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214A -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214A
KR20170038214A KR1020150137240A KR20150137240A KR20170038214A KR 20170038214 A KR20170038214 A KR 20170038214A KR 1020150137240 A KR1020150137240 A KR 1020150137240A KR 20150137240 A KR20150137240 A KR 20150137240A KR 20170038214 A KR20170038214 A KR 20170038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flavonoid
weight
antimicrob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희
윤유나
홍용덕
안수선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13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8214A/ko
Priority to PCT/KR2016/010910 priority patent/WO2017057919A1/ko
Publication of KR2017003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2Compounds having a free or esterified carboxyl group attached, directly or through a carbon chain,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glucuronic acid, neuram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유효성분으로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항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당산과 플라보노이드 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항균력이 개선된 항균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유해성을 줄이면서도, 저 농도의 유효성분으로도, 세균을 포함한 각종 미생물의 증식을 저해하거나,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SUGAR AICDS AND FLAVONOID}
본 명세서에는, 유효성분으로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페니실린의 발견은 항생물질에 의한 병원균의 억제, 건강보건 향상 및 질병억제에 의한 수명연장에 큰 변화를 유발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그렇지만, 아직도 병원성 미생물과 내성균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피해는 경제, 환경, 의학 및 보건학적으로 많은 문제와 질병을 유발시키고 있다. 식품 산업에서의 식품 유통 과정 중 부패로 인한 손실, 농업에서의 농작물에 대한 과량의 화학 살충제의 사용과 수산업 양식 산업에서의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및 환경오염, 광범위한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 등 사회 전반에서 많은 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 항생제에 광범위한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들이 발견되고 항생제에 대한 내성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새로운 항생물질의 연구개발과 보급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항생제는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내성, 오염 및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많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동물, 식물, 미생물 및 다양한 한약재와 약용 식물을 포함하는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균물질을 분리,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항생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인간 친화적 물질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항균물질의 연구, 개발이 쉽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새로운 항균물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항균 스펙트럼이 광범위하고 기존 내성 균주에도 항균효과를 나타내며 장기간 투여하여도 부작용없이 안전하여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
항생제 개발의 역사 및 현황, infection&chemotherapy, 263-268page, 2012.8.7.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력이 증가된,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력이 증가된, 당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보노이드와 당산의 시너지 효과를 이용하여양자의 항균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더 낮은 농도의 플라보노이드와 당산으로, 항균효과를 얻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당산(sugar acid); 및 플라보노이드, 이의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항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당산과 플라보노이드 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항균력이 개선된 항균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항균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유해성을 줄이면서도, 저 농도의 유효성분으로도, 세균을 포함한 각종 미생물의 증식을 저해하거나,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도 1은, 당산 3종(점액산, 글루쿠론산, 갈락투론 산)과, 퀘세틴 조합의 항균력을 측정한 도이다(음성 대조군: 균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 양성 대조군: 균이 첨가된 배지).
도 2는, 퀘세틴과 갈락투론 산 조합의 항균력 시너지 효과를 측정한 도이다(음성 대조군: 균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 양성 대조군: 균이 첨가된 배지).
도 3은, 체크보드 테스트의 방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이다.
도 4는, 퀘세틴과 갈락투론 산 조합의 다른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당산(sugar acid); 및 플라보노이드, 이의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균이란, 미생물의 증식을 저해하거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당산은, 카복실기를 포함하는 당류를 의미할 수 있다. 당산에 포함된 당류는 단당류일 수 있다.
당산은, 알돈산(aldonic acid), 우로소닉 산(ulosonic acids), 알다르산(aldaric acid) 및 우론산(uronic acid)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돈산은, 알도오스의 알데히드기를 산화시킨 산을 의미할 수 있고, 우로소닉 산은, 2-케토오스의 일차 히드록시기가 산화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우론산은 알도오스 또는 케토오스의 말단 히드록시기가 산화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알다르산은, 알도오스의 양 말단이 산화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돈산은, 글리세린산, 크실론산, 글루콘산 및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우로소닉 산은, 뉴라민산, 케토데옥시옥툴로소닉 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론산은,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 및 이두론산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알다르산은 타르타르산, 점액산 및 당산(Sacchar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당산은, 알다르산(aldaric acid) 또는 우론산(uronic acid)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당산은,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점액산(mucic acid) 및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액산은 메소-갈락타릭 산(meso-galactaric acid)라고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성질체"는 특히 광학 이성질체(optical isomers)(예를 들면, 본래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enantiomers), 본래 순수한 부분 입체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diastereomers) 또는 이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형태 이성질체(conformation isomers)(즉, 하나 이상의 화학 결합의 그 각도만 다른 이성질체), 위치 이성질체(position isomers)(특히, 호변이성체(tautomers)) 또는 기하 이성질체(geometric isomers)(예컨대,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래 순수(essentially pure)"란, 예컨대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와 관련하여 사용한 경우,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를 예로 들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이 약 90% 이상, 구체적으로 약 95% 이상, 더 구체적으로 약 97% 이상 또는 약 98% 이상,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99% 이상, 보다 더욱 더 구체적으로 약 99.5% 이상(w/w)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통상의 의약적 복용량(medicinal dosage)으로 이용할 때 상당한 독성 효과를 피함으로써, 동물, 더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정부 또는 이에 준하는 규제 기구의 승인을 받을 수 있거나 승인 받거나, 또는 약전에 열거되거나 기타 일반적인 약전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파이온산, 헥사노산, 사이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하이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1,2-에테인-디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퍼설폰산, 4-메틸바이사이클로 [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파이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하이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이 치환될 때 형성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드럭(prodrug)"은 어떤 약물을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조절한 약물을 의미하며, 그 자체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투여 후 체내에서 화학적 혹은 효소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약물로 바뀌어 약효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화물(hydrate)"은 물이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물과 화합물 사이에 화학적인 결합력이 없는 내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매화물"은 용질의 분자나 이온과 용매의 분자나 이온 사이에 생긴 고차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보놀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플라보놀은, 퀘세틴(quercetin)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갈락투론산 및 퀘세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당산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0.0001 중량% 이상,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03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07 중량% 이상, 0.09 중량% 이상, 0.10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3중량% 이상, 5중량% 이상, 7중량% 이상, 9중량% 이상일 수 있고,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0.2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8 중량% 이하, 0.06 중량% 이하, 0.04 중량% 이하, 0.03 중량% 이하, 0.02 중량% 이하, 0.01 중량% 또는 0.005중량% 이하, 0.001중량%이하, 또는 0.0005중량% 이하, 0.0002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이의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하나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0.00001중량% 이상, 0.0001 중량% 이상, 0.005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중량% 이상, 3중량% 이상, 5중량% 이상, 7중량% 이상, 9중량% 이상 일 수 있고, 10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0.2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9 중량% 이하, 0.08 중량% 이하, 0.06 중량% 이하, 0.04 중량% 이하, 0.03 중량% 이하, 0.02 중량% 이하, 0.01 중량% 또는 0.005중량% 이하, 또는 0.002중량%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당산과, 플라보노이드, 이의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하나 이상은, 1:10~3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10:1, 13:1, 15:1, 17:1, 19:1, 20:1, 23:1, 25:1, 27:1, 29:1, 또는 30: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균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일 수 있다. 즉, 포도상 구균에 대하여 항균 시너지 효과가 있다.
상기 포도상 구균은, 아토피 피부염, 식중독, 화농, 중이염, 방광염 등의 화농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균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항균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제형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외용제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투여량은 대상자의 연령, 성별, 체중, 증상, 투여 방법에 의해 상이하나, 1일당 1.0 내지 3.0 ㎖로 이를 1일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차(茶)류, 유제품류, 김치류, 양조 식품류를 예로 들 수 있는 발효가 필요한 발효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예컨대, 각종 크림, 로션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 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첨가된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패취, 미용액,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샴푸, 린스, 바디세정제, 비누, 염모제, 분무제 등과 같은 제형을 들 수 있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조성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이하, 하기의 비교예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비교예와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교예 1] 플라보노이드의 항균력 측정
배지미량희석법(Broth micro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플라보노이드의 S.aureus(Staphylococcus aureus) 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배지미량희석법은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NCCLS, 2003)에 명시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TSB 배지에서, 1%의 플라보노이드를 2배씩 희석하면서, 균이 저해되는 최소 억제 농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 과 같다.
플라보노이드 S.aureus 에 대한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mtration , MIC)%
quercetin >1
biochanin A >1
[비교예 2] 당산의 항균력 측정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당산의 S.aureus 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단,당산의 초기 농도는 4%로 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산의 종류 S.aureus 최소억제농도(MIC)%
Glucuronic acid 1
Galacturonic acid 1
Mucic acid 0.5
[비교예 3] 당산과 바이오카닌 A의 항균 시너지 효과 측정
체크보드 테스트(도 3 참조)로, 바이오카닌 A(biochanin A) 및 당산(점액산,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의 항균력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물질의 초기 농도를 모두 1%로 하여 2배씩 희석하면서 확인하였다.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구입한 레자주린(resazurin)을 첨가하였다. 레자주린은 pH4 정도에서 파랑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화하는 성질을 갖는다. 즉, 균이 생존하면, 분홍색, 균이 사멸되면 파랑색을 띄게 된다. 다만, 균이 사멸되었더라도 가해지는 물질 자체의 pH가 낮으면 분홍색을 띌 수 있다.
그 결과, 바이오카닌 A는 당산 3종 모두와 항균력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실시예 1] 당산과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균력 측정
[실시예 1-1] 예비실험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크보드 테스트를 이용하여, 퀘세틴 및 당산(점액산, 글루쿠론산, 갈락투론산)의 항균력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물질의 초기 농도를 모두 1%로 하여 2배씩 희석하면서 확인하였다. 도 1의 각 플레이트 상의 7행 6열이 퀘세틴과 당산의 최소 농도 조합이며 각각 0.015%, 0.031%이었다. 따라서, 퀘세틴과 당산의 조합은 퀘세틴 농도 0.015%이상 및 당산 농도 0.031% 이상에서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퀘세틴은 당산 3종 모두와 항균력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실시예 1-2] S.aureus균에 대한 퀘세틴과 갈락투론산의 항균력 시너지 효과 확인
퀘세틴과 갈락투론산 조합이 시너지를 보이는 최소 저해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체크보드 테스트를 이용하여, 0.5%의 퀘세틴과 0.5%의 갈락투론산을 각각 2배씩 희석하면서, S.aureus균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초기 농도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약 0.008%의 퀘세틴과 약 0.13%의 갈락투론산의 조합에서도 항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퀘세틴과 갈락투론산의 조합의 항균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실시예 1-3] 다른 균에 대한 퀘세틴과 갈락투론산의 항균력 시너지 효과 확인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농녹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 coli), 칸디다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아스페르길루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 대하여, 퀘세틴과 갈락투론산의 항균력 시너지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균들에 대해서는 시너지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도 4).

Claims (11)

  1. 유효성분으로,
    당산(sugar acid); 및
    플라보노이드, 이의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산은, 알다르산(aldaric acid) 또는 우론산(uronic acid)인, 항균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산은, 점액산(muc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및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 중 하나 이상인, 항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보놀인, 항균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놀은,
    퀘세틴(quercetin)인, 항균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갈락투론산 및 퀘세틴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산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항균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이의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하나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항균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산과,
    플라보노이드, 이의 이성질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 중 하나 이상은,
    10~30: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항균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균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인, 항균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항균용 조성물.
KR1020150137240A 2015-09-30 2015-09-30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70038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240A KR20170038214A (ko) 2015-09-30 2015-09-30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CT/KR2016/010910 WO2017057919A1 (ko) 2015-09-30 2016-09-29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240A KR20170038214A (ko) 2015-09-30 2015-09-30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214A true KR20170038214A (ko) 2017-04-07

Family

ID=5842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240A KR20170038214A (ko) 2015-09-30 2015-09-30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38214A (ko)
WO (1) WO2017057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4597B2 (en) 2019-01-28 2023-06-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ministration of tailored feedstock to increase nitro-containing amphenicol antibiotic susceptibi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2186B2 (ja) * 1996-03-15 2009-07-22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ウロン酸類の加熱処理物、それを含有する食品、飲料又は医薬
KR100700912B1 (ko) * 2005-12-30 2007-03-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잎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간균과 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활성조성물
US20090082326A1 (en) * 2007-09-21 2009-03-26 Forest Laboratories Holdings Limited Soluble dosage forms containing cephem derivatives suitable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CN101797266B (zh) * 2010-04-21 2011-08-03 张登科 一种含有槲皮苷的药物组合物及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항생제 개발의 역사 및 현황, infection&chemotherapy, 263-268page, 2012.8.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919A1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5838B1 (en) Aqueous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coniferous resin acids
KR20170095970A (ko) 항미생물 조성물
KR102149973B1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CN111031794B (zh) 含有4-(3-乙氧基-4-羟苯基)丁-2-酮和有机酸化合物的抗微生物混合物、以及含有该抗微生物混合物的化妆品组合物
JP2006174844A (ja) ステビオール配糖体含有飲食品
JP2006523684A (ja) 活性化かんきつ類果皮エキス含有組成物
KR100971269B1 (ko) 가공된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CA2729944C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KR102154252B1 (ko) 바이칼레인 및 워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20160046638A (ko) 메조-2,3-부탄디올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50050234A (ko)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38214A (ko)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61111B1 (ko)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2322A (ko)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60163B1 (ko)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KR100438209B1 (ko)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KR102495615B1 (ko) 천연 항균 조성물
KR102009604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00082041A (ko) 로즈마리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BR102014004849B1 (pt) mistura biocida, uso de mistura biocida e composições compreendendo mistura biocida
EP3648734A1 (en) Topical compositions
JP7377882B2 (ja) 化粧品配合物の保存のためのジアンヒドロヘキシトールの使用
BR112020000035A2 (pt) composições tópicas
KR102527468B1 (ko) 항균 활성이 증진된 케나프 전해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