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435B1 - 관절 굽힘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관절 굽힘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435B1
KR102257435B1 KR1020190065434A KR20190065434A KR102257435B1 KR 102257435 B1 KR102257435 B1 KR 102257435B1 KR 1020190065434 A KR1020190065434 A KR 1020190065434A KR 20190065434 A KR20190065434 A KR 20190065434A KR 102257435 B1 KR102257435 B1 KR 102257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joint
bending
bending limiting
limi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986A (ko
Inventor
한한수
Original Assignee
한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한수 filed Critical 한한수
Priority to KR102019006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4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이나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관절부에 적용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정신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환자가 자해하거나 링겔을 뽑거나 또는 무기를 쥐고 타인을 위해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의 팔 및 손에 포함되는 인체 관절부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 상기 착용 부재에 구비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굽힘 제한 수단; 및 상기 착용 부재를 관절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관절 굽힘 제한 장치{FOLDING RESTRICTION DEVICE OF JOINT}
본 발명은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이나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관절부에 적용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정신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환자가 자해하거나 중심정맥관, 소변호스, 비위관, 기관삽관, 인공호흡기, 기타삽관 및 링겔 등 각종 생명장치를 제거하거나 또는 무기를 쥐고 타인을 위해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급변하면서 많은 질병과 사고로 인해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이중 의사의 소견이나 질병의 정도에 따라 병원에 입원을 하거나 통원치료를 하는 이들이 있으며,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 환자가 있는 반면에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는 환자가 있다.
일반적으로 조현병 환자나 치매 환자와 같은 정신질환자는 수족을 자의적으로 움직일 수 없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있는가하면 수족을 자유롭게 구사하면서 지적능력을 상실하여 자기 손으로 자기 신체의 일부를 자해하거나, 링겔이나 기저귀와 같은 장치물을 벗어버리는 행동으로 인해 치료가 어렵고 대소변을 치우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아무거나 집어삼켜 질병 또는 급사할 수 있고, 또 침상에서 이탈하여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기물을 파손 및 소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잦아 이러한 환자와 같은 경우 치료 및 자기 신체를 보호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등록실용신안 20-0381330와 같이, 손끝이 밀봉되어 그 내부에 수개의 통기공(22a)을 갖는 손보호구(22)가 삽입된 긴 팔 소매(2)와, 등판에 지퍼와 같은 개폐기구(11)를 구비하고, 허리에 매직테이프와 같은 결착기구(12a)(12b)가 마련된 고정끈(12)을 전면에만 봉착한 몸통(1)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통(1)과 소매(2)의 접촉부 하부에 통기구(30)를 마련하고 상부에는 지퍼와 같은 개폐기구(3)를 어깨부위에 구성하여 서로 착탈되게 한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을 제공함으로써, 자기 신체를 보호함은 물론 치료를 용이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환자복은 고정끈이 몸통의 전면에만 봉착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의 갑작스런 돌출 또는 경련시 이 고정끈이 몸통에서 뜯어지거나, 상의의 옆 솔기부분이 뜯어지는 경우가 많아, 특히 침대에 결박된 상태에서 뜯어질 경우, 침대 밑으로 떨어지면서 골절 또는 머리가 다치는 등의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종래와 같이 상체는 결박하지 않고 단순히 손만 결박하거나, 또는 상체는 결박한 상태에서 식사만 할 수 있도록 손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환자에게 자주 상의을 벗기거나 입혀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손목이나 발목을 침구나 보호복 등에 고정시켜 행동을 제한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장갑형 억제대는 손을 벙어리 장갑의 형태로 감싸서 손의 움직임을 제한함과 동시에 팔목을 침대 고정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손의 습도와 온도 가 및 마찰의 증가로 피부손상 발생에 용이한 환경을 조성하여 환자의 피부손상을 예방하기 어렵고 억제대를 제거하기 위한 환자의 적극적 행동으로 손목 피부 및 관절의 손상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그리고 환자가 억제대를 착용한 채 주먹을 움켜질 수 있어, 우발적 발관이나 사고 등이 발생되어, 합병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아대(또는 보호대)는 대개 압박력을 유지하도록 된 밴드로 제작되어 팔꿈치나 손목 또는 무릎 등에 착용하여 관절이나 근육의 움직임을 지지함에 따라 운동이나 치료 등의 목적으로 쓰이는 것이다.
그리고 수술이나 치료 등을 목적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는 신체상에 외부로 통하는 튜브를 꽂아 신체 내로 약물이나 영양성분 등을 투입하거나 배설물을 배출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환자가 무의식 중에 손으로 튜브를 터치하여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환자의 팔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팔꿈치 보호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종래의 팔꿈치 보호대는 근육 등을 압박하는 소프트한 밴드로 구비됨에 따라 팔의 각도를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환자의 팔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보호대를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97294(2017.11.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16778(2008.03.2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46289(2018.05.08.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4890(2013.01.2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1330(2005.04.11.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2908(2010.03.11.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팔이나 손과 같은 신체의 관절부에 적용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정신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환자가 자해하거나 링겔을 뽑거나 또는 무기를 쥐고 타인을 위해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에 고박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환자의 탈출이나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낙상을 검출하여 관리자나 보호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인체의 팔 및 손에 포함되는 인체 관절부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 상기 착용 부재에 구비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굽힘 제한 수단; 및 상기 착용 부재를 관절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인체 관절부의 관절 라인을 기준으로 관절부의 양측에 착용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굽힘 제한 수단은 상기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를 나누는 지점에서 상기 제1 착용부에서 돌출 구비되는 강성 재질의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스토퍼에 대향하는 부위의 상기 제2 착용부에 돌출 구비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착용 부재의 양단부 각각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고정 띠, 및 상기 고정 띠의 일면과 상기 착용 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벨크로 부재 또는 암수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착용 부재에 구성되어 관절부의 굽힘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굽힘 저항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굽힘 저항 수단은 상기 착용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금속 또는 수지 재질의 스트립; 및 상기 착용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금속 또는 수지 재질의 보조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 상기 밴드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 부재; 상기 고리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줄이 자동으로 권출되고 권선되도록 구비되는 줄감개 바디부재; 상기 줄감개 바디부재에 구비되어 침대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리 부재가 상기 밴드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이탈 검출 수단; 상기 줄감개 바디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탈 검출 수단의 이탈 검출 시 이탈 검출 신호를 받아 경보를 울리는 경보 발생 수단; 및 상기 이탈 검출 수단과 경보 발생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팔꿈치나 무릎 또는 손목에 착용하는 토시 형태로 형성되거나, 손가락에 착용하는 장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가 손가락에 착용하는 장갑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손가락부와 손가락부 사이의 근위부(proximal portion)에 상기 굽힘 제한 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팔이나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관절부에 적용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정신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환자가 자해하거나 중심정맥관, 소변호스, 비위관, 기관삽관, 인공호흡기, 기타삽관 및 링겔 등 각종 생명장치 또는 기저귀를 제거하거나 또는 무기를 쥐고 타인을 위해(危害)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침대에 고박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환자의 탈출이나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낙상을 검출하여 관리자나 보호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대한 신속히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팔꿈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팔꿈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가 굽힘 제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손(가락)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변형 예로서 손(가락)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서 손가락 사이에 굽힘 제한 수단이 구비된 경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팔꿈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팔꿈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가 굽힘 제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손(가락)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굽힘 제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의 팔 및 손(가락)을 포함하는 인체 관절부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100); 상기 착용 부재(100)에 구비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굽힘 제한 수단(200); 및 상기 착용 부재(100)를 관절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착용 부재(100)는 인체 관절부의 관절 라인(A)를 기준으로 관절부의 양측에 착용되는 제1 착용부(110)과 제2 착용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착용부(110)와 제2 착용부(120)는 관절부(A)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착용부(110)와 제2 착용부(120)는 신축성 있는 천 재질(직포)이나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정 단위로 사이즈가 다르게 규격화하여 제작하거나, 사용될 환자에 맞게 맞춤 제작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굽힘 제한 수단(200)도 함께 3D프린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착용부(110)와 제2 착용부(120)는, 예를 들면 팔의 팔꿈치에 적용되는 경우 토시나 보호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손(가락)에 적용되는 경우, 장갑과 같은 형태(구체적으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손가락이 노출될 수 있는 당구장 장갑)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굽힘 제한 수단(200)은 관절부의 관절 라인(A)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착용 부재(100)에 돌출 형성되며, 강성 재질(즉, 변형이 없는 재질)의 스토퍼(210, 220)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착용부(110)와 제2 착용부(120)를 나누는 지점에서 제1 착용부(110)에 반달 모양으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210)와, 상기 제1 착용부(110)와 제2 착용부(120)를 나누는 지점에서 제2 착용부(120)에 반달 모양으로 돌출되는 제2 스토퍼(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수지재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융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착용 부재(100)의 해당 부위에 고정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착용 부재(100)의 양단부 각각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고정 띠(310), 및 상기 고정 띠(310)의 일면과 상기 착용 부재(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벨크로 부재(32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벨크로 부재를 예시로 나타내고 있으나, 밸크로 부재 대신에 암수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는 상기 착용 부재(100)에 구성되어 굽힘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즉 착용 부재(10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굽힘 저항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 저항 수단은 상기 착용 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금속 또는 수지 재질의 스트립(4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립(410)은 예를 들면 카본그라파이트(Carbon graphite: 탄소섬유), 글라스파이버(Glass fiber: 유리섬유) 또는 카본그라파이트와 글라스파이버의 혼합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굽힘 저항 수단은 착용 부재(100)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금속 또는 수지 재질의 보조 스트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트립 또한 예를 들면 카본그라파이트(Carbon graphite: 탄소섬유), 글라스파이버(Glass fiber: 유리섬유) 또는 카본그라파이트와 글라스파이버의 혼합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굽힘 저항 수단은 착용 부재(100)에 굽힘이 발생하려 할 때 복귀시키도록, 즉 펴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며, 보조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둘레 방향으로 비트는 힘이 작용할 경우 이를 방지하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는, 상기 착용 부재(100)에 둘레 방향으로 구비되는 밴드 부재(510)와, 상기 밴드 부재(510)에 연결되는 고리 부재(520)와, 상기 고리 부재(520)에 연결되는 연결줄(531)이 자동으로 권출되고 권선되도록 구비되는 줄감개 바디부재(530)와, 상기 줄감개 바디부재(530)에 구비되어 침대 등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미도시), 상기 고리 부재(520)가 밴드 부재(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이탈 검출 수단(미도시), 상기 줄감개 바디부재(530)에 구비되어 상기 이탈 검출 수단의 이탈 검출 시 이탈 검출 신호를 받아 경보를 울리는 경보 발생 수단, 및 상기 이탈 검출 수단과 경보 발생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는 상기 이탈 검출 수단의 이탈 검출 시 이탈 검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검출-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감개 바디부재(530)에서 연결줄(531)이 자동으로 풀리고 감기는 구성은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이탈 검출 수단은 고리 부재(520)가 밴드 부재(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마그네틱 센서 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탈 검출 수단은 밴드 부재(510)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고리 부재(520)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는, 줄자가 늘어나는 만큼의 거리만 환자가 이동할 수 있는데, 고리 부재(520)가 밴드 부재(51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예를 들어, 탈출하거나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에는 알람이 울려서 경보하고, 외부 원격지의 관리 센터나 보호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변형 예로서 손(가락)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서 손가락 사이에 굽힘 제한 수단이 구비된 경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 있어서, 관절 굽힘 제한 장치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갑의 형태로 형성되어 손(가락)에 적용되는 경우, 굽힘 제한 수단은 착용부재의 손가락부와 손가락부 사이의 근위부(proximal portion)에 형성되어 손가락 간이 서로 맞닿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굽힘 제한 장치를 팔꿈치나 손(가락)에 착용하는 경우, 팔의 굽힘 및 손가락의 굽힘을 제한하여 팔 굽힘 동작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유해한 행동, 예를 들면 자해 행동이나 중심정맥관, 소변호스, 비위관, 기관삽관, 인공호흡기, 기타삽관 및 링겔 등 각종 생명장치 또는 기저귀를 제거하는 행위, 무기를 쥐는 행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무릎에 착용하는 경우 타인을 차거나 뛰는 행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 굽힘 제한 장치에 의하면, 팔이나 손가락과 같은 신체의 관절부에 적용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정신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환자가 자해하거나 중심정맥관, 소변호스, 비위관, 기관삽관, 인공호흡기, 기타삽관 및 링겔 등 각종 생명장치 또는 기저귀를 제거하거나 또는 무기를 쥐고 타인을 위해(危害)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침대에 고박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환자의 탈출이나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낙상을 검출하여 관리자나 보호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대한 신속히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착용 부재
110: 제1 착용부
120: 제2 착용부
200: 굽힘 제한 수단
210: 제1 스토퍼
220: 제2 스토퍼
300: 고정 수단
310: 고정 띠
320: 벨크로 부재
410: 스트립
510: 밴드 부재
520: 고리 부재

Claims (7)

  1. 인체의 팔 및 손에 포함되는 인체 관절부에 착용되는 착용 부재;
    상기 착용 부재에 구비되어 관절부의 굽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굽힘 제한 수단; 및
    상기 착용 부재를 관절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 부재는 인체 관절부의 관절 라인을 기준으로 관절부의 양측에 착용되며,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굽힘 제한 수단은 상기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를 나누는 지점에서 상기 제1 착용부에서 돌출 구비되는 강성 재질의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스토퍼에 대향하는 부위의 상기 제2 착용부에 돌출 구비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착용 부재의 양단부 각각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고정 띠, 및 상기 고정 띠의 일면과 상기 착용 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벨크로 부재 또는 암수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착용 부재에 구성되어 관절부의 굽힘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굽힘 저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저항 수단은 상기 착용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금속 또는 수지 재질의 스트립; 및
    상기 착용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는 금속 또는 수지 재질의 보조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
    상기 밴드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고리 부재;
    상기 고리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줄이 자동으로 권출되고 권선되도록 구비되는 줄감개 바디부재;
    상기 줄감개 바디부재에 구비되어 침대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리 부재가 상기 밴드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이탈 검출 수단;
    상기 줄감개 바디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이탈 검출 수단의 이탈 검출 시 이탈 검출 신호를 받아 경보를 울리는 경보 발생 수단; 및
    상기 이탈 검출 수단과 경보 발생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팔꿈치나 무릎 또는 손목에 착용하는 토시 형태로 형성되거나, 손가락에 착용하는 장갑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가 손가락에 착용하는 장갑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손가락부와 손가락부 사이의 근위부(proximal portion)에 상기 굽힘 제한 수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굽힘 제한 장치.
KR1020190065434A 2019-06-03 2019-06-03 관절 굽힘 제한 장치 KR10225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34A KR102257435B1 (ko) 2019-06-03 2019-06-03 관절 굽힘 제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34A KR102257435B1 (ko) 2019-06-03 2019-06-03 관절 굽힘 제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86A KR20200138986A (ko) 2020-12-11
KR102257435B1 true KR102257435B1 (ko) 2021-05-27

Family

ID=7378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34A KR102257435B1 (ko) 2019-06-03 2019-06-03 관절 굽힘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77A (ko) 2021-08-24 2023-03-03 나윤채 환자용 팔관절 움직임 제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56B1 (ko) 2018-03-14 2019-01-14 박성용 자해방지용 압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30Y1 (ko) 2005-01-17 2005-04-11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KR100816778B1 (ko) 2007-04-28 2008-03-25 천숙자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KR20100002908U (ko) 2008-09-02 2010-03-11 이정숙 치매환자 및 자해방지용 벙어리장갑
KR200464890Y1 (ko) 2012-07-27 2013-01-25 노경국 환부긁음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 손목고정구
KR101446763B1 (ko) * 2012-11-23 2014-10-01 광주광역시 광산구 팔고정장치
KR20140094961A (ko) * 2013-01-23 2014-07-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골동맥 삽관용 손목고정대
KR20160134336A (ko) * 2015-05-15 2016-11-23 허재우 부목
KR101797294B1 (ko) 2015-09-30 2017-11-1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KR20180046289A (ko)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더케어 수분감지센서가 구비된 팔꿈치 보호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956B1 (ko) 2018-03-14 2019-01-14 박성용 자해방지용 압박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77A (ko) 2021-08-24 2023-03-03 나윤채 환자용 팔관절 움직임 제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86A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0910A (zh) 医用防护和训练约束系统和方法
KR102257435B1 (ko) 관절 굽힘 제한 장치
CN106264833A (zh) 精神病躁狂患者专用约束床和约束装置
KR101797294B1 (ko) 치매 환자용 장갑형 억제대
CN208725994U (zh) 医用多功能防拔管约束护具
JP5853278B2 (ja) 手袋
CN206167148U (zh) 精神病躁狂患者专用约束床和约束装置
CN111419514B (zh) 一种新型带监测报警功能的防误触手部约束装置和约束系统
CN209450751U (zh) 一种约束手套
KR101999724B1 (ko) 자해방지 손커버
CN208942521U (zh) 约束带
KR101842915B1 (ko) 웨어러블 생체리듬 측정장치
CN204910441U (zh) 一种应用于男童可防止导尿管滑脱的会阴部保护罩装置
CN212185200U (zh) 一种防跌装置
CN204863610U (zh) 一种精神病人用的舒适型防抓约束带
CN213283686U (zh) 医用康复约束手套
CN111437095B (zh) 防误触智能自锁止限位腕带和限位系统
CN216570393U (zh) 一种防拔管手套
CN211911932U (zh) 一种医用约束装置
CN212592639U (zh) 一种具有提醒功能的儿童用手部约束装置
KR102373788B1 (ko) 환자 결속구
JP4233050B2 (ja) 介護用具
CN214805842U (zh) 一种康复功能性约束手套
CN216823825U (zh) 一种监护病房患者用约束手套
CN213046865U (zh) 一种新生儿体征监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