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008A -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008A
KR20170037008A KR1020150136026A KR20150136026A KR20170037008A KR 20170037008 A KR20170037008 A KR 20170037008A KR 1020150136026 A KR1020150136026 A KR 1020150136026A KR 20150136026 A KR20150136026 A KR 20150136026A KR 20170037008 A KR20170037008 A KR 20170037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code image
sticker
index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로하아이디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로하아이디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로하아이디어스
Priority to KR102015013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7008A/ko
Publication of KR2017003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트코드 등이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의 코드를 인식하여 인덱스 값을 추출하여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음원의 기록 및 재생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는 코드 이미지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음원의 기록과 재생을 수행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고 코드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덱스값을 부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인덱스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인덱스값에 음성입력부의 음원 입력 신호에 따라 음원을 할당하여 음원으로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음성출력부의 음원 출력 신호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며, 본체의 버튼 입력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 음원과 음원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마이크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을 처리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입력부;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성출력부; 제어부에 명령신호를 보내는 버튼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Audio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ing sticker with code image}
본 발명은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트코드 등이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의 코드를 인식하여 인덱스 값을 추출하여 해당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음원의 기록 및 재생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책들은 그림을 위주로 하고 그림을 설명하거나 그림을 통한 스토리들을 간단히 기재하고 있다. 임의의 문자, 숫자 또는 각종 동식물 모양을 보여주는 페이지에 전자펜을 접촉하였을 경우 이에 대응되는 음성이 출력되는 형태의 것들이 나오고 있다. 기존의 CD, MP3 플레이어와는 달리 인쇄물과 연계되어 단어나, 문장 등을 인쇄물에 대한 터치로 관련된 음원을 재생하여 주는 기기로서, 각종 코드 이미지 형태로 인쇄된 인덱스 값을 인식하여 해당 인덱스가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형태의 전자펜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독서 보조기기 들의 특징은, 대부분이 바로 성우가 읽어주는 책들이라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거나 설명해 줄 시간이 없는 부모들의 역할을 대신하여 편리할 수는 있으나, 아이들이 부모의 목소리를 통해 감성, 인성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는 박탈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펜은 단순히 저장된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코드 이미지 내지 이와 연관된 인덱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녹음하고 이를 음원파일로 저장하여 재생할 수 있는 형태로도 발전하고 있다. 구현 형태는 책에 녹음 기능을 지시하는 인덱스를 갖는 코드이미지 부분과 재생 기능을 지시하는 인덱스를 별도로 책에 인쇄되어 있고, 이 부분에 전자펜을 터치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이다. 다시 말해, 이러한 기능을 가지려면, 그러한 기능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는 책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책들은 비교적 가격이 고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녹음, 재생이라는 각각의 영역이 구분되어 있고, 사용자가 유아 또는 어린이인 경우 녹음과 재생 기능을 쉽게 구분하여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요컨대, 이미 기획되어 있는 성우의 목소리가 아닌 아이에게 친근한 부모 등의 목소리를 통해 인성과 감성을 배양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기존의 기획되어 있는 책의 형태가 아니라, 어떤 형태의 책이라도 적용가능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아이의 수준에 맞게 보다 창의적으로 보다 다양성 있게 구현할 필요가 있으며, 아이 입장에서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도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64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53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53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1216호
본 발명은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기존의 어떠한 책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고 그 외 다른 사물에도 적용가능하며, 사용 편리성이 있는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는 코드 이미지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음원의 기록과 재생을 수행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고 코드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덱스값을 부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인덱스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인덱스값에 음성입력부의 음원 입력 신호에 따라 음원을 할당하여 음원으로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음성출력부의 음원 출력 신호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며, 본체의 버튼 입력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 음원과 음원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마이크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을 처리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입력부;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성출력부; 제어부에 명령신호를 보내는 버튼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에 따른 인덱스값에 할당된 음원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음성입력부를 통해 음원의 녹음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에 따른 인덱스값에 할당된 음원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음원파일이 음성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되, 재생중 상기 버튼 입력부를 통해 추가적인 녹음명령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재인식하는 경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코드 이미지에 추가 인덱스를 부여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추가 인덱스에 추가 음원을 할당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물론, 또 다른 추가 음원이 저장되는 형태로도 가능하여 하나의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에 기본 인덱스에 추가하는 인덱스를 부여하여 구현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에 따른 인덱스값이 2 이상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음원파일이 음성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되, 재생 중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재인식하는 경우 추가 음원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재인식하는 경우, 우선 재생을 종료하고 다시 상기 코드 이미지를 또 다시 한번 인식하는 경우에 추가 음원이 재생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이 재생되고, 재생 중 버튼입력부를 통해 속도조절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물론, 추가 음원의 재생에 대해서도 이러한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메모리부의 음원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재인식하거나, 상기 스티커외의 다른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음원은 재생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메모리부의 음원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상기 버튼입력부를 통해 삭제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재생되고 있는 음원과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은 메모리부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와 이를 인식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를 통해 이미 특정한 형태로 기획되어 있는 책들이 아닌 일반적인 책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의 창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사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나의 코드이미지에 하나의 음원만이 저장되어 있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하나의 스티커로도 엄마의 목소리, 아빠의 목소리 등을 모두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아이가 스티커와 본체의 터치에 의해 음원의 재생을 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터치에 의해 2 이상의 음원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을 매우 쉽게 터득할 수 있고 재생의 종료도 매우 쉽게 아이의 입장에서 수행이 가능하다. 한편, 녹음과 관련하여서는 종래의 것보다는 보다 복잡하게 한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 또한 중요한 부분인다. 예컨대 한국헤르만헤세의 제공하고 있는 책들에서는 녹음부분과 재생부분을 별개로 하고 있는데 아이가 이를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엄마가 녹음해 놓은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못 터치하여 이를 삭제하고 다른 녹음이 되어 버릴 수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코드 이미지를 통해 녹음과 재생을 수행하는 방식을 가정하더라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하나,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장된 음원의 삭제를 보다 타당한 방법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티커의 재사용의 가능성을 매우 높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 구성인 스티커와 본체를 연계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단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단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단계의 제어방법의 세부흐름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단계의 제어방법의 세부흐름도의 일예이다.
이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도면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 태양일 뿐, 하기 서술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 구성인 스티커와 본체를 연계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종래의 대부분의 관련 기술들은 책에 특정 이미지 코드를 곳곳에 심어 두고 있어 책을 만들어 내는 단가가 매우 올라간다. 본 발명의 경우 기존의 책에 대하여 이미지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스티커를 부착하고 이를 인식하여 녹음과 재생을 수행할 수 있는 본체의 간단한 구성을 통해 어떤 종류의 책이든 또는 어떤 종류의 사물이든 이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스티커에는 코드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데, 도트코드, 바코드, 기타 다양한 코드의 인쇄형태나 공지의 기술로서 인식가능한 숫자, 문자 등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예컨대, OID 코드 방식등이 사용될 수 있다. OID(Object Identity) 코드란 극히 작은 도트들로 구성되어 고유한 인덱스를 나타내는 코딩방식으로서 상기 도트 사이즈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정도로 극히 작아 인쇄 후 육안으로는 거의 인식이 되지 않고 기기로만 인식이 되며, 또한 복제가 거의 불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즉, 코드 이미지란, 이들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고유의 인덱스값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코드 이미지의 스캔은 코드 이미지와의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도 코드 이미지의 인식이 가능하다면 이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도이다. 본체는 스티커(10)의 코드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부(20), 코드 이미지의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신호처리부(30), 음성입력부(40), 메모리부(60), 음성출력부(70), 각종 명령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버튼입력부(50) 및 상기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미지센서부(20)는 상기 스티커에 인쇄되어 있는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고 그 이미지를 추출하여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신호처리부(30)는 상기 이미지센서부로부터의 정보를 받아 제어부가 처리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바꾸고 특정한 인덱스값을 부여하여 제어부에서 이를 바탕으로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제어부(1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여 여러 기능들을 제어한다. 즉, 신호처리부, 메모리부, 음성입력부, 음성출력부, 버튼입력부 등과의 연동관계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덱스값의 메모리부에의 저장,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음원의 입력과 저장, 음원의 재생, 음원의 속도조절, 음원의 삭제 등의 기능을 하게 된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메모리부에 특정 인덱스값에 대응하는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 특정 인덱스값의 음원이 없는 경우 음성입력부의 활성화, 음원이 있는 경우 음성출력부의 활성화, 본체의 명령에 따른 기능의 수행이 중요한 역할이다.
메모리부(60)는 음원의 저장,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의 저장의 역할을 한다.
음성입력부(40)는 마이크와 음향처리회로를 포함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능 음향을 처리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음성처리회로는 음향의 디지털처리의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출력부(70)는 스피커, 증폭회로 등을 포함하여 제어부로부터 명령받은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버튼입력부(50)는 다양한 명령을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어부가 수행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황에 맞게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우선 속도 조절의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기능에 대하여 이의 전환 내지 변화를 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특정 인덱스값의 음원에 대해 특정인덱스값을 지시하는 코드이미지의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재생하는 기본 기능에 대하여, 버튼입력부의 명령에 의해 재생을 종료하고 추가적인 녹음기능을 수행하게 하거나, 재생중인 음원의 삭제등이 이루어지는 등의 명령을 하는 것이다. 버튼입력부(50)의 상대적으로 다양한 명령은 아이의 부모입장에서 수행하는 것이며, 아이의 입장에서는 스티커와 본체의 접촉의 형태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형태로 본 발명은 구성되었다. 즉, 녹음의 기능의 주체는 아이가 아니라 부모가 될 것이고, 재생의 주체는 전반적으로 아이가 될 것이기 때문에, 아이가 녹음되어 있는 것들을 단순히 스티커와 본체의 접촉만으로 삭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부모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복잡해 보이는 녹음의 방식은 실제로는 매우 단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제품의 기능의 수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단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단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녹음의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과 재생단계의 특징적 부분이 있어 제어방법의 흐름에 있어 이를 나누어 설명하는 것이 보다 특징적인 부분을 위주로 쉽게 설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코드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스티커를 책이나 기타 다른 사물에 부착할 수 있다. 해당 스티커는 상기 책이나 기타 다른 사물과 연계되는 스티커가 된다. 스티커 스캔단계(S10)후에 스티커의 이미지 코드를 처리하는 단계(S20)를 통해 녹음이 실행되는 단계(S30)를 거치며, 녹음된 음원이 저장되는 단계(S40)를 거친다. 기본적인 흐름은 종래의 방식과 일반 다르지 않다. 그러나, 스티커 스캔단계(S10)와 연동되어 버튼입력단계(S11)를 통해 동일한 스티커에 대해 추가적인 인덱스값을 부여하고 추가적인 음성 녹음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종래의 방식과 다르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하나의 스티커에 대하여 2개의 음원을 저장할 수 있는 실시형태의 예로 도 5에서 일 예를 보여준다.
우선 새로운 스티커의 코드를 인식하면 이를 제어부에 전송하여 메모리부에 관련 음원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독하여 음원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음성입력부를 통해 마이크의 활성화 및 녹음을 개시하고, 녹음된 음원을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만약, 음원파일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해당 음원파일을 재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음원파일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버튼입력부에서 추가적인 녹음명령을 하는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재생이 종료하고, 다시 동일한 스티커의 이미지 코드가 스캔되어 제어부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스티커에 대한 추가인덱스 부여를 하고, 음성입력부의 활성화를 통해 녹음이 되고 이것이 저장되도록 하였다. 원래 기본적으로 부여되어 있는 인덱스값은 그대로 존재하고 그 인덱스값에 대한 음원도 그대로 존재하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녹음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스티커에 대응되는 음원은 2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하나의 스티커에 대하여 다수의 음원을 저장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의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원래 녹음되어 있는 음원에 대하여, 그 음원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에 대하여 다시 녹음을 하는 경우, 종래 음원이 없어지고 해당 인덱스값에 대한 음원은 새로이 녹음한 음원으로 대체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아이의 입장에서 엄마의 목소리 뿐만 아니라 아빠의 목소리, 할머니의 목소리도 함께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음원들과 대응되는 인덱스값은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덱스값들은 해당 스티커의 코드이미지와 관련한 집합적 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쉽다.
한편, 너무 많은 음원이 할당되는 것도 문제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음원의 재생중에 버튼입력부를 통해 삭제 명령을 내리면, 해당음원과 해당음원과 관련된 인덱스를 메모리부에서 삭제되도록 하였다. 모든 것이 삭제되는 경우, 해당 스티커는 완전히 새것의 스티커라고 볼 수 있다. 이로써 스티커의 재사용 효율이 조금은 높아질 것이다.
도 4를 보면, 스티커 스캔단계(S15), 코드 처리단계(S25), 재생실행단계(S25), 스티커의 재터치검출단계(S45)의 과정을 통해 음원의 재생 프로세스를 거친다. 종래기술의 재생과정과 별반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기본적 개념을 구체화한 도 6의 실시형태의 일예를 통해 이를 보다 구체화한 형태의 재생방법을 보여주고자 한다.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파일이 있고, 인식된 코드로 부터 수득하는 인덱스값을 제어부에서 판단하여 상기 음원파일과 대응된다면, 음원파일이 재생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음원파일의 재생중에 다시 제어부로 인덱스값의 입력이 있는 경우, 종래 기술은 다시 입력되는 인덱스값이 다른 부분의 이미지코드의 것에 대응하는 경우라면 다른 이미지 코드의 것을 재생하고, 동일한 부분의 이미지코드의 것이라면 녹음으로의 전환이라든지 또는 처음부터 다시 해당음원의 반복을 하는 등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스티커에 대한 이미지코드를 재인식하는 경우, 재생을 종료하고, 또 다시 한번 상기 이미지 코드의 재인식이 있는 경우에는 2 이상의 음원이 동일한 스티커의 이미지코드와 관련하여 존재한다면, 그 다음의 음원을 재생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또는 처음의 코드 재인식 때 바로 그 다음 음원을 재생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즉, 만약, 엄마의 음원, 아빠의 음원, 할머니의 음원이 있는 경우, 동일 스티커에 본체를 처음 접촉하면 엄마의 음원이 재생되고, 다시 접촉하면, 아빠의 음원이 재생되며, 또 다시 접촉하면 할머니의 음원이 재생되는 형태이다.
한편, 음원파일의 재생중에 버튼입력부를 통해 속도 조절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아이의 입장에서 본체의 조작은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속도조절의 부분은 화살표의 위아래, 또는 양 옆으로 화살표를 함으로써 아이의 입장에서도 그리 어렵지 않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스티커 20 : 이미지센서부
30 : 신호처리부 40 : 음성입력부
50 : 버튼입력부 60 : 메모리부
70 : 음성출력부 100 : 제어부

Claims (7)

  1.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는 코드 이미지를 구비하고, 상기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음원의 기록과 재생을 수행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스캔하고 코드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덱스값을 부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인덱스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인덱스값에 음성입력부의 음원 입력 신호에 따라 음원을 할당하여 음원으로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음성출력부의 음원 출력 신호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며, 본체의 버튼 입력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
    음원과 음원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마이크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을 처리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성입력부;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성출력부;
    제어부에 명령신호를 보내는 버튼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에 따른 인덱스값에 할당된 음원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음성입력부를 통해 음원의 녹음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에 따른 인덱스값에 할당된 음원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음원파일이 음성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되, 재생중 상기 버튼 입력부를 통해 추가적인 녹음명령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재인식하는 경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코드 이미지에 추가 인덱스를 부여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추가 인덱스에 추가 음원을 할당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에 따른 인덱스값이 2 이상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음원파일이 음성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되, 재생 중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재인식하는 경우 추가 음원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이 재생되고, 재생 중 버튼입력부를 통해 속도조절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메모리부의 음원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상기 이미지 센서부가 상기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재인식하거나, 상기 스티커외의 다른 스티커의 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음원은 재생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메모리부의 음원이 재생되고 있는 중에, 상기 버튼입력부를 통해 삭제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재생되고 있는 음원과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인덱스값은 메모리부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50136026A 2015-09-25 2015-09-25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KR20170037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026A KR20170037008A (ko) 2015-09-25 2015-09-25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026A KR20170037008A (ko) 2015-09-25 2015-09-25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008A true KR20170037008A (ko) 2017-04-04

Family

ID=5858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026A KR20170037008A (ko) 2015-09-25 2015-09-25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70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56B1 (ko) 2020-06-12 2021-06-29 주식회사 알로하아이디어스 북코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397B1 (ko) 2004-09-10 2006-07-28 (주)참빛기술 전자 펜을 사용한 다중 구조 컨텐츠용 음성 학습기
KR100606464B1 (ko) 2004-01-27 2006-08-01 박인규 인쇄출판물및 화상정보등에 부가된 코드이미지에 의해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방법
KR20090081216A (ko) 2008-01-23 2009-07-28 이상래 바코드를 이용한 음성재생장치
KR101085318B1 (ko) 2009-07-24 2011-11-22 김현기 음성 입출력 기능을 갖는 서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464B1 (ko) 2004-01-27 2006-08-01 박인규 인쇄출판물및 화상정보등에 부가된 코드이미지에 의해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방법
KR100605397B1 (ko) 2004-09-10 2006-07-28 (주)참빛기술 전자 펜을 사용한 다중 구조 컨텐츠용 음성 학습기
KR20090081216A (ko) 2008-01-23 2009-07-28 이상래 바코드를 이용한 음성재생장치
KR101085318B1 (ko) 2009-07-24 2011-11-22 김현기 음성 입출력 기능을 갖는 서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56B1 (ko) 2020-06-12 2021-06-29 주식회사 알로하아이디어스 북코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535B1 (ko) 패턴으로서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44627A (ko)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지능형광학펜 및 그 동작방법
KR101789057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자동 오디오 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595417A (zh) 用于音频书和语音卡的播放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727587B1 (ko) 디지털 녹취 파일 녹취록 생성 방법
CN202976538U (zh) 一种图像点读播放系统
KR20170037008A (ko)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KR100583920B1 (ko) 표정인식 기능을 갖는 로봇을 이용한 네트워크 지원용 로봇 시스템
KR101467852B1 (ko)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물을 이용하는 전자펜의 악기 연주 음향재생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펜
KR20150139750A (ko) 단어 학습 장치,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101432801B1 (ko) 전자펜의 원 터치 음향 녹음 및 재생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펜
JP5608847B2 (ja) 情報読取出力装置および情報読取出力システム
KR102270856B1 (ko) 북코드 스티커를 이용한 음원 기록 및 재생 시스템
KR20060116432A (ko) 점자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KR101994086B1 (ko) 목소리가 변경되는 이야기 들려주기 시스템 및 방법
JP6422647B2 (ja) 二次元コード記録方法及び該二次元コードの読み取り装置
JP4670553B2 (ja) コンテンツ記憶装置
TWI392983B (zh) 利用音調的自動控制方法及其裝置
JP4465221B2 (ja) 音声データ要約システムとそのプログラム
KR20120015854A (ko) 패턴코드를 인식하는 완구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18424B1 (ko)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조건을 코딩하는 코딩 장치 및 방법
JP6664022B1 (ja) 音物語生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345548B1 (ko) 콘텐츠의 재생 조건을 설정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642168B1 (ko) 전자펜 및 전자펜을 이용한 반주기계 조작 장치
KR102308026B1 (ko) 학습 증진용 전자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