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431Y1 -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7431Y1 KR200357431Y1 KR20-2004-0011727U KR20040011727U KR200357431Y1 KR 200357431 Y1 KR200357431 Y1 KR 200357431Y1 KR 20040011727 U KR20040011727 U KR 20040011727U KR 200357431 Y1 KR200357431 Y1 KR 2003574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rient solution
- plant
- reservoir
- case
- nutrient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4682 ON-OFF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1 hydropon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86 nutrient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고안은 채소류 등의 식물을 가정에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재배하여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을 수경재배 방법으로 재배하기 위한 통 형태의 양액 공급대와, 상기 양액 공급대에 담긴 양액에 하부가 잠기며 다수개의 식물 이식구들이 형성된 식물재배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며, 상기 양액 공급대에 양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가 내장된 양액 저수조와, 각 층의 식물 재배판 상부 마다 빛을 공급하는 인공광원을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동이 간편하고 양액의 누출 없이 원하는 식물을 간편하게 가정에서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채소류 등의 식물을 가정에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재배하여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을 수경재배 방법으로 재배하기 위한 통 형태의 양액 공급대와, 상기 양액 공급대에 담긴 양액에 하부가 잠기며 다수개의 식물 이식구들이 형성된 식물 재배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며, 상기 양액 공급대 각각에 양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가 내장된 양액 저수조와, 각 층의 식물 재배판 상부 마다 빛을 공급하는 인공광원을 양액 배수관을 포함하는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이동이 간편하고 양액의 누출 없이 원하는 식물을 간편하게 가정에서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 방법은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각종 영양소를 희석시킨 양액을 식물의 뿌리에 직접 공급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 각종 병충해로부터 식물을 보호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속도를 인위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고, 인체에 유해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기간내에 노지재배에서의 수확량 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어 시설재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설재배에는 유리온실 또는 비닐 하우스 등과 같이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확보에 제한을 받게 되고,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고 파종된 식물을 관리 또는 수확하기 위하여 작업자 및 수송기구의 이동통로를 확보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수경재배실의 면적이 대형화되어 설치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설재배의 특성상 재배되는 식물의 최적 생장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경재배실에 설치되는 냉·난방 장치의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출하하는 식물의 원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어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낮아질 수 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의 밀폐된 공간에서 수경재배를 실시하는 식물공장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식물재배를 업으로 하는 사람들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일정한 공간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소규모로 재배하여 자급하고자 하고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아파트나 단독주택의 거주자의 경우에는 상기 식물공장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으며, 비록 공간이 확보되었다 하더라도 설비를 갖추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수경재배 방법은 대단위 재배시설을 갖춘 전문 농가에 의해서만 실시되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어, 가정에서 수경재배 방법에 의해 식물을 키우고, 이를 섭생에 이용하기 위한 장치가 아직까지 보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액의 공급과 순환이 간편하고,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된수경재배를 위한 양액 공급대와, 수경재배 목적으로 재배된 어린 모종을 이식할 수 있는 식물 재배판이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된 소형의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용이하게 수경재배에 의해 식물을 키워 섭생 또는 관상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경재배용으로 발아된 식물을 이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 재배판과; 상기 식물 재배판을 안치시키고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양액이 공급 또는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액 공급대와; 상기 양액 공급대로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양액을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여 상기 양액 공급대로 순환시키는 양액 순환펌프를 갖는 양액 저수조와; 적어도 하나의 양액 공급대가 설치되도록 하며, 하단에 양액 저수조가 안착되고, 저수조와 양액 공급대를 연결하는 배관이 내장된 기둥을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적층된 양액 공급대 각각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인공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에 사용된 케이스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케이스에 양액 공급대와 양액 저수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3의 양액 공급대에 안치되는 식물 재배판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도1의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의 양액 순환 구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식물 재배장치 10 : 케이스
11,11',11" : 배관이 내장된 기둥 12 : 고정기둥
13 : 탈부착 기둥 14,14',14" : 케이스 상판
15,15' : 받침판 16,16' : 양액 공급대 설치판
17 : 양액 저수조 설치부 20,20',20" : 양액 공급대
21 : 양액 공급구 22 : 양액 배출구 30,30',30" : 식물 재배판 31 : 식물 이식구
32 : 받침다리 40,40',40" : 양액 저수조
41 : 손잡이 42 : 양액 송출구
43 : 양액 흡입구 50,50'50" : 흡기팬
51 : 흡기팬 제어 스위치 60,60',60" : 배기팬
61 : 배기팬 제어 스위치 70 : 인공광원
71 : 인공광원 제어 스위치 80 : 양액 순환펌프
81 : 펌프 제어 스위치 90 : 양액 공급관
91 : 양액 배출관 100 : 양액
110 : 벽체 111,141 : 경첩
112,142 : 잠금장치 120 : 배면판
130,130' : 측면판 140 : 개폐 전면판
150 : 제어 스위치부 160 : 식물 설정창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1)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발아된 식물을 이식하기 위한 세 개의 식물 재배판(30)과; 상기 식물 재배판(30)을 안치시키고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양액이 공급 또는 배출되는 세개의양액 공급대(20)와; 상기 양액 공급대(20)에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양액을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여 양액 공급대(20)로 양액을 순환시키는 양액 순환펌프(80)를 갖는 양액 저수조(40)와; 상기 양액 공급대들 각각이 하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양액 저수조가 안착되고, 저수조와 양액 공급대를 연결하는 배관이 내장된 기둥을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한 케이스(10)와; 상기 적층된 양액 공급대 각각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인공광원(70, 보이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상판(14)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흡기팬(50)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판(14) 전면에는 상기 흡기팬(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흡기팬 제어스위치(51)와, 상기 배기팬(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기팬 제어 스위치(61)와, 상판(14) 하부와 양액 공급대 설치판(16) 하부에 설치되는 인공광원을 제어할 수 있는 인공광원 제어 스위치(71)와, 후술하는 양액 저수조(40)에 내장된 양액 순환펌프(8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양액 펌프 제어스위치(81)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흡기팬, 배기팬 및 제어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양액이 통과하는 배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과 받침판의 모서리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두개의 양액 배수관이 내장된 기둥(11)들과, 상기 상판 및 받침판에 고정 설치된 하나의 고정 기둥(12)과, 상기 상판 및 받침판에 탈부착 할 수 있는 하나의 탈부착 기둥(13) 등 네개의 기둥으로 구성되며, 상판은 상기 세개의 기둥(11,12)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에 흡기팬(50) 및 배기팬(6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또한 상판(14) 하부에는 인공광원(보이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탈부착 가능한 기둥(13)이 체결되는 부분에는 기둥 체결부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기둥(13)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둥들(11,12,13)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양액 공급대 설치판(16)이 설치되어 있고, 그 양액 공급대 설치판(16)과 받침판(15) 상부 기둥 부분을 설치되는 양액 공급대(20)의 두께 만큼 절개하여 양액 공급대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양액 공급대 설치판(16)은 철재 또는 강화 플라스틱 빔을 사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거나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판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양액 공급대 설치판 하부에는 인공광원(70)을 각각 설치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케이스(10)의 받침판(15)은 상기와 같은 양액 공급대 설치판 하부에 적어도 양액저수조의 두께보다 그 길이를 길게 하여 다리를 형성함으로써 하단으로 양액 저수조(4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양액 저수조 설치부(17)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기둥(11)들에 내장된 양액을 공급 또는 배출하는 양액 공급관(90)과 양액 배출관(91)은 도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는 그 부피와 높이를 가정에서 사용하기 적당한 크기로 형성한다.
다음에, 도3은 상기 도2의 케이스(10)의 양액 공급대 설치판(16)들과 받침판(15) 상부에 양액 공급대(20)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양액 공급대(2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의 넓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면 일측들, 즉 양액 배수관이 내장된 기둥에 근접한 부분에는 상기 양액 공급관으로부터 양액을 공급받기 위한 양액 공급구(21)와, 내부의 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양액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4는 상기 양액 공급대(20)에 안치되는 식물 재배판(30)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양액 공급대(20) 내부에 안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다수개의 어린 식물들을 이식할 수 있는 식물 이식구(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식물 재배판(30) 하부로 항상 일정한 양의 양액이 흐를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받침다리(32)를 형성한다.
다음에, 양액 저수조(40)는 상기 케이스(10) 받침판(15)에 형성된 양액 저수조 설치부(17)에 서랍 형태로 설치되도록 사각 입방체 형태를 가지며, 내부 일측에는 수중 양액 순환 펌프(80)가 설치되고, 양측면은 기둥에 내장된 양액 배수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양액 송출구(42)와 그 양액 송출구에 대칭되는 위치에 양액 흡입구(43)를 설치하여 양액 순환 펌프(80)와, 양액 공급관 및 배출관(90,91)등 양액 배수관, 그리고 양액 공급대(20)를 통해 양액이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와 양액 공급대(20)와 식물 재배판(30) 및 양액 저수조(40)로 구성된 식물 재배장치의 양액 순환경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액 저수조(40) 양측에 형성된 양액 송출구(42)와 양액 흡입구(43)에 각각 기둥(11)에 내장된 양액 공급관 및 배출관(90,91)을 연결한다. 이때 양액 송출구(42)와 연결되는 양액 배수관을 양액 공급관(90)이라 하고, 양액 흡입구(43)에 연결되는 양액 배수관을 양액 배출관(91)이라 한다. 따라서 상기 양액 펌프(80)가 작동하면, 저수조의 양액이 양액 공급관(90)을 통해 그에 연결된 각 층의 양액 공급대(20)의 양액 공급구(21)를 통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양액 저수조(40) 내의 양액이 줄어들게 되면, 각층의 양액 공급대(20)에 머물던 양액이 양액 배출구(22)와 연결된 양액 배출관(91)을 통해 양액 저수조(40)로 유입됨으로써 양액(100)이 지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액을 순환시키는 이유는 양액이 양액 공급대에 머물러 있을 경우 미생물이 증식하여 식물의 뿌리에 달라붙게 되고 이로 인해 뿌리의 흡수기능이 상실되어 식물의 성장을 막거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과는 다르게 배수관이 삽입 설치된 두개의 기둥(11')을 가지며, 상기 기둥 상부에 도1과 같이 각종 제어 스위치들과 흡기팬(50') 및 배기팬(60')을 갖는 원형의 케이스 상판(14')과, 원형의 양액 공급대(20')를 설치하기 위한 양액 공급대 설치판(16')과, 받침판(15') 하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양액 저수조(40')와, 상기 양액 공급대(20')에 안치되는 원형의 식물 재배판(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들의 측면을 연결하는 반원형의 벽체(110)와, 상기 벽체(110)를 개폐하기 위해 일측 기둥에 설치된 경첩(111)들과, 타측 기둥에 설치된 잠금장치(112)를 구비하여 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벽체(110)는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설치하여 내부의 식물을 보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과 같이 세 개의 식물 재배판(30")과; 세 개의 양액 공급대(20")와; 양액 순환펌프를 갖는 양액 저수조(40")와; 상기 양액 공급대들 각각이 하나의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양액 저수조가 안착되고, 저수조와 양액 공급대를 연결하는 배관이 내장된 기둥(11")을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적층된 양액 공급대 각각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인공광원(보이지 않음)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측면 각각에 벽체를 설치한다. 상기 벽체는 케이스 배면에 설치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배면판(120)과;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측면판(130,130')들과;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 기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첩(141)에 의해 부착되고, 타측 기둥에 설치된 잠금장치(14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개폐 전면판(1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되는 배면판(120), 측면판(130,130') 그리고 전면판(140)은 상기 각층의 양액 공급대(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각층을 밀폐시킨다.
또한, 상기 밀폐된 각층의 배면판(120)에는 각각 흡기팬(50")과 배기팬(60")을 각각 설치하고, 상판에는 각층에 설치된 흡기팬과 배기팬, 그리고 인공광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부(150)가 설치된다.
또한, 각층 일측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및 온도계를 각각 설치하고, 각 식물들과 상기 각 식물들의 생장에 필요한 온도를 미리 메모리칩에 내장한 후, 재배하고자 하는 특정 식물을 제어스위치에 의해 식물 설정창(160)에 지정하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식물 설정창에 설정된 특정 식물의 생장을 위한 온도와 일정범위에서 일치하도록 흡기팬과 배기팬을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각 층의 식물 생육조건에 맞는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온도가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는 온도계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도7의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는 각층에 각기 다른 식물을 재배하거나, 동일한 식물이더라도 생장 상태가 다른 식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는 사각 입방체 형태 뿐만 아니라 원통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액 공급대 하부와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인공광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등과 백열전구를 동시에 설치함으로써 자연광에 가장 가까운 광선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의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는 양액의 공급과 순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수경배재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된 식물 재배를 위한 양액 공급대와, 수경재배 목적으로 재배된 어린 모종을 이식할 수 있는 식물 재배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부피와 크기가 작게 함과 동시에 각 층에 각기 다른 식물들을 재배함으로써 관상용이나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는 실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하절기 및 동절기에 상관없이 최적의 상태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어 별도의 냉난방비가 필요 없으며, 어두운 실내에서도 인공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공급함으로써 광합성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Claims (10)
- 식물을 이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 재배판과;상기 식물 재배판을 안치 시키고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양액이 공급 또는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액 공급대와;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양액을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여 상기 양액 공급대로 순환시키는 양액 순환펌프를 갖는 양액 저수조와;적어도 하나의 양액 공급대가 한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도록 하며, 하단에 양액 저수조가 안착되고, 저수조와 양액 공급대를 연결하는 양액 배수관이 내장된 기둥을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한 케이스와;상기 적층된 양액 공급대 각각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인공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식물을 이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 재배판과;상기 식물 재배판을 안치 시키고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양액이 공급 또는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액 공급대와;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양액을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여 상기 양액 공급대로 순환시키는 양액 순환펌프를 갖는 양액 저수조와;적어도 하나의 양액 공급대가 한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도록 하며, 하단에 양액 저수조가 안착되고, 저수조와 양액 공급대를 연결하는 양액 배수관이 내장된 기둥을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하며, 상판 또는 일측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흡기팬과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과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들이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와;상기 적층된 양액 공급대 각각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인공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식물 재배판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식물 이식구가 형성되고, 밑면에는 다수개의 받침 다리가 형성되어 그 받침다리 사이로 양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양액 공급대는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로 형성되며,각각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어 양액이 공급되는 양액 공급구와,양액을 배출하는 양액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양액 저수조는 일면에 손잡이가 부착된 사각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일측면에 형성된 양액 송출구와,상기 양액 송출구의 타측면에 형성된 양액 흡입구를 포함하며,상기 양액 송출구 내부 일측에 양액 순환 펌프가 설치되어 그 펌프에 의해 양액 송출구를 통해 양액을 강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양액 배수관이 삽입 설치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둥과;상기 기둥 상단부를 모두 포함하도록 설치된 케이스 상판과;상기 양액 공급대를 안치하기 위해 상기 기둥들 중간에 설치된 양액 공급대 설치판과;상기 기둥 하단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양액 공급대를 안치시키고 하부에는 상기 양액 저수조를 서랍 형태로 삽입 설치하거나 빼내기 위한 양액 저수조 설치부를 갖는 받침판을 포함하여서,상기 양액 저수조의 양액 송출구는 하나의 기둥내에 설치된 양액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양액 공급관은 각각의 양액 공급대에 형성된 양액 공급구에 연결되며;상기 양액 저수조의 양액 흡입구는 다른 하나의 기둥내에 설치된 양액 배출관에 연결되고, 상기 양액배출관은 각각의 양액 공급대에 형성된 양액 배출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는 사각 입방체 또는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 외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기둥들 간의 측면에 고정 부착되거나 일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벽체는 전면판, 측면판 및 배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면판의 각 층에는 흡기팬 및 배기팬과,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일측 또는 상판에는 식물 설정창과; 식물설정, 장치의 온-오프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1727U KR200357431Y1 (ko) | 2004-04-27 | 2004-04-27 |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1727U KR200357431Y1 (ko) | 2004-04-27 | 2004-04-27 |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7431Y1 true KR200357431Y1 (ko) | 2004-07-23 |
Family
ID=4943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1727U KR200357431Y1 (ko) | 2004-04-27 | 2004-04-27 |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7431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1609B1 (ko) | 2007-09-03 | 2007-12-03 | (주)다산컨설턴트 | 친환경적인 조경식재용 보행자도로 화단시설 설치구조 |
KR101146895B1 (ko) * | 2011-10-13 | 2012-05-16 | 김세철 | 실내 공기정화를 위한 식물정화 장치 |
KR101322003B1 (ko) * | 2012-02-06 | 2013-10-28 | 김지홍 | 아크릴 패널을 이용한 다층 수경재배기 |
KR20150107021A (ko) | 2014-03-13 | 2015-09-23 | 제주녹차 영농조합 법인 | 냉장고겸용 채소재배장치 |
KR20170004396A (ko) | 2015-07-02 | 2017-01-11 | 박은봉 | 가정용 채소 재배장치 |
KR101930424B1 (ko) * | 2018-06-05 | 2018-12-18 | 민정민 | 천연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재배기 |
-
2004
- 2004-04-27 KR KR20-2004-0011727U patent/KR20035743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1609B1 (ko) | 2007-09-03 | 2007-12-03 | (주)다산컨설턴트 | 친환경적인 조경식재용 보행자도로 화단시설 설치구조 |
KR101146895B1 (ko) * | 2011-10-13 | 2012-05-16 | 김세철 | 실내 공기정화를 위한 식물정화 장치 |
KR101322003B1 (ko) * | 2012-02-06 | 2013-10-28 | 김지홍 | 아크릴 패널을 이용한 다층 수경재배기 |
KR20150107021A (ko) | 2014-03-13 | 2015-09-23 | 제주녹차 영농조합 법인 | 냉장고겸용 채소재배장치 |
KR20170004396A (ko) | 2015-07-02 | 2017-01-11 | 박은봉 | 가정용 채소 재배장치 |
KR101930424B1 (ko) * | 2018-06-05 | 2018-12-18 | 민정민 | 천연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재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09076B2 (en) | Smart cabinet for home gardening | |
KR101422636B1 (ko) | 가정용 수경재배장치 | |
KR101400375B1 (ko) | 식물재배장치 | |
JP2019146581A (ja) | 植物栽培方法及び施設 | |
JP2019524145A (ja) | カルーセルシステムを有するモジュール式農場 | |
CN203788814U (zh) | 多层隔板式植物培育装置以及植物培育系统 | |
CN105104158A (zh) | 智能水培蔬菜种植柜 | |
KR101424058B1 (ko) | 산업용 인삼 수경재배 시스템 | |
US20140144079A1 (en) | Plant culturing equipment | |
KR200476709Y1 (ko) | 수경재배장치 | |
CN205018017U (zh) | 智能水培蔬菜种植柜 | |
KR101408932B1 (ko) | 디지털 기반의 가전형 식물재배장치 | |
KR200357431Y1 (ko) |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 |
JP5218777B2 (ja) | 植物栽培用ラック | |
KR20130042790A (ko) | 실내용 식물 재배 장치 | |
JP2000069858A (ja) | 植物の温室栽培方法とその装置 | |
KR20180052229A (ko) |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 |
KR101176761B1 (ko) |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 |
KR20140003505U (ko) | 식물 재배 장비 | |
JP2010154822A (ja) | 水気耕栽培装置 | |
KR20150068625A (ko) | 밀폐형 자동화 벼 발아 육묘 설비 시스템 | |
KR200309893Y1 (ko) | 수경재배기 | |
JP6477148B2 (ja) | 水耕栽培方法 | |
CN208354154U (zh) | 组合型装备化多功能光照种植工厂 | |
JP2014023433A (ja) | 野菜栽培設備、野菜栽培方法及び野菜栽培用ラ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71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