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614A -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화면 공유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화면 공유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614A
KR20170038614A KR1020150163053A KR20150163053A KR20170038614A KR 20170038614 A KR20170038614 A KR 20170038614A KR 1020150163053 A KR1020150163053 A KR 1020150163053A KR 20150163053 A KR20150163053 A KR 20150163053A KR 20170038614 A KR20170038614 A KR 20170038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destination
authentication
screen
screen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 스가야
šœ지 스가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Publication of KR2017003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화면 공유를 행할 때의 시큐리티를 유지하면서, 접속 설정이나 인증이 용이한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은 화면 공유를 행한다. 단말기와 서버로 구성되는 화면 공유 시스템에 의해, 접속원 단말기는,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모듈(111)을 구비하고,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검지된 경우에 인증 모듈(112)에 의해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한다.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직접 접속 모듈(113)에 의해 접속처 단말기와 P2P의 직접 접속을 행하고, 공유 모듈(114)에 의해 화면 공유를 행한다.

Description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화면 공유 프로그램{SCREEN SHARE SYSTEM, SCREEN SHARE METHOD AND SCREEN SHARE PROGRAM}
본 발명은, 접속처 단말기와 화면 공유를 행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화면 공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등의 공중회선망을 이용하여, 단말기 간에서의 화면 공유를 실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화면 공유에 있어서, 화면 공유원(共宥元)의 단말기와 화면 공유처(共有處)의 단말기는, 서버를 중계하여, 공유 화면 데이터를 송수신한, P2P형의 네트워크에 의해, 직접 화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한다.
이와 같은 화면 공유에 있어서, 특정한 IP 어드레스에 대하여만, 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고, 사용자 인증을 실행함으로써, 특정한 단말기만에 있어서 공유 화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 제2001―256137호 공보
그러나, 공유 화면 데이터를 P2P형의 네트워크에 의해 송수신하는 경우, 뜻하지 않은 단말기와 화면 데이터를 공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시큐리티적으로 리스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구성에서는, 특정한 IP 어드레스에 대하여만, 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고, 사용자 인증을 실행함으로써 시큐리티는 향상되지만, 사전에 공유 화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IP 어드레스의 등록이나, 사용자 등록을 실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므로, 편리성이 낮았다.
그래서, 화면 공유를 행할 때의 시큐리티를 유지하면서, 접속 설정이나 인증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은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제1 특징에 관한 발명은, 단말기와 서버로 구성되며,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에 한정되어 화면 공유를 행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
상기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수단;
상기 인증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직접 접속을 행하는 직접 접속 수단; 및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상기 직접 접속에 의해 화면 공유를 행하는 공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특징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에 한정되어 화면 공유를 행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인증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직접 접속을 행하는 직접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상기 직접 접속에 의해 화면 공유를 행하는 공유 수단을 포함한다.
제1 특징에 관한 발명은, 화면 공유 시스템의 카테고리이지만, 화면 공유 방법, 및 프로그램으로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특징에 관한 발명은, 제1 특징에 관한 발명인 화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함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상기 서버에 문의함으로써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2 특징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제1 특징에 관한 발명인 화면 공유 시스템은, 상기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함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상기 서버에 문의함으로써 실행한다.
제3 특징에 관한 발명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관한 발명인 화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유 수단은, 자신(自身) 또는 상기 접속처 단말기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순차,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3 특징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 특징에 관한 발명인 화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유 수단은, 자신 또는 상기 접속처 단말기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순차, 송수신한다.
제4 특징에 관한 발명은,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에 한정되어 화면 공유를 행하는 화면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직접 접속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상기 직접 접속에 의해 화면 공유를 행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제5 특징에 관한 발명은,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에 한정되어 화면 공유를 행하는 단말기에,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직접 접속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상기 직접 접속에 의해 화면 공유를 행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 공유를 행할 때의 시큐리티를 유지하면서, 접속 설정이나 인증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은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단말기(100)와 서버(200)의 기능 블록과 각 기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접속원(接續元) 단말기(100a)가 접속처 단말기(100b)에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 공유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접속원 단말기(100a)에 접속처 단말기(100b)의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 공유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접속원 단말기(100a)에 표시하는 접속처 선택 화면의 일례이다.
도 6은, 접속처 단말기(100b)에 표시하는 화면 공유 의뢰 화면의 일례이다.
도 7은, 접속원 단말기(100a)에 표시하는 접속처 선택 화면의 다른 일례이다.
도 8은, 접속처 단말기(100b)에 표시하는 화면 공유 의뢰 화면의 다른 일례이다.
도 9는, 접속처 단말기(100b)에 의해 화면 공유가 승인되었을 경우에 접속원 단말기(100a)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0은, 접속처 단말기(100b)에 의해 화면 공유가 부인되었을 경우에 접속원 단말기(100a)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1은, 단말기(100)와 서버(200)에 의한 인증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접속처 단말기를 입력하는 경우의 접속처 입력 화면의 일례이다.
도 13은,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검지할 수 없었던 경우의 에러 화면의 일례이다.
도 14는, 단말기(100)에 표시하는 인증용의 사용자 ID와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의 일례이다.
도 15는, 인증에 성공한 경우의 다이얼로그 화면의 일례이다.
도 16은, 인증에 실패한 경우의 다이얼로그 화면의 일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면 공유 시스템의 시스템 개요]
본 발명의 개요에 대해서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말기(100a), 단말기(100b), 단말기(100c), 단말기(100d)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동일 네트워크란, 예를 들면, 각각의 단말기(100)가 접속하고 있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동일하게 한 네트워크, 무선이나 유선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동일하게 한 네트워크, SSID[서비스 세트 식별자(識別子)]를 동일하게 하는 네트워크 등이라도 된다. 또한, 서버(200)와 단말기(100a), 단말기(100b), 단말기(100c), 단말기(100d)는 각각 공중회선망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말기(100a)는, 단말기(100b), 단말기(100c), 단말기(100d)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단말기(100b), 단말기(100c), 단말기(100d)의 IP 어드레스와 서브 네트 마스크를 취득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단말기끼리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단말기 간에서 일정 레벨의 시큐리티가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접속원 단말기(100a)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화면 공유 의뢰를 실행하는 단말기이다. 접속원 단말기(100a)는, 접속처 단말기(100b)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를 검지하고, 접속처 단말기(100b)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경우에는, 접속처 단말기(100b)와의 화면 공유를 개시하기 위해, 서버(200)에 인증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01).
서버(200)는,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의 인증 요구를 받아 접속원 단말기(100a)가 이미 인증이 끝난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인증이 끝나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접속원 단말기(100a)와의 사이에서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데이터의 교환에 의한 인증 결과, 또는 인증 끝난 경우에는 그 결과를 접속원 단말기(100a)에 송신한다(단계 S02).
서버(200)에 의한 접속원 단말기(100a)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접속원 단말기(100a)는,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직접 접속을 행하고, 화면 공유 요구를 행한다(단계 S03). 서버(200)에 의한 접속원 단말기(100a)의 인증이 실패한 경우, 접속원 단말기(100a)에 인증 실패의 출력을 행한다.
접속처 단말기(100b)에 의해, 접속원 단말기(100a)의 화면 공유 요구가 승인되었을 경우, 접속원 단말기(100a)는 접속처 단말기(100b)와의 직접 접속에 의해, 공유 화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함으로써, 화면 공유를 행한다(단계 S04). 이 때, 접속원 단말기(100a)에, 접속처 단말기(100b)와 화면 공유 요구가 승인된 것을 출력해도 된다. 도 9는, 접속처 단말기(100b)에 의해 화면 공유가 승인되었을 경우에 접속원 단말기(100a)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단계 S04에서, 접속원 단말기(100a)가 접속처 단말기(100b)에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 접속처 단말기(100b)에 공유 화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접속원 단말기(100a)에 접속처 단말기(100b)의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접속원 단말기(100a)는 접속처 단말기(100b)의 공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한다.
접속원 단말기(100a)와 접속처 단말기(100b) 중 어느 쪽의 화면을 공유할 것인가는, 화면 공유 요구 시에 설정해도 되고, 화면 공유를 개시하고 나서 선택해도 된다. 또한, 화면 공유 도중에, 그 전환을 행해도 된다.
접속처 단말기(100b)에 의해, 접속원 단말기(100a)의 화면 공유 요구가 부인되었을 경우, 접속원 단말기(100a)에 화면 공유 요구가 부인된 것을 출력해도 된다. 도 10은, 접속처 단말기(100b)에 의해 화면 공유가 부인되었을 경우에 접속원 단말기(100a)에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여기서는, 접속원 단말기(100a)와 접속처 단말기(100b)의 2대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3대 이상의 단말기로 화면 공유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접속원 단말기(100a)와 접속처 단말기(100c)와의 접속을 행하고, 접속원 단말기(100a)가 접속처 단말기(100b)와 접속처 단말기(100c)에 화면을 표시해도 되고, 접속원 단말기(100a)에 접속처 단말기(100b)와 접속처 단말기(100c)와의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접속원 단말기(100a)는 접속처 단말기(100b)와 접속처 단말기(100c)와 각각에 대하여, 직접 접속을 행한다.
[각 기능의 설명]
도 2는, 단말기(100)와 서버(200)의 기능 블록과 각 기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 공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100), 서버(200), 공중회선망(300)(인터넷망이나 제3 세대, 제4 세대 통신망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의 접속원 단말기(100a), 접속처 단말기(100b)는, 단말기(100)와 동등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기억부(130), 입출력부(140)로 구성되는 단말기이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와 협동하여, 검지 모듈(111), 인증 모듈(112), 직접 접속 모듈(113), 공유 모듈(114)을 실현한다. 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기억부(230)로 구성된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20)와 협동하여, 인증 응답 모듈(211)을 실현한다.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열람하고,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일반적인 정보 단말기라도 되고, 후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정보 기기(機器)나 전화(電化) 제품이다. 휴대 전화기나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PC), 노트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PC 등의 일반적인 정보 가전이나, 복합형 프린터, 텔레비전, 라우터(router) 또는 게이트웨이 등의 네트워크 기기, 냉장고, 세탁기 등의 백색 가전, 전화기, 넷북 단말기, 슬레이트 단말기, 전자 서적 단말기, 전자 사전 단말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휴대형 컨텐츠 재생·녹화 플레이어 등의 전화 제품이라도 된다. 단말기(100)로서 도시하고 있는 스마트 폰은 그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단말기(100)는, 제어부(110)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한다.
또한, 통신부(120)로서, 예를 들면, IEEE 802.11에 따른 WiFi(Wireless Fidelity) 대응 디바이스 또는,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등의 IMT―2000 규격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 등을 구비한다. 유선에 의한 LAN 접속이라도 된다.
단말기(100)에 있어서, 제어부(110)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임으로써, 통신부(120)와 협동하여, 검지 모듈(111), 인증 모듈(112), 직접 접속 모듈(113), 공유 모듈(114)을 실현한다.
단말기(100)는, 기억부(130)로서,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에 의한, 데이터의 스토리지부를 구비한다. 기억부(130)에는, 화면 공유를 행하기 위한 일시적인 데이터 등, 필요한 정보 등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입출력부(140)는, 화면 공유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과 표시를 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입력부의 예로서, 터치 패널 기능을 실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펜 태블릿, 장치 상의 하드웨어 버튼, 음성 인식을 행하기 위한 마이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의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PC의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등 다양한 형태가 생각된다. 화면 공유와 맞추어 음성 출력도 행하는 경우에는, 스피커 등을 구비해도 된다. 입출력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은 특별히 기능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후술하는 인증 기능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서버라도 된다.
서버(200)는, 제어부(210)로서, CPU, RAM, ROM 등을 구비한다.
또한, 통신부(220)로서, 예를 들면, IEEE 802.11에 따른 WiFi 대응 디바이스 또는,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등의 IMT―2000 규격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 등을 구비한다. 유선에 의한 LAN 접속이라도 된다.
서버(200)에 있어서, 제어부(210)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임으로써, 통신부(220)와 협동하여, 인증 응답 모듈(211)을 실현한다.
서버(200)는, 기억부(230)로서,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에 의한, 데이터의 스토리지부를 구비한다. 기억부(230)에는, 인증 처리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 등, 필요한 정보 등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화면 공유 처리]
도 3은, 접속원 단말기(100a)가 접속처 단말기(100b)에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 공유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전술한 각각의 장치의 모듈이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본 처리에 병행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100a), 단말기(100b), 단말기(100c), 단말기(100d)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접속처 단말기(100b)는, 일례로서 들고 있는 것이며, 접속처 단말기(100c)나 접속처 단말기(100d)에 있어서 실행되어도 되고, 복수의 접속처 단말기에 있어서,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기(100b), 단말기(100c), 단말기(100d) 중 어느 하나가, 접속원 단말기로 되어도 된다.
처음에, 접속원 단말기(100a)는, 검지 모듈(111)에 의해,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 여부의 검지를 행한다(단계 S101). 여기서, 접속처 단말기를 직접 입력해도 되고,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단말기를 리스트 업(list up)하여, 접속처 단말기 후보로서 선택시켜도 된다.
도 12는, 접속처 단말기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의 접속처 입력 화면의 일례이다. 여기서, 입력란(1210)에 화면 공유를 행하는 상대편을 입력한다. 접속처 지정을 위한 입력은, 상대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컴퓨터명, IP 어드레스, 맥 어드레스 등, 시스템에 맞추어 적절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선택지(選擇肢)(1220)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서, 접속처 단말기에 공유 화면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 접속처 단말기의 공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인지, 화면 공유 후에, 어느 쪽의 화면을 공유할 것인지를 선택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해도 된다. 사용자가 공유 의뢰 버튼(1230)을 선택한 경우,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 여부의 검지를 행한다. 캔슬 버튼(1240)을 선택한 경우,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01에서, 접속처로서 지정한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없었던 경우(단계 S101에서 No의 플로우로 진행된 경우)에는,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검지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는 에러 화면을 접속원 단말기(100a)에 표시해도 된다.
도 5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단말기를 리스트 업 한 후에, 화면 공유를 행하는 접속처 단말기를 선택하게 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여기서는, 접속원 단말기(100a)가 화면 공유를 행하는 상대편으로서, 선택란(510)에서 단말기(100b)를 선택하고 있다. 또한, 선택지(520)에서,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접속원 단말기(100a)의 화면을 공유 화면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을 선택하고 있다. 여기서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단말기만이 선택지로서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유 의뢰 버튼(530)을 선택한 경우, 다음의 단계 S102로 진행한다. 캔슬 버튼(540)을 선택한 경우,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해도 되고, 재차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단말기를 리스트 업 해도 된다.
다음에, 접속원 단말기(100a)는, 인증 모듈(112)에 의해, 인증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2). 인증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증 처리를 행한 후,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03). 인증이 성공한 경우, 직접 접속 모듈(113)에 의해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P2P의 직접 접속을 행하고, 화면 공유 요구를 행한다(단계 S104). 이하의 접속원 단말기(100a)와 접속처 단말기(100b) 간의 접속은, 모두 직접 접속으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인증이 실패한 경우,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한다.
접속처 단말기(100b)는,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의 화면 공유 요구를 받아, 화면 공유를 승인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11). 도 6은, 접속처 단말기(100b)에 표시하는 화면 공유 의뢰 화면의 일례이다. 메시지(610)로서, 단말기(100a)로부터화면 공유 의뢰가 있었던 것과, 화면 공유를 승인한 경우, 단말기(100a)의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접속처 단말기(100b)는, 공유 승인 버튼(620)을 선택하면, 화면 공유 요구에 승인으로서 응답하고, 공유 부인 버튼(630)을 선택하면, 화면 공유 요구에 부인으로서 응답한다(단계 S112).
다음에, 접속원 단말기(100a)는, 화면 공유 요구가 승인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05). 화면 공유가 승인되었을 경우, 접속원 단말기(100a)는, 공유 모듈(114)에 의해,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화면 공유 개시를 통지한다(단계 S106). 화면 공유 요구가 부인되었을 경우,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한다.
화면 공유 개시의 통지 후, 공유 모듈(114)에 의해 공유 화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여기서는, 도 5에서의 선택과 같이,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접속원 단말기(100a)의 화면을 공유 화면 데이터로서 송신한다(단계 S107).
접속처 단말기(100b)는,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 수신한 공유 화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공유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113). 여기서, 공유한 접속원 단말기(100a)의 화면의 표시는, 접속처 단말기(100b)의 화면 전체에 표시할 필요는 없고, 시스템에 적절한 크기나 위치에 표시 가능한 것으로 한다. 또한, 접속처 단말기(100b) 측의 표시 데이터의 갱신은,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 수신하는 공유 화면 데이터의 간격을 고려하고, 접속처 단말기(100b)의 시스템에 맞춘 갱신 빈도라도 된다.
또한, 화면 공유를 종료하려는 경우에는, 접속처 단말기(100b)는, 접속원 단말기(100a)에 대하여, 화면 공유 종료를 통지하여,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시켜도 된다. 또한, 도중에 접속처 단말기(100b)의 화면을 접속원 단말기(100a)와 공유하도록 전환할 필요로 되었을 경우에는, 접속원 단말기(100a)에 대하여, 전환을 행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고, 공유 화면 데이터의 송신원(送信元)을 접속처 단말기(100b)로 해도 된다.
접속원 단말기(100a)는, 공유 화면 데이터의 송신 후, 화면 공유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08). 종료하는 경우에는, 화면 공유를 종료하는 것을, 접속처 단말기(100b)에 통지하고, 화면 공유를 종료한다(단계 S109).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6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단계 S106으로부터 단계 S108까지의 일련의 처리 중에서,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 접속처 단말기(100b)에 송신하는 공유 화면 데이터의 간격은, 단말기 간의 통신 속도를 고려하고, 접속원 단말기(100a)와 접속처 단말기(100b)의 스펙을 고려해도 된다. 또한, 도중에 접속처 단말기(100b)의 화면을 접속원 단말기(100a)와 공유하도록 전환할 필요로 되었을 경우에는,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전환을 행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고, 접속처 단말기(100b)로부터 송신된 공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전환해도 된다.
도 4는, 접속원 단말기(100a)에 접속처 단말기(100b)의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 공유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3과의 처리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처음에, 접속원 단말기(100a)는, 검지 모듈(111)에 의해,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 검지를 행한다(단계 S121). 여기서, 접속처 단말기를 직접 입력해도 되고,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단말기를 리스트 업하여, 접속처 단말기 후보로서 선택시켜도 된다.
단계 S01에서, 접속처로서 지정한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없었던 경우(단계 S121에서 No의 플로우로 진행된 경우)에는,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에러 화면을 접속원 단말기(100a)에 표시해도 된다.
도 7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단말기를 리스트 업 한 후에, 화면 공유를 행하는 접속처 단말기를 선택하게 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여기서는, 접속원 단말기(100a)가 화면 공유를 행하는 상대편으로서, 선택란(710)에서 단말기(100b)를 선택하고 있다. 또한, 선택지(720)에서, 접속처 단말기(100b)로부터의 화면을 공유 화면 데이터로서 수신하는 것을 선택하고 있다. 여기서는,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단말기만이 선택지로서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유 의뢰 버튼(730)을 선택한 경우, 다음의 단계 S122로 진행된다. 캔슬 버튼(740)을 선택한 경우,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해도 되고, 재차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단말기를 리스트 업 해도 된다.
다음에, 접속원 단말기(100a)는, 인증 모듈(112)에 의해, 인증 처리를 행한다(단계 S122). 인증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증 처리를 행한 후,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23). 인증이 성공한 경우, 직접 접속 모듈(113)에 의해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P2P의 직접 접속을 행하고, 화면 공유 요구를 행한다(단계 S124). 이하의 접속원 단말기(100a)와 접속처 단말기(100b) 간의 접속은, 모두 직접 접속으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인증이 실패한 경우,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한다.
접속처 단말기(100b)는,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의 화면 공유 요구를 받아, 화면 공유를 승인하는지의 여부 확인을 행한다(단계 S131). 도 8은, 접속처 단말기(100b)에 표시하는 화면 공유 의뢰 화면의 일례이다. 메시지(810)로서, 단말기(100a)로부터화면 공유 의뢰가 있었던 것과, 화면 공유를 승인한 경우, 단말기(100b)의 화면을 단말기(100a)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접속처 단말기(100b)는, 공유 승인 버튼(820)을 선택하면, 화면 공유 요구에 승인으로서 응답하고, 공유 부인 버튼(830)을 선택하면, 화면 공유 요구에 부인으로서 응답한다(단계 S132).
다음에, 접속원 단말기(100a)는, 화면 공유 요구가 승인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25). 화면 공유가 승인되었을 경우, 접속원 단말기(100a)는, 공유 모듈(114)에 의해,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화면 공유 개시를 통지한다(단계 S126). 화면 공유 요구가 부인되었을 경우,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한다.
화면 공유 개시의 통지 후, 공유 모듈(114)에 의해 공유 화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여기서는, 도 7에서의 선택과 같이, 접속원 단말기(100a)에 대하여, 접속처 단말기(100b)의 화면을 공유 화면 데이터로서 송신한다(단계 S133).
접속원 단말기(100a)는, 접속처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한 공유 화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공유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127). 여기서, 공유한 접속처 단말기(100b)의 화면의 표시는, 접속원 단말기(100a)의 화면 전체에 표시할 필요는 없고, 시스템에 적절한 크기나 위치에 표시 가능한 것으로 한다. 또한, 접속원 단말기(100a) 측의 표시 데이터의 갱신은, 접속처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하는 공유 화면 데이터의 간격을 고려하여, 접속원 단말기(100a)의 시스템에 맞춘 갱신 빈도라도 된다.
또한, 화면 공유를 종료하려는 경우에는, 접속처 단말기(100b)는, 접속원 단말기(100a)에 대하여, 화면 공유 종료를 통지하여, 화면 공유 처리를 종료시켜도 된다. 또한, 도중에 접속원 단말기(100a)의 화면을 접속처 단말기(100b)와 공유하도록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접속원 단말기(100a)에 대하여, 전환을 행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고,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 공유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접속처 단말기(100b)에 표시해도 된다.
접속원 단말기(100a)는, 공유 화면의 표시 후, 화면 공유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28). 종료하는 경우에는, 화면 공유를 종료하는 것을, 접속처 단말기(100b)에 통지하고, 화면 공유를 종료한다(단계 S129). 종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 S126으로 돌아와 처리를 계속한다.
단계 S126으로부터 단계 S128까지의 일련의 처리 중에서, 접속처 단말기(100b)로부터 접속원 단말기(100a)에 송신하는 공유 화면 데이터의 간격은, 단말기 간의 통신 속도를 고려하여, 접속원 단말기(100a)와 접속처 단말기(100b)의 스펙을 고려해도 된다. 또한, 도중에 접속원 단말기(100a)의 화면을 접속처 단말기(100b)와 공유하도록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접속원 단말기(100a)로부터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전환을 행하는 취지의 통지를 행하고, 접속처 단말기(100b)에 대하여 공유 화면 데이터를 송신하고, 접속처 단말기(100b)에 표시하도록 전환해도 된다.
[인증 처리]
도 11은, 단말기(100)와 서버(200)에 의한 인증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전술한 각각의 장치의 모듈이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본 처리에 병행하여 설명한다. 접속원 단말기(100a), 접속처 단말기(100b)는, 도 2 및 본 인증 처리의 단말기(100)와 동등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100)와 서버(200)는, 공중회선망(300)과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처음에, 단말기(100)는, 서버(200)에 대하여 인증 요구를 행한다(단계 S151).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의 인증 요구를 받아, 인증 응답 모듈(211)에 의해, 이하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먼저, 단말기(100)가 버리기에 인증이 끝난 상태인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201). 단말기(100)가 이미 인증이 끝난 상태였던 경우에는, 단계 S205로 진행되고, 인증이 끝난 상태가 아니었던 경우에는, 단계 S202로 진행된다.
여기서 인증이 끝난 상태인지 여부의 확인을 행할 때, 화면 공유 시스템에 서의 인증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동일 네트워크 상에 어느 네트워크 프린터 등의 기기나 동일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에 액세스했을 때의 인증 처리를, 동등한 인증으로서 간주해도 된다.
단말기(100)가 인증이 끝난 상태가 아니었던 경우, 서버(200)는 단말기(100)에 대하여, 인증용의 폼을 송신한다(단계 S202). 인증용의 폼이란, 예를 들면, User ID(사용자 ID)와 Password(패스워드)의 요구이다. 여기서의 인증 방법은, 일반적인 인증 방법이라도 되고, 사용자 ID와 패스워드, 원 타임 패스워드나 원 타임 URL, 클라이언트 증명서에 의한 인증, 생체 정보 인식 등, 시스템에 적절한 인증 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단말기(100)는, 인증용 폼을 수취하고, 그에 대응한 인증 데이터를 서버(200)에 송신한다(단계 S152). 도 14는, 단말기(100)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입력란(1410)에 사용자 ID를 입력하고, 입력란(1420)에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이 입력를 기초로, 인증 데이터를 작성한다. 여기서는, ID와 패스워드의 입력으로 하였으나, 원 타임 패스워드나 원 타임 URL, 클라이언트 증명서, 생체 정보를 이용할 때는, 그에 따른 인증 데이터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서버(200)는, 인증 데이터의 조회를 행한다(단계 S203). 서버(200)의 기억부(230) 등에 유지하고 있는 인증용의 데이터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가 일치한지의 여부를 조회한다. 여기서의 데이터 조회 방법은,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인증 데이터의 조회에 실패한 경우에는, 인증 실패의 결과를, 단말기(100)에 대하여 통지한다(단계 S204). 인증 데이터의 조회에 성공한 경우에는, 인증 성공의 결과를, 단말기(100)에 대하여 통지한다(단계 S205).
단말기(100)에서는, 인증 결과를 입출력부(140)에 출력한다(단계 S153). 도 15는,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단말기(100)에 표시하는 다이얼로그 화면의 일례이다. OK 버튼(1510)을 선택하면, 인증 성공으로서 인증 처리를 종료한다. 도 16은,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단말기(100)에 표시하는 다이얼로그 화면의 일례이다. 도 16에서 사용자가 재시행 버튼(1610)을 선택한 경우에는, 한번 더, 도 14를 표시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시켜도 된다. 사용자가 종료 버튼(1620)을 선택한 경우에는, 인증 실패로서 인증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는, 인증 결과의 출력이 다이얼로그 표시의 예를 나타냈으나, 음성 출력 등으로 인증 결과를 통지해도 된다.
전술한 수단, 기능은, 컴퓨터(CPU, 정보 처리 장치, 각종 단말기를 포함함)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CD(CD―ROM 등), DVD(DVD―ROM, DVD―RAM 등), 컴팩트 메모리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 경우, 컴퓨터는 그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 내부 기억 장치 또는 외부 기억 장치에 전송하고 기억하여 실행한다. 또한, 그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자기(磁氣)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기록 매체)에 미리 기록하여 두고, 그 기억 장치로부터 통신 회선을 통하여 컴퓨터에 제공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이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열거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단말기, 200; 서버, 300; 공중회선망

Claims (5)

  1.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에 한정되어 화면 공유를 행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
    상기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 수단;
    상기 인증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직접 접속을 행하는 직접 접속 수단; 및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상기 직접 접속에 의해 화면 공유를 행하는 공유 수단;
    을 포함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인증 수단은,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함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상기 서버에 문의함으로써 실행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수단은, 자신(自身) 또는 상기 접속처 단말기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화면 데이터를 순차 송수신하는, 화면 공유 시스템.
  4.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에 한정되어 화면 공유를 행하는 화면 공유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직접 접속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상기 직접 접속에 의해 화면 공유를 행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화면 공유 방법.
  5.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기에 한정되어 화면 공유를 행하는 단말기에,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처 단말기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것으로 검지된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의 화면 공유의 인증을 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직접 접속을 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처 단말기와 상기 직접 접속에 의해 화면 공유를 행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KR1020150163053A 2015-09-30 2015-11-20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화면 공유 프로그램 KR20170038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2621 2015-09-30
JP2015192621A JP6186411B2 (ja) 2015-09-30 2015-09-30 画面共有システム、画面共有方法、および画面共有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614A true KR20170038614A (ko) 2017-04-07

Family

ID=5840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053A KR20170038614A (ko) 2015-09-30 2015-11-20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화면 공유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93833A1 (ko)
JP (1) JP6186411B2 (ko)
KR (1) KR20170038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6145B2 (en) 2018-10-11 2021-04-20 pplink, Inc. Method for recording a shared screen based on actions and apparatus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1890B1 (en) * 2017-05-16 2021-03-16 Parsec Cloud, Inc. Low-latency, peer-to-peer streaming video
JP7035840B2 (ja) * 2018-06-19 2022-03-1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遠隔共有方法
CN111131357B (zh) * 2018-10-31 2023-01-13 钉钉控股(开曼)有限公司 投屏处理方法、装置和设备
CN111026484A (zh) * 2019-12-02 2020-04-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第一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49979B (zh) * 2019-12-02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04802A (zh) * 2020-02-19 2020-07-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知处理系统、方法以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137A (ja) 2000-03-13 2001-09-2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インターネット上で利用可能な知識共有システムならびに同システムにおける知識共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8178A (ja) * 2004-05-12 2005-11-24 Dream Bank Inc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2006301777A (ja) * 2005-04-18 2006-11-02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06314138A (ja) * 2006-08-09 2006-11-16 Hitachi Software Eng Co Ltd 無線lan端末の無線lanへの参加制御方法及び無線lan基地局装置並びに無線lan端末装置
JP2009116630A (ja) * 2007-11-07 2009-05-28 Sony Corp ウェブ画面の共有システム、その共有用端末機およびその共有プログラム
JPWO2009081501A1 (ja) * 2007-12-26 2011-05-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端末管理サーバ、モード変更方法、端末管理方法、モード変更プログラム、端末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303357B2 (en) * 2010-11-19 2019-05-28 TIVO SOLUTIONS lNC. Flick to send or display content
KR101732909B1 (ko) * 2010-11-25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촬영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U2011202838B2 (en) * 2010-12-21 2014-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JP5972825B2 (ja) * 2013-04-24 2016-08-17 株式会社オプティム 画面共有端末、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端末用プログラム
WO2014201876A1 (zh) * 2013-06-17 2014-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屏幕分享方法和相关设备及通信系统
JP2015012512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379711B1 (ko) * 2013-11-14 2014-04-01 (주)지란지교소프트 전화번호를 이용한 파일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137A (ja) 2000-03-13 2001-09-2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West Corp インターネット上で利用可能な知識共有システムならびに同システムにおける知識共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6145B2 (en) 2018-10-11 2021-04-20 pplink, Inc. Method for recording a shared screen based on actions and apparatu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68537A (ja) 2017-04-06
JP6186411B2 (ja) 2017-08-23
US20170093833A1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8614A (ko) 화면 공유 시스템, 화면 공유 방법, 및 화면 공유 프로그램
US1032131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51029B1 (ko) 자동 서비스 발견 및 접속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007158A1 (zh) 一种网络接入方法及装置
US11765164B2 (en) Server-based setup for connecting a device to a local area network
JP2010068015A (ja) 通信方法、通信装置、携帯電話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140019845A (ko)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설정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076250A (ja) 画面共有サーバ、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サーバ用プログラム
US9658817B2 (en) Screen sharing terminal, method of screen sharing, and program for screen sharing terminal
US10116449B2 (en) Generation device, terminal device, gener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US8656028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y polling
US9537832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stablishing link
KR102373548B1 (ko)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1500178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169642B2 (ja) 画面共有サーバ、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プログラム
JP2011044893A (ja) 通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基地局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8634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5676359B2 (ja) 端末を設定する設定サーバ、設定共有方法及び設定共有プログラム
WO2017042983A1 (ja) 画面共有装置、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30123149A (ko) 데이터 망 접속 인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4215778A (ja) 画面共有端末、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端末用プログラム
JP616954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US201901826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2024019592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irst and second setting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JP5727919B2 (ja) 設定方法、設定プログラム及び電化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