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561B1 -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561B1
KR102655561B1 KR1020210150368A KR20210150368A KR102655561B1 KR 102655561 B1 KR102655561 B1 KR 102655561B1 KR 1020210150368 A KR1020210150368 A KR 1020210150368A KR 20210150368 A KR20210150368 A KR 20210150368A KR 102655561 B1 KR102655561 B1 KR 10265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drive
shaft
stay
pin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838A (ko
Inventor
이규상
Original Assignee
이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상 filed Critical 이규상
Priority to KR102021015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56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9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for vertical or inclined conveyance
    • B65G2812/02752Elevators f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제1구동축과 제1종동축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1스테이, 상기 제1스테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제1종동축의 높이보다 높게 제2구동축과 제2종동축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2스테이,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제1종동축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체인 드라이브,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제2구동축과 상기 제2종동축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체인 드라이브, 상기 제1스테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전동기, 상기 제2스테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전동기 및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에 하부가 제1핀틀에 의해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에 상부가 제2핀틀에 의해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한궤도 운동하는 크랭크 암을 포함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ROTARY TYPE PLANT CULTIV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꽃, 채소 등의 각종 식물을 편리하게 키울 수 있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빠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재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원적·평면적인 공간에서 꽃이나 채소 등의 식물을 재배하는 것은 시간적·공간적 측면에서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므로 재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최근 화분이나 박스(통) 등의 재배 상자에 각종 채소를 직접 재배하여 먹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아파트와 같이 채소 등의 식물을 키울 공간이 베란다, 발코니 등으로 한정되는 경우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충분한 양의 채소를 재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채소는 햇볕을 충분하고 고르게 쬐어야 하므로 재배 상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하는 데다 정해진 경로를 이동하면서 수확해야 하므로, 작업능률과 노동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는 전동모터의 구동 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좌우 한쌍의 체인 사이에 고정봉을 설치하여 여러 개의 화분을 끈으로 걸어둘 수 있는 구조의 회전식 화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화분이 고정봉에 단순히 매달려 있는 것에 불과하여 체인의 회전 궤도를 따라 상하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자칫 기울어져서 뒤집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특허등록 제10-2226925호 등록일 2021.03.05 KR 특허등록 제10-1783024호 등록일 2017.09.22 KR 특허등록 제10-1229048호 등록일 2013.01.28 KR 특허공개 10-2003-0012928호 등록일 2003.02.1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회전식 화분장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꽃이나 채소 등 각종 식물의 빠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재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을 심은 화분이 체인의 회전 궤도를 따라 상하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또는 한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져서 뒤집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화분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제1구동축과 제1종동축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1스테이, 상기 제1스테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제1종동축의 높이보다 높게 제2구동축과 제2종동축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2스테이,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제1종동축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체인 드라이브,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제2구동축과 상기 제2종동축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체인 드라이브, 상기 제1스테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전동기,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와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종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 간에 상기 제1전동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장치 및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에 하부가 제1핀틀에 의해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에 상부가 제2핀틀에 의해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한궤도 운동하는 크랭크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식물을 심은 화분이 체인의 회전 궤도를 따라 상하로 회전 및 승강하는 과정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또는 한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져서 뒤집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제1체인 드라이브와 제2체인 드라이브 간의 상대 속도를 동일하게 하면서 제1전동기의 회전력을 원활하게 제2구동축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제1구동축과 제1종동축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1스테이, 상기 제1스테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제1종동축의 높이보다 높게 제2구동축과 제2종동축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2스테이,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제1종동축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체인 드라이브,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상기 제2구동축과 상기 제2종동축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체인 드라이브, 상기 제1스테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전동기, 상기 제2스테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2전동기 및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에 하부가 제1핀틀에 의해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에 상부가 제2핀틀에 의해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한궤도 운동하는 크랭크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꽃이나 채소 등 각종 식물의 빠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을 심은 화분이 체인의 회전 궤도를 따라 상하로 회전 및 승강하는 과정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또는 한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져서 뒤집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제1핀틀과 상기 제2핀틀은 상기 크랭크 암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핀틀과 상기 제2핀틀 간의 높이 차이는, 상기 제1구동축과 상기 제2종동축 간의 높이 차이 및 상기 제1종동축과 상기 제2구동축 간의 높이 차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에 상기 제1핀틀에 대해 구속 없이 자유롭게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한 제1슬리브가 장착되며,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에 상기 제2핀틀에 대해 구속 없이 자유롭게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한 제2슬리브가 장착됨으로써 제 및 제2체인 드라이브가 한층 더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제2핀틀은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의 체인을 관통하여 상기 제2스테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핀틀의 자유단에 화분을 받쳐 주는 받침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은, 제1체인 드라이브의 체인과 제2체인 드라이브의 체인 사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한궤도 운동하는 크랭크 암의 지지 작용으로 인해 화분을 올려놓는 받침대가 유동 및 쏠림 없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순환할 수 있다.
따라서 화분이 제1 및 제2체인 드라이브의 회전 궤도를 따라 상하로 회전 및 승강하는 과정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또는 한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져서 뒤집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가 전동기의 회전력으로 일정한 무한궤도 운동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화분에 심은 꽃이나 채소 등 각종 식물의 빠른 성장을 촉진하면서 재배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제1스테이(10), 제2스테이(20), 제1체인 드라이브(30), 제2체인 드라이브(40), 크랭크 암(50), 제1전동기(60) 및 전동장치(70)를 포함하고 있다.
제1스테이(10)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가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엎어지지 않게 지탱하고, 아울러 제1체인 드라이브(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스테이(10)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가 넘어지거나 기울지 않도록 하면서 구성 부품의 설치 및 관계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철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스테이(10)에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구동축(11)과 제1종동축(12)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스테이(20)는 제2체인 드라이브(40)를 지지하기 위해 제1스테이(1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즉, 제2스테이(20)는 구성 부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결합하도록 제1스테이(10)의 측면 방향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스테이(20)에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구동축(11)과 제1종동축(12)의 높이보다 높게 제2구동축(21)과 제2종동축(22)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구동축(11)과 제1종동축(12), 제2구동축(21)과 제2종동축(22)은 제1스테이(10) 및 제2스테이(20)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그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마찰을 최소화하는 상태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을 장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체인 드라이브(30)는 제1구동축(11)과 제1종동축(12)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체인(31)과 스프로킷(32)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상부 스프로킷(32)은 제1종동축(12)에 고정되고, 하부 스프로킷(32)은 제1구동축(11)에 고정되어 체인(31)의 각 마디 사이에 끼워져 맞물려서 회전함으로써 동력과 운동을 전달한다.
제2체인 드라이브(40)는 제2구동축(21)과 제2종동축(22)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체인(41)과 스프로킷(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상부 스프로킷(42)은 제2구동축(21)에 고정되고, 하부 스프로킷(42)은 제2종동축(22)에 고정되어 체인(41)의 각 마디 사이에 끼워져 맞물려서 회전함으로써 동력과 운동을 전달한다.
그리고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은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체인(31)과 상하로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차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서로 동일한 순환 주기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체인(31)에는 제1핀틀(51)에 대해 구속 없이 자유롭게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한 제1슬리브(33)가 장착되고, 아울러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에는 제2핀틀(52)에 대해 구속 없이 자유롭게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한 제2슬리브(43)가 장착됨으로써 작동의 안정성과 원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슬리브(33)(4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브래킷을 이용하여 체인(31)(41)의 마디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슬리브(33)(43)는 제1 및 제2핀틀(51)(52)을 체인(31)(41)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그 제1 및 제2핀틀(51)(52)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크랭크 암(5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제1체인 드라이브(30)와 제2체인 드라이브(4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크랭크 암(50)의 하부는 제1핀틀(51)에 의해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체인(31)과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부는 제2핀틀(52)에 의해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과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1핀틀(51)은 크랭크 암(50)의 한쪽 측면에 고정된 채로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체인(31) 중 특정 마디에 대해 그 체인(31)의 마디가 회전 시에는 간섭을 하지 않고 상하로 이동할 때는 서로 접촉하거나 간섭을 일으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제2핀틀(52)은 크랭크 암(50)의 반대쪽 측면에 고정된 채로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 중 특정 마디에 대해 그 체인(41)의 마디가 회전 시에는 간섭을 하지 않고 상하로 이동할 때 서로 접촉하거나 간섭을 일으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 암(50)은 직육면체 뿐만 아니라 작물재배 가능한 개방홈을 갖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핀틀(51)과 제2핀틀(52) 간의 높이 차이는 제1구동축(11)과 제2종동축(22) 간의 높이 차이 및 제1종동축(12)과 제2구동축(21) 간의 높이 차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핀틀(52)은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을 관통하여 제2스테이(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제2핀틀(52)의 자유단에는 화분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53)가 구비되어 있다.
받침대(53)에는, 화분에 심어진 나무의 기둥 또는 줄기 부분을 파지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걸림구를 통해 화분에 심어진 나무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연속 이동 또는 떨림 발생시에도 안정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및 제2핀틀(51)(52)은 제1 및 제2슬리브(33)(43)에 결합시 회전 가능한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회동각을 가지며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크랭크 암(50)의 이동상태에서 제1 및 제2핀틀(51)(52)의 유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제1전동기(60)는 제1구동축(11)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1스테이(10)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1전동기(60)는 전원 및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스위치 개폐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1구동축(11)을 회전시켜 크랭크 암(50)의 무한궤도 운동을 일으킨다.
여기서 제1전동기(60)로는 모터 드라이브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으며, 제어부로부터 신호 전류에 의해 시동(구동) 및 운전이 용이하고, 부하에 적합한 기종을 선택하기 쉽고, 소음 및 진동이 작고, 배기공해가 없는 통상의 전동기(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기계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자 권선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자기장과 로터부에 발생하는 유도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기는 회전력으로 작동하는 인덕션 모터를 사용하는 모터 드라이브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전동기(60)로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 혹은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전동장치(70)는 제1종동축(12)과 제2구동축(21) 간에 제1전동기(60)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제1체인 드라이브(30)와 제2체인 드라이브(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동장치(70)로는 제1종동축(12)과 제2구동축(21)에 각각 고정된 스프로킷이 체인의 각 마디 사이에 끼워져 맞물려서 회전함으로써 동일한 회전속도로 동력과 운동을 전달하는 체인 전동장치 또는 제1종동축(12)과 제2구동축(21)에 각각 고정된 기어가 서로 맞물려서 두 축 사이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하면서 동력과 운동을 전달하는 기어 전동장치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는 크랭크 암(50)이 제1핀틀(51)과 제2핀틀(52)에 의해 제1체인 드라이브의 체인(31)과 제2체인 드라이브의 체인(41) 사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체인(31)(41)의 순환 궤도를 따라 체인(31)(41)과 함께 움직이므로 그 제2핀틀(52)에 고정되어 있는 받침대(53) 위에 화분을 올려놓을 경우 제1 및 제2체인 드라이브(30)(40)의 회전 궤도를 따라 상하로 회전 및 승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크랭크 암(50)의 지지 작용으로 화분이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또는 한쪽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져서 뒤집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전동기(6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구동축(11)을 회전시키면,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체인(31)과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이 전동장치(70)에 의해 연동하여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받침대(53) 위에 놓인 화분도 회전하는데, 이 과정에서 받침대(53)가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스프로킷(42) 최상부에 위치하거나 최하부에 위치하여 회전 및 이동 방향이 바뀌더라도 크랭크 암(50)의 제1핀틀(51)과 제2핀틀(52) 간에 높이 차이로 인한 회전 억제 작용으로 유동 및 쏠림 없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회전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제1스테이(10), 제2스테이(20), 제1체인 드라이브(30), 제2체인 드라이브(40), 크랭크 암(50), 제1전동기(60) 및 제2전동기(80)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제2전동기(80)는 제2구동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2스테이(20)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1전동기(60)가 제1구동축(11)을 직접 회전시키고, 제2전동기(80)가 제2구동축(21)을 직접 회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회전 속도의 편차 없이 균형적으로 작동시키므로 동작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2전동기(80)는 제1전동기(60)와 동일한 전동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 즉, 제1 및 제2 체인드라이브가 체인만이 아닌 벨트 등으로도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상하 수직이 아닌 경사 또는 좌우 수평으로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평행한 조건에서는 어느 각도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스테이 11: 제1구동축
12: 제1종동축 20: 제2스테이
21: 제2구동축 22: 제2종동축
30: 제1체인 드라이브 31: 체인
32: 스프로킷 33: 제1슬리브
40: 제2체인 드라이브 41: 체인
42: 스프로킷 43: 제2슬리브
50: 크랭크 암 51: 제1핀틀
52: 제2핀틀 53: 받침대
60: 제1전동기 70: 전동장치
80: 제2전동기

Claims (6)

  1. 제1구동축(11)과 제1종동축(12)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1스테이(10);
    상기 제1스테이(1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축(11)과 상기 제1종동축(12)의 높이보다 높게 제2구동축(21)과 제2종동축(22)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2스테이(20);
    체인(31)과 스프로킷(32)에 의해 상기 제1구동축(11)과 상기 제1종동축(12)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체인 드라이브(30);
    체인(41)과 스프로킷(42)에 의해 상기 제2구동축(21)과 상기 제2종동축(22)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체인 드라이브(40);
    하부가 제1핀틀(51)에 의해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체인(31)과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가 제2핀틀(52)에 의해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과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한궤도 운동하는 크랭크 암(50);
    상기 제1스테이(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구동축(11)을 회전시키는 제1전동기(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30)와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4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종동축(12)과 상기 제2구동축(21) 간에 상기 제1전동기(6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장치(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3. 제1구동축(11)과 제1종동축(12)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1스테이(10);
    상기 제1스테이(1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축(11)과 상기 제1종동축(12)의 높이보다 높게 제2구동축(21)과 제2종동축(22)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된 제2스테이(20);
    체인(31)과 스프로킷(32)에 의해 상기 제1구동축(11)과 상기 제1종동축(12)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1체인 드라이브(30);
    체인(41)과 스프로킷(42)에 의해 상기 제2구동축(21)과 상기 제2종동축(22) 간에 동력을 전달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제2체인 드라이브(40);
    하부가 제1핀틀(51)에 의해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체인(31)과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가 제2핀틀(52)에 의해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과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한궤도 운동하는 크랭크 암(50);
    상기 제1스테이(10)에 장착되고 상기 제1구동축(11)을 회전시키는 제1전동기(60); 및
    상기 제2스테이(20)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동축(21)을 회전시키는 제2전동기(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틀(51)은 상기 크랭크 암(50)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핀틀(52)은 상기 크랭크 암(50)의 반대쪽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핀틀(51)과 상기 제2핀틀(52) 간의 높이 차이는, 상기 제1구동축(11)과 상기 제2종동축(22) 간의 높이 차이 및 상기 제1종동축(12)과 상기 제2구동축(21) 간의 높이 차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틀(51)에 대해 구속 없이 자유롭게 상대 회전 운동 가능한 제1슬리브(33)가 상기 제1체인 드라이브(30)의 체인(31)에 장착되며, 상기 제2핀틀(52)에 대해 구속 없이 자유롭게 상대회전 운동 가능한 제2슬리브(43)가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핀틀(52)은 상기 제2체인 드라이브(40)의 체인(41)을 관통하여 상기 제2스테이(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핀틀(52)의 자유단에 화분을 받쳐주는 받침대(5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KR1020210150368A 2021-11-04 2021-11-04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KR10265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68A KR102655561B1 (ko) 2021-11-04 2021-11-04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68A KR102655561B1 (ko) 2021-11-04 2021-11-04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38A KR20230064838A (ko) 2023-05-11
KR102655561B1 true KR102655561B1 (ko) 2024-04-09

Family

ID=8637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368A KR102655561B1 (ko) 2021-11-04 2021-11-04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5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74B1 (ko) 2018-11-29 2020-09-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 녹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928A (ko) 2003-01-22 2003-02-12 이기영 화분 전시장치
KR101229048B1 (ko) 2011-03-30 2013-02-04 공성관 회전 재배장치
KR101783024B1 (ko) 2015-10-06 2017-09-2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KR20180129540A (ko) * 2017-05-27 2018-12-05 고병준 수분센서를 활용한 회전하는 화분
KR102226925B1 (ko) 2020-04-10 2021-03-11 금아코텍 주식회사 식물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74B1 (ko) 2018-11-29 2020-09-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 녹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38A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4141A (en) Carriage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KR100851847B1 (ko) 회전식 재배장치
KR102051123B1 (ko) 간이형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버섯재배장치
KR102655561B1 (ko) 회전형 식물 재배장치
CN107432216B (zh) 植物栽培装置
CN103387424B (zh) 自动禽畜粪翻耙机
KR101327379B1 (ko) 농작물 재배 시스템
KR101317974B1 (ko) 식물 재배장치
JP2003259734A (ja) 並列のトレー回転体による植物栽培装置
KR102048157B1 (ko) 루프 회전식 넝쿨식물 줄기 유인 장치
CN212414006U (zh) 一种室内植物景观墙
JP3152224U (ja) 栽培装置
JP7248355B1 (ja) 植物栽培装置
CN106489573A (zh) 一种可调节的植物墙
KR20130056961A (ko) 버섯 재배 장치
KR20210156583A (ko) 식물공장 자동화장치
KR102146069B1 (ko) 수경 재배 자동화 공정라인
KR100800098B1 (ko) 회전식 선반장치
KR102107509B1 (ko) 거터 승강수단
KR101073023B1 (ko) 회전식 재배장치
JP2023014465A (ja) 植物栽培装置
CN209314259U (zh) 一种用于农业加工的育苗点种机
JP2005261352A (ja) 鉄骨建築物に組合わせた垂直立体機械回転昇降式植物栽培システム
CN107667712B (zh) 一种墙壁种植动力机械
CN104196969B (zh) 一种电动汽车的无级变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