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140A -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140A
KR20170040140A KR1020170030923A KR20170030923A KR20170040140A KR 20170040140 A KR20170040140 A KR 20170040140A KR 1020170030923 A KR1020170030923 A KR 1020170030923A KR 20170030923 A KR20170030923 A KR 20170030923A KR 20170040140 A KR20170040140 A KR 2017004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watertight
coupling
packing material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409B1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
김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 김태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
Publication of KR2017004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소켓관은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현장 시공 단계에서 패킹재를 소켓관에 설치하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정밀 시공이 가능하고 소켓관 연결부의 누수 방지와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방지에 효과적이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소켓관은 기존에 사용하던 형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Socket pipe for sewage having packing member for sealing installed integrally in socket part, manufacturing methods and, construc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하수도용 소켓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현장 시공 단계에서 패킹재를 소켓관에 설치하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정밀 시공이 가능하고 소켓관 연결부의 누수 방지와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방지에 효과적이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에 사용하던 형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소켓관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하수도용 소켓관의 제조 방법과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하수도용 소켓관은 관의 한쪽 끝단이 다른 부분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만들어진 관이다. 이러한 하수도용 소켓관은 콘크리트, 유황 폴리머, 레진관(PRC관)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 3은 이러한 소켓관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소켓관(10)의 연결 부분에서 누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링 형상의 패킹재(14)를 관(10)의 후단에 설치한다. 즉, 소켓관(10)의 후단이 다른 관의 소켓부(12)에 삽입됨에 따라 패킹재(14)가 소켓부(12)의 내부면에 밀착됨으로써 누수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이 완료되면 몰탈(18)을 이용하여 되메우기를 한다.
이러한 소켓관(10)은 공사 현장에서 패킹재(14)를 설치하고 소켓부(12)의 내부면에 윤활제를 도포해야 하므로, 소켓관 연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밀 시공이 어려우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공사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켓관(10)의 삽입시, 패킹재(14)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켓관(10)의 후단에는 계단턱(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소켓부(10)의 입구에는 경사면(12a)이 형성된다.
상기 계단턱(15)과 경사면(12a)을 형성하기 위해서, 형틀에는 계단턱(15) 및 경사면(12a)과 대응하는 구조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틀(50)은 원통형상의 본체(51)와, 본체(51)의 선,후단에 결합하는 캐스팅 휠(52)(56)을 포함한다. 캐스팅 휠(52)은 본체(51)의 선단에 결합되고, 캐스팅 휠(56)은 본체(51)의 후단에 결합된다.
캐스팅 휠(52)은 소켓부(12)의 선단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면(52b)과, 상기 경사면(12a)을 형성하기 위한 경사면(52c) 및, 소켓부(12)의 수평면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면(52a)을 포함한다. 그리고, 캐스팅 휠(56)은 계단턱(15)과 형합하는 계단턱(56a)을 포함한다.
한편, 패킹재(14)가 소켓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소켓관도 있다. 도 5는 이러한 소켓관(70)의 단면을 보여준다.
패킹재(74)는 링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소켓부(12)의 수평면(12b) 및 수직면(12c)에 그 일부가 매립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소켓관(70)은 공사 현장에서 패킹재(74)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킹재(74)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부(74a)가 형성된다. 가이드부(74a)는 관의 후단이 소켓부(12)에 삽입될 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패킹재(74)가 소켓부(12)의 내부면에 설치되므로, 소켓관(70)의 후단에는 계단턱(15)이 없다.
소켓관(7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가이드부(74a) 및 소켓관 후단과 형합하는 캐스팅 휠이 필요하다. 도 7 ~ 8은 이러한 캐스팅 휠을 보여준다. 캐스팅 휠(82)에는 가이드부(74a)와 형합하는 경사면(82a)이 형성되어 있고, 캐스팅 휠(86)에는 계단턱(15)이 없다.
이와 같이, 패킹재(74)가 일체로 매립된 소켓관(7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형틀(50)과 다른 별도의 형틀(80)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설비 비용이 약 2배로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패킹재가 일체형으로 매설됨으로써 공사 현장에서 관 연결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밀한 연결 작업이 가능한 소켓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형틀 설비를 그대로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패킹재 일체형 소켓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윤활제를 패킹재 내부에 미리 도포함으로써, 기존에 윤활제를 소켓부 내부면과 패킹재에 도포하던 것이 불필요해지고, 이에 따라 소켓관 연결 작업이 편리해지고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패킹재 일체형 소켓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소켓관의 제조 방법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소켓관(100)은 소켓부(120)에 매립되어 설치된 링 형상의 패킹재(140)(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패킹재(140)(240)는, 상기 내부면에 부착되는 결합부(141); 결합부(141)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수밀부(143); 및, 결합부(141)와 수밀부(14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벤딩부(145);를 포함한다. 결합부(141)와 수밀부(143) 및 벤딩부(145)는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벤딩부(145)의 양측에는 결합부(141)와 수밀부(143)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결합부(141)의 외측면(141a)에는 소켓부(120)에 매립되는 매립 돌출부(142)가 형성된다.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은 일체로 연결되거나 결합수단(247)에 의해 서로 밀착된다.
소켓관이 다른 소켓관과 서로 연결될 때, 다른 소켓관의 후단이 소켓부(120)에 삽입되면 수밀부(143)가 벤딩부(145)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하여 다른 소켓관의 후단 외부면과 소켓부(120)의 내부면 사이에 밀착됨으로써 수밀이 이루어진다.
소켓부(120)의 내부면은 입구쪽의 경사면(121)과 내부쪽의 수평면(122)을 포함한다. 패킹재(140)(240)는 경사면(121)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재(140)(240)는 소켓부(120)의 입구를 이루고, 패킹재(140)(240)를 포함하는 소켓부(120)는 기존 소켓관(10)의 소켓부(12)와 외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매립 돌출부(142)(242)는 결합부(141)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T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에는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과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과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에는 각각 윤활제(L)가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L)로는 실리콘, 오일, 그리스, 윤활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노치 홈(141c)이 형성될 수 있다. 노치 홈(141c)은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선단들의 분리를 돕는다.
상기 결합수단(247)은,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결합 돌기(247a); 및,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에 형성된 결합홈(247b);을 포함한다.
결합 돌기(247a)가 결합홈(247b)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이 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소켓관 제조방법은, (a) 링 형상의 패킹재(140)(240)를 캐스팅 휠(52)의 수평면(52a)과 경사면(52c) 및 수직면(52b)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캐스팅 휠(52)을 형틀 본체(51)에 체결하는 단계; 및, (b)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를 타설하여 소켓관(100)(200)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수밀부(143)의 외측면(143a)은 수평면(52a)과 경사면(52c)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수밀부(143)의 앞면(143c)은 수직면(52b)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b) 단계 이후에,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을 분리한 후 수밀부(143)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밀부(143)의 외측면(143a)을 내부 수평면(122)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소켓관 시공 방법은, (a) 링 형상의 패킹재(140)(240)가 소켓부(120)의 입구에 일체로 설치된 소켓관(100)(200)을 준비하는 단계; (b) 패킹재(140)(240)의 수밀부(143)를 결합부(141)로부터 분리하고, 소켓관(100)(200)과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을 준비하는 단계; 및, (c)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의 후단을 소켓부(120)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후단이 삽입되면 수밀부(143)가 상기 후단에 밀려서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후단의 외주면과 소켓부(120)의 내부면 사이에서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조 단계에서 수밀부(143)가 내부 수평면(122)에 부착된 소켓관(100)(200)은 아래와 같이 시공된다. 즉, 상기 시공방법은, (a) 링 형상의 패킹재(140)(240)가 소켓부(120)의 입구에 일체로 설치된 소켓관(100)(200)을 준비하는 단계; (b) 소켓관(100)(200)에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을 준비하는 단계; 및, (c)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의 후단을 소켓부(120)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41)는 소켓부(120)의 경사면(121)에 부착되고 수밀부(143)는 소켓부(120)의 수평면(122)에 부착된다.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의 후단 외주면과 수평면(122) 사이에서 수밀부(143)가 밀착되는 것에 의해서 수밀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사 현장에서 수밀부(143)의 선단을 결합부(141)의 선단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공사 현장에서 관 연결 작업시간을 30% ~ 50% 정도 단축시킬 수 있고, 정밀한 연결 작업이 가능하다.
둘째, 기존의 형틀 설비를 그대로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셋째, 윤활제를 패킹재 내부에 미리 도포함으로써, 기존에 윤활제를 소켓부 내부면과 패킹재에 도포하던 것이 불필요해지고, 이에 따라 소켓관 연결 작업이 편리해지고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 ~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켓관의 연결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소켓관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 및, 형틀 내부의 소켓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소켓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소켓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패킹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소켓관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형틀 및, 형틀 내부의 소켓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용 소켓관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소켓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패킹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패킹재가 벌어진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소켓관을 제조하기 위한 형틀과, 형틀에 설치된 패킹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 ~ 14는 소켓관의 연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 ~ 18은 각각 도 10의 패킹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용 소켓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패킹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패킹재가 벌어진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 ~ 22는 소켓관의 연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제1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용 소켓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상기 소켓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패킹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수도용 소켓관(100)은 소켓부(120)와, 소켓부(120)에 설치된 패킹재(140)를 포함한다. 하수도용 소켓관(100)은 콘크리트 또는 유황 폴리머 등을 원심 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지만, 당업계에 이미 알려진 다른 방법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소켓부(120)는 소켓관(100)의 선단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관의 다른 부분 보다 직경이 큰 부분이다. 관이 서로 연결될 때 이웃하는 관의 후단이 소켓부(120)에 삽입된다.
소켓부(120)는 그 선단의 측면(123)과, 입구쪽의 경사면(121) 및, 내부쪽의 수평면(122)을 포함한다. 경사면(121)에는 패킹재(140)가 설치된다.
소켓관(100)의 후단에는 계단턱(15)이 형성되는데, 이 계단턱(15)은 통상적인 캐스팅 휠(56)의 계단턱(56a)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다. 계단턱(15)은, 소켓관(100)의 후단이 소켓부(120)에 삽입되었을 때, 수밀부(143)와 협력하여 수밀을 이룬다.
패킹재(140)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소켓부(120)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소켓부(120)의 경사면(121)에 설치된다.
패킹재(140)는 결합부(141)와, 수밀부(143) 및, 벤딩부(145)를 포함한다. 결합부(141)와 수밀부(143) 및 벤딩부(145)는 각각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141)와 수밀부(143)는 벤딩부(145)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패킹재(140)는 고무, PVC, 연질 플라스틱(PE, PP,), 합성고무계(SBS, TPE, TPV) 우레탄, 실리콘, EPDM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결합부(141)와 수밀부(143)는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141)는 경사면(121)에 부착(또는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부(141)의 외측면(141a)에는 복수 개의 매립 돌출부(142)가 형성된다. 매립 돌출부(142)는 소켓부(120)에 매립되는 부분으로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증가되는 것이 인발 방지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수밀부(143)는 결합부(141)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소켓관(100)의 후단 외주면과 수평면(122) 사이에서 밀착됨으로써 수밀을 이룬다. 수밀부(143)는 그 선단이 결합부(141)의 선단과 연결되고 그 후단이 벤딩부(145)에 연결된다.
수밀부(143)의 선단과 결합부(141)의 선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 보다 그 두께가 얇고,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가 0.1mm ~ 1.5mm이다. 만약, 상기 연결 부분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수밀부(143)의 선단을 결합부(141)의 선단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렵게 되거나 상기 선단이 너무 쉽게 분리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분에 노치홈(141c)이 형성된다. 노치홈(141c)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밀부(143)의 선단을 결합부(141)의 선단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수밀부(143)를 잡아당기면 노치 홈(141c)을 따라 수밀부(143)가 분리된다.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에는 산과 골이 형성된다. 상기 산과 골은 수밀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가 반복적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과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은 서로 마주본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143b)(141b)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면(143b)(141b)에는 윤활제(L)가 도포될 수 있다. 윤활제(L)는 관 후단 삽입시 마찰을 줄여준다.
벤딩부(145)는 수밀부(143)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할 때 벤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벤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벤딩부(145)는 지그재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재(140)는 소켓관(100) 제조시 캐스팅 휠(52)에 설치된다. 도 12는 소켓관(100) 제조를 위한 형틀(50)과, 캐스팅 휠(52)에 설치된 패킹재(140)를 보여준다. 형틀(50)은 본체(51)와, 본체(51)의 선,후단에 결합된 캐스팅 휠(52)(56)을 포함한다.
패킹재(140)를 캐스팅 휠(52)에 설치하기 위하여, 캐스팅 휠(52)을 링 형상의 패킹재(140)에 삽입한다. 이어서, 캐스팅 휠(52)을 본체(51)에 결합시키고, 형틀(50)을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등을 타설하여 소켓관(100)을 성형한다. 성형 이후의 탈형 및 양생은 통상의 방법 또는 통상의 방법을 적절하게 응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패킹재(140)가 탄력성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지면 패킹재(140)가 캐스팅 휠(52)에 밀착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및 형틀 회전시에 위치 이동이 없게 된다.
한편, 캐스팅 휠(52)(56)은 기존의 소켓관(10)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스팅 휠(52)은 소켓부(120)의 선단 측면(123)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면(52b)과, 경사면(52c) 및, 소켓부(120)의 수평면(122)을 형성하기 위한 수평면(52a)을 포함하는데, 패킹재(140)는 외측면(143a)이 경사면(52c) 및 수평면(52a)에 밀착되고 수밀부(143)의 앞면(143c)이 수직면(52b)에 밀착되도록 캐스팅 휠(52)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패킹재(140)가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매립 돌출부(142)가 콘크리트에 매설되고 패킹재(140)를 포함하는 소켓부(120)는 기존 소켓부(12)와 그 외형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진다.
그리고, 캐스팅 휠(56)은 계단턱(15)과 형합하는 계단턱(56a)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소켓관(100) 제조를 위해, 별도의 형틀이 필요하지 않고, 기존 형틀(5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3 ~ 14는 소켓관(100)의 연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먼저, 수밀부(143)의 선단을 결합부(141)의 선단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선단을 연결하는 부분에는 노치 홈(141c)이 있으므로, 작업자가 수밀부(143)를 잡아당기면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어서, 연결하려는 소켓관(100)의 후단을 소켓부(120)에 삽입하면, 수밀부(143)가 상기 후단에 밀려서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후단의 외부면과 수평면(122) 사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은 상기 후단의 외부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내측면(143b)에 형성된 산과 골이 압착 변형되면서 수밀이 되도록 한다.
도 15 ~ 18은 패킹재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15 ~ 18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14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킹재(140)는 관의 직경, 재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그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켓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패킹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상기 패킹재가 벌어진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 ~ 20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18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패킹재(240)는 결합부(141)와, 수밀부(143)와, 벤딩부(145) 및, 결합수단(247)을 포함한다.
결합부(141)의 외측면(141a)에는 매립 돌출부(242)가 형성되는데, 제1 실시예의 매립 돌출부(142)와 비교하여, 매립 돌출부(242)는 T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결합수단(247)은 결합판(141)의 선단과 수밀판(143)의 선단을 밀착시킨다. 즉, 상기 선단은, 일체로 연결되지 아니하고, 결합수단(247)에 의해서 어느 정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관 연결시에는,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단이 분리되어 수밀판(143)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결합수단(247)은 결합 돌기(247a)와 결합홈(247b)을 포함한다. 결합 돌기(247a)는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결합홈(247b)은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에 형성된다. 결합돌기(247a)와 결합홈(247b)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결합 돌기(247a)가 결합홈(247b)에 삽입되면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이 밀착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 돌기(247a)와 결합홈(247b)은 서로 형합하는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요철 구조는 외력(예를 들어, 작업자가 수밀판을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결합 돌기(247a)와 결합홈(247b)이 분리되도록 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합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21 ~ 22는 소켓관(200)의 연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작업자가 수밀판(143)을 잡아 당겨서 수밀판(143)을 아래로 회동시킨 후, 연결하고자 하는 소켓관(200)의 후단을 소켓부(120)에 삽입하면 수밀판(143)이 상기 후단에 밀려서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후단의 외부면과 수평면(122) 사이에서 밀착된다.
한편, 제1,2 실시예에서는 수밀부(143)의 선단이 결합부(141)의 선단에 결합(연결)된 상태에서 공사 현장으로 이송되는 소켓관(100)(200)을 설명했으나, 소켓관(100)(200)의 제조 공장에서 수밀부(143)의 선단을 결합부(141)의 선단으로부터 분리하고 수밀부(143)의 외측면(143a)을 수평면(122)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사 현장에서 수밀부(143)의 선단을 결합부(141)의 선단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10, 70, 100, 200 : 하수도용 소켓관
12, 120 : 소켓부 50, 80 : 형틀
14, 74, 140, 240 : 패킹재 52, 56, 82, 86 : 캐스팅 휠

Claims (11)

  1. 소켓부(120)가 선단에 형성된 하수도용 소켓관에 있어서,
    소켓부(120)의 내부면에는 링 형상의 패킹재(140)(240)가 매립되어 설치되고,
    패킹재(140)(240)는,
    상기 내부면에 부착되는 결합부(141);
    결합부(141)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수밀부(143); 및,
    결합부(141)와 수밀부(14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벤딩부(145);를 포함하고,
    결합부(141)와 수밀부(143) 및 벤딩부(145)는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벤딩부(145)의 양측에는 결합부(141)와 수밀부(143)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결합부(141)의 외측면(141a)에는 소켓부(120)에 매립되는 매립 돌출부(142)가 형성되며,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은 일체로 연결되거나 결합수단(247)에 의해 서로 밀착되고,
    소켓관이 다른 소켓관과 서로 연결될 때, 다른 소켓관의 후단이 소켓부(120)에 삽입되면 수밀부(143)가 벤딩부(145)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하여 다른 소켓관의 후단 외부면과 상기 내부면 사이에 밀착됨으로써 수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수도용 소켓관.
  2. 제1항에 있어서,
    소켓부(120)의 내부면은 입구쪽의 경사면(121)과 내부쪽의 수평면(122)을 포함하고,
    패킹재(140)(240)는 경사면(121)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수밀부(143)가 다른 소켓관의 후단 외부면과 수평면(122) 사이에서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수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수도용 소켓관.
  3. 제2항에 있어서,
    패킹재(140)(240)는 소켓부(120)의 입구를 이루며,
    패킹재(140)(240)를 포함하는 소켓부(120)는 기존 소켓관(10)의 소켓부(12)와 외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수도용 소켓관.
  4. 제2항에 있어서,
    매립 돌출부(142)(242)는 결합부(141)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T형 단면 형상을 갖고,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과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에는 산과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수도용 소켓관.
  5. 제2항에 있어서,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과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과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에는 각각 윤활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수도용 소켓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노치 홈(141c)이 형성되고, 노치 홈(141c)은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선단들의 분리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수도용 소켓관.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수단(247)은,
    결합부(141)의 내측면(141b)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결합 돌기(247a); 및,
    수밀부(143)의 내측면(143b)에 형성된 결합홈(247b);을 포함하고,
    결합 돌기(247a)가 결합홈(247b)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구비된 하수도용 소켓관.
  8. (a) 링 형상의 패킹재(140)(240)를 캐스팅 휠(52)의 수평면(52a)과 경사면(52c) 및 수직면(52b)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캐스팅 휠(52)을 형틀 본체(51)에 체결하는 단계; 및,
    (b)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를 타설하여 소켓관(100)(200)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패킹재(140)(240)는,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와 결합하는 결합부(141);
    결합부(141)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수밀부(143); 및,
    결합부(141)와 수밀부(14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벤딩부(145);를 포함하고,
    결합부(141)와 수밀부(143) 및 벤딩부(145)는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벤딩부(145)의 양측에는 결합부(141)와 수밀부(143)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직면(52b)은 소켓부(120)의 선단 측면(123)을 형성하고, 수평면(52a)은 소켓부(120)의 내부 수평면(122)을 형성하며, 경사면(52c)은 수직면(52b)과 수평면(52a)을 연결하는 면이고,
    상기 (a) 단계에서,
    수밀부(143)의 외측면(143a)은 수평면(52a)과 경사면(52c)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수밀부(143)의 앞면(143c)은 수직면(52b)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은 일체로 연결되거나 결합수단(247)에 의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소켓관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을 분리한 후 수밀부(143)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수밀부(143)의 외측면(143a)을 내부 수평면(122)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소켓관의 제조 방법.
  10. (a) 링 형상의 패킹재(140)(240)가 소켓부(120)의 입구에 일체로 설치된 소켓관(100)(200)을 준비하는 단계;
    (b) 패킹재(140)(240)의 수밀부(143)를 결합부(141)로부터 분리하고, 소켓관(100)(200)과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을 준비하는 단계; 및,
    (c)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의 후단을 소켓부(120)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후단이 삽입되면 수밀부(143)가 상기 후단에 밀려서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후단의 외주면과 소켓부(120)의 내부면 사이에서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패킹재(140)(240)는,
    상기 내부면에 부착되는 결합부(141);
    결합부(141)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상기 수밀부(143); 및,
    결합부(141)와 수밀부(14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벤딩부(145);를 포함하고,
    결합부(141)와 수밀부(143) 및 벤딩부(145)는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벤딩부(145)의 양측에는 결합부(141)와 수밀부(143)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a) 단계에서 결합부(141)의 선단과 수밀부(143)의 선단은 일체로 연결되거나 결합수단(247)에 의해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소켓관의 시공방법.
  11. (a) 링 형상의 패킹재(140)(240)가 소켓부(120)의 입구에 일체로 설치된 소켓관(100)(200)을 준비하는 단계;
    (b) 소켓관(100)(200)에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을 준비하는 단계; 및,
    (c)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의 후단을 소켓부(120)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패킹재(140)(240)는 결합부(141)와 수밀부(143) 및 벤딩부(145)를 포함하고, 결합부(141)와 수밀부(143) 및 벤딩부(145)는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벤딩부(145)의 양측에는 결합부(141)와 수밀부(143)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소켓부(120)는 입구쪽의 경사면(121)과, 경사면(121)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면(122)을 포함하며,
    결합부(141)는 경사면(121)에 부착되고 수밀부(143)는 수평면(122)에 부착되며,
    연결하려는 소켓관(100)(200)의 후단 외주면과 수평면(122) 사이에서 수밀부(143)가 밀착되는 것에 의해서 수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소켓관의 시공방법.
KR1020170030923A 2016-11-24 2017-03-13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890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042 2016-11-24
KR20160157042 2016-11-24
KR1020170008499 2017-01-18
KR20170008499 2017-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140A true KR20170040140A (ko) 2017-04-12
KR101890409B1 KR101890409B1 (ko) 2018-08-21

Family

ID=5858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923A KR101890409B1 (ko) 2016-11-24 2017-03-13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348A (ko) * 2017-09-29 2017-10-23 주식회사 자연 패킹재와 패킹링을 포함하는 소켓관 연결용 패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소켓관 및, 소켓관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599A (ko) * 2004-02-06 2005-08-10 허차순 합성수지 하수관용 고무패킹 소켓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599A (ko) * 2004-02-06 2005-08-10 허차순 합성수지 하수관용 고무패킹 소켓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348A (ko) * 2017-09-29 2017-10-23 주식회사 자연 패킹재와 패킹링을 포함하는 소켓관 연결용 패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소켓관 및, 소켓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409B1 (ko)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2669C (en) Combination seal and restraining system for plastic pipe
US7134204B2 (en) Integral restrain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plastic pipe
WO2012115350A2 (ko) 관체 연결 장치
KR101890409B1 (ko)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975166B1 (ko) 패킹재와 패킹링을 포함하는 소켓관 연결용 패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소켓관 및, 소켓관의 제조방법
KR20180118872A (ko)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EP0082223A1 (en) Lining underground conduits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JPH11191918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シール用可とう性継手
GB2075086A (en) Duct linings
JP4152259B2 (ja) 陶管の補修工法
JP2003524739A (ja) コルゲートパイプアダプタ及び結合システム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JPH022142Y2 (ko)
CN217537248U (zh) 一种便于拼接的建筑排水管
JPH0239105Y2 (ko)
JP2015217638A (ja) 製管用部材
KR20150108547A (ko)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KR101985360B1 (ko) 수밀성이 우수한 레진 콘크리트 추진관
CN211080310U (zh) 一种塑料检查井支管变径接头
CN214197656U (zh) 一种方便安装的管件连接结构
EP3447356B1 (en) Pipe repair method and kit
KR100735063B1 (ko) 관로갱생공법 및 그 보수재
KR101015398B1 (ko) 전기 및 전자 통신용 맨홀의 관로구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