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295A -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 - Google Patents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295A
KR20170037295A KR1020150136691A KR20150136691A KR20170037295A KR 20170037295 A KR20170037295 A KR 20170037295A KR 1020150136691 A KR1020150136691 A KR 1020150136691A KR 20150136691 A KR20150136691 A KR 20150136691A KR 20170037295 A KR20170037295 A KR 2017003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ectangular
fixing part
pin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만
Original Assignee
(주)신영프레시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프레시젼 filed Critical (주)신영프레시젼
Priority to KR102015013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7295A/ko
Publication of KR2017003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46Column grind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51)와, 저면이 상기 베이스(51)에 고정되고 상호 협력하여 사각밀핀(18)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공간부(57) 및 상기 공간부(57)와 연통되고 상기 공간부(57)에 배치되는 사각밀핀(18)의 일측 모서리를 상부로 돌출시키는 상부 틈(59)을 형성하는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와, 상기 공간부(57)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일측 모서리가 상기 상부 틈(59)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밀핀(18)의 일단을 잡아 지지하는 지지부(6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밀핀의 용도에 따라 정확한 사상량과 사상각을 가지도록 사각밀핀을 연마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사각밀핀의 네 개의 모서리를 동일한 사상량으로 연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FIXING JIG FOR GRINDING SQUARE EJECTOR PIN}
본 발명은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밀핀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사상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사출 금형(10)은 고정측(11)과 이동측이 상대이동하면서 제품을 성형하여 취출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11)과 이동측(13)에는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코어(15,17)가 각각 구비된다. 코어(15,17)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상태의 수지가 주입되고 수지는 고온 고압에 의해 고화되어 제품(K)으로 완성된다.
완성된 제품(K)은 밀핀(18,19)에 의해 코어(15,17)로부터 분리된다. 밀핀(18,19)은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밀판(21)에 설치되어 밀판(21)과 함께 이동하여 코어(15,17)에서 제품(K)을 밀어내어 취출한다.
밀핀(18,19)은 코어(15,17)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제품(K)을 밀어내어 취출하게 되는데, 제품(K) 취출시 사각밀핀(18)의 경우 코어(15,17)와 밀핀(18)의 공차(ℓ,m)문제로 금형 작동 불량이나 제품 품질불량(제품상 버(burr) 발생) 등의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코어(15,17)와 사각밀핀(18,19)의 공차(ℓ,m) 발생원인은, 코어(15,17) 가공은 와이어 가공기로 진행하기 때문에 사각밀핀(18,19)이 삽입되는 부위를 가공해도 모서리가 r 형상(라운드진 형상)으로 가공되고, 사각밀핀(18,19)은 모서리가 직각형태로 가공되기 때문이다.
현재 모서리가 직각인 사각밀핀(1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 또는 야스리(30)를 사용하여 사각밀핀(18)의 네 개의 모서리를 연마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사각밀핀(18)을 손으로 파지하고 사각밀핀(18)의 모서리 부분을 연마석(40)이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연마석(40)에 사각밀핀(18)의 네 개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사상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방법은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는 수작업이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수작업이기 때문에 작업자에 따라 사상량(S)이 달라져 각각의 모서리별 품질 편차가 발생한다.
사각밀핀(18)의 네 개의 모서리별로 품질 편차가 발생하면,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어(15,17)와 사각밀핀(18)의 사이에 공차(틈)(ℓ,m)가 발생하고, 공차(ℓ,m) 사이로 사출물의 버(burr)가 발생하여 제품 품질 불량 문제가 발생하며, 금형작동 불량에 따른 금형 수정 및 수리 시간 등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밀핀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사상작업의 위험성이 감소되고 표준규격 적용으로 사각밀핀 사상량의 품질 편차를 최소화하여 제품 사출시 우려되는 사출물의 버(burr) 발생 문제, 금형작동 불량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저면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호 협력하여 사각밀핀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는 사각밀핀의 일측 모서리를 상부로 돌출시키는 상부 틈을 형성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공간부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일측 모서리가 상기 상부 틈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밀핀의 일단을 잡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일면이 만나는 각은 90도로 형성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일면이 상하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사각밀핀의 사상각(연마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저면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일면을 형성하며 상호 만나는 각이 90도가 되는 팁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나사홀과, 상기 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저면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일면이 상기 공간부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상기 사각밀핀의 일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각밀핀의 일단 일측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일단 타측을 상기 제1 지지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사각밀핀의 일단 타측을 상기 제1 지지부 방향으로 밀착시킨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연마석에 의해 연마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사각밀핀의 일측 모서리를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틈을 통해 상부로 돌출시켜 돌출된 부분만 연마석이 정확하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고정부의 일면과 제2 고정부의 일면이 상하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가 사각밀핀의 사상각(연마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밀핀의 용도에 따라 정확한 사상량과 사상각을 가지도록 사각밀핀을 연마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사각밀핀의 네 개의 모서리를 동일한 사상량으로 연마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사출시 우려되는 사출물의 버(burr) 발생 문제, 금형작동 불량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사각밀핀을 손으로 파지하고 작업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출 금형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1에서 확대도는 사출 금형의 코어 가공 구멍에 사각밀핀이 배치되고 공차가 발생한 모습을 위에서 보인 도면.
도 2는 줄 또는 야스리를 사용하여 사각밀핀의 네 개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연마석으로 사각밀핀의 네 개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팁부 교체에 따라 사각밀핀의 사상각(연마각)이 달라지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4에서 사각밀핀이 연마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이하, '고정지그'라 칭함)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1),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 지지부(61)를 포함한다.
베이스(5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51)는 고정지그(50)를 지면 또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연마석(40)을 이용한 사각밀핀(18)의 모서리 연마시 사각밀핀(18)과 연마석(40)이 마찰되는 힘에 의해 고정지그(50)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베이스(51)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는 사각밀핀(18)에서 연마할 모서리 부분만 상부로 돌출시켜 상부로 돌출된 부분만 연마석(40)에 의해 연마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는 저면이 베이스(51)에 고정되고 상호 협력하여 사각밀핀(18)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공간부(57)를 형성한다. 또한,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는 공간부(57)와 연통되고 공간부(57)에 배치되는 사각밀핀(18)의 일측 모서리를 상부로 돌출시키는 상부 틈(59)을 형성한다.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는 저면이 고정볼트(54,56)를 이용하여 베이스(5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의 저면이 베이스(5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53) 또는 제2 고정부(55)의 체결공을 통해 베이스(51)의 고정공에 체결된 고정볼트(54,56)에 의해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가 베이스(51)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틈(59)은 사각밀핀(18)의 연마할 모서리 부분만 고정지그(50)의 상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부 틈(59)을 통해 고정지그(50)의 상부로 돌출된 사각밀핀(18)의 모서리는 고정지그(50)의 상부로 배치된 연마석(40)에 의해 연마된다.
연마석(40)은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해 고정지그(50)의 상부로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회전되면서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의 상부 틈(59)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사각밀핀(18)의 모서리 부분을 연마할 수 있다.
상부 틈(59)의 간격을 설정하는 것에서 사각밀핀(18)의 모서리의 사상량(연마량)을 설정할 수 있고 네 개의 모서리를 동일한 사상량으로 연마할 수 있다.
공간부(57)를 형성하는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과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이 만나는 각은 90도로 형성한다. 이는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과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이 사각밀핀(18)의 이웃한 두 면과 밀착되어 사각밀핀(18)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과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이 고정지그(50)의 상하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사각밀핀(18)의 사상각(연마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은 고정지그(50)의 상하 중심선에 대해 70도(α) 기울어진 각도를 갖고,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은 상하 중심선에 대해 20도(β) 기울어진 각도를 가져 사각밀핀(18)의 이웃하는 두 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은 고정지그(50)의 상하 중심선에 대해 45도(α) 기울어진 각도를 갖고,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도 상하 중심선에 대해 45도(β) 기울어진 각도를 가져 사각밀핀(18)의 이웃하는 두 면과 밀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과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이 고정지그(50)의 상하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사각밀핀(18)의 모서리가 연마된 사상각이 변경되는 것이다.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과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이 고정지그(50)의 상하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후술할 팁부(53b,55b)를 몸체(53a,55a)에서 교체해주는 것에서 변경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는 각각 저면이 베이스(51)에 고정되는 몸체(53a,55a)와 몸체(53a,55a)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어 제1 고정부(53)의 일면과 제2 고정부(55)의 일면을 형성하며 상호 만나는 각이 90도가 되는 팁부(53b,55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53a,55a)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팁부(53b,55b)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수단은 몸체(53a,55a)에 형성되는 나사홀(a)과, 팁부(53b,55b)에 돌출 형성되며 몸체(53a,55a)의 나사홀(a)에 결합되는 나사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팁부(53b,55b)를 몸체(53a,55a)에 교체 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이면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53a,55a)에 압입홀을 형성하고 팁부(53b,55b)에 압입돌부를 형성하여 팁부(53b,55b)의 압입돌부를 몸체(53a,55a)의 압입홀에 끼움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는 연마석(40)에 의해 연마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의 상부 틈(59)으로 돌출된 사각밀핀(18)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가 함께 연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의 경도가 연마석(40)에 비해 높아야 상부 틈(59)으로 돌출된 사각밀핀(18)의 모서리 부분만 정확하게 연마할 수 있다.
지지부(61)는 공간부(57)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일측 모서리가 상부 틈(59)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각밀핀(18)의 일단을 잡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61)는 제1 지지부(63), 제2 지지부(65), 체결수단(67)을 포함한다.
제1 지지부(63)는 저면이 베이스(51)에 고정되고 일면이 공간부(57)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사각밀핀(18)의 일단 일측을 지지한다. 제1 지지부(63)는 지지볼트(64)를 매개로 베이스(5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65)는 제1 지지부(63)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각밀핀(18)의 일단 일측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일단 타측을 제1 지지부(6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제2 지지부(65)는 베이스(51)에 설치한 레일 상에서 이동하여 제1 지지부(63)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할 수 있다.
체결수단(67)은 제1 지지부(63) 및 제2 지지부(65)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제2 지지부(65)가 사각밀핀(18)의 일단 타측을 제1 지지부(63) 방향으로 밀착시킨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체결수단(67)은 제1 지지부(63) 및 제2 지지부(65)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제1 지지부(63)와 제2 지지부(65)를 관통한 체결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가 베이스(51)에 고정된 위치와 지지부(61)가 베이스(51)에 고정된 위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존재하는데, 두 구성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더 좁힐 수도 있고 이웃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각밀핀을 고정지그에 설치하고 사각밀핀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연마하고자 하는 사각밀핀(18)의 모서리의 사상량 및 사상각을 설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상량은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의 사이 상부 틈(59)의 간격으로 설정하고 사상각은 공간부(57)를 형성하는 제1 고정부(53)의 일면과 제2 고정부(55)의 일면이 만나는 각도로 설정한다.
사상량 및 사상각은 몸체(53a,55a)에 결합되는 팁부(53b,55b)의 형상 또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사상량 및 사상각을 설정하면 몸체(53a,55a)에 팁부(53b,55b)를 결합하여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를 형성하고,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를 고정볼트(54,56)로 베이스(51)에 고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3a,55a)에 팁부(53b,55b)를 결합하여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이 고정지그(50)의 상하 중심선에 대해 α(약 70)도로 기울어진 각도를 갖고,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은 상하 중심선에 대해 β(약 20)도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도록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를 형성한 후,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를 고정볼트(54,56)를 체결하여 베이스(51)에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3a,55a)에 팁부(53b,55b)를 결합하여 제1 고정부(53)의 일면(53c)이 고정지그(50)의 상하 중심선에 대해 α(약 45)도 기울어진 각도를 갖고, 제2 고정부(55)의 일면(55c)도 상하 중심선에 대해 β(약 45)도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도록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를 형성한 후,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를 고정볼트(54,56)를 체결하여 베이스(51)에 고정한다.
도 5의 (a)와 (b)는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틈(59)으로 돌출되는 사각밀핀(18)의 일측 모서리의 형상이 달라지므로 사상각이 달라지게 된다.
도 5의 (a)의 경우로 설명하면,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를 베이스(51)에 고정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사각밀핀(18)을 공간부(57)에 관통되게 배치하되 일측 모서리가 상부 틈(59)을 통해 제1 고정부(53) 및 제2 고정부(55)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다.
다음으로, 후방으로 연장된 사각밀핀(18)의 일단을 지지부(61)가 고정하도록 한다.
즉, 제1 지지부(63)에 사각밀핀(18)의 연장된 일단 일측을 지지하게 한 다음, 제2 지지부(65)를 제1 지지부(63)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지지부(63)와 제2 지지부(65)의 사이에서 사각밀핀(18)이 밀착 지지되게 한다.
다음으로, 제1 지지부(63)와 제2 지지부(65)를 관통하게 체결수단(67)을 체결하여 제2 지지부(65)가 제1 지지부(63)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각밀핀(18)을 밀착한 상태를 고정한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밀핀(18)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 틈(59)을 통해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의 상부로 돌출된 사각밀핀(18)의 일측 모서리를 연마석(40)으로 연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의 상부로 배치한 연마석(40)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부 틈(59)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사각밀핀(18)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연마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고정부(53)와 제2 고정부(55)의 경도가 연마석(40)에 비해 높으므로 상부 틈(59)을 통해 돌출된 사각밀핀(18)의 모서리 부분만 정확하게 연마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사각밀핀(18)의 일측 모서리를 연마하는 사상작업이 완료되면, 사각밀핀(18)의 나머지 세 개의 모서리도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연마하면 된다.
상술한 고정지그(50)를 이용하면 밀핀의 용도에 따라 정확한 사상량을 가지도록 사각밀핀(18)을 연마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사각밀핀(18)의 네 개의 모서리에 동일한 사상량으로 연마할 수 있어, 제품 사출시 우려되는 버(burr)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사각밀핀(18)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도 사상작업이 가능하므로 사상작업의 위험성이 감소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시간이 절약되고 인건비가 절감되어 생산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사출 금형 11: 고정측
13: 이동측 15,17: 코어
K: 제품 18,19: 밀핀
21: 밀판 30: 줄 또는 야스리
40: 연마석 50: 고정지그
51: 베이스 53: 제1 고정부
53a,55a: 몸체 53b,55b: 팁부
a: 나사홀 b: 나사부
53c: 제1 고정부의 일면 55c: 제2 고정부의 일면
55: 제2 고정부 57: 공간부
59: 상부 틈 61: 지지부
63: 제1 지지부 65: 제2 지지부
67: 체결수단

Claims (6)

  1.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저면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호 협력하여 사각밀핀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는 사각밀핀의 일측 모서리를 상부로 돌출시키는 상부 틈을 형성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공간부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일측 모서리가 상기 상부 틈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각밀핀의 일단을 잡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일면이 만나는 각은 90도로 형성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일면이 상하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사각밀핀의 사상각(연마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밀핀 연마용 지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저면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면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일면을 형성하며 상호 만나는 각이 90도가 되는 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밀핀 연마용 지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나사홀과,
    상기 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밀핀 연마용 지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저면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일면이 상기 공간부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상기 사각밀핀의 일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각밀핀의 일단 일측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일단 타측을 상기 제1 지지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사각밀핀의 일단 타측을 상기 제1 지지부 방향으로 밀착시킨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밀핀 연마용 지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연마석에 의해 연마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밀핀 연마용 지그장치.
KR1020150136691A 2015-09-25 2015-09-25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 KR20170037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691A KR20170037295A (ko) 2015-09-25 2015-09-25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691A KR20170037295A (ko) 2015-09-25 2015-09-25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95A true KR20170037295A (ko) 2017-04-04

Family

ID=5858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691A KR20170037295A (ko) 2015-09-25 2015-09-25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7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5431A (zh) * 2018-04-10 2019-10-22 广州市艺强电器有限公司 一种顶针螺旋槽自动研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5431A (zh) * 2018-04-10 2019-10-22 广州市艺强电器有限公司 一种顶针螺旋槽自动研磨装置
CN110355431B (zh) * 2018-04-10 2024-04-26 广州市艺强电器有限公司 一种顶针螺旋槽自动研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602B1 (ko) 클램핑 고정구
KR100972342B1 (ko) 금형용 핀의 헤드부를 가공하기 위한 고정 지그
KR101707385B1 (ko) 금형 가공 장치
CN102161168A (zh) 小口径非球面复合精密加工机床
CN1903502B (zh) 夹具、被加工物的制造方法及缝纫机机头的制造方法
CN104589211B (zh) 一种超薄型垫片类零件的平面磨削加工装置及其使用加工方法
JP6772212B2 (ja) 丸編み機のニードルプレート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KR20170037295A (ko) 사각밀핀 연마용 고정지그
KR101346170B1 (ko) 지그 어셈블리
CN204893505U (zh) 一种注塑模具精密加工一体化夹具
JP6858943B2 (ja) 両面加工機のロータディスクの凹部でリング状プラスチック枠を成形する方法と装置
TW201416178A (zh) 研磨刀具、三軸機台及其加工方法及殼體的加工方法
CN106624905A (zh) 一面两销带推料机构工装
KR101116564B1 (ko) 테이블 타입 면취기
KR101231227B1 (ko) 이동형 가스벤트 가공장치
KR101588301B1 (ko) 사출금형의 리브 성형장치
KR200430073Y1 (ko) 알루미늄 휠 가공용 척
CN112171455A (zh) 经编机槽针磨槽工装
KR200203134Y1 (ko) 성형물의 버어 자동 다듬질장치
KR101383297B1 (ko) 수치제어를 이용한 다축 디버링 장치
KR101083516B1 (ko) 면취기 진행방향 유지장치
KR100582189B1 (ko) 성형연삭기의 가공물 고정 치공구
CN108972070A (zh) 一种应用于斜顶以及异形工件加工的治具
CN109202481B (zh) 一种高效加工燕尾槽的夹具
KR100397989B1 (ko) 시제차량을 위한 소재가공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