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066B1 -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3066B1 KR102363066B1 KR1020210049467A KR20210049467A KR102363066B1 KR 102363066 B1 KR102363066 B1 KR 102363066B1 KR 1020210049467 A KR1020210049467 A KR 1020210049467A KR 20210049467 A KR20210049467 A KR 20210049467A KR 102363066 B1 KR102363066 B1 KR 1023630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upper arm
- receiving part
- fixing
- add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 A61F5/3723—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for the 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 A61F5/3723—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for the arms
- A61F5/373—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for the arm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arm at the elb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입원중인 치매 환자의 상지를 효과적으로 고정함에 따라 낙상 또는 상처 등을 방지하여 상기 환자를 보호하고 보호자의 안전도 보장할 수 있는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치매와 섬망 등 무의식적인 상태의 환자가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치매 및 섬망 등의 환자는 의식 자체는 있지만 정상적이지 못하여, 인지 능력이 떨어지므로, 성격이 공격적이거나 폭력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고, 무의식적으로 자해를 하거나 타인에게 공격적인 돌출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낙상의 위험성이 크고, 치료 중인 환자인 경우는 몸에 삽입 혹은 고정된 관이나 튜브를 자가로 제거하여 치료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치료와 안전을 위하여 그리고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수단으로, 비정상적인 의식 상태의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구속장치(억제대,restraint)가 사용되고 있다. 억제대는 낙상위험군 또는 발작 증세 환자는 물론 자해 행동을 보이거나 치료 목적의 관이나 튜브를 임의로 제거하려는 환자에게 매우 제한적으로 적용되는데, 억제대 사용은 임상적 정당성이 있어야 하고, 적용하기 전에 환자의 가족에게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은 후, 의사의 처방에 의해 시행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억제대는 장갑과 끈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장갑을 환자의 팔에 씌운 후 끈으로 꽁꽁 묶에 손이 빠지지 않게 하고 다시 끈을 침대의 양 기둥에 단단히 묶어 고정함으로써 환자의 사지를 완전히 결박하는 형태로, 환자의 인권에 대한 심각한 위해는 물론, 외관상 좋지 않아 환자의 가족이나 간병인에게 불쾌심을 유발할 수 있고, 단단히 묶인 상태에서 환자의 저항과 큰 움직임은 묶인 부위의 상처나 이차 손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시 즉시 제거가 불가능하여 구조에 중대한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최근에 있었던 요양병원 화재사고에서 긴급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신체가 결박되어 있고 화재 연기로 시야가 좋지 않아, 침대에서 빠른 시간에 구출하지 못해 다수의 인명피해를 낳은 사례도 있다. 따라서 억제대가 필요한 환자에게 그 목적을 이루면서 환자와 보호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환자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하지 않으며 긴급 상황 시 환자들을 신속히 구조할 수 있는 억제대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는 향후 늘어날 고령화 시대를 감안한다면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0382292호는 치매환자용 보호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환자의 사지가 완전히 결박이 되어 있어 환자의 인권은 물론 외관상 보호자와 간병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원중인 치매 또는 섬망 환자의 상지를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억제대 고유의 목적을 이루고낙상이나 상처 등을 방지하여 환자와 보호자의 안전도 보장할 수 있으면서 환자의 인권 침해를 최소화하고 응급 상황에 끈을 일일이 풀어야하여 구조가 늦어지는 상황을 막기 위하여 즉시 제거가 가능한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개구부가 형성되어 환자의 상완을 수용하는 C자 형의 단면을 갖는 상완수용부, 상기 상완수용부의 개구부 대향면으로부터 측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돌출-연장되며 상기 상완수용부가 환자의 흉곽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오목한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완수용부의 이동 및 환자의 상완의 내전(內轉)을 제한하는 상완 내전 제한부, 환자의 팔꿈치를 수용하여 상기 팔꿈치의 굽힘 각도를 제한하는 상기 상완 내전 제한부 하단에 형성된 팔꿈치수용부, 및 상기 상완 내전 제한부 및 팔꿈치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 결속밴드 체결 고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상완고정구; 및
상기 한 쌍의 상완고정구를 서로 연결하여 환자의 상체에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밴드를 포함하는, 착용 시 환자의 양손이 서로 닿지 않고 손으로부터 입 또는 하체의 접근을 억제하는,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는 치매나 섬망 환자의 상지를 효과적으로 고정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제한함에 따라 치료를 위한 삽입관이나 튜브의 부적절한 제거를 막아주며, 낙상을 방지하고 및 움직임에 따른 상처 예방의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구속 장치와 달리 일정 범위의 주관절과 견관절의 능동적인 운동 범위를 허용하고, 수부 및 수근관절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관절의 강직을 막아주게 된다. 이러한 고유의 구속의 목적을 이루고, 강직과 같은 합병증 발생이 없는 것 이외에도 상지가 침대에 결박당하는 환자의 인권과 그런 환자를 돌보는 가족과 간병인에게 안정감을 주고 별도로 침대에 결박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와 같은 유사 시 신속하게 환자를 대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제거가 필요한 응급 상황인 경우에는 가위나 칼로 공기를 빼는 간단한 과정으로 제거가 빠르고 용이하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의 상완고정구(10)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를 직접 착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체결을 위해 다른 고리 형태가 부가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를 직접 착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체결을 위해 다른 고리 형태가 부가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용어의 정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지(upper limb)"는 어깨에서 손에 이르는 부분으로 상지대(견대), 상완(上腕), 전완(前腕), 손의 4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매(dementia)"는 주로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하여 일상 생활을 제대로 수해하지 못하는 임상증후군을 말한다. 치매에는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노인성 치매, 중풍 등으로 인해 생기는 혈관성 치매가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한 치매가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섬망(delirium)"은 인지기능 저하가 동반되는 의식의 장애로,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히 일어나며 기분, 지각, 행동장애가 흔히 나타나며 하루에도 증상의 정도가 변화하는 변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개구부가 형성되어 환자의 상완을 수용하는 C자 형의 단면을 갖는 상완수용부, 상기 상완수용부의 개구부 대향면으로부터 측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돌출-연장되며 상기 상완수용부가 환자의 흉곽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오목한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완수용부의 이동 및 환자의 상완의 내전(內轉)을 제한하는 상완 내전 제한부, 환자의 팔꿈치를 수용하여 상기 팔꿈치의 굽힘 각도를 제한하는 상기 상완 내전 제한부 하단에 형성된 팔꿈치수용부, 및 상기 상완 내전 제한부 및 팔꿈치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 결속밴드 체결 고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상완고정구; 및
상기 한 쌍의 상완고정구를 서로 연결하여 환자의 상체에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밴드를 포함하는, 착용 시 환자의 양손이 서로 닿지 않고 손으로부터 입 또는 하체의 접근을 억제하는,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가 제공된다.
상기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상완수용부의 상완접촉 내면에는 환자의 상완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기는 선형일 수 있다.
상기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상완 내전 제한부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40 내지 60°일 수 있고 상기 팔꿈치수용부는 팔꿈치의 굽힘 각도를 30 내지 60°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밴드는 환자의 어깨에 X자 형상으로 결속될 수 있고 상기 결속밴드의 체결은 매듭, 버튼, 버클 또는 벨크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에 있어서, 치매, 섬망 또는 다양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상완고정구는 공기주입형 튜브, 플라스틱, 우레탄폼 또는 스티로폼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균일한 부호는 균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자용 억제대는 치매나 섬망 환자가 갑작스럽게 자해와 같은 위험한 행동을 하거나, 치료 중인 경우 환부나 몸에 삽입 혹은 부착된 각종 의료용 장치를 환자 임의로 제거하거나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며, 침상으로 부터 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구속수단이다. 기존의 상지 억제대는 대부분 장갑 형태에 끈이나 띠가 달려 있어, 환자의 손을 장갑에 넣은 후 손목에 끈을 단단히 고정하여 장갑으로 부터 손이 빠지지 않게 하고, 다시 끈을 연장하여 환자의 침상에 있는 철제 틀에 고정시켜 환자의 손과 신체를 구속함이 주 목적이다. 그러나 상기 끈이나 띠를 이용한 억제대의 경우, 환자 손목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방해할 수 있고, 환자가 심하게 요동하는 경우 억제대를 착용한 부위에 이차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침상에 결박된 형태는 환자의 인권 침해는 물론 보는 이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요양병원 혹은 시설에서 간병 인력의 부족으로 장시간 환자를 묶어두게 되거나, 무분별한 신체 억제대의 사용으로, 피부 박탈이나 욕창 등 환자의 결박된 부위의 피부에 심각한 이차 손상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었고, 억제대 착용 후 환자의 손이 강직되어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경우나, 강직된 사지가 체위 변경 과정에 골절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구속이 필요한 환자는 대부분 적극적인 체위 변경으로 욕창 방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양 상지가 고정되어 몸을 옆으로 돌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욕창 발생은 물론 용변을 처리하는데도 어려움이 커서 위생 관리에 큰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지가 결박된 환자의 인권침해에 대한 논란도 유발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억제대는 긴급상황 시 환자를 빠르게 침상으로 부터 분리시킬 수 없어 인명 피해의 큰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예의 노력한 결과, 상지 억제의 기본적인 목적을 이루면서, 착용이 용이하고, 환자의 상지를 안전하게 고정함에 따라 이차 손상 발생이 없고, 사지 결박과 같은 환자의 인권 침해를 유발할만한 외관을 지양하며, 사고 발생 시 침상으로 부터 빠른 구조가 가능하며, 침상에서 체위 변경이 용이하고 안전하여 치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를 개발하였다. 이하 도시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의 상완고정구(10)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완고정구(1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완 부위를 원형으로 둘러싸서 수용하는 상완 수용부(70)가 구성되어 있고, 상완수용부(70)로부터 내측하방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겨드랑이와 흉곽의 측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완내전제한부(50)는 상완의 내전을 제한하고 상완 수용부(70)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완 중 팔꿈치를 수용하여 팔꿈치의 움직임(굴곡)을 제한하는 팔꿈치수용부(30)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팔꿈치수용부(30)는 둥근 형태로 제조되어 환자의 팔꿈치의 굽힘 각도를 제한하나 후면부는 누워있는 환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둥근 형태가 아닌 평평하게 제조되었다.
도 1은 우측 상완에 착용할 수 있는 상완고정구(10)를 도시하고 있으나 좌측 상완에 착용하는 상완고정구(10)도 이와 동일한 대칭형의 구조로 제조된다. 한쪽의 상완고정구(10)에는 환자가 착용 후 환자의 상체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고정 밴드로 체결할 수 있는 총 8개의 고리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완수용부(70)는 상완을 수용할 수 있게 내부가 비어있는 C자형 구조로 상완을 수용 후 고정 밴드로 체결할 수 있는 상부고리(73) 및 하부고리(미도시)가 구성되어 있고 상완수용부(70) 상부에는 좌, 우측 상완고정구(10)를 어깨를 통해 체결하기 위한 전면고리(71) 및 후면고리(7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완내전제한부(50) 하부에는 좌, 우측 상완고정구(10)를 복부 및 등을 통해 체결하기 위한 전면체결고리(51) 및 후면체결고리(5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8개의 고리의 구조 및 형태는 상완고정구(10)의 측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 2를 통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완수용부(70)의 측면의 상, 하부에 대칭으로 구성된 복수의 상부고리(73) 및 하부고리(74)를 통해 고정 밴드를 연결하여 체결함으로써 수용된 상완의 움직임이 완전히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완수용부(70)의 상부에도 복수의 전면고리(71) 및 후면고리(미도시)에서 반대쪽 상완고정구(10)의 전면고리(71) 및 후면고리(72)를 통해 고정 밴드를 연결하여 체결함으로써 환자의 어깨를 포함하는 상체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상완내전제한부(50)의 하부에 대칭으로 구성된 전면체결고리(51) 및 후면체결고리(52)도 마찬가지로 반대쪽 즉 촤즉 상완고정구(10)의 전면체결고리(51) 및 후면체결고리(52)를 통해 고정 밴드를 연결하여 체결함으로써 환자의 복부 및 등을 포함하는 상체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완고정구(10)의 팔꿈치수용부(30)는 환자가 상완고정구(10)를 착용 시 팔꿈치를 45도 이상 구부러지지 않게 하며, 허용 범위 내에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이차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둥근 모양으로 제조되었다. 일반적으로 팔꿈치의 각도는 160도까지 완전히 구부려지는데, 45도 이상 구부려지면 손이 회음부나 반대편 상지 그리고 환자의 입과 두부에 닿을 수 있다. 그러나 팔꿈치수용부(30)를 둥글게 제조하여 굽힘 각도를 45도 까지만 구부러지게 제한하면 손은 입이나 반대편 상지에 닿을 수 없고 하체로의 접근도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완고정구(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밴드(미도시)를 결합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데 먼저 환자의 어깨를 통해 교차하여 양 상완고정구(10)를 결속하기 위한 전면고리(71) 및 후면고리(72)가 있다. 이는 왼쪽 상완고정구(10)의 전면고리(71)는 오른쪽 상완고정구(10)의 후면고리(72)로 연결되어 양 상완고정구(10)를 착용했을 때 X자 형태로 어깨에 체결된다. 또한 상완내전제한부(50)에는 전면체결고리(51) 및 후면체결고리(52)가 형성되어 있어 복부 및 등쪽에서 양 상완내전제한부(5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팔꿈치수용부(30), 상완내전제한부(50) 및 상완수용부(70)로 구성된 상완고정구(10)는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는 납작한 형태이지만, 공기를 주입하면 부풀어 모양을 갖추게 되는 튜브 형태로, 팔꿈치수용부(30), 상완내전제한부(50) 상완수용부(70)는 각각의 공기 주입구를 가지며 내부에서 분리되어 있다. 상완내전제한부(50)는 상완의 내전에, 팔꿈치수용부(30)는 팔꿈치 관절의 굴곡에 더 강한 버팀을 주기 위함이다. 하지만, 더 큰 강도로 환자의 구속이 필요한 경우에는 폴리머 소재의 튜브형이 아닌플라스틱, 우레탄 폼, 또는 스티로폼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는 상완내전제한부(50)는 상완의 내전에, 팔꿈치수용부(30)는 팔꿈치 관절의 굴곡에 더 강한 버팀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는 좌우가 구분되고 대칭형인 두개의 상완고정구(10)로 이루어진 형태로, 각 상완에 착용 후 환자의 어깨를 통해 서로 교차하여 결속시키는 복수의 결속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치매나 섬망 환자를 앉힌 상태에서 양 어깨에 가방을 메는 것처럼 결속 밴드를 체결하고, 양쪽 상완을 상완고정구(10)의 상완수용부(70)에 수용하고, 팔꿈치수용부(30), 상완내전제한부(50) 및 상완수용부(70)에 각각 공기를 주입하여 상완을 고정시키고, 복수의 결속밴드를 이용하여 각 상완고정구(10)를 앞쪽에서 서로 연결하여 체결함으로써,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를 착용함에 따라 양손이 서로 닿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손이 얼굴 또는 반대편 상지나 하체로의 접근하는 것을 억제하여, 환자의 무의식적 행동으로 삽입된 소변줄이나 치료용 카테터 등을 임의로 제거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안정적인 치료 효율을 도모할 수 있고, 자해 또는 간병인에 대한 위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완 고정구(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통해서 상완수용부(70)의 내부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상완수용부(70)는 C자형 구조로 내부에는 세로 형태의 복수의 선형돌기(75)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선형돌기(75)의 구성은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에게 상완 고정구(10)를 착용시켰을 때 움직임에 의해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 거리를 갖는 선형돌기(75)를 부가하여 상완수용부(70)의 내부가 굴곡 구조를 갖도록 주름진 형태로 제조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매 환자의 경우 발작을 일으키거나 무의식적으로 과격한 행동에 의해 상완고정구(10)의 위치가 변할 수 있으므로 상완수용부(70)의 내부를 굴곡지게 제조하여 착용 시 과격한 움직임에도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완고정구(10)에 공기를 주입하여 완전히 팽창된 후 상기 주름 구조 사이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자는 바람직하게는 섬망 또는 치매(dementia) 환자일수 있으나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질환이나 일시적인 발작 또는 경련에 의해 환자 자신 또는 타인의 안전을 위협하여 환자의 상지 고정을 통해 움직임을 제한해야 하는 모든 증상을 포함한 환자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상완수용부(70)의 내부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C자형 구조를 갖는 상완수용부(70)에는 세로형 선형돌기(75)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C자형 구조는 육안으로는 일체형으로 보이나 이의 내부는 각각 분리된 복수의 내부격벽(76)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완수용부(70)는 일체형이 아닌 모듈형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이는 환자 상완의 움직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한하기 위함으로 공기 주입시 각각의 내부격벽(76)에 공기가 주입되어 둥근 형태의 환자의 상완을 둥글게 밀착하여 감싸게 되므로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채택하였다. 상기 모듈형 구조의 내부격벽(76) 및 선형돌기(75)의 구성이 환자의 상완을 고정시키기 본 발명의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의 기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를 직접 착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완에 착용하면 상완내전제한부(50)가 겨드랑이와 흉곽 측면에 밀착되어 상완의 내전을 제한하고, 팔꿈치수용부(30)에 의해 팔꿈치의 굽힘이 제한을 받게 된다. 도 5에서는 상완고정구(10)를 착용한 후 환자가 실제 구부릴 수 있는 팔의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환자가 양 상완에 상완고정구(10)를 착용하였을 때 양손을 서로 접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의 상완고정구(10)는 튜브 형태로 제조되어 환자에게 착용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여 튜브가 팽창한 상태에서 상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딱딱한 재질이 아니어서 환자의 안전에 용이하고, 상완고정구(10) 외측의 개구부가 공기 튜브 형태로 인한 유동성으로 오므리는 것과 펴짐이 가능하여, 다양한 환자의 상완 둘레와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환자의 근력과 저항 및 구속의 강도에 따라 플라스틱, 우레탄 폼, 또는 스티로폼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완고정구(10)를 착용한 후 좌, 우측의 상완내전제한부(50)를 전면 복부 를 통해 전면결속밴드(13)로 체결하고 등쪽도 후면결속밴드(12)로 체결한다. 그 후, 각각 상완고정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완고정구(10)의 전면고리(71) 및 후면고리(72)에 어깨결속밴드(11)를 서로 X자 형태로 교차연결하여 체결해 주면 기본적인 체결이 완료되고 상완고정구(10)의 측면에 상부고리(73) 및 하부고리(74)를 통해 고정 밴드로 체결해 주면 환자의 상지 억제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 착용함에 따라 환자의 양 손이 서로 닿을 수 없고 호흡관 등이 삽입된 얼굴이나 소변관이 삽입된 하부에 환자의 손이 닿을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를 환자의 상지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모든 결속밴드는 탄성을 갖는 고무 밴드가 적합하고 상기 결속밴드의 체결은 매듭, 버튼 또는 버클도 적용 가능하나 착용의 신속성을 고려하면 벨크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완고정구(10)의 체결을 위해 다른 고리 형태가 부가된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지 고정용 보호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상지 고정을 위해 형성된 고리를 통해 밴드를 결속하여 체결이 가능하나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폴리머 소재의 튜브에 적용되는 형상으로 중심에 구멍이 있는 둥근 형태의 고리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멍에 끈을 연결하여 양 상완고정구(10)를 환자의 상지에 고정시킬 수 있는데 소재의 특성상 파손될 우려가 있어 상기 구멍에 리벳(rivet)과 같은 저항을 견딜 수 있는 별도의 지지 수단을 설치 후 끈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는 구속이 필요한 환자의 상지를 효과적으로 고정함에 따라 환자의 상하지나 회음부 그리고 두부에 위치한 치료 장치에 손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물론, 환자를 병상에서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치료 효율을 극대화하는데 활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완고정구
11: 어깨결속밴드
12: 후면결속밴드
13: 전면결속밴드
30: 팔꿈치수용부
50: 상완내전제한부
51: 전면체결고리
52: 후면체결고리
70; 상완수용부
71: 전면고리
72: 후면고리
73: 상부고리
74: 하부고리
75: 선형돌기
76: 내부격벽
100: 상지 고정용 보호대
11: 어깨결속밴드
12: 후면결속밴드
13: 전면결속밴드
30: 팔꿈치수용부
50: 상완내전제한부
51: 전면체결고리
52: 후면체결고리
70; 상완수용부
71: 전면고리
72: 후면고리
73: 상부고리
74: 하부고리
75: 선형돌기
76: 내부격벽
100: 상지 고정용 보호대
Claims (9)
- 개구부가 형성되어 환자의 상완을 수용하는 C자 형의 단면을 갖고 상완접촉 내면에는 환자의 상완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선형 돌기가 형성된 상완수용부, 상기 상완수용부의 개구부 대향면으로부터 측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돌출-연장되며 상기 상완수용부가 환자의 흉곽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오목한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환자의 겨드랑이 및 흉곽에 밀착되어 상기 상완수용부의 이동 및 환자의 상완의 내전(內轉)을 제한하는 상완 내전 제한부, 환자의 팔꿈치를 수용하여 상기 팔꿈치의 굽힘 각도를 30 내지 60°이내로 제한하는 상기 상완 내전 제한부 하단에 형성된 팔꿈치수용부, 및 상기 상완 내전 제한부 및 팔꿈치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 결속밴드 체결 고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상완고정구; 및
상기 한 쌍의 상완고정구를 서로 연결하여 환자의 상체에 결속하는 복수의 결속밴드를 포함하는, 착용 시 환자의 양손이 서로 닿지 않고 손으로부터 입 또는 하체의 접근을 억제하는,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상완 내전 제한부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40 내지 60°인,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밴드는 환자의 어깨에 X자 형상으로 결속되는,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치매 또는 섬망 환자에 적용되는,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의 체결은 매듭, 버튼, 버클 또는 벨크로로 수행되는,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완고정구는 공기주입형 튜브, 플라스틱, 우레탄폼 또는 스티로폼으로 제조되는, 환자 상지 고정용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9467A KR102363066B1 (ko) | 2021-04-15 | 2021-04-15 |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9467A KR102363066B1 (ko) | 2021-04-15 | 2021-04-15 |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3066B1 true KR102363066B1 (ko) | 2022-02-15 |
Family
ID=8032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9467A KR102363066B1 (ko) | 2021-04-15 | 2021-04-15 |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306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8125A (ja) * | 1993-09-27 | 1995-04-04 | Masako Maruo | 肘関節抑制帯 |
JP2003024358A (ja) * | 2001-07-13 | 2003-01-28 | Kumiko Muranaka | 掻きむしり防止具 |
JP2003250825A (ja) * | 2002-03-05 | 2003-09-09 | Masami Murakami | 手首と肘関節の抑制具 |
KR20120130498A (ko) * | 2011-05-23 | 2012-12-03 | 이현춘 | 양쪽으로 사용 가능한 어깨관절 외전 보조기 |
KR101509445B1 (ko) * | 2014-12-01 | 2015-04-08 | 오현주 | 관절 지지장치 |
-
2021
- 2021-04-15 KR KR1020210049467A patent/KR1023630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8125A (ja) * | 1993-09-27 | 1995-04-04 | Masako Maruo | 肘関節抑制帯 |
JP2003024358A (ja) * | 2001-07-13 | 2003-01-28 | Kumiko Muranaka | 掻きむしり防止具 |
JP2003250825A (ja) * | 2002-03-05 | 2003-09-09 | Masami Murakami | 手首と肘関節の抑制具 |
KR20120130498A (ko) * | 2011-05-23 | 2012-12-03 | 이현춘 | 양쪽으로 사용 가능한 어깨관절 외전 보조기 |
KR101509445B1 (ko) * | 2014-12-01 | 2015-04-08 | 오현주 | 관절 지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260638A1 (en) | Restraint mitt | |
US5038799A (en) | Restraint system | |
KR102363066B1 (ko) | 상지 구속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튜브형 안전장치 | |
US20180049908A1 (en) | Pressure relief apparatus for wound | |
US10806621B2 (en) | Clavicle fracture infant brace | |
CN215131233U (zh) | 医用约束手套 | |
KR101137134B1 (ko) | 침대고정용 환자 보호복 | |
US9039663B2 (en) | Intravenous therapy | |
US20140083437A1 (en) | Arm board device | |
KR20230100079A (ko) | 치매환자용 안전 손가락 보호대 | |
US7766017B2 (en) | Altered range of motion device | |
CN215020042U (zh) | 医用充气式约束手套 | |
CN220404231U (zh) | 一种防对抗动点约束装置 | |
CN215020080U (zh) | 一种可视约束手套 | |
CN215080569U (zh) | 四肢约束带 | |
KR102373788B1 (ko) | 환자 결속구 | |
CN221600346U (zh) | 充气式约束手套 | |
CN216319297U (zh) | 一种防脱手套 | |
CN214435207U (zh) | 一种患者约束装置 | |
TWM642110U (zh) | 雙手約束褲 | |
CN211911932U (zh) | 一种医用约束装置 | |
CN215839816U (zh) | 一种新型医用约束手套 | |
TWM659012U (zh) | 約束手拍結構 | |
CN215307195U (zh) | 用于约束介入手术病人的背心 | |
CN213156839U (zh) | 一种医用改良约束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