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652A - 스로틀 페달 - Google Patents

스로틀 페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652A
KR20170039652A KR1020177001443A KR20177001443A KR20170039652A KR 20170039652 A KR20170039652 A KR 20170039652A KR 1020177001443 A KR1020177001443 A KR 1020177001443A KR 20177001443 A KR20177001443 A KR 20177001443A KR 20170039652 A KR20170039652 A KR 2017003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housing
magnet
pedal assembl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앨런 채프먼
마이클 린지
제프리 펜들턴
매튜 네벨스
웨인 로렌스 수시
Original Assignee
오쉐른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쉐른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오쉐른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3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0Other details or appurtenances of control mechanisms, e.g. supporting intermediate members elastically
    • G05G25/04Sealing against entry of dust, weather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0Other details or appurtenances of control mechanisms, e.g. supporting intermediate members elas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2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using Hall effec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700/00Control mechanisms or elements therefor applying a mechanical movement
    • G05G2700/12Control mechanisms with one controlling member and one controlled memb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는 제1 측벽, 제2 측벽, 상부 벽, 바닥 벽,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 및 바닥에 개방된 주된 챔버 및 센서 캐비티를 포함한다. 페달, 페달 암 및 상기 페달 암의 단부에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페달 어셈블리는 피봇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챔버 내에 장착된다. 자석은 상기 페달 어셈블리가 상기 피봇 축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봇 축 상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페달 어셈블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자석에 근접하나 상기 자석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센서 캐비티 내에 장착된다. 캐비티 및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는 각각 홀 칩 및 자석이 공통 축 상에 놓여져 상기 홀 칩 및 상기 자석이 동축으로 정렬되는 형상 및 크기로 된다. 상기 센서 캐비티는 이물질들이 상기 캐비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된다.

Description

스로틀 페달{THROTTLE PEDAL}
관련 출원들
본 출원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2014년 7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No. 62/030,92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연방 후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진술
해당 사항 없음
본 출원은 예를 들어 차량들에서 사용을 위한 스로틀 페달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접촉 홀 효과 기술(non-contact Hall effect technology)을 활용하는 개선된 스로틀 페달에 관한 것이다.
스로틀 페달들에서 홀 효과 센서들(Hall effect sensors)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페달들은 많은 부품을 구비하여 값비싸고 조립하기 어렵다. 게다가, 제조 동안, 이러한 많은 부품은 디바이스 회전 및 센서 출력 사이의 상관관계(correlation)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시된 스로틀 페달은 기존의 스로틀 페달들에 비해 더 적은 가동 부품들(moving parts)을 구비한다. 이는 스로틀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의 개수를 감소시켜, 스로틀 페달의 조립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 회전 및 센서 출력 사이의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스로틀 페달의 위치(position)에 대하여 더 정확한 인디케이션(indication)을 제공할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개시된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인 3-3에 따라 취해진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라인 4-4에 따라 취해지고, 도 3에 대한 90°에서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라인 5-5에 따라 취해진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라인 6-6에 따라 취해진,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의 PC 보드 하우징을 관통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7 및 8은 전방 및 후방 사시도들이며, 각각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에서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9 및 10은 각각 도 7의 라인 9-9 및 10-10을 따라 취해진, 하우징의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도 10의 라인 11-11을 따라 취해진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면들의 몇몇 구성들(several figures of the drawings)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대응하는 도면 부호들이 사용될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고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청구된 발명을 명확하게 제조 및 사용 가능하게 할 것이고, 내가 현재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 최선의 모드(mode)라고 믿는 것을 포함하여, 몇몇 실시예들, 적용들, 변형들, 대안들 및 청구된 발명의 이용 방법들(uses)을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청구된 발명이 적용 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거나 도면들에 도시된 구조의 상세사항들 및 구성요소들의 배치에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청구된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들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어법 및 술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throttle pedal assembly; 10)는 도 1에서 일반적으로 도시되고 도 2에서 분해도로 도시된다.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10)는 전방 벽(front wall; 12a), 후방 벽(rear wall; 12b), 우측 벽(right side wall; 12c), 좌측 벽(left side wall; 12d), 상부 벽(top; 12e) 및 바닥 벽(bottom; 12f)을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12)을 포함한다. 차량에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10)를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 플레이트 또는 서포트 브라켓 어셈블리(mounting plate or support bracket assembly; 14)는 후방 표면(12b)의 가장자리들로부터 연장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effectively) 하우징의 후방 표면(12b)의 연속(continuation)이다.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잘 알려졌으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는 다양한 차량 구성들과 장착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어댑터 플레이트(adaptor plate)에 부착될 수 있다.
페달 어셈블리(20)는 하우징(12)에 피봇되게 장착된다. 페달 어셈블리(20)는 페달(22) 및 페달(2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페달 암(pedal arm; 24)을 포함한다. 페달 암(24)은 페달(22)로부터 멀리 이격된 헤드(26) 내에서 끝난다. 스프링 브라켓(spring bracket; 28)은 피봇 헤드(pivot head; 2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스프링 포지셔닝 버튼(spring positioning button; 28a)을 포함한다. 페달 어셈블리 헤드(26)는 헤드(26)의 좌우 폭(side-to-side width)을 연장하는 통로(passage; 30)를 포함한다. 통로(30)는, 도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상으로 된 상부 벽 및 바닥 벽(arced top and bottom walls)에 의해 결합된 대체로 곧거나 편평한 측벽들을 구비하여, 통로(30)의 단면이 거의(more or less) 길쭉한 원이 되게 할 수 있다. 통로(30)는 원하는 경우, 다각형 같은, 다른 형상으로 될 수 있다. 통로(3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디프레션(opening or depression; 32) 및 바람직하게, 통로(30)의 벽 내에 형성된, 두 개의 마주보는 개구들 또는 디프레션들을 구비한다. 개구들(32)은 헤드(26)를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통로(30)를 약간 지나는 홀(32a)로 형성될 수 있고, 홀(32a)은 교차할 수 있다.
하우징(12)은 페달 어셈블리(20)의 헤드(26)를 수용하는 챔버(40)를 정의한다. 챔버(40)는 하우징(12)의 전방 벽(12a) 및 바닥 벽(12f)에 개방된 하부 부분(40a) 및 하우징의 후방 벽(12b)에 개방된 상부 부분(40b)을 포함한다. 하우징 하부 부분(40a)은 상부 굽은 부분(upper curved portion; 41a) 및 뒤로 약간 경사진 하부, 더 곧은 부분(lower, more straight portion; 41b)을 포함하는 후방 벽(back wall; 41)을 포함한다. 후방 벽(41)은 하우징의 후방 벽에 대해 챔버 상부 부분(40)의 개구 아래에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의 후면(back surface)은 후방 벽 상부 표면(41a)을 따라 타고 간다(rides). 챔버 상부 부분(40b)은 전방 벽(12a)의 내부 표면 상에 있는 내부 스프링 포지셔닝 부재(inner spring positioning member; 42a) 및 외부 스프링 포지셔닝 부재(outer spring positioning member; 42b)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우측 벽(12c) 내 개구(opening; 44) 및 챔버의 좌측 벽(48) 내 폐쇄된 보어(closed bore; 46)를 더 포함한다. 폐쇄된 보어(46)는 우측 벽 개구(44)와 정렬된다.
페달 어셈블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상승 위치(normal raised position) 및 하부로 가압된 위치(lowered pressed position)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자석 캐리어(magnet carrier; 50)에 의해 하우징 침버(40) 내에 장착된다. 자석 캐리어(50)는 하우징 우측 벽 개구(44) 내에 수용되는 대체로 원형 헤드(generally circular head; 52) 및 챔버 벽(48) 내 폐쇄된 보어(46) 안으로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의 통로(30)를 통해 연장하는 바디(54)를 포함한다. 캐리어(50)의 원형 헤드(52)는 캐리어가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바람직하게 원형인) 하우징 우측 벽(12b)의 개구(44) 내에서 타고 간다. 바람직하게, 개구(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해서(countersunk), 캐리어 헤드의 외부 표면이 대체로 하우징(12)의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다. 캐리어 바디(54)는 페달 어셈블리 헤드 통로(30)에 대체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캐리어 바디는 대체로 편평한 측벽을 구비한다. 자석 캐리어 바디(54) 및 페달 헤드 통로(30)의 대응되는 형상들(납작하고 길쭉한 원들)은 페달 헤드(26)에 대해 캐리어(5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자석 캐리어(50)는 페달 어셈블리(20)를 위한 피봇 액슬(pivot axle)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페달로부터의 압력 제거 또는 운전자 스테핑(driver stepping)에 의한) 페달 암의 무브먼트(movement)는 자석 캐리어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자석 캐리어(50)는 또한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에 대한 자석 캐리어의 축 방향 무브번트를 방지하기 위해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에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페달 어셈블리 헤드는 대체로 챔버(40)에 의해 하우징 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캐리어 또한 하우징(12)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에 캐리어(50)를 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캐리어는 자석 캐리어 바디(54)로부터 외측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하는 마주보는 프로젝션들 또는 너브들(opposed projections or nubs; 56)을 포함한다. 너브들(56)의 크기 및 위치는 헤드 통로(30) 내 개구들(32) 내에 수용되도록 된다. 너브들(56)은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에 캐리어의 위치를 축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개구들(32)에 맞물린다. 추가적으로 너브들은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에 캐리어(5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자석 캐리어 바디(또는 샤프트)(54)는 바람직하게 중공이고, 너브들(56)은 내측으로 편향될 수 있는 유연하거나 굽힘 가능한 암들(58) 상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페달은 챔버(40) 내 페달 어셈블리 헤드(26)를 우선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하우징 챔버(4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헤드 보어(30)는 하우징 내 폐쇄된 홀(46) 및 우측 벽 개구(44)와 정렬된다. 그런 다음 캐리어(50)는 너브들(56)이 헤드 보어 개구들(32)에 맞물릴 때까지 우측 벽 개구(44) 및 헤드 보어(30)를 통해 삽입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 암들(56)은 캐리어 바디(54)가 페달 어셈블리 헤드 보어(30)를 통과하도록 내측으로 편향된다. 너브들(56)이 보어 개구들(32)과 정렬될 때, 캐리어 암들은 그것들의 정상 위치로 다시 스냅된다(snap back to). 그 지점에서, 캐리어는 페달 헤드와 맞물림으로 스냅된다(snaps into engagement). 이러한 스냅 연결(snap connection)은 도구들의 사용 없이 하우징(12)에 대한 페달 어셈블리(20)의 조립을 달성하게 한다.
내부 스프링(62) 및 외부 스프링(64)은 하우징 챔버 상부 부분(40b) 내에 위치된다. 두 개의 스프링들은 서로 동축이고, 페달 어셈블리의 스프링 브라켓(28) 내에 스프링 포지셔닝 버튼(28a) 및 챔버 전방 벽 상에 스프링 포지셔닝 부재들(42a, b)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프링들(62, 64)은, 예를 들어, 페달이 가압된 위치로부터 해제된 후에(즉, 운전자가 그 또는 그녀의 발을 페달로부터 들어올린 후에), 정상, 상승, 위치로 페달을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들로 된다. 두 개의 스프링들이 도시되었으나, 원하는 경우 단일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 대신에, 다른 편향 또는 스프링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것은 가압된 위치로부터 해제된 후에 그것의 상승 위치로 페달을 복귀시킨다. 하우징 챔버(40) 및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의 형상 및 크기는 페달이 약 15° 내지 약 25° 사이, 그리고 바람직하게 약 18° 내지 약 22° 사이의 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50)는 캐리어 헤드(52)에 반대되는 자석 캐리어 바디(54)의 단부 내에 장착된다. 자석 캐리어 바디(54)는 자석(60)이 폐쇄된 보어(46)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게 하는 크기로 된다. 자석(50)은 샤프트(36)에 장착되므로, 자석(40)은 페달(22)이 함몰됨에 따라 샤프트와 회전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석은 (플라스틱으로 마련된) 자석 캐리어 바디에 몰딩된다(molded). 그 대신에, 자석(50)은 자석 캐리어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디프레션 안으로 스냅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센서 캐비티(sensor cavity; 70)는 하우징의 좌측면(12d) 내에 형성된다. 캐비티(70)는 하우징의 상부 벽(12e)에 개방된다. 하우징은 캐비티(70)의 상부 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슬리브(71)를 포함한다.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 또는 홀 칩(74)을 구비하는 PC 보드(72)는 캐비티(70) 내에 수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챔버(40) 내 폐쇄된 보어(46)는 센서 캐비티(70)를 향해 연장하나, 보어(46)의 단부 벽에 의해 센서 캐비티로부터 분리된다. 센서 캐비티 내에 장착된 때, 홀 칩(74)은 자석(60)과 마주보고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두 개는 폐쇄된 보어의 얇은 단부 벽에 의해서만 분리된다. 게다가, 캐비티(70)는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72) 및 페달 어셈블리(20)가 하우징 내에 장착될 때, 홀 칩(74) 및 자석(60)이 동일 축 상에 있게 되는 크기 및 위치로 된다. 즉, 홀 칩(74) 및 자석(60)은 동축 상에 있을 것이다.
PC 보드(72) 및 홀 효과 칩(74)은 레진(78)에 의해 피복된다. 바람직한 방법에서, 홀 효과 칩을 구비하는 PC 보드가 우선 레진 내에 캡슐화되고(encapsulated), 그런 다음 캡슐화된 홀 효과 칩을 구비하는 PC 보드가, 예를 들어 캐비티(70) 내에 어셈블리를 열 융착(heat staking)하는 것에 의해, 센서 캐비티(70) 내에 고정된다. 그 대신에, 레진이 PC 보드 주위에 몰딩되고(molded) 센서 캐비티(70)는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캡슐화된 홀 효과 칩을 구비하는 PC 보드)가 캐비티 안으로 스냅 핏(snap fitted)되게 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으로서, 센서 어셈블리(72)가 센서 캐비티(70) 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센서 캐비티가 센서 어셈블리를 둘러싸고 캡슐화하도록 레진(78)으로 채워질 수 있다. 레진은 전기적으로 도체성이 아닌 세팅 가능한 레진(settable resin)으로 될 수 있다. 레진은 센서 어셈블리를 밀폐시키고 환경으로부터 센서 어셈블리(72)를 전체적으로 고립시켜, 때, 먼지, 물 등이 센서 어셈블리(7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때, 먼지, 물 등은 센서 신호들을 간섭하거나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센서 하우징은, 언급된 바와 같이, 하우징 상부 벽(12e)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커넥터 슬리브(71)를 포함한다. 센서 어셈블리는 PC 보드로부터 슬리브(71) 안으로 위로 연장하는 핀들(78A-F)을 포함한다. 그러나 슬리브(71)는 핀들(78A-F)의 단부들보다 높게 연장한다. 슬리브(71)는 핀들(78A-F)에 접촉할 수 있는 커넥터 바디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는 와이어(예를 들어 리본 와이어)에 의해 컨트롤러에 센서 어셈블리(72)를 연결할 것이다.
설명된 핀 레이아웃은 다음과 같다.
기능
78A APSI - 신호
78B APSI - 리턴/접지
78C APSI - 공급
78D APSI - 공급
78E APSI - 리턴/접지
78F APSI - 신호
그러나 다른 핀 레이아웃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게다가, 컨트롤러 또는 센서 어셈블리 보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시될 수 있으므로(dictated), 더 많거나 더 적은 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10)에서, 자석(60) 및 홀 칩(74)은 동일한 축 상에 위치되고; 자석(60)은 페달 어셈블리(20)를 위한 피봇 축을 정의하는 자석 캐리어(50)의 일체 부품이며; 홀 칩(74)이 레진에 의해 캡슐화되므로, 그것은 하우징(12)의 일체 부품이 된다. 이러한 설계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에게 상당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무엇보다도 우선, 전술된 바와 같이, 캐리어(50)의 설계는 스로틀 페달의 설계를 단순하게 하고, 공구들의 사용 없이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의 제작을 달성하게 하게 한다. 게다가, 자석(60)이 하우징에 고정되는 대신, 캐리어(50)에 고정되므로(또는 내장되므로), 센서 캐비티(70) 내에 가동 구성요소들이 없다. 따라서, 센서 캐비티(70)는 홀 칩 어셈블리(72)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 및/또는 먼지의 침투에 대비하기 위해 실란트(sealant; 78)(즉, 실란트(78)는 센서 캐비티(70)에 의해 정의된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로 효과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10)는 소수의 부품들로 제작되고 제조하기 용이하다.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해, 센서 어셈블리는 하우징(12)의 센서 캐비티(70) 내에 고정된다. 페달 어셈블리(20)의 헤드(26)는 하우징(12)의 챔버(40) 안으로 삽입된다. 하우징 개구들(housing openings; 44 및 45)과 정렬된 페달 어셈블리 헤드 통로(30)를 구비하여, 자석 캐리어(50)는 하우징 개구(44), 페달 어셈블리 통로(30)를 통해, 그리고 블라인드 보어(blind bore; 46) 안으로 삽입된다. 자석 캐리어가 보어(30) 안에 삽입될 때, 암들(58)은 내측으로 구부러진다(flex). 캐리어 바디 너브들(56)이 페달 어셈블리 헤드 내 통로(32a)에 맞물릴 때, 암들은 튀어나오고(the arms pop back out), 너브들(56)은 페달 어셈블리(20)에 자석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해 페달 어셈블리 헤드 보어(32a) 안으로 재촉된다(urged).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벽의 일부(12c)는 페달 어셈블리 헤드(26) 및 자석 캐리어 헤드(52) 사이에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페달 어셈블리에 대한 자석 캐리어의 상호 연결, 및 페달 어셈블리 헤드(26) 및 자석 캐리어 헤드(52) 사이의 하우징의 일부는 페달 어셈블리(20)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그러므로 페달 어셈블리에 대한 자석 캐리어의 스냅 연결 또한 하우징에 페달 어셈블리를 연결한다.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10)의 제작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된 구성요소들, 즉 하우징(12), 페달 어셈블리(20) 및 자석 캐리어(50)는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예를 들어, 몰딩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술된 구조들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전술된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것은 예시로서 해석되고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60)은 페달을 위한 피봇 액슬을 정의하는 캐리어(50)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자석(60)은 페달이 함몰될 때 캐리어(50)에 의해 정의된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페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홀 효과 칩(74)에 근접한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의 측면에 자석(6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바람직하게 캡슐화 실란트를 구비하여, 센서 캐비티의 밀봉을 허용하기 위한 센서 캐비티 내 가동 부품들의 제거.
페달 어셈블리 헤드(26)에 대한 자석 캐리어(50)의 스냅 연결은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프로젝션/너브(56)가 헤드 통로(28)의 벽 내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캐리어(50) 상에 형성되었으나, 프로젝션은 헤드 통로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샤프트에는 프로젝션에 맞물리는 암(58) 내 디프레션 또는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에서, 헤드 통로의 개별적인 디프레션들(30)은 (그 대신에 샤프트(38)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원주형 그루브(circumferential groove)로 대체될 수 있다. 프로젝션들(38)은 개별적인 프로젝션들로 남아 있거나, 그것들은 원주형 링(circumferential r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헤드 통로(30) 및 캐리어(50)는 모두 대체로 길쭉한 원들로 도시되어 있으나, 통로(30) 및 캐리어 바디(54)는 다각형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통로 및 캐리어 바디의 매칭되는 다각형 형상들은 캐리어 및 페달 헤드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예시에서, 프로젝션(또는 디프레션/그루브)는 캐리어의 다각형 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캐리어 및 페달 헤드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루브들 내에 수용된 축 방향으로 연장된 스플라인들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플라인은 헤드 통로(30)의 벽 또는 샤프트의 외부 표면 중 어느 하나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스플라인들이 두 개 중 다른 것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에서, 캐리어는 샤프트의 축에 대체로 수직하는 캐리어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정의할 수 있고, 페달 어셈블리 암(24)은 페달 어셈블리(20) 및 캐리어(50)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채널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들을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10: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12: 하우징
20: 페달 어셈블리
22: 페달
24: 페달 암
26: 헤드
28: 스프링 브라켓
30: 통로
32: 개구
40: 챔버
50: 자석 캐리어
60: 자석
70: 센서 캐비티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제1 측벽, 제2 측벽, 상부 벽, 바닥 벽, 전방 벽 및 후방 벽; 상기 하우징의 전방 및 바닥에 대해 개방된 메인 챔버; 및 센서 캐비티를 구비함;
    페달 및 페달 암을 포함하는 페달 어셈블리, 상기 페달 암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수용됨;
    상기 하우징에 대한 회전 운동을 의해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위치된 피봇 액슬, 상기 피봇 액슬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페달 어셈블리를 피봇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상기 페달 어셈블리 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피봇 액슬은 상기 페달 어셈블리를 위한 피봇 축을 정의하고 상기 페달이 호 내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게 함;
    상기 센서 캐비티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액슬의 단부에 근접하게 상기 액슬에 고정된 자석;
    상기 센서 캐비티 내에 장착된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 상기 홀 효과 센서는 홀 칩을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 및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는 각각 홀 칩 및 상기 자석이 동일한 축 상에 놓여서 상기 홀 칩 및 상기 자석이 동축으로 정렬되는 형상 및 크기로 됨; 및
    이물질들이 상기 캐비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 캐비티를 폐쇄시키는 시일(seal);
    을 포함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어셈블리 암 및 상기 액슬 중 하나는 통로를 정의하고, 상기 페달 어셈블리 암 및 상기 액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페달 어셈블리 암 및 상기 액슬을 함께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통로 안으로 연장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페달 어셈블리 암의 단부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액슬은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디프레션(depression) 및 프로젝션(projection) 중 하나는 상기 페달 어셈블리 암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디프레션 및 프로젝션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액슬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는 상기 액슬 및 상기 통로의 상기 표면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너브(nub)를 포함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레션은 상기 암의 상기 통로를 통해 그리고 상기 암의 상기 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는 개구에 의해 정의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센서 어셈블리를 캡슐화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센서 캐비티를 채우는 레진 실란트에 의해 정의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자석은 공통 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공통 벽은 상기 센서 캐비티 및 상기 챔버 모두의 벽을 형성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9. 하우징; 상기 하우징은 제1 측벽, 제2 측벽, 상부 벽, 바닥 벽, 전방 벽 및 후방 벽; 상기 하우징의 전방 및 바닥에 대해 개방된 메인 챔버; 및 센서 캐비티를 구비함;
    페달, 페달 암, 및 상기 페달 암의 단부에 헤드를 포함하는 페달 어셈블리, 상기 페달 암 헤드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페달 어셈블리를 피봇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페달 어셈블리가 피봇 축에 대해 피봇함;
    상기 페달 어셈블리가 상기 피봇 축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피봇 축 상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페달 어셈블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자석;
    상기 센서 캐비티 내에 장착된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 상기 홀 효과 센서는 홀 칩을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 및 홀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홀 칩 및 상기 자석이 공통 축 상에 놓여 상기 홀 칩 및 상기 자석이 동축으로 정렬되는 형상 및 크기로 됨; 및
    이물질들이 상기 캐비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 캐비티를 폐쇄시키는 시일;
    을 포함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 효과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자석은 공통 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공통 벽은 상기 센서 캐비티 및 상기 챔버 모두의 벽을 형성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피봇 액슬 상에 장착되고, 상기 피봇 액슬은 상기 페달 어셈블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캐비티 내에 상기 센서 어셈블리를 캡슐화하기 위해 상기 센서 캐비티를 채우는 레진 실란트에 의해 정의되는 스로틀 페달 어셈블리.
KR1020177001443A 2014-07-30 2015-07-28 스로틀 페달 KR20170039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30923P 2014-07-30 2014-07-30
US62/030,923 2014-07-30
PCT/US2015/042466 WO2016018907A1 (en) 2014-07-30 2015-07-28 Throttle ped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652A true KR20170039652A (ko) 2017-04-11

Family

ID=5521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443A KR20170039652A (ko) 2014-07-30 2015-07-28 스로틀 페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12484B2 (ko)
EP (1) EP3189392A4 (ko)
JP (1) JP2017523080A (ko)
KR (1) KR20170039652A (ko)
CN (1) CN106716290A (ko)
CA (1) CA2953890A1 (ko)
WO (1) WO2016018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1567B2 (ja) * 2018-03-29 2020-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作装置
CN108792949A (zh) * 2018-08-15 2018-11-13 尤洛卡(山东)矿业科技有限公司 一种单轨吊机车操纵装置
EP4053496A4 (en) * 2019-10-31 2023-11-29 Toyoda Iron Works Co., Ltd. PEDAL DEVICE FOR VEHICLE OPERATION
US11614765B2 (en) * 2020-02-14 2023-03-28 Cts Corporation Vehicle pedal including redundant dual output inductive position sensor with reduced coupling coil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5068A (en) 1992-12-18 1995-01-31 Cts Corporation Electronic accelerator pedal assembly with pedal force sensor
US5768946A (en) 1994-10-11 1998-06-23 Cts Corporation Pedal with integrated position sensor
US6426619B1 (en) 1998-12-09 2002-07-30 Cts Corporation Pedal with integrated position sensor
US6396259B1 (en) 1999-02-24 2002-05-28 Nartron Corporatio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position sensor
DE19924410A1 (de) 1999-05-27 2000-11-30 Hella Kg Hueck & Co Fahrpedalgeber
US6330838B1 (en) 2000-05-11 2001-12-18 Teleflex Incorporated Pedal assembly with non-contact pedal position sens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US20020062708A1 (en) 2000-11-29 2002-05-30 Teleflex Incorporated Integrated electronic throttle control assembly for a pedal
DE10212904A1 (de) 2001-03-23 2002-10-24 Aisin Seiki Beschleunigerpedalvorrichtung
WO2003095938A1 (en) 2002-05-10 2003-11-20 Padraig Keane Angle sensor
CN101934734B (zh) 2003-05-29 2013-10-30 Cts公司 用于机动车辆的加速踏板
US8042430B2 (en) * 2004-05-27 2011-10-25 Cts Corporatio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US20060053957A1 (en) 2004-07-08 2006-03-16 Ewel David E Electronic pedal assembly and method
WO2006078579A2 (en) 2005-01-18 2006-07-27 Teleflex, Incorporated Pedal kickdown mechanism and treadle attachment mechanism
US7469462B2 (en) 2005-02-20 2008-12-30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onic control pedal assembly
DE102005013442A1 (de) 2005-03-23 2006-09-28 Robert Bosch Gmbh Fahrpedalmodul mit magnetischem Sensor
WO2006138437A2 (en) 2005-06-16 2006-12-28 Wabash Technologies, Inc. Pedal assembly having a hysteresis mechanism
JP4877753B2 (ja) * 2006-06-30 2012-02-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電気式アクセルペダル装置及び回動角センサ
US8011270B2 (en) * 2006-12-20 2011-09-06 Wabash Technologies, Inc. Integrated pedal assembly having a hysteresis mechanism
US20080218158A1 (en) * 2007-03-07 2008-09-11 Carlson Joseph D Rotary position sensor
US20110100153A1 (en) 2008-05-08 2011-05-05 Murray Kaijala Accelerator Pedal Assembly
WO2010036674A1 (en) 2008-09-26 2010-04-01 Cts Corporatio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US20100206122A1 (en) 2009-02-18 2010-08-19 Seiltz Michael C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WO2011119597A2 (en) 2010-03-23 2011-09-29 Williams Controls. Inc. Configurable non-contact position sensor
DE102010020314A1 (de) * 2010-05-12 2011-11-17 Erik Männle Pedalanordnung, insbesondere für Fahrzeuge oder Kraftfahrzeuge
JP5423776B2 (ja) * 2011-09-26 2014-02-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JP5413478B2 (ja) * 2011-11-30 2014-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JP2013117477A (ja) * 2011-12-05 2013-06-13 Mikuni Corp 非接触式回転角度検出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JP2014002039A (ja) * 2012-06-19 2014-01-09 Nippon Seiki Co Ltd 回転角度検出装置
JP5720960B2 (ja) * 2012-10-04 2015-05-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SE536991C2 (sv) 2012-12-02 2014-11-25 Carl Johan Walter Weschke Rotationsdetekteringsanordning samt fordonspedal innefattande en sådan anord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8907A1 (en) 2016-02-04
EP3189392A1 (en) 2017-07-12
CA2953890A1 (en) 2016-02-04
US20170210227A1 (en) 2017-07-27
CN106716290A (zh) 2017-05-24
US10112484B2 (en) 2018-10-30
EP3189392A4 (en) 2018-06-20
JP2017523080A (ja)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9652A (ko) 스로틀 페달
JP2005185372A (ja) ゴルフパターのヘッド構造
US20160160907A1 (en) Ball jo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1247770B (zh) 电动牙刷的手柄件及其充电件
JPH058338Y2 (ko)
JP2015184259A (ja) 物理量測定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523287B1 (en) Decorative aqua ball
US20050157967A1 (en) Weatherproof low friction spindle unit
JP2017523080A5 (ko)
BR112013009507B1 (pt) conjunto para a construção de brinquedo
CA2654153C (en) Method and system of molding integral joint
US9573142B2 (en) Handle rotating switch shower head
JP4038188B2 (ja) ダイビングマスク
CN207007867U (zh) 轮速传感器
FI70463B (fi) Losstagbar utvaexlingsratt till armaturer med en spindel
JP2010112417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101817530B1 (ko) 차일드 앵커 커버장치 및 이를 갖춘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JP2013019444A (ja) 回転ダンパ
JP5568396B2 (ja) 回転操作装置
KR200382698Y1 (ko) 차량용 도어가드
USD563275S1 (en) Motor vehicle and toy replica
USD1028750S1 (en) Measurement and setback tool
US20060001191A1 (en) Shroud assembly and a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EP1925403B1 (en) Pneumatic hand tool
JP6819962B2 (ja) インペラ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