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152B1 -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152B1
KR100226152B1 KR1019970032278A KR19970032278A KR100226152B1 KR 100226152 B1 KR100226152 B1 KR 100226152B1 KR 1019970032278 A KR1019970032278 A KR 1019970032278A KR 19970032278 A KR19970032278 A KR 19970032278A KR 100226152 B1 KR100226152 B1 KR 10022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facility
plants
guide rai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779A (ko
Inventor
김연규
Original Assignee
김연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규 filed Critical 김연규
Priority to KR101997003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1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84Glaz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이나 유리하우스 등의 시설, 작업관리가 용이하고, 아울러 전체식물에 대하여 온실내부의 조건을 평준화하여 제공하므로서 작물의 고른 성장에 따른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온실재배는 지면이나 선반형의 구조물에 포트 등을 사용하여 거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성장하도록 하고 있어 온실 중앙부와 온실둘레주변의 환경차이에 의하여 모든 식물에 대하여 균일한 조건을 주어지지 않으며,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옮겨 다니면서 파종, 시비, 소독, 수확등 기타작업관리를 해 주어야만 하므로 작업 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비닐이나 유리 등에 의해 외부환경과 격리시켜 주위 환경에 무관하게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재배시설인 온실에 있어서, 상기 온실 시설물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폐곡선로로 이루어지고 견고한 지지력을 가진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이송장치부와; 상기 이송장치부에 지지되어 다단계로 식물을 식재하도록 하는 식재부재와; 상기 이송장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동하는 구동장치부에 의해 식물 식재부재가 상기 시설물 내부를 이동하도록 하고, 특정 지점에 작업장소를 설치하여 상기지점에서 작업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파종, 시비, 소독, 수확등 작물에 대한 제반 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시설 농사 관리하도록 하며 온실내부에서 성장하는 모든 식물이 균일한 조건에서 성장하도록 하므로서 균일한 품질의 농산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Multi-step feed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시설농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닐 하우스 등의 시설, 작업관리가 용이하고, 아울러 전체식물에 대하여 온실내부의 조건을 평준화하여 제공하므로서 작물의 고른 성장에 따른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물은 성장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서 기온, 습도등 공기의 상태나 기타 물리적인 자연조건에 의해 성장성이 좌우되며, 식물이 충실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상기의 필요한 조건을 충족하여 주어야만 한다.
우리나라와 같은 사계절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자연환경 상태에서는 매우 다양한 조건의 환경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자연환경 상태에서는 식물이 자라나는데 부적절한 환경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특히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는 대부분의 식물이 성장을 중지하거나 전혀 자라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자연환경을 임의적으로 변화시켜 식물이 충실하게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근래에는 비닐이나 유리 등에 의해 외부환경과 격리되도록 한 온실을 설치하여 다양한 식물들을 외부환경에 무관하게 재배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재배시설인 온실에서의 환경 조건은 식물의 파종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생산물의 고른 품질을 얻는데 장애요인이 되며, 특히 하절기에는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온실내부에서의 장시간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더운 날씨에 온실내부 중앙의 온도와 출입구를 비롯한 주변의 조건이 매우 차이가 크며, 온실내부 중앙의 온도는 작업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정도로 상승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을 할 수 없다.
특히 종래의 온실재배방법은 지면이나 선반형의 구조물에 포트 등을 사용하여 거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성장하도록 하고 있어 온실 중앙부와 주변의 환경차이에 따라 모든 식물에 대하여 균일한 조건을 주어지지 않으며,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옮겨 다니면서 파종, 시비, 소독, 수확등 기타작업관리를 해 주어야만 하므로 작업 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서는 온실내부에서 성장하는 모든 식물이 균일한 조건에서 성장하도록 하므로서 균일한 품질의 농산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일정한 지점에서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작업 관리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배치상태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장치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구동장치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 구동장치부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구동장치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실 110 : 가이드레일
111 : 지지대 120 : 이송장치부
121 : 하우징 122 : 로울러
123 : 이송돌기 124 : 걸쇠
125 : 연결대 130 : 식재부재
140 : 구동장치부 141 : 구동모터
142 : 감속기어 143 : 구동축
144 : 톱니 145,146 : 스프로켓
147 : 체인 148 : 이송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닐이나 유리 등에 의해 외부환경과 격리시켜 내부의 온도, 습도등 조건을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식물이 자라기에 적당한 조건을 형성하므로서 계절의 변화등 주위 환경에 무관하게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재배시설인 온실에 있어서, 상기 온실 시설물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폐곡선로로 이루어지고 견고한 지지력을 가진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이송장치부와; 상기 이송장치부에 지지되어 다단계로 식물을 식재하도록 하는 식재부재와; 상기 이송장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동하는 구동장치부에 의해 식물 식재부재가 상기 시설물 내부를 이동하도록 하고, 특정 지점에 작업장소를 설치하여 상기지점에서 작업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파종, 시비, 소독, 수확등 작물에 대한 제반 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시설 농사 관리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배치상태를 보인 전체적인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정단면도로서 온실(100) 내부 상측에 별도의 지지대(111)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며 순환 가능하도록 폐곡선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 이송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하우징(121)이 연결대(12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이송장치부(120)와; 상기 이송장치부(120)에 연직방향으로 매달려 지지되며 다단계로 식물을 식재하여 성장하도록 하는 식재부재(130)와; 상기 이송장치부(120)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연속 순환 이송되도록 구동력을 가해주는 구동장치부(140)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01은 출입구이고, 102는 작업부이며, 112는 철골 구조물이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곡선 회전부에는 별도의 보조 가이드레일(113)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 가이드레일(113)은 곡선부에서 용이하게 작동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 이송장치부(120)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이송장치부(120)는 I형 강으로 된 가이드레일(110)의 양측 저면에 대하여 굴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121)의 내측에 한 쌍의 로울러(12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부(140)의 이송대(148)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우징(121)의 외측 양측하단에는 각각 한 쌍의 이송돌기(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부(140)의 체인(147)에 설치된 이송대(148)의 간격은 이송장치부(120)의 하우징(121)의 간격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연결대(125)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된 하우징(121)의 외측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이송돌기(123)의 간격과 일치되도록 하여 연속 순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대(125)는 각각 인접하는 하우징(121)의 하단에 각각 연결볼트(126)에 의해 회동 자재하게 연결되므로서 가이드레일(110)의 곡선부위를 원활하게 회전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하우징(121)의 저면에는 걸쇠(124)가 구비되고, 인접하는 하우징(121)과는 서로 연결대(125)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순환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27)은 측면베어링으로서 곡선부위를 회전할 때 보조 가이드레일(113)과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져 회전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구동장치부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구동장치부의 정단면도로서 상기 구동장치부(140)는 구동모터(141)의 동력을 감속 전달하는 감속기어(142)와 상기 감속기어(142)의 구동축(143)에 설치되며, 주연부에 톱니가 형성된 한쌍의 스프로켓A(145)와 상기 스프로켓A(145)에 대응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 스프로켓B(146)와 상기 스프로켓A(145)와 스프로켓B(146)를 상호 연결하며, 외측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의 이송대(148)가 설치된 한 쌍의 체인(147)과 상기 구동축(143)을 지지하는 베어링(149)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 상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설치된 구동장치부(140)와 이송장치부(12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부(140)의 동력이 이송장치부(120)로 전달되도록 하여 전체 가이드레일(110)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이송장치부(120)가 연속적으로 순환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구동장치부(140)의 구동모터(141)가 구동되면 감속기어(142)에 의해 저속으로 감속되어 구동축(143)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143)양측에 설치된 스프로켓A(145)와 스프로켓B(146)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스프로켓A(145)와 스프로켓B(146)의 외주연에 형성된 톱니(144)에 결착된 체인(147)을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147)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이송대(148)가 체인(147)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송장치부(120)의 이송돌기(123)에 걸려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연결대(125)에 의해 균일한 간격으로 상호 연결 진행되는 이송장치부의 다수의 이송돌기(123)와 상기 다수의 이송대(148)가 동시에 걸려 동력이 전달되게 되므로 원활한 이송 기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부(120)의 하단 걸쇠(124)에는 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재(130)의 걸고리(131)가 걸려 지지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식재부재(130)는 재배 식물의 특성에 맞추어 각 단계별 높이와 수량을 조절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동장치부(140)의 동력에 의해 전체 이송장치부(120)가 일정하게 순환 작동되게 되므로 일정 지점(출입구 부분이 작업하기 용이함.)에 작업대 및 기타 급수시설 등을 설치하여 특정한 지점에서 서서히 옮겨오는 식재부재(130)를 관리하면 된다.
즉 씨앗의 파종이나 모종심기, 소독, 물 주기, 수확 등을 일 지점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편리한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식물이 온실 내부를 서서히 이동하면서 성장하게 되므로 모든 식물이 동등한 조건에서 자라게 되는 결과가 되어 온실 내부의 환경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평준화되어 식물의 고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높은 온도의 온실 중앙부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어느 특정 지점에서 모든 작업(파종, 급수, 소독, 수확)을 간편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농사 기술을 제공하므로서 적은 인원으로 농사일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경작면적을 다중으로 활용하여 단위 토지면적당 다량의 수확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비닐하우스 등의 골조 시설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이송 라인 골조를 이용하여 설치할 경우 설치 비용을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4)

  1. 유리나 비닐 등에 의해 외부 환경과 격리된 조건에서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온실 재배 시설로서 상기 시설물 내부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폐곡선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다수의 이송장치부와 상기 이송장치부에 지지되어 다단계로 식물을 식재하도록 하는 식재부재와 상기 이송장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동하는 구동장치부에 의해 식물 식재부재가 상기 시설물 내부를 이동하도록 하고, 특정 지점에 작업 장소를 설치하여 상기 지점에서 작업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파종, 시비, 소독, 수확등 작물에 대한 제반 작업을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2. 비닐이나 유리 등에 의해 외부 환경과 격리시켜 내부의 온도, 습도등 조건을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식물이 자라기에 적당한 조건을 형성하므로서 계절의 변화등 주위 환경에 무관하게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재배 시설인 온실에 있어서,
    상기 온실(100) 내부 상측에 별도의 지지대(111)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며 순환 가능하도록 폐곡선로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 이송되도록 다수의 하우징(121)이 연결대(125)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이송장치부(120)와;
    상기 이송장치부(120)에 연직방향으로 매달려 지지되며 다단계로 식물을 식재하여 성장하도록 하는 식재부재(130)와;
    상기 이송장치부(120)가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동하는 구동장치부(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송 시설 재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부(140)는 구동모터(141)의 동력을 감속 전달하는 감속기어(142)와 상기 감속기어(142)의 구동축(143)에 설치되며, 주연부에 톱니가 형성된 한쌍의 스프로켓A(145)와 상기 스프로켓A(145)에 대응하여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 스프로켓B(146)와 상기 스프로켓A(145)와 스프로켓B(146)를 상호 연결하며, 외측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의 이송대(148)가 설치된 한 쌍의 체인(147)과 상기 구동축(143)을 지지하는 베어링(14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송 시설 재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부(120)는 I형 강으로 된 가이드레일(110)의 양측 저면에 대하여 굴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121)의 내측에 한 쌍의 로울러(12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부(140)의 이송대(148)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우징(121)의 외측 양측 하단에는 각각 한 쌍의 이송돌기(123)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21)의 저면에는 걸쇠(124)가 구비되고, 인접하는 하우징(121)과는 서로 연결대(125)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순환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이송 시설 재배장치.
KR1019970032278A 1997-07-11 1997-07-11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KR10022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78A KR100226152B1 (ko) 1997-07-11 1997-07-11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78A KR100226152B1 (ko) 1997-07-11 1997-07-11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79A KR19990009779A (ko) 1999-02-05
KR100226152B1 true KR100226152B1 (ko) 1999-10-15

Family

ID=1951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278A KR100226152B1 (ko) 1997-07-11 1997-07-11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71B1 (ko) * 2013-03-21 2013-10-11 (주)가파 양액 재배 장치
KR20160001600U (ko) 2014-11-05 2016-05-13 임선섭 다층작물재배장치
KR20200059946A (ko) * 2018-11-22 2020-05-29 김정원 농작물 수확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765B1 (ko) * 2020-01-31 2022-03-08 (주)인성테크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체의 무한궤도 체인 구동 방식의 자동 식물 재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71B1 (ko) * 2013-03-21 2013-10-11 (주)가파 양액 재배 장치
KR20160001600U (ko) 2014-11-05 2016-05-13 임선섭 다층작물재배장치
KR20200059946A (ko) * 2018-11-22 2020-05-29 김정원 농작물 수확시스템
KR102159173B1 (ko) * 2018-11-22 2020-09-23 김정원 농작물 수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79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2415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ертикальными фермами
US39099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KR101229048B1 (ko) 회전 재배장치
CN110996654B (zh) 用于促进植物生长的装置
KR101483391B1 (ko)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KR101643553B1 (ko) 온실을 이용한 자동화 육묘시설
KR101292779B1 (ko) 식물 재배 베드 순환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481429B1 (ko) 작물재배순환장치
KR20130136226A (ko) 농작물 재배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55271A (ko) 버섯 재배 시설 및 시스템
JPH03127919A (ja) トラフ移動型水耕栽培施設
KR102077224B1 (ko) 생산량 증대를 위한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작물재배장치
KR101633424B1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KR101763514B1 (ko) 식물재배시스템
KR100226152B1 (ko)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93258A (ko) 식물공장 자동화 시스템 및 그 구성방법
KR102090452B1 (ko) 무인 수경 야채 재배용 거터 자동 이송 시스템
KR20210109919A (ko) 선택구동형 기계식 다단 회전 식물재배기를 적용한 식물공장 시스템
KR101651750B1 (ko)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KR100814413B1 (ko) 농산물 자동화 재배기
KR102328541B1 (ko) 무인 작물 재배 시스템
US20200383286A1 (en) Device for promoting the growth of plants
KR102173735B1 (ko) 버섯 재배 장치
JPH11318214A (ja) 回転式集中管理栽培システム
KR102647494B1 (ko) 농작물 재배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