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287A -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 Google Patents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287A
KR20170038287A KR1020150137435A KR20150137435A KR20170038287A KR 20170038287 A KR20170038287 A KR 20170038287A KR 1020150137435 A KR1020150137435 A KR 1020150137435A KR 20150137435 A KR20150137435 A KR 20150137435A KR 20170038287 A KR20170038287 A KR 20170038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wrist
hand
fixing pa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7294B1 (ko
Inventor
김기숙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7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2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판으로 구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을 도포하여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는 상면부와, 상기 내부의 공간에 마련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내장부와, 상기 내부의 공간의 일측가장자리에 엄지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분되는 제 1고정부와, 상기 내부의 공간의 타측가장자리에 새끼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분되는 제 2고정부와, 상기 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환자의 손목을 고정할 수 있는 손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A Glove Type Restraint for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은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자해방지와 손의 욕창방지 및 향후 관절이 굳어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는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 관한 것이다.
치매란 주로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하여 일상 생활을 제대로 수해하지 못하는 임상증후군을 말한다. 치매에는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노인성 치매, 중풍 등으로 인해 생기는 혈관성 치매가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한 치매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치매는 특히 80세 이사의 노인에게서 발병률이 높으므로,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치매환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치매환자는 의식 자체는 있지만, 인지 능력이 떨어지고 성격이 공격적이거나 폭력적으로 변화나는 경향을 보이므로, 이에 따라 자해를 하거나 타인에게 공격적인 돌출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돌출행동은 사고의 위험성을 높이고,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나 보호자의 경제적,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돌출행동을 조절하기 힘든 환자의 경우, 종래에는 환자의 손목이나 발목을 침구나 보호복 등에 고정시켜 행동을 제한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장갑형 억제대는 손을 벙어리 장갑의 형태로 감싸서 손의 움직임을 제한함과 동시에 팔목을 침대 고정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손의 습도와 온도 증가 및 마찰의 증가로 피부손상 발생에 용이한 환경을 조성하여 환자의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어렵고 억제대를 제거하기 위한 환자의 적극적 행동으로 손목 피부 및 관절의 손상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그리고, 환자가 억제대를 착용한 채 주먹을 움켜질 수 있어, 우발적 발관이나 사고 등이 발생되어, 합병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환자의 손이 펴진채로 고정되어 뇌손상 등의 뇌질환과 동반된 경우 관절 및 근육의 강직, 구축이 동반되어 치료후 다시 손가락 구부림의 재활훈련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31387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는 환자의 손의 이상유무를 의료인이 쉽게 확인 할 수 있고, 치료종료 후 급성기 환자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재활훈련을 최소화하는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는, 판으로 구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면을 도포하여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는 상면부와 ,상기 내부의 공간에 마련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내장부와, 상기 내부의 공간의 일측가장자리에 엄지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분되는 제 1고정부와, 상기 내부의 공간의 타측가장자리에 새끼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분되는 제 2고정부와, 상기 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환자의 손목을 고정할 수 있는 손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다른 실시예는, 면재질로 형성되어 손의 바닥을 보호하는 바닥부와,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는 상면부와, 상기 바닥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손가락 끝부분을 보호하는 단부와, 상기 바닥부의 아래에 마련되어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내장부와, 상기 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환자의 손목을 고정할 수 있는 손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은 상기 내장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면부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목고정부에는, 고리가 더 마련되어 급박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손목형 억제대와 같이 환자의 팔의 움직임을 일정부분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장부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와 상기 끝단부에는 통기공이 여러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환자의 손이 장갑내부에서 회전할 수 없으면서, 손가락 등은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어 향후 새로운 재활치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부를 통하여 환자의 손의 상태를 의료인이 상시 확인할 수 있어 억제대 적용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즉시 처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이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제 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으로 구성되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면을 도포하여 내부에 공간(22)이 마련되고,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는 상면부(20)와, 상기 내부의 공간(22)에 마련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내장부(30)와, 상기 내부의 공간(22)의 일측가장자리에 엄지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분되는 제 1고정부(40)와, 상기 내부의 공간(22)의 타측가장자리에 새끼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분되는 제 2고정부(50)와, 상기 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환자의 손목을 고정할 수 있는 손목고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서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바닥부(1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환자의 손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부(10)의 상방에는 상면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상면부(20)는, 상기 바닥부(10)의 상면을 도포하여 내부에 공간(22)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20)는 통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망상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인 장갑 내부에 환자의 손이 유입되어 있을 때, 외부에서 의료인 등이 환자의 손의 상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손으로 외부의 공기가 쉽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의 공간(22)에는 내장부(30)가 마련된다. 상기 내장부(30)는, 본 발명인 장갑 내부로 환자의 손이 유입되었을 때, 환자의 손허리뼈, 첫마디뼈, 중간마디뼈, 끝마디뼈를 잇는 관절각도의 정상범위를 유지하므로써 관절구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치료 후 재활훈련의 최소화 등 치료기간 및 비용의 감소 역할을 한다.
상기 내장부(3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손가락 훈련을 할 때, 완전히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내장부(30)에는 통기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환자의 손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수분 등이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장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바닥부분이 고정된 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손가락이 상기 내장부(30)를 파지하면서 완전히 구부러질 수 있으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는 제 1고정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부(40)는, 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환자의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하여 환자의 손이 장갑의 내부의 공간(22)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부의 공간(22)에서 상기 환자의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서 행해지는 손가락훈련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의 공간(22)에는 제 2고정부(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고정부(50)는, 내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환자의 손가락 중 새끼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 2고정부(50)와 더불어 환자의 손이 장갑의 내부의 공간(22)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1고정부(40)과 제 2고정부(50)가 각각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정상관절 각도를 유지하고 손의 움켜쥠을 방지하여 우발적인 발관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입구에는 손목고정부(60)가 마련된다. 상기 손목고정부(60)는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 환자의 손목을 고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목고정부(60)는 환자의 손목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목고정부(60)는 착용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목고정부(60)에는, 고리(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리(70)는 위급상황 또는 처치시 단기간 환자용 침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손이 무분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제 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재질로 형성되어 손의 바닥을 보호하는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의 상방에 마련되어,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는 상면부(120)와, 상기 바닥부(10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손가락 끝부분을 보호하는 단부(124)와, 상기 바닥부(100)의 아래에 마련되어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내장부(130)와, 상기 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환자의 손목을 고정할 수 있는 손목고정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은 상기 내장부(130)의 아래에 위치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내장부(13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서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재질로 형성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00)에는 통기공(102)이 여러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손바닥으로 공기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닥부(100)의 상방에는 상면부(120)가 마련된다. 상기 상면부(120)는, 상기 바닥부(100)의 상면을 도포하여 내부에 공간(122)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120)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망상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인 장갑 내부에 환자의 손이 유입되어 있을 때, 외부에서 의료인 등이 환자의 손의 상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손으로 외부의 공기가 쉽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는 단부(124)가 마련된다. 상기 단부(124)는, 바닥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환자의 손가락 끝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상면부와 달리 바닥부와 같은 강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환자의 손가락이 자유롭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환자의 손가락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부(124)에도 통기공(125)이 여러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손바닥으로 공기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에는 내장부(130)가 마련된다. 상기 내장부(130)는, 본 발명인 장갑 내부로 환자의 손이 유입되었을 때, 환자의 손허리뼈, 첫마디뼈, 중간마디뼈, 끝마디뼈를 잇는 관절 각도의 정상범위를 유지하므로써 관절 구축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치료 후 재활훈련의 최소화 등 치료기간 및 비용의 감소 역할을 한다.
상기 내장부(13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손가락 훈련을 할 때, 완전히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내장부(130)에는 통기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환자의 손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수분 등이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입구에는 손목고정부(160)가 마련된다. 상기 손목고정부(160)는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 환자의 손목을 고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목고정부(160)는 환자의 손목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목고정부(60)는 착용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목고정부(160)에는, 고리(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리(미도시)는 위급상황 또는 처치시 단기간 환자용 침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손이 무분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환자의 손을 본 발명인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에 인입하면서, 환자의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을 제 1고정부(40)에 삽입하고, 새끼손가락을 제 2고정부(50)에 삽입한다. 그리고, 고리(70)를 이용하여 필요시 침대의 가장자리에 고정한다. 그러면, 억제가 필요한 손이 고정된다.
이때, 환자는 무의식 중에 이동하려고 해도, 손을 이동시킬 수 없으며, 손을 장갑 내부에서 회전시키려고 해도 엄지손가락이 제 1고정부(40)에, 새끼손가락이 제 2고정부(50)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할 수 없다.
또한, 환자의 나머지 손가락은 내장재(30)를 잡고 있어, 손가락을 마음대로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있다. 이때, 의료인은 환자의 손이 안전한지 등을 상면부의 통기공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의 제 2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환자의 손을 장갑에 인입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은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 삽입하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타측으로 인입할 수 있다.
내장부(130)를 중심으로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들이 분리되어 있어, 환자가 자유롭게 손을 회전할 수 없게 되며, 특히, 환자의 손가락 끝부분이 단부(124)에 삽입되어, 손가락 끝부분의 유동이 차단하여, 환자의 우발적 자가발관(self-yube extubation)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닥부 20: 상면부
22: 공간 30: 내장부
40: 제 1고정부 50: 제 2고정부
60: 손목고정부 70: 고리부
100: 바닥부 120: 상면부
122: 공간 130: 내장부
160: 손목고정부

Claims (6)

  1. 판으로 구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면을 도포하여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는 상면부;
    상기 내부의 공간에 마련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내장부;
    상기 내부의 공간의 일측가장자리에 엄지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분되는 제 1고정부;
    상기 내부의 공간의 타측가장자리에 새끼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분되는 제 2고정부; 및
    상기 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환자의 손목을 고정할 수 있는 손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2. 면재질로 형성되어 손의 바닥을 보호하는 바닥부;
    일단에 환자의 손이 유출입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는 상면부;
    상기 바닥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손가락 끝부분을 보호하는 단부;
    상기 바닥부의 아래에 마련되어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내장부;
    상기 입구의 폭을 조절하여 환자의 손목을 고정할 수 있는 손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은 상기 내장부의 아래에 위치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고정부에는,
    고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부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끝단부에는 통기공이 여러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KR1020150137435A 2015-09-30 2015-09-30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KR10179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35A KR101797294B1 (ko) 2015-09-30 2015-09-30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435A KR101797294B1 (ko) 2015-09-30 2015-09-30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287A true KR20170038287A (ko) 2017-04-07
KR101797294B1 KR101797294B1 (ko) 2017-11-13

Family

ID=5858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435A KR101797294B1 (ko) 2015-09-30 2015-09-30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364A (ko) * 2016-12-07 2018-06-18 안명수 손 억제대
KR102259784B1 (ko) * 2020-10-30 2021-06-02 주식회사 알츠로우머 결박환자용 안전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001B1 (ko) 2018-10-05 2020-06-25 정헌 폭력 예방 시스템
KR102257435B1 (ko) 2019-06-03 2021-05-27 한한수 관절 굽힘 제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873B1 (ko) 2012-11-05 2013-10-01 이승민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치매환자용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209A (ja) 1999-08-30 2001-03-21 Keiko Matsuda 拘束手袋
JP5853278B2 (ja) * 2011-02-08 2016-02-09 学校法人 久留米大学 手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873B1 (ko) 2012-11-05 2013-10-01 이승민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치매환자용 장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364A (ko) * 2016-12-07 2018-06-18 안명수 손 억제대
KR102259784B1 (ko) * 2020-10-30 2021-06-02 주식회사 알츠로우머 결박환자용 안전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294B1 (ko) 201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94B1 (ko)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Fisher et al. Direct and collateral effects of restraints and restraint fading
KR101631706B1 (ko) 환자안전장갑
JP2021508263A (ja) 保護・運動用手拘束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200474945Y1 (ko) 영아 손싸개 대용 다기능 실리콘 공
JP2006052492A (ja) 医療用拘束手袋
Williams et al. Postburn upper extremity occupational therapy
JP5853278B2 (ja) 手袋
JP3233169U (ja) 衛生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JP3058102U (ja) 掻痒手袋
JP3595388B2 (ja) 掻きむしり防止用手袋及びこれを用いた寝間着
CN205885610U (zh) 一种上肢约束护具
KR102257435B1 (ko) 관절 굽힘 제한 장치
Luiselli Protective equipment
KR200293568Y1 (ko) 피부질환 환자용 의료보조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communication toolkit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CN202036390U (zh) 网眼手套保护性约束带
KR102363066B1 (ko)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
KR20210117818A (ko) 사랑의 장갑
TWM653332U (zh) 約束手套結構改良
JP2010063563A (ja) 握りクッション
Subbarao et al.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handbook of first aid and emergency care
TW201622665A (zh) 約束手套
CN203884761U (zh) 多功能防护手套
Schmidt et al. First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