20)과 연결된다. 유로(32)는 화분의 하단쪽으로 공급되며 화분의 하단은 항상 양액으로 차있을 수 있으며 화분에는 수경재배를 할 수도 있으며 도5 에서와 같이 식생토(61)를 덮어 원하는 식물을 키우도록 할 수도 있다. 식생토(61)를 덮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별도의 덮개를 덮고 그위에 식생토(61)를 덮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덮개가 없더라도 유로(32)는 화분의 하단으로 양액을 공급하고 한쪽경사면으로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된다.
양액은 양액저수통(20)으로부터 화분의 유로(32)쪽으로 모세관 작용에 의해 심지(31)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양액저수통과 화분은 서로 분리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양액저수통과 화분이 분리되어 있어도 별도의 호스등을 이용하여 화분의 유로와 양액저수통을 연결 한 후 호스안쪽으로 심지를 넣어서 양액을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다.
양액저수통(20)의 안쪽에는 월류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월류관의 높이는 양액저수통(20)의 높이보다 낮아서 외부로부터 양액이 공급될 때 양액의 수위가 월류관(21)의 높이를 상회하게 되면 양액은 월류관을 통하여 하단에 위치한 다른 양액저수통으로 순차적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즉, 월류관(21)은 양액저수통의 바닥쪽으로 뚫려 있는 상태이며 아래쪽에 있는 다른 양액저수통(20)의 다른 월류관과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양액저수통이 층층이 쌓여 있을 때 월류관들의 위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월류관(21)들을 모두 관통하여 바닥 쪽으로 양액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적층된 양액저수통이외에 별도의 대용량 양액저수통이 있어 최상단의 양액저수통으로 양액을 공급하여 아래쪽의 양액저수통으로 차례차례 양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하단에 있는 양액저수통에는 양액수위조절센서가 있어서 최하단의 양액저수통의 양액수위가 일정높이 이상에 이르게 되면 양액공급센서가 작동하여 대용량 양액저주소로부터 양액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양액저수통(20)에는 월류관이나 센서가 작동하는 높이 만큼의 양액이 항상 차있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양액이 계속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형태의 양액 공급장치가 있었는데 이러한 양액공급장치를 통해 양액을 공급하게 되면 계속적인 순환을 위하여 에너지가 계속 소모되며 순환을 위해 고가의 펌프등을 구비하여야 했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기계적인 순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도2에서 하단의 점선으로 된 원부분은 안쪽에 양액(11)이 차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3은 월류관이 없는 형태의 화분과 양액저수통을 도시하며 도4는 외부양액저수통(40)으로부터 공급관(43)을 통하여 양액을 공급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공급관(43)의 시작부분에는 양액공급센서(41)가 있으며 최하단의 양액저수통(20)에는 수위조절센서(42)가 형성되어 있다.
도5는 화분에 식물(61,62)을 심은 형태를 도시한다. 화분에는 양액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면서도 제2경사면에 형성된 공기출입구멍으로는 계속적으로 공기가 드나들기 때문에 식물의 생장이 일반화분보다 훨씬 좋게 된다. 또한, 좁은 공간에 화분을 적층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6은 상하로 적층되는 양액저수통의 적층이 용이하도록 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요철을 두어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양액저수통(20)의 상단과 하단에 요철구조(22)를 두어 양액저수통의 상단과 다른 양액저수통의 하단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적층을 하였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있다. 즉, 양액저수통의 상단에는 돌출부를 두고 양액저수통의 하단에는 함입부를 두어 몇개의 양액저수통이든지 쌓을 수 있도록 하며 양액저수통이 흔들리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7은 화분결합지지틀(51)을 이용하여 양액저수통을 결합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화분결합지지틀(51)은 가로방향봉과 세로방향봉 다수개가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격자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결속수단(52)을 이용하여 화분결합지지틀(51)과 양액저수통을 결합시킨다. 또한 한개이상의 양액저수통과 화분결합지지틀을 한개의 결속수단(52)을 이용해 결합시킴으로써 양액저수통끼리의 결합도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속수단(52)은 도시된 것과 같이 고리형상일 수도 있으며 화분결합지지틀(51)과 양액저수통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것중에서도 어떤 것이나 가능하다.
10:제1경사면 11: 양액
12:제2경사면 20:양액저수통
21: 월류관 22: 요철구조
31: 심지 32: 유로
40:외부양액저수통 41: 양액공급센서
42:수위조절센서 43:공급관
51:화분결합지지틀 52,53 : 결속수단
61: 식생토 62 : 식물

Claims (8)

  1. 수직 적층형 화분으로서,
    바닥과 측면이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화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데
    상기 화분의 마주보는 한쌍의 면은 경사를 이루고 있어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화분의 단면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수직 적층형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중 어느 한쪽 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층형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중 어느 한쪽에는 양액저수통이 결합되는데 양액저수통과 화분사이에는 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물이송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층형 화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저수통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월류관이 형성되는데 상기 월류관의 상단과 하단은 뚫려 있어 양액저수통에 들어오는 물은 월류관의 높이까지만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층형 화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저수통은 한개 이상 적층되며 외부의 최하단의 양액저수통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제어센서가 설치되어 최하단의 양액저수통이 일정 이상의 수위가 되면 최상단으로 공급되는 양액의 공급이 차단되어 모든 양액저수통마다 일정한 수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층형 화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저수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두개이상 적층할때 양액저수통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층형 화분
  7. 제6항에 있어서, 한개이상의 양액저수통은 격자형의 화분결합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층형 화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송수단은 물에적신 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적층형 화분




KR1020120061614A 2012-06-08 2012-06-08 수직 적층형 화분 KR101457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614A KR101457665B1 (ko) 2012-06-08 2012-06-08 수직 적층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614A KR101457665B1 (ko) 2012-06-08 2012-06-08 수직 적층형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918A true KR20130137918A (ko) 2013-12-18
KR101457665B1 KR101457665B1 (ko) 2014-11-07

Family

ID=4998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614A KR101457665B1 (ko) 2012-06-08 2012-06-08 수직 적층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596B1 (ko) * 2014-03-18 2014-11-12 (주)새텍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CN105325205A (zh) * 2015-12-01 2016-02-17 苏州富通高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墙板
KR20200102232A (ko) 2019-02-21 2020-08-31 석민규 공기가 잘 통하는 미세다공기법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467B1 (ko) * 2001-03-22 2003-06-1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점적식 조경용 꽃탑
JP3802445B2 (ja) * 2002-05-10 2006-07-26 有限会社アスク 植栽ポット
KR101035461B1 (ko) * 2008-09-10 2011-05-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KR100912228B1 (ko) * 2009-02-20 2009-08-14 (유)꽃탑월드 다단으로 구성된 꽃탑의 급수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596B1 (ko) * 2014-03-18 2014-11-12 (주)새텍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CN105325205A (zh) * 2015-12-01 2016-02-17 苏州富通高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墙板
KR20200102232A (ko) 2019-02-21 2020-08-31 석민규 공기가 잘 통하는 미세다공기법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665B1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498590T3 (en) Blocks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CN202714001U (zh) 一种植物种植槽
KR20120007420A (ko) 적층 서랍식 식물재배기
CA3050403C (en) Hydroponic growth system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JP4303504B2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3200590U (ja) 壁面用植栽基盤
EP3533319A1 (en) Verticle grow box module and module and system of vertical grow boxes that incorporates it
KR20120082753A (ko) 무동력 관수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CN105009973A (zh) 一种透气储水花盆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1457665B1 (ko) 수직 적층형 화분
KR101650690B1 (ko) 요철이 형성된 화분 수직 재배장치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TWM479004U (zh) 具節水功能之自動給水花盆
WO2014000062A1 (en) Flower box
CN202476159U (zh) 一种植物种植箱
US20220330501A1 (en) Plant apparatus
KR101405539B1 (ko) 수경재배 겸용 삽목용 화분 수직 재배장치
KR102281940B1 (ko)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CN102613020A (zh) 一种植物种植箱
JP3989818B2 (ja) 屋上緑化プランターと屋上緑化システム
JP3055579U (ja) 自然給水植木鉢
KR20200088730A (ko)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