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933A -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933A
KR20170037933A KR1020170040772A KR20170040772A KR20170037933A KR 20170037933 A KR20170037933 A KR 20170037933A KR 1020170040772 A KR1020170040772 A KR 1020170040772A KR 20170040772 A KR20170040772 A KR 20170040772A KR 20170037933 A KR20170037933 A KR 20170037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composition
dyeing
hair
metal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789B1 (ko
Inventor
김종협
박재정
문효승
김태윤
김왕기
백석윤
백두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4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7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61K2800/4324Direct dyes in 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라틴 섬유의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및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로 구성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염이 함유되는 첨가제를 사용하여 동시매염이 가능한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은 1제, 2제와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염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동시에 혼합하여 모발 내부에 염료를 침투시키고 모발 외부에 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모발의 염착성을 강화하고 염색속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Hair dye composition for the oxidative dyeing of keratin fibers}
본 발명은 케라틴 섬유의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및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로 구성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염이 함유되는 첨가제를 사용하여 동시매염이 가능한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을 포함한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조성물은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가 모발 내부로 침투하고 산화축합반응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발색을 나타내게 된다. 그 과정에서 1제에 함유되는 알칼리제는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와 혼합 사용을 통해 퍼히드록시(perhydroxy) 음이온 생성을 촉진하며, 이들이 염료의 산화반응 및 멜라닌 분해작용을 일으킴으로써 발색 및 탈색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산화축합반응에 의하여 발색이 나타나는 산화염색용 조성물은 반응시간과 모발 내부로 염료가 침투시간에 의하여 5분 이하의 시간에는 충분한 발색을 나타나지 못하였다.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서 금속염을 선처리(선매염)하여 모발과 착화합물을 형성시킨 후 염료 등을 도포하여 발색시간을 단축시키고 염착력을 향상시킨 방법(일본공개2004-2575)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 금속염을 선처리한 방법은 모발에 금속염을 1회 도포한 후에 염료를 2회 도포 처리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염료를 함유하는 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를 동시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염모제 조성물 중 2가의 금속염을 함유하여 염착력을 향상시킨 방법(일본공개2007-320923)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금속염이 1제에 함유될 경우 금속염과 염료의 반응이 미리 일어나게 되어 내용물의 변색이 되고 염료의 반응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2제에 함유될 경우 금속염이 산화되어 금속염의 기능을 잃어 버리게 되어 시간이 경과될 경우 염색력 향상의 효과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금속염을 1제, 2제와 동시에 혼합하여 도포할 경우 금속염이 과산화수소수 분해의 촉매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고 그렇게 되면 과산화수소수의 분해가 급격하게 일어나 산화축합반응이 폭발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부반응을 야기하여 과산화수소수 자체 분해만 일어나거나, 산화염료가 미리 반응하게 되어 모발에는 염착성이 낮아지는 현상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금속염은 반응성이 좋아 음이온을 띄는 물질 또는 비공유전자쌍을 갖는 물질 등과 쉽게 이온결합 및 배위결합을 일으키게 된다. 조성물 내에 음이온 및 비공유전자쌍을 갖는 물질이 여러 종 존재하게 되면 경쟁반응이 일어나 원하는 색상구현이 어렵고 모발과의 결합이 어려워지고 염착성과 발색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금속염과 반응하여 배위결합 및 이온결합을 하지 않거나 반응성이 약한 항산화제 및 환원제를 사용하여 금속염의 염착성 및 발색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금속염과 산화제의 반응을 조절하면 염료의 산화축합반응으로 효과적으로 조절하게 되고, 동시에 금속염과 염료, 모발의 매염반응을 조절하여 염착성과 염색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시간은 단축시키면서 염착성이 강화되어 발색력이 우수한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및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로 구성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금속염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상기 1제 및 2제와 동시에 섞어 도포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은 1제 및 2제와 금속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모발의 염착성을 강화하여 발색력이 우수하면서도 염색속도를 증진시켜 염색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은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알칼리제 등을 함유하는 1제; 산화제 등을 함유하는 2제; 및 금속염 등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의 1제의 성분을 설명한다.
상기 제 1제는 첨가제의 금속염과 반응하여 색을 나타내어 염착성이 향상된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을 항산화제로 함유한다. 상기 항산화제로서 타닌, 타닌 유도체, 갈레이트류, 헤마테인 및 치자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타닌, 타닌 유도체, 갈레이트류, 헤마테인 및 치자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1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항산화 효과와 매염의 특성이 효과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30.0중량%를 초과하면 더 염료의 산화축합반응을 지나치게 억제하거나 금속염과의 반응이 종결되어 발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닌, 타닌 유도체 및 갈레이트류는 합성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오배자, 한련초, 녹차, 홍차, 감, 스마크, 체스넛(밤), 떡갈나무, 발로니아, 맹그로브, 떡갈나무(수피), 미모사(와틀), 케프라코, 갬비아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타닌, 타닌 유도체 및 갈레이트류, 또는 치자색소를 상기한 식물로부터 추출할 경우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추출시 사용하는 용매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물 또는 유기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상기 식물들의 추출법은 하기와 같다.
오배자추출물은 정제수를 이용하여 오배자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정제수로 이물질을 제거한다. 50℃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오배자 중량에 대하여 5배의 5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담가 50℃ 에 6시간 두어 추출을 하고,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다.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하고,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오배자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련초추출물은 한련초 전초를 사용하여 상기 오배자 추출물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녹차추출물은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초순수 정제수로 이물질 제거를 하고, 30% 에탄올에 담가 25℃에서 4일 동안 두어 추출한다.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다음,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녹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감타닌은 여물지 않은 감(미숙감)과 감잎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이물질 제거를 한다. 5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건조된 미숙감과 감잎 50kg을 50% 에탄올(EtOH) 250kg에 혼합하여 60℃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가온하여 추출한다.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한다.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감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홍차, 스마크, 체스넛(밤), 떡갈나무, 발로니아, 맹그로브, 떡갈나무(수피), 미모사(와틀), 케프라코, 갬비아 등의 추출물 및 치자색소는 녹차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타닌은 다수의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이며, 구성 성분이 단일물질로서 결정상으로 분리된 것도 있지만, 제품의 대부분은 몇 종의 물질이 혼합된 것이며, 백색 또는 담갈색의 부정형 분말로서 얻어진다. 화학적으로 말할 때는 그 주성분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분류법에는 다음 2종이 있다. 하나는 묽은 산과 가열하면 가수분해되어 갈산(gallic acid)이나 에라그산 등을 생성하는 가수분해성 타닌과, 중합하여 적색 또는 갈색의 침전물인 프로바펜을 생성하는 축합형 타닌으로 대별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알칼리 융해에 의해서 피로갈롤을 주로 생성하는 피로갈롤계와 주로 카테콜을 생성하는 카테콜계 및 그 중간적인 것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가수분해될 때 주로 갈산을 생성하는 것을 갈로타닌, 에라그산을 생성하는 것을 에라디타닌이라고 한다. 어느 것이나 당(보통은 글루코오스)과 1개 또는 몇 개의 페놀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이 많고, 알칼리나 산소의 타나아제, 타카지아스타아제에 의해서도 가수분해된다. 피로갈롤계 타닌에는 오배자나 몰식자를 비롯하여 감(과실,엽), 스마크, 체스넛(밤), 떡갈나무, 발로니아 등의 타닌이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수렴성이 강하다. 철백반 용액에 의해서 청색을 띤 다음 검은색으로 변하고, 또 브롬수에서는 침전물을 생성하지 않으나 석회수에 의해서 청색을 띤다. 이에 대하여 카테콜계에는 차나무엽(녹차, 홍차), 맹그로브, 떡갈나무(수피), 미모사(와틀), 케프라코, 갬비아 등의 타닌이 함유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수렴성이 약하다. 또, 철백반에 의해서 녹색을 띤 다음 검은색으로 변하며, 브롬수에 의해서 침전하고 석회수에 의해서는 발색하지 않는다. 식물계에서의 분포는 매우 넓어 일반적으로 덜 익은 과일이나 종자에 많고, 성숙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보인다. 이것은 타닌도 대사될 수 있는 물질임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겠으나, 생리적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다. 용도로는 유피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어망용 염료나 잉크 제조, 의약품으로도 사용되며, 이 밖에 접착제의 원료, 보일러의 관석 제거, 금속면의 방식제, 또는 석유채굴 때의 유성점토 분산제 등 새로운 분야의 용도가 개척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수입 타닌엑스가 주로 사용되는데, 유피제 외에 철(Ⅲ)염과 반응하여 청색으로 변하는 것을 이용한 블루블랙잉크의 제조,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착색침전물을 생성하는 것을 이용한 금속이온의 분리나 정량 등에 사용되며, 갈로타닌을 정제한 타닌산은 수렴제 및 지혈제, 난백과 타닌산이 결합한 타닌산알부민은 정장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1제는 수용성 항산화제 및 환원제는 더 함유할 수 있다. 수용성 항산화제와 환원제는 함께 작용하여 금속염과 과산화수소의 급격한 반응을 조절하여 실제 사용시 효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해주며, 산화에 의해 내용물이 검붉게 변색되어 미관상 나빠지는 것을 억제해 주는 역할을 한다.
수용성 항산화제로는 아스코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및 그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수용성 항산화제는 1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4.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환원제로는 금속염과 반응성이 약한 물질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황산나트륨, 티오글리콜산, 티오젖산 및 그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환원제는 1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4.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항산화제와 환원제의 함량이 각각 0.01중량% 미만이면 금속염과 과산화수소의 반응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면 반응이 지연되어 염착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두피자극 및 모발손상을 일으키므로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은 약산성에서 알칼리의 pH 범위인 5~12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pH 범위 미만인 경우 2제에 포함되는 산화제의 분해가 용이하지 않으며 모발의 큐티클을 넓히고 모발내부에 처리제가 효율적으로 침투하는 작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기 pH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모발의 단백질의 손상이나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pH12 초과에서는 금속염이 산화제의 분해를 급속하게 진행시켜 반응이 급격하게 일어나 염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알칼리제로는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아르기닌,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통상적으로 염모제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제 성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은 1제에 통상적인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함유하고, 현재 알려진 대부분의 산화염료 전구체와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다.
산화염료 전구체로는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o-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m-아미노페놀, p-페닐렌디아민, 염산 톨루엔-2,5-디아민, 염산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황산 p-페닐렌디아민, 황산 p-메틸아미노페놀, 황산 o-아미노페놀, 황산 p-아미노페놀, 황산 톨루엔-2,5-디아민, 황산 p-페닐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는데, 산화염료 전구체는 1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커플러로는 2-메틸-5-히드록시에틸 아미노페놀, p-아미노-o-크레솔, m-아미노페놀, 염산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염산 m-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α-나프톨, 레조시놀, 2-메틸레조시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커플러는 1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고, 상기 산화염료 전구체와 혼합 사용되어 모발에 다양한 색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접염료(direct dyes)를 첨가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직접염료로는 아리아놀(Arianol) 염료, p-니트로-o-페닐렌디아민, 니트로-p-페닐렌디아민, 2-아미노-4-니트로페놀, 2-아미노-5-니트로페놀, 염산니트로-p-페닐렌디아민, 피크라민산 기타 식물성 염료인 헨나(Henn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는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용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향료 및 컨디셔닝제 등이 사용되어지나, 이는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금속봉쇄제는 금속염의 반응성을 떨어지게 함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포함하지 않거나 극소량을 함유하여야 한다. 금속 봉쇄제로서 이디티에이(EDTA), 디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EDTA), 펜타소듐펜티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터셔리부틸히드로퀴논, 페닐메틸피라졸론, 토코페롤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산화물질과 산화방지제는 금속염과의 배위결합을 하지 않거나 반응성이 약하여 금속염이 과산화수소수의 분해촉매로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산화제의 폭발적인 반응을 억제하고 그로 인해 산화염료의 산화축합반응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며, 금속염과 모발의 염착성을 강화하여 염착성과 염색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용제로서는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점증제로서는 탄소수 14~22의 고급알코올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이온성 중합체 및 음이온성 중합체, 파라핀, 경질유동이소파라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컨디셔닝제로는 양이온성 중합체, 4급화 암모늄염 또는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의 2제의 성분을 설명한다.
상기 제 2제는 산화제를 함유하며, 산화제로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알칼리 금속 브로메이트, 페리시아니드, 퍼보레이트 및 퍼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제는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1~10.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5중량% 농도의 과산화수소수를 사용하는 경우 0.3∼3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2제에도 염모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핀, 경질유동이소파라핀, 고급 지방알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제,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페나세틴 등의 안정화제, 인산 등의 pH 조정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마직막으로, 본 발명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의 첨가제의 성분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금속염을 함유하며, 금속염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철, 알루미늄, 티타늄, 주석 등의 수용성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황산철, 염화철, 염화알루미늄, 초산알루미늄, 명반, 소명반, 염기성 명반, 황산암모늄알루미늄, 염화주석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첨가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첨가제에는 금속염의 산화 등을 방지하고 다른 물질과의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1제에 사용되는 수용성 항산화제와 환원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수용성 항산화제로는 아스코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및 그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수용성 항산화제는 첨가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4.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환원제로는 금속염과 반응성이 약한 물질을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황산나트륨, 티오글리콜산, 티오젖산 및 그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환원제는 첨가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4.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첨가제에도 염모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핀, 경질유동이소파라핀, 고급 지방알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제,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치오글리콜산, 치오글리콜산염류, 및 암모니아, 인산 등의 pH 조정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제 1제, 제 2제 및 첨가제는, 상술한 성분 이외에 통상은 물을 함유하고 있다. 물로서는, 이온 교환수, 증류수 등의 정제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염모제 조성물로 이용되는 각 성분을 충분히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양이면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염을 함유하는 첨가제를 1제 및 2제와 동시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발 내부에 염료를 침투시키고 모발 외부에 금속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모발의 염착성을 강화하고 염색속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모발에 도포하기 직전에, 1제와 2제, 첨가제를 혼합해서 사용한다. 이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제, 2제와 첨가제는 중량비(1제 : 2제 : 첨가제)로 통상은 1 : 0.5~2 : 0.1~2, 바람직하게는 1 : 1 : 0.1∼1의 범위에서 혼합해서 사용하는 처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시 1제의 비율이 줄어들면 염료량이 적어지게 되어 모발 내부로 침투되는 염료가 적어져 발색력이 저하되며 비율이 높아지면 첨가제에 함유된 금속염의 반응성을 종결시키게 된다. 2제의 비율이 높아지면 반응속도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부가반응이 일어나고 비율이 낮아지면 반응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첨가제의 비율이 높아지면 염료와의 반응이 미리 일어나 모발 내부에 염료 침투가 적어지며 비율이 낮아지면 모발 외부에 충분히 결합하지 못하여 발색력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염모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1제와 2제, 첨가제를 혼합해서 동시매염이 가능한 산화 염모제를 제조하고, 상기 산화 염모제를 모발에 도포하며, 소정시간 경과 후에 세정하는 통상의 염모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염모제 1제는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1제 조성물(단위 : 중량%)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스테아릴알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미네랄오일(경질유동이소파라핀) 4.0 4.0 4.0 4.0 4.0 4.0 4.0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2.5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1.5 1.5 1.5 1.5 1.5 1.5 1.5
오배자 추출물 4 - - - - - -
녹차 추출물 - 4 - - - - -
프로필 갈레이트 - - 4 - - - -
몰식자산(갈릭산) - - 4 - - -
황산철 - - - - - 2 -
염화알루미늄 - - - - - - 2
디소듐이디티에이 0.2 0.2 0.2 0.2 0.2 0.2 0.2
에리소르빈산 1.0 1.0 1.0 1.0 1.0 1.0 1.0
소듐설파이트 0.5 0.5 0.5 0.5 0.5 0.5 0.5
p-페닐렌디아민 5.0 5.0 5.0 5.0 5.0 5.0 5.0
레조시놀 3.0 3.0 3.0 3.0 3.0 3.0 3.0
m-아미노페놀 3.0 3.0 3.0 3.0 3.0 3.0 3.0
암모니아수(28%) 2.0 2.0 2.0 2.0 2.0 2.0 2.0
모노에탄올아민 1.0 1.0 1.0 1.0 1.0 1.0 1.0
조합향 0.2 0.2 0.2 0.2 0.2 0.2 0.2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오배자추출물은 정제수를 이용하여 오배자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정제수로 이물질을 제거를 하였다. 50℃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오배자 중량에 대하여 5배의 5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담가 50℃ 에 6시간 두어 추출하였다.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였다.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하였다.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활성성분(추출된 물질)의 함량이 20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녹차추출물은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초순수 정제수로 이물질 제거를 하였다. 30% 에탄올에 담가 25℃에서 4일 동안 두어 추출하였다.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였다.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활성성분(추출된 물질)의 함량이 20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율에 따라, 수상으로는 정제수, 오배자 추출물, 녹차 추출물, 프로필갈레이트, 몰식자산(갈릭산), 디소듐이디티에이, 수용성 항산화제(에리소르빈산), 환원제(소듐설파이트) 및 산화염료 전구체(파라페닐렌디아민, 메타아미노페놀) 및 커플러(레조시놀)를 넣고 75℃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유상으로는 세테아릴알코올, 미네랄오일(경질유동이소파라핀),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를 넣고 75℃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상기 유상과 수상을 혼합하여 유화한 다음 40℃까지 냉각한 후 암모니아수(20%), 모노에탄올아민 및 조합향을 넣어 균일하게 혼합하여 1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제 산화제 조성물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비율에 따라 스테아릴알코올, 에틸헥실팔미테이트, 파라핀, 경질유동이소파리핀, 코코아미드-디에탄올아민(DEA),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및 페나세틴을 유상으로 75℃까지 가온 용해하고, 또한 디소듐이디티에이 및 정제수를 수상으로 75℃까지 가온 용해하여 수상과 유상을 동일 온도에서 혼합 유화하고, 40℃까지 냉각하여 인산 및 과산화수소수(35%)를 넣어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2제 조성물 (단위 : 중량%)
성분 함량
세테아릴알코올 3.5
에틸헥실팔미테이트 0.5
파라핀 1.0
경질유동이소파리핀 1.5
코코아미드-DEA 0.5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1.5
페나세틴 0.03
디소듐이디티에이 0.2
인산 0.16
과산화수소수(35%) 17
정제수 to 100
첨가제 조성물은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비율에 따라 황산철, 에리소리빈산 수상으로 75℃까지 가온 용해하고, 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를 유상으로 75℃까지 가온 용해하여 혼합 유화하고 40℃까지 냉각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첨가제 조성물 (단위 : 중량%)
성분 함량
황산철 5.0
에리소르빈산 1.0
스테아릴알콜 0.5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1.5
정제수 to 100
[시험예 1] 1제에 따른 염착성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염모제 조성물의 염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표 1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제 1제 조성물을 상기 표 2의 제 2제 산화제 조성물과 상기 표 3의 첨가제의 조성물과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한 후 실험용 사람 모발에 1분간 도포하고, 5분간 방치 후 샴푸로 세척, 건조하였다. 비교예 2~3은 제 1제와 제 2제를 1:1의 비율로 혼합한 후 실험용 사람 모발에 1분간 도포하고, 5분간 방치 후 샴푸로 세척, 건조하였다. 건조 후의 모발 염착성을 색차계의 명도값을 통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명도(L*) 14.11 14.53 12.99 13.51 15.85 19.31 17.39
L* : 색차계 명도 값으로 낮은 값이 어두운 명도
상기 표 4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오배자 추출물, 녹차 추출물, 프로필갈레이트, 몰식자산 포함하는 실시예 1~4의 염모제가 타닌 및 타닌 유도체류, 갈레이트류 등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3의 염모제와 비교하여 어두운 명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필갈레이트, 몰식자산을 함유하는 실시예 3~4의 실시예 1~2에 비해 염착성 상승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속염을 1제에 함유하여 1제와 2제를 혼합하여 사용한 비교예 2~3의 경우에는 금속염과 염료의 반응이 조성물 내에서 미리 발생하여 외관색이 보라색으로 변하게 된 경우를 확인하였으며 그로 인해 모발에 침투될 염료가 부족해지고 금속염의 반응이 종결되어 금속염을 첨가제에 함유시킨 비교예 1과 비교하여서도 발색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첨가제의 금속염에 따른 염착성 평가
첨가제에 함유하는 금속염의 종류에 따른 염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첨가제 조성물(단위 : 중량%)
성분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4
황산철 5.0 - - - -
염화알루미늄 - 5.0 - - -
명반 - - 5.0 - -
황산구리 - - - 5.0 -
에리소르빈산 1.0 1.0 1.0 1.0 1.0
스테아릴알콜 0.5 0.5 0.5 0.5 0.5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1.5 1.5 1.5 1.5 1.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제로는 상기 표 1의 실시예 3의 조성물, 2제로는 상기 표 2의 산화제 조성물을 사용하고 이들 1제 및 2제와 상기 표 5의 첨가제의 조성물을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것을 실험용 사람 모발에 1분간 도포하고, 5분간 방치 후 샴푸로 세척, 건조하였다. 건조 후의 모발 염착성을 색차계의 명도값을 통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4
명도(L*) 12.99 12.51 13.11 13.59 19.81
L* : 색차계 명도 값으로 낮은 값이 어두운 명도
상기 표 6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금속염으로 철, 알루미늄, 구리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 5~7의 첨가제를 사용한 경우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의 첨가제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어두운 명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를 함유한 실시예 5~8 모두 우수한 염착성을 가지며, 특히 염화알루미늄을 함유한 실시예 6이 염착성 상승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속염을 함유한 첨가제를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과 동시 사용할 경우 염착의 속도 및 염착성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산화염료 전구체, 커플러 및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1제;
    산화제를 함유하는 2제; 및
    금속염을 함유하는 첨가제
    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염은 명반, 소명반 및 염기성 명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1제, 2제 및 첨가제는 1 : 0.5~2 : 0.1~2의 비율로 혼합되는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첨가제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제는 타닌, 갈산, 헤마테인 및 치자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산화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1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3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제는 수용성 항산화제 및 환원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항산화제는 아스코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및 그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항산화제는 1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황산나트륨, 티오글리콜산, 티오젖산 및 그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1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H가 5~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20170040772A 2017-03-30 2017-03-30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886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772A KR101886789B1 (ko) 2017-03-30 2017-03-30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772A KR101886789B1 (ko) 2017-03-30 2017-03-30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718A Division KR101738966B1 (ko) 2009-11-30 2009-11-30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933A true KR20170037933A (ko) 2017-04-05
KR101886789B1 KR101886789B1 (ko) 2018-08-08

Family

ID=5858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772A KR101886789B1 (ko) 2017-03-30 2017-03-30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7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548A (ja) * 2001-12-26 2003-07-09 Kao Corp 染毛剤組成物
JP2003246716A (ja) * 2002-02-25 2003-09-02 Picaso Cosmetic Laboratory Ltd 染毛剤
KR100757028B1 (ko) * 2006-11-20 2007-09-07 (주)아모레퍼시픽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JP2007262001A (ja) * 2006-03-29 2007-10-11 Shiseido Co Ltd 毛髪染毛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染毛方法
JP2007320923A (ja) * 2006-06-02 2007-12-13 Dariya:Kk 染毛剤組成物
KR20090056200A (ko) * 2007-11-30 2009-06-03 (주)아모레퍼시픽 오배자 또는 한련초를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548A (ja) * 2001-12-26 2003-07-09 Kao Corp 染毛剤組成物
JP2003246716A (ja) * 2002-02-25 2003-09-02 Picaso Cosmetic Laboratory Ltd 染毛剤
JP2007262001A (ja) * 2006-03-29 2007-10-11 Shiseido Co Ltd 毛髪染毛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染毛方法
JP2007320923A (ja) * 2006-06-02 2007-12-13 Dariya:Kk 染毛剤組成物
KR100757028B1 (ko) * 2006-11-20 2007-09-07 (주)아모레퍼시픽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20090056200A (ko) * 2007-11-30 2009-06-03 (주)아모레퍼시픽 오배자 또는 한련초를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789B1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48011A (ja) 染毛料
KR101621032B1 (ko) 염료로서 차 폴리페놀 및/또는 차 색소의 용도 및 그의 제품
KR101239115B1 (ko) 감태에서 추출한 플로로탄닌 혼합물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WO2016038646A1 (ja) ヘアカラー剤及び染毛方法
CN104146911B (zh) 含有天然物质的氧化染色用组合物
JP2010138175A (ja) オルトジフェノールから出発し、拭取り、乾燥または無濯ぎ段階を含む染色方法
WO2012175720A1 (en) Hair dyeing process using a dihydroxyflavonoid, neoflavanol or neoflavanone derivative, manganese salts, hydrogen peroxide, (bi)carbonates, alkaline agents, and metal salts
KR20100103964A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1336966B1 (ko) 천연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염색시간이 빠른 비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38803B1 (ko) 오배자 또는 한련초를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738966B1 (ko)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WO2014002669A1 (ja) 染毛剤組成物
KR101562615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1제형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KR101886789B1 (ko)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20110060379A (ko) 카테킨을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625470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461109B1 (ko) 녹차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101636807B1 (ko) 천연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염모제용 혼합첨가제 조성물
KR101292828B1 (ko) 달팽이 점액 추출물이 함유된 염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15991B1 (ko) 녹차 가루를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20100106670A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JP7108455B2 (ja) 非酸化型染毛剤及び染毛方法
KR101315321B1 (ko)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JP6732443B2 (ja) 染毛化粧料
KR101793635B1 (ko) 산화 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