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232A -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232A
KR20170038232A KR1020150137300A KR20150137300A KR20170038232A KR 20170038232 A KR20170038232 A KR 20170038232A KR 1020150137300 A KR1020150137300 A KR 1020150137300A KR 20150137300 A KR20150137300 A KR 20150137300A KR 20170038232 A KR20170038232 A KR 20170038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reminder
camera
came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345B1 (ko
Inventor
오병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3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상태 판단부;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 및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bject reminder in vehicle}
본 발명은 키 리마인더(Key reminder)와 같은 오브젝트 리마인더(Object reminder)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오브젝트 리마인더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내에서는 차량 키를 차량 내에 놓고 도어를 잠그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그래서 이런 경우를 방비하고자 차량 내에 차량 키를 놓고 나와 도어를 닫으려고 하면, 도어는 LOCK되지 않고 UNLOCK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을 키 리마인더(Key Reminder) 기능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키 리마인더 기능은 단순히 차량 키(스마트 키)만을 위한 리마인더 기능이어서, 차량 키를 제외한 다른 물품들을 놓고 내리는 경우에는 별 소용이 없었다.
종래에는 차량 탑승자들이 차량에 물품을 놓고 내리는 경우를 방비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지 않았으며, 스마트폰과의 연동 또한 고려되지 않아 차량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시스템 환경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17833호는 키 리마인더 기능을 갖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어셈블리는 키를 차에 두고 내리는 경우만을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상태 판단부;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상태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졌는지 여부 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Seat)들에 부착된 압력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로 상기 차량의 각 좌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 상기 차량의 각 좌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 및 상기 차량에 형성된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들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기준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영상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초기 판단하고, 초기 판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되기 이전에 획득된 영상과 상기 차량이 주차된 이후에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오브젝트의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리모트 키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졌는지 여부 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Seat)들에 부착된 압력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로 상기 차량의 각 좌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 상기 차량의 각 좌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 및 상기 차량에 형성된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들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준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영상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초기 판단하고, 초기 판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주차되기 이전에 획득된 영상과 상기 차량이 주차된 이후에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오브젝트의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리모트 키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성들을 통하여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차량 탑승시 가져온 물품을 차량에 놓고 내리는 경우를 방비할 수 있으며, 더불어 스마트폰과의 연동으로 차량 탑승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된 차량 편의 시스템으로서 차량 내 물품 도난 및 침입 등의 사고도 방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들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오브젝트 입체 감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오브젝트 리마인더 대상 판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차량 탑승시 가져온 물품을 차량에 놓고 내리는 경우를 방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의 연동으로 차량 탑승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내 14개의 카메라로 차량 내에 물품(Object)을 입체(윗면, 정면)로 모니터링하다가, 물품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AVN H/U(Head Unit)이 운전자에게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키로 물품의 위치 영상과 알림 메시지를 보내준다.
스마트폰에는 물품의 위치 영상과 표식 및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스마트폰 앱(오브젝트 리마인더)이 설치되어 있어 편리하게 정보를 볼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차량에 적재한 물품을 두고 내릴 때에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100)은 차량에 탑승했던 사람들이 탑승시 가지고 있던 물품을 차량에 놓고 내리는 경우가 없도록 방비하는 편의 장치로서의 목적이 있다.
차량 내에는 14개의 카메라들이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은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들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차량 내 카메라 1(수직/수평)(161)은 차량 내 카메라 1(수직)(161a)과 차량 내 카메라 1(수평)(161b)을 포함한다.
차량 내 카메라 1(수직)(161a)은 차량의 운전석 천정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운전석에 있는 오브젝트의 윗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차량 내 카메라 1(수평)(161b)은 차량의 운전석 정면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운전석에 있는 오브젝트의 정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차량 내 카메라 2(수직/수평)(162)은 차량 내 카메라 2(수직)(162a)과 차량 내 카메라 2(수평)(162b)을 포함한다.
차량 내 카메라 2(수직)(162a)은 차량의 조수석 천정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조수석에 있는 오브젝트의 윗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차량 내 카메라 2(수평)(162b)은 차량의 조수석 정면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조수석에 있는 오브젝트의 정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차량 내 카메라 3(수직/수평)(163)은 차량 내 카메라 3(수직)(163a)과 차량 내 카메라 3(수평)(163b)을 포함한다.
차량 내 카메라 3(수직)(163a)은 차량의 후좌석 천정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후좌석에 있는 오브젝트의 윗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차량 내 카메라 3(수평)(163b)은 차량의 후좌석 정면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후좌석에 있는 오브젝트의 정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차량 내 카메라 4(수직/수평)(164)은 차량 내 카메라 4(수직)(164a)과 차량 내 카메라 4(수평)(164b)을 포함한다.
차량 내 카메라 4(수직)(164a)은 차량의 후우석 천정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후우석에 있는 오브젝트의 윗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차량 내 카메라 4(수평)(164b)은 차량의 후우석 정면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후우석에 있는 오브젝트의 정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콘솔 카메라(수직/수평)(165)은 콘솔 카메라(수직)(165a)과 콘솔 카메라(수평)(165b)을 포함한다.
콘솔 카메라(수직)(165a)은 콘솔 내 천정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콘솔 내에 있는 오브젝트의 윗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콘솔 카메라(수평)(165b)은 콘솔 내 정면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콘솔 내에 있는 오브젝트의 윗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트렁크 카메라(수직/수평)(166)은 트렁크 카메라 1(수직)(166a), 트렁크 카메라 1(수평)(166b), 트렁크 카메라 2(수직)(166c) 및 트렁크 카메라 2(수평)(166d)을 포함한다.
트렁크 카메라 1(수직)(166a)은 트렁크 좌측 천정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트렁크 1번 존(210)에 있는 오브젝트의 윗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트렁크 카메라 1(수평)(166b)은 트렁크 좌측 정면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트렁크 1번 존(210)에 있는 오브젝트의 정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트렁크 카메라 2(수직)(166c)은 트렁크 우측 천정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트렁크 2번 존(220)에 있는 오브젝트의 윗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트렁크 카메라 2(수평)(166d)은 트렁크 우측 정면에 위치한 카메라로서 트렁크 2번 존(220)에 있는 오브젝트의 정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U(Head Unit; 130)은 전술한 14개의 카메라들(161 ~ 165)과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로 연결되어 있어 영상 입력을 받으며, 외부의 스마트폰(110)과는 모뎀(131) 또는 WiFi 모듈(132)로 연결되는 디바이스이다.
ACU(AirBag ECU; 150)는 운전석 착좌 센서(151), 조수석 착좌 센서(152), 후좌석 착좌 센서(153), 후우석 착좌 센서(154) 등의 입력을 받아서 센서 데이터를 H/U(130)에 CAN(Controller Area Network)으로 송신하는 디바이스이다.
착좌 센서(151, 152, 153, 154)는 운전석, 조수석, 후좌석, 후우석 등에 착석 여부를 센서링하는 센서이다.
스마트폰(110)은 H/U(130)이 오브젝트 리마인더(Object reminder) 상황 및 보고를 위한 외부 연결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스마트폰(110)은 오브젝트 리마인더 관련 앱을 포함하고 있다.
양방향 리모트 키(120)는 스마트폰과 같이 앱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며, BCM(Body Control Module; 140)으로부터 오브젝트가 있음을 RF로 수신받아 LED 또는 LCD 화면에 표시를 한다.
다음으로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10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오브젝트 입체 감지
도 4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오브젝트 입체 감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4를 참조한다.
차량 내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좌석 존(Zone)(#1 ~ #4)과 콘솔 내 1개(#5), 트렁크 내에 2개의 존(Zone)(#6 ~ #7)으로 오브젝트 감지 범위를 정의한다.
오브젝트의 입체적인 감지를 위해서 각 존(Zone)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카메라(310) 및 수평 카메라(320)를 설치해서 입체적인 오브젝트 감지가 가능하다.
H/U(130)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메라의 수직/수평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도록 데이타베이스화하는 SW를 설계해서 데이터의 식별 인지율을 높인다.
(2) 오브젝트와 인간 구별
카메라가 인지한 오브젝트 중에는 하차를 완료했으나, 사람이 아직 좌석에 앉아 있을 수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오브젝트와 인간을 구별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한다.
오브젝트 감지를 위한 영상 중 정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수평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으로 안면 인식을 하여 인간의 얼굴임을 판별하는 SW를 추가 설계한다.
오브젝트 중 인간으로 판별되는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리마인더 대상에서 제외시킨다.
영상 감지 외에 인간 판별을 위해 ACU(150)에서 사용하는 착좌 센서 데이터 값을 CAN으로 입력받아 오브젝트 중에서 인간의 착좌 여부를 추가로 보완해서 판별도록 SW를 설계한다.
(3) 카메라 동작 구간
차량이 웨이크 업(Wake up) 모드에 진입했을 때부터 슬립(Sleep) 모드로 진입하기 전까지 영상 출력을 H/U(130)으로 LVDS 케이블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에서 웨이크 업 모드는 스마트 키나 리모트 키(Remote Key)로 멀티미디어 시스템 전체가 wake up되는 시점을 의미하며, 슬립 모드는 차량 운행을 끝내고 차량 시스템 전체가 Sleep으로 진입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4) 오브젝트 리마인더 대상 판별
도 5 내지 도 7은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오브젝트 리마인더 대상 판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① 초기 상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초기 상태(물품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차량 내 카메라 1 ~ 4(161 ~ 164), 콘솔 카메라(165), 트렁크 카메라 1 ~ 2(166) 등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들을 초기 영상(410)으로 H/U(130)에 저장한다.
차량 내 카메라 1 ~ 4 (초기) → H/U 메모리에 영구 저장
트렁크 카메라 1 ~ 2 (초기) → H/U 메모리에 영구 저장
콘솔 카메라 (초기) → H/U 메모리에 영구 저장
② 승차 전, 승차 후
차량 탑승자가 모든 문을 닫고 차량을 시동하고 운전을 시작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 전 영상(420)과 승차 후 영상(430)을 각 카메라(161 ~ 166)가 H/U(130)로 전송하고, H/U(130)이 이 영상들을 저장한다.
차량 내 카메라 1 ~ 4 (승차 후) → H/U 메모리에 임시 저장
트렁크 카메라 1 ~ 2 (승차 후) → H/U 메모리에 임시 저장
콘솔 카메라 (승차 후) → H/U 메모리에 임시 저장
③ 하차 후
차량 탑승자가 하차 후에 DOOR를 LOCK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차 후 영상(440)을 각 카메라(161 ~ 166)가 H/U(130)로 전송하고, H/U(130)이 이 영상들을 저장한다.
차량 내 카메라 1 ~ 4 (하차 후) → H/U 메모리에 임시 저장
트렁크 카메라 1 ~ 2 (하차 후) → H/U 메모리에 임시 저장
콘솔 카메라 (하차 후) → H/U 메모리에 임시 저장
④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메라(161 ~ 166)의 초기 영상과 각 카메라(161 ~ 166)의 하차 후 영상을 비교하여 물품의 스캔된 부분을 표시한다.
이후 모뎀(131) 또는 WiFi 모듈(132)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
이후 스마트폰 앱이 자동으로 구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10)에서 운전자에게 차량 내 표시된 물품 영상을 알림 메시지 형태로 알린다. 도 7에서 도면부호 450과 도면부호 460은 두고 내린 물품을 알리는 표시틀로서, 차량에 2번 이상 두고 내린 장기 방치 물품을 표시하며, 두고 내린 물품의 수량 및 최근 알린 시간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마트폰 앱은 오브젝트 리마인더(Object reminder)를 의미한다.
동시에 H/U(130)이 CAN을 통해 BCM(140)으로 오브젝트 유무만 데이터화해서 송신하면, BCM(140)은 양방향 리모트 키(120)로 송신하고, 리모트 키(120)는 LED 점등 또는 LCD 화면에 간단히 정보 표시를 해준다(도 1 참조).
다음으로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1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8을 참조한다.
먼저 리모트 키 또는 스마트 키로 차량 시스템을 웨이크 업시킨다(S505).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차량 내 카메라 1 ~ 4(161 ~ 164), 콘솔 카메라(165), 트렁크 카메라 1 ~ 2(166) 등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들을 H/U(130)으로 전송한다(S510, S515, S520). H/U(130)은 이 영상들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초기 영상(410), 승차 전 영상(420) 승차 중 영상 등으로 저장한다.
이후 H/U(130)은 차량의 도어가 닫혀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5).
차량의 도어가 닫혀진 것으로 판단되면, H/U(130)은 각 카메라(161 ~ 166)의 영상들을 수신하여 이 영상들을 승차 후 영상(430)으로 저장한다(S530).
이후 H/U(130)은 저장된 영상들을 기초로 오브젝트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35).
오브젝트가 사람인 것으로 판단되면, H/U(130)은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사람을 오브젝트로 포함하고 있는 영상들을 대상에서 제외한다(S540).
S535 단계에서 오브젝트가 사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S540 단계를 거친 후, H/U(130)은 승차 후 영상(430)을 초기 영상(410)(또는 승차 전 영상(420))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45).
S545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변경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H/U(130)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경 이미지를 물품으로 인식하고, 각 물품의 인식 범위를 박스 형태로 표시하여 데이터로 저장한다(S550). 도 9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후 H/U(130)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었는지 여부, 차량의 도어가 잠금 설정되었는지 여부 등을 차례대로 판단한다(S555).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고 차량의 도어도 잠금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H/U(130)은 각 카메라(161 ~ 166)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을 수신하여 하차 후 영상(440)으로 저장한다(S560).
이후 H/U(130)은 하차 후 영상(440)을 초기 영상(410)(또는 승차 전 영상(420), 승차 후 영상(430))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65).
S565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변경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H/U(130)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경 이미지를 물품으로 인식하고, 각 물품의 인식 범위를 박스 형태로 표시하여 데이터로 저장한다(S570).
이후 H/U(130)은 S550 단계에서 저장된 오브젝트 데이터 이미지와 S570 단계에서 저장된 오브젝트 데이터 이미지를 비교하여 이전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변경/삭제/유지/신규 등으로 구분하여 처리한다(S575). H/U(130)은 예컨대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이후 H/U(130)은 오브젝트 처리 결과로 남은 데이터를 하차 후 영상(440)에 오브젝트로 표시하고, 오브젝트의 개수를 계산한다(S580).
이후 H/U(130)은 S580 단계에서 생성된 오브젝트 리마인더 데이터를 모뎀(131) 또는 WiFi 모듈(132)로 운전자의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S585).
이상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600)는 차량 상태 판단부(610),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630),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640), 전원부(650) 및 주제어부(660)를 포함한다.
전원부(650)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6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6600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6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600)가 도 1의 H/U(130)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전원부(650)와 주제어부(660)는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차량 상태 판단부(610)는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상태 판단부(610)는 차량의 시동이 꺼졌는지 여부 또는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차량 상태 판단부(610)에 의해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 또는 차량의 시트(Seat)들에 부착된 압력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로 차량의 각 좌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 차량의 각 좌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 및 차량에 형성된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차량의 각 좌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에는 차량의 운전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운전석 정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조수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조수석 정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후좌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후좌석 정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후우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후우석 정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등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차량의 각 좌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에는 차량의 운전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운전석 천정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조수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조수석 천정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후좌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후좌석 천정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후우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후우석 천정에 위치하는 카메라) 등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차량에 형성된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들에는 차량의 적재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콘솔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콘솔의 정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트렁크를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트렁크의 좌측 정면에 위치하는 카메라와 트렁크의 우측 정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적재 공간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즉 차량의 콘솔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콘솔의 천정에 위치하는 카메라, 차량의 트렁크를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서 트렁크의 좌측 천정에 위치하는 카메라와 트렁크의 우측 천정에 위치하는 카메라) 등이 있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기준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영상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며, 이 영상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기준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영상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을 이용할 수 있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압력 감지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며, 이 센싱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유선 네트워크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를 이용할 수 있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압력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초기 판단하고, 초기 판단에 따라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의 이 기능은 차량의 좌석에 위치하는 오브젝트가 사람인 경우를 참작한 것으로서, 이 경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카메라들과 압력 감시 센서들을 모두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가 카메라들만을 이용하여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는 차량이 주차되기 이전에 획득된 영상과 차량이 주차된 이후에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630)는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에 의해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630)는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오브젝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640)는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630)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640)는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리모트 키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6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0과 도 11을 참조한다.
먼저 차량 상태 판단부(610)가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10).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620)가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630)가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S730).
이후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640)가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740). 이때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640)는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리모트 키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상태 판단부;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졌는지 여부 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잠금되었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 또는 상기 차량의 시트(Seat)들에 부착된 압력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로 상기 차량의 각 좌석을 수평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 상기 차량의 각 좌석을 수직 방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들, 및 상기 차량에 형성된 적재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기준 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영상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들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센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초기 판단하고, 초기 판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최종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존재 판단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되기 이전에 획득된 영상과 상기 차량이 주차된 이후에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정보 생성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오브젝트의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정보 전송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리모트 키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11.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방법.
KR1020150137300A 2015-09-30 2015-09-30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2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00A KR102425345B1 (ko) 2015-09-30 2015-09-30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00A KR102425345B1 (ko) 2015-09-30 2015-09-30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232A true KR20170038232A (ko) 2017-04-07
KR102425345B1 KR102425345B1 (ko) 2022-07-26

Family

ID=5858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300A KR102425345B1 (ko) 2015-09-30 2015-09-30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723A (ko) * 2018-07-13 2020-01-22 아날로그 디바이시즈 글로벌 언리미티드 컴퍼니 자동차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고화질 아날로그 비디오 및 제어 링크
CN111907471A (zh) * 2020-07-07 2020-11-10 广州小鹏汽车制造有限公司 钥匙提示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11Y1 (ko) * 2003-12-30 2004-03-2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Lvds를 이용한 영상 및 터치 데이터의 처리장치
JP2006159939A (ja) * 2004-12-02 2006-06-22 Xanavi Informatics Corp 車室内報知対象の通知装置
JP2008027239A (ja) * 2006-07-21 2008-02-07 Denso Corp 忘れ物防止装置
KR20110005451A (ko) * 2009-07-10 2011-01-18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13191053A (ja) * 2012-03-14 2013-09-26 Nec Access Technica Ltd 車内点検装置および車内点検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811Y1 (ko) * 2003-12-30 2004-03-2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Lvds를 이용한 영상 및 터치 데이터의 처리장치
JP2006159939A (ja) * 2004-12-02 2006-06-22 Xanavi Informatics Corp 車室内報知対象の通知装置
JP2008027239A (ja) * 2006-07-21 2008-02-07 Denso Corp 忘れ物防止装置
KR20110005451A (ko) * 2009-07-10 2011-01-18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13191053A (ja) * 2012-03-14 2013-09-26 Nec Access Technica Ltd 車内点検装置および車内点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723A (ko) * 2018-07-13 2020-01-22 아날로그 디바이시즈 글로벌 언리미티드 컴퍼니 자동차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고화질 아날로그 비디오 및 제어 링크
CN111907471A (zh) * 2020-07-07 2020-11-10 广州小鹏汽车制造有限公司 钥匙提示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345B1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9672B2 (ja) 車両内忘れ物防止装置
US9955326B2 (en) Responding to in-vehicle environmental conditions
US9694764B2 (en) Vehicle electromechanical systems triggering based on image recognition and radio frequency
CN207427199U (zh) 车内遗留物检测系统
CN107972609A (zh) 用于门状态检测的方法和装置
CN105225413B (zh) 一种车用自动报警与救助系统
US11040700B2 (en)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intrus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108944802A (zh) 车辆防盗系统以及相关方法
WO2016181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bjects have been left in unattended vehicles
US11845390B2 (en) Cabin monitoring system
KR20150055286A (ko) 배송 물품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8248549A (zh) 车载乘车人员识别系统、车辆和车载乘车人员识别方法
US10391977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detecting tampering of a vehicle and notifying an owner of the vehicle
CN208698719U (zh) 智能门锁系统及车辆
CN107791946A (zh) 智能后视镜的安全提醒方法及装置
KR20170038232A (ko) 차량용 오브젝트 리마인더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239491B1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CN107933461A (zh) 基于单摄像头的车内识别融合装置及方法
KR20160028542A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9382B1 (ko)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CN108238000A (zh) 防止儿童锁于车内的防护系统和防护方法以及车辆
CN214084149U (zh) 乘员监测系统及车辆
KR101437406B1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60487A (ja) タクシーの運行支援システム
CN213322875U (zh) 一种车内遗留物品探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