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023B1 - 회전식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023B1
KR101073023B1 KR1020080120437A KR20080120437A KR101073023B1 KR 101073023 B1 KR101073023 B1 KR 101073023B1 KR 1020080120437 A KR1020080120437 A KR 1020080120437A KR 20080120437 A KR20080120437 A KR 20080120437A KR 101073023 B1 KR101073023 B1 KR 10107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ing gear
disk
r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033A (ko
Inventor
유남희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팜
Priority to KR102008012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0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7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inside rotating drums or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e.g.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회전링과 회전원판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회전체를 장착하되, 상기 회전링과 회전원판이 접촉하는 둘레에는 양 끝단에 베어링이 돌출장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를 회전링과 회전원판에 고정시키는 너트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고정체를 등간격으로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와 회전체 사이에는 양 끝단에 장착되는 걸림고리가 상기 베어링에 걸리는 선반을 각각 장착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작동에 따라 선반에 안착되는 모종판의 각종 식물을 균일하게 재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20437
회전식 재배장치, 구동수단, 회전체, 회전축, 회전링, 회전원판, 고정체, 고정볼트, 너트, 베어링, 간격유지구, 받침대, 선반.

Description

회전식 재배장치{Rotate type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회전식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를 구성하는 회전링과 회전원판을 조립식으로 분리형성하여 부품의 설치 및 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회전체를 고정결합하는 고정체의 양측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지지봉의 설치 없이 모종판이 안착되는 선반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식물(채소류, 야채류, 수채류 등)은 사계절 재배를 행하면서 노지 외에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등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이때, 재배 식물은 수분, 온도, 바람 등의 재배환경 및 영양공급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제공되어야만 식물의 일정한 성장 및 속성재배를 이룸과 함께 우수한 품질과 맛을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등의 내부는 상, 하 온도차가 일정하지 못하고, 햇빛이나 수분, 바람 등의 재배 환경이 상, 하 공간에 따라 차이를 갖기 때문에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내부에서 균일한 성장이 곤란함은 물론 일부 식 물의 발육이 늦어지고, 품질이나 맛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등은 많은 시설 및 관리비를 투자하면서도 극히 제한된 공간 내에서 극히 제한된 양의 식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식물 재배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종래의 다목적 회전장치(100)는 양측지지대(120)상에 구동모터(200)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130)을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130)에는 일정 간격으로 축설된 복수의 지지원반(160)과 상기 지지원반(160) 사이의 원주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다수의 거치봉(170)으로 구성된 회전체(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목적 회전장치(100)는 상기 회전체(150)의 거치봉(170)에 각종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선반(140)을 지지대에 의해 설치함으로써 상기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등의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재배선반(140)은 회전체(150)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 하 공간으로 순환이동하면서 재배하기 때문에 온도 및 기타 햇빛이나 수분, 바람 등의 재배 환경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제공하여 균일한 성장을 제공함은 물론 품질과 맛이 우수하도록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다목적 회전장치는 회전체를 구성하는 회전축과 지지원반 및 회전체와 회전체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봉이 일체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균일한 부품 생산이 어렵고, 그에 따른 부품의 규격이 각각 달라 하우스나 농장 등에 운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다목적 회전장치는 제조공장이 아닌 설치장소 예컨대 하우스나 농장 등에서 직접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작업시간과 작업과정이 오래 걸리고 그에 따른 경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목적 회전장치는 하우스나 농장 등이 이전할 경우에 설치된 다목적 회전장치를 모두 철거한 후 새롭게 다목적 회전장치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경비가 이중으로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체를 구성하는 회전링과 회전원판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면서 고정체를 통해 고정결합하여 부품의 생산과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를 고정결합하는 고정체의 고정볼트 양측에 베어링을 각각 장착하여 지지봉 설치 없이 모종판이 담긴 선반을 수월하게 장착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회전축(32)에 링기어(34)의 내주면에 회전원판(36)을 결합한 상태로 다수 개를 등 간격이 되도록 끼움하고, 상기 회전축(32)과 회전원판(36)을 다수 개의 지지바(38)로 연결하여 회전체(30)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30)의 링기어(34) 구동수단(20)에 의해 회전구동되면 거치봉 상에 장착되는 각종 식물이 담긴 선반(60)을 회전이동하면서 재배되도록 한 재배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를 구성하는 원판형 띠 형상의 링기어(34)와 원형띠 형상의 회전원판(36)을 동일 직경으로 형성하고, 상기 회전원판(36)과 링기어(34)가 서로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의 원주면을 따라 관통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42)를 각각의 양끝단에 너트(44)를 체결하고, 상기 너트(44)가 체결된 고정볼트(42)의 양 끝단면에 베어링(46)이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체(40)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체(30)와 회전체(30)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내부공간(64)에 설치되도록 양 끝단에 걸림고리(66)가 형성된 다수개의 선반(60)에 각종 식물이 담긴 모종판(70)을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걸림고리(66)를 베어링(46)에 형성된 안내홈(46a)에 걸림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재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체를 구성하는 회전링과 회전원판을 각각 별도로 생산하고 고정체를 통해 고정결합하여 부품의 생산과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를 고정결합하는 고정체의 양측에 베어링을 각각 장착하여 별도의 지지봉 설치 없이 모종이 담긴 선반을 수월하게 장착 및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하우스나 농장 등의 이전시 기존에 설치된 부품을 그대로 제거한 후 새로운 장소에 그대로 회전체를 설치할 수 있어 경비 소모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회전링과 회전원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고정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회전체와 고정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선반 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식 재배장치(10)는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수단(20)과, 상기 구동수단(20)의 작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하는 회전체(30)와, 상기 회전체(30)를 구성하는 회전링과 회전원판을 고정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고정체(40)와, 상기 회전체(30)의 회전작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면서 각종 식물이 담긴 모종판(70)을 재배하는 선반(60)으로 구성된다.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수단(20)은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를 통해 발생한 회전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4)와, 상기 감속기(24)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샤프트(26)와, 상기 받침대(50)에 장착되는 연동기어와 치합 연결되는 구동기어(28)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20)은 구동모터(22)를 통해 발생한 회전구동력을 감속기(24)를 이용해서 작업상태에 맞춰 감속한 후 샤프트(26)에 회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샤프트(26)는 회전작동하면서 전달받은 회전력을 구동기어(28)에 전달하며, 다시 상기 구동기어(28)는 회전력을 연동기어에 전달함으로써 회전체를 회전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28)는 받침대(50)에 장착되는 연동기어와 치합 연결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기어(28)와 연동기어 사이에는 별도의 동력전달기어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20)의 작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하는 회전체(3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과 결합되고 연동회전작동하며 분리형성되는 링기어(34) 및 회전원판(36)과, 상기 회전원판(36)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거치바(3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2)은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링기어(34) 및 회전원판(36)과는 용접이나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서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링기어(34)는 중공형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원판(36)은 중공형상으로 링기어(34)와 맞닿는 접촉면(36a)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접촉면(36a)의 내측에는 수직면(36b)이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원판(36)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면(36a)과 수직면(36b)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은 맞닿는 부분에 상기 고정체(40)의 고정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연통공(34a, 36c)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30)를 구성하는 회전원판(36)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거치바(38)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된다.
분리형성되는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을 고정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고정체(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볼트(42)와, 상기 고정볼트(42)를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에 고정시키는 너트(44)와, 상기 고정볼트(42)의 양 끝단에 장착되는 베어링(46)과, 상기 고정볼트(42)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48)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체(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고정볼트(42)가 상기 연통공(34a, 36c)에 삽입장착된 후 상기 고정볼트(42)의 양측에 너트(44)를 체결하여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에 고정볼트(42)를 고정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정볼트(42)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베어링(46)은 상기 회전원판(36)의 회전작동시 상기 선반(60)이 회전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46)의 일측에는 후설 할 상기 선반(60)의 걸림고리의 장착을 위해 안내홈(46a)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판(36)의 접촉면(36b)과 상기 너트(44)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48)는 중공형상으로 상기 너트(44)의 체결시 작업을 수월하게 하면서 너트(44)의 조임 및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구(48)는 끝단이 상기 회전원판(36)의 수직면(36b) 끝단에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회전체(30)를 지지하면서 회전작동시키는 받침대(5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일측에 연동기어(54)가 장착되는 지지부(52)와, 상기 지지부(52)와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구를 통해 지면이나 고정앵글에 결합되는 고정부(56)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대(50)는 지지부(52)에 장착되는 연동기어(54)와 양측 또는 도중에 장착되는 프레임(미도시)을 통해 상기 회전체(30)를 지지하면서 상기 기어(34a)와 연동기어(54)의 상호 치합 연결을 통해서 회전체(30)를 연속 회전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체(40)와 고정체(40) 사이의 베어링(46)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선 반(60)은 사각형 형상의 하우징(62)과, 상기 하우징(62)의 내부에 형성되고 관통공이 소정구간 형성되는 내부공간부(64)와, 상기 하우징(62)의 양 끝단에 장착되는 걸림고리(66)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62)은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공간부(64)에 각종 식물이 담긴 모종판(70)의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46)에 지지되는 상기 걸림고리(66)는 상부에 형성되는 원형 형상의 고리(66a)가 상기 베어링(46)의 안내홈(46a)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체(30)의 회전작동시 현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식 재배장치(1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과 결합되고 연동회전작동하는 링기어(34) 및 회전원판(36)과, 상기 회전원판(36)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거치바(38)로 구성되는 회전체(30)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링기어(34)는 중공형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원판(36)은 중공형상으로 링기어(34)와 맞닿는 접촉면(36a)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접촉면(36a)의 내측에는 수직면(36b)이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기어(34)는 외주면에 기어(34b)가 형성되는데 이는 회전축에 전달되는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정확하게 회전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기어(34b)를 형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분리형성되는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볼트(42)와, 상기 고정볼트(42)를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에 고정시키는 너트(44)와, 상기 고정볼트(42)의 양 끝단에 장착되는 베어링(46)과, 상기 고정볼트(42)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48)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고정체(40)를 통해 고정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연통공(34a, 36c)에 삽입되는 고정볼트(42)와 이를 체결하는 너트(44)를 통해 고정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원판(36)의 접촉면(36b)과 너트(44)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유지구(48)는 너트(44)의 체결시 작업공간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볼트(42)의 위치 이탈이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면이나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앵글의 상부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일측에 연동기어(54)가 장착되는 지지부(52)와, 상기 지지부(52)와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구를 통해 지면이나 고정앵글에 결합되는 고정부(56)로 형성되는 받침대(5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50)의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체(40)를 통해 고정결합되는 회전체(30)를 회전축(3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수 장착한 후, 상기 회전체(30)의 일측 하부에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를 통해서 발생한 회전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4)와, 상기 감속기(24)를 통해서 전달 되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샤프트(26)와, 상기 받침대(50)에 장착되는 연동기어와 치합 연결되는 구동기어(28)로 구성되는 구동수단(20)을 장착하면 회전식 재배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식 재배장치(10)를 이용해서 각종 식물을 재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사각형 형상의 하우징(62)과, 상기 하우징(62)의 내부에 형성되고 관통공이 소정구간 형성되는 내부공간부(64)와, 상기 하우징(62)의 양 끝단에 장착되는 걸림고리(66)로 구성되는 선반(60)을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고정체(40)의 베어링(46)에 장착한 후 상기 내부공간부(64)에 각종 식물이 담긴 모종판(70)을 안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선반(60)의 중간이 아닌 회전체(30)에 위치한 후 각종식물이 담긴 모종판(70)을 내부공간부(64)에 개재한 후 좌, 우측으로 밀어내어 위치조절함으로써 작업시간의 감소와 더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수단(20)의 구동모터(22)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22)를 통해서 발생한 회전구동력은 감속기(24)와 샤프트(26)를 거쳐 구동기어(28)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28)는 상호 치합 연결되는 상기 받침대(50)의 연동기어(54)를 회전작동시키고, 상기 연동기어(54)는 링기어(34)의 기어(34b)를 연동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체(30)를 회전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체(30)가 관성력과 구동모터(22)에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전작동하게 되면 상기 베어링(46)에 지지되는 선반(60)은 회전축(32)의 회전에 따라 상, 하를 이동하면서 균일한 채광, 습도, 온도 등을 전달받아 내부공간부(64)에 안착되는 모종판(70)의 각종 식물을 우수하게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목적 회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목적 회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회전링과 회전원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고정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회전체와 고정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재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식 재배장치, 20 : 구동수단,
22 : 구동모터, 24 : 감속기,
26 : 샤프트, 28 : 구동기어,
30 : 회전체, 32 : 회전축,
34 : 회전링, 36 : 회전원판,
40 : 고정체, 42 : 고정볼트,
44 : 너트, 46 : 베어링,
48 : 간격유지구, 50 : 받침대,
52 : 지지부, 54 : 연동기어,
56 : 고정부, 60 : 선반,
62 : 하우징, 64 : 내부공간부,
66 : 걸림고리, 70 : 모종판.

Claims (3)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회전축(32)에 링기어(34)의 내주면에 회전원판(36)을 결합한 상태로 다수 개를 등 간격이 되도록 끼움하고, 상기 회전축(32)과 회전원판(36)을 다수 개의 지지바(38)로 연결하여 회전체(30)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30)의 링기어(34) 구동수단(20)에 의해 회전구동되면 거치봉 상에 장착되는 각종 식물이 담긴 선반(60)을 회전이동하면서 재배되도록 한 재배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를 구성하는 원판형 띠 형상의 링기어(34)와 원형띠 형상의 회전원판(36)을 동일 직경으로 형성하고, 상기 회전원판(36)과 링기어(34)가 서로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의 원주면을 따라 관통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42)를 각각의 양끝단에 너트(44)를 체결하고, 상기 너트(44)가 체결된 고정볼트(42)의 양 끝단면에 베어링(46)이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체(40)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체(30)와 회전체(30)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내부공간(64)에 설치되도록 양 끝단에 걸림고리(66)가 형성된 다수개의 선반(60)에 각종 식물이 담긴 모종판(70)을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걸림고리(66)를 베어링(46)에 형성된 안내홈(46a)에 걸림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34)는 원판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원판(36)은 링 형상으로 바깥 원주를 따라 수직면(36b)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36b)의 일 끝단에는 링기어(34)가 밀착되도록 수직면(36b)의 지름보다 직경이 큰 접촉면(36a)이 원판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기어(34)와 회전원판(36)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2)에는 양 끝단 중, 상기 회전원판(36)의 수직면(36b) 쪽으로 위치된 끝단에 수직면(36b)과 대응하는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간격유지구(48), 너트(44)가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재배장치.
  3. 삭제
KR1020080120437A 2008-12-01 2008-12-01 회전식 재배장치 KR10107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437A KR101073023B1 (ko) 2008-12-01 2008-12-01 회전식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437A KR101073023B1 (ko) 2008-12-01 2008-12-01 회전식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033A KR20100062033A (ko) 2010-06-10
KR101073023B1 true KR101073023B1 (ko) 2011-10-12

Family

ID=4236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437A KR101073023B1 (ko) 2008-12-01 2008-12-01 회전식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2205B (zh) * 2011-02-17 2012-12-26 杨旺利 药用石斛柱状立体栽培新方法
CN102835270A (zh) * 2011-10-09 2012-12-26 南通天华和睿科技创业有限公司 旋转式栽培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633B1 (ko) 2004-07-09 2006-09-08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식물 재배용 선반
KR100851847B1 (ko) 2007-04-19 2008-08-13 주식회사 티에스팜 회전식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633B1 (ko) 2004-07-09 2006-09-08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식물 재배용 선반
KR100851847B1 (ko) 2007-04-19 2008-08-13 주식회사 티에스팜 회전식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033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847B1 (ko) 회전식 재배장치
JP2017507654A (ja) 回転可能なラックシステム
KR101327379B1 (ko) 농작물 재배 시스템
KR101073023B1 (ko) 회전식 재배장치
KR102069432B1 (ko) 하이브리드 조명이 가능한 회전식 식물재배 장치
KR101635357B1 (ko) 드럼회전식 식물 재배기
KR20130006595U (ko) 다단 고정회전식 수경재배장치
KR101317974B1 (ko) 식물 재배장치
KR101633424B1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CN108450183B (zh) 一种高效节能的林业幼苗培育装置
KR200481257Y1 (ko) 다층작물재배장치
KR101073024B1 (ko) 회전식 재배장치
KR20100000879U (ko) 회전식 재배장치
CN217722159U (zh) 蔬菜立体种植架
CN216314235U (zh) 一种循环光照的植物栽培装置
CN214709257U (zh) 一种高效率的转动式食用菌种植装置
KR20160047694A (ko) 식물 육성대
KR200209286Y1 (ko) 버섯재배기
KR20100000878U (ko) 회전식 재배장치
KR100226152B1 (ko)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CN112616496A (zh) 一种温室大棚立体种植架
KR101749339B1 (ko) 기계식 회전 텃밭장치
CN217184125U (zh) 一种高效率的转动式食用菌种植设备
CN219373371U (zh) 一种可调式无土栽培蔬菜种植架
KR100839195B1 (ko) 다목적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