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902A -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902A
KR20170036902A KR1020150135299A KR20150135299A KR20170036902A KR 20170036902 A KR20170036902 A KR 20170036902A KR 1020150135299 A KR1020150135299 A KR 1020150135299A KR 20150135299 A KR20150135299 A KR 20150135299A KR 20170036902 A KR20170036902 A KR 20170036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put shaft
vehicle
engaged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149B1 (ko
Inventor
윤영민
정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149B1/ko
Priority to US15/041,854 priority patent/US10151388B2/en
Priority to DE102016102584.4A priority patent/DE102016102584B4/de
Priority to CN201610124107.6A priority patent/CN106555875B/zh
Publication of KR2017003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48Inputs being a function of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0Controlling shift hystere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6/00Shi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기술의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은 가속페달의 개도량을 센싱하는 단계; 센싱단계 수행결과, 개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DCT의 R단 기어와 2단 기어가 체결가능한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단계 수행결과,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된 경우, 차량을 R단 기어의 해제를 방지하는 주차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저속으로 후진주행과 전진주행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러치주행 시, 잦은 기어변속에 따른 소음 및 응답성 저하를 방지하는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변속기의 운전 편의성과 수동변속기의 연비성능 및 높은 동력 효율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자동화 수동 변속기(AMT 또는 DCT)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DCT(Dual Clutch Trasmission)가 탑재된 차량은 기어 변속이 완료된 후, 클러치를 작동하여 주행 및 변속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R단 기어는 페일-세이프(Fail-safe)의 이유로 변속레버가 R레인지로의 전환이 완료된 후 체결되며, 이후 클러치가 동작한다. 즉, 변속레버가 R레인지로 전환된 경우, R단 기어를 체결한 다음, 클러치를 작동하기 때문에 주행 응답성 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DCT가 탑재된 차량은 전진 주행 시에는 비구동 출력축에 R단 기어 체결을 해제하고, 2단 기어를 체결하는 프리셀릭팅을 실시한다. 따라서, R-D, D-R 러치 주행모드에서는 R단 기어가 수시로 체결/해제를 반복하게 되어 주행 응답성 지연 및 과다한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046856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저속으로 후진주행과 전진주행이 반복적으로 실시되는 러치주행 상황에 있어서, R단 기어의 체결/해제에 따른 소음 및 응답성 저하를 방지하는 변속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은 가속페달의 개도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단계 수행결과, 상기 개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DCT의 R단 기어와 2단 기어가 체결가능한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단계 수행결과, 상기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된 경우, 차량을 R단 기어의 해제를 방지하는 주차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모드는 변속레버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로 전환되더라도 입력축에 R단 기어를 체결 유지시키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단계 수행결과, 상기 개도량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인단계 수행결과, 상기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단계 수행 전, DCT의 R단 기어와 2단 기어가 체결가능한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이 2단 기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2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센싱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2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된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행모드는 변속레버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로 전환될 시 입력축에 2단 기어를 체결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DCT가 탑재된 차량이 러치주행을 실시할 때, 차량 상태에 따라 R단 기어의 체결을 유지함으로써 잦은 R단 기어 체결 및 해제에 따른 소음 및 주행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모드별 기어체결을 도시한 표이다.
도 3은 주차모드 적용 시의 기어체결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주행모드 적용 시의 기어체결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은 가속페달의 개도량을 센싱하는 단계(S20); 상기 센싱단계(S20) 수행결과, 상기 개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DCT의 R단 기어와 2단 기어가 체결가능한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을 확인하는 단계(S30); 및 상기 확인단계(S30) 수행결과, 상기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된 경우, 차량을 R단 기어의 해제를 방지하는 주차모드로 제어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는 운전자가 후진주행의 의지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써 가속페달의 개도량을 센싱한다. 즉, 차량의 가속페달센서(APS: Acceleration Pedal Sensor)로부터 가속페달의 개도량을 센싱하고, 센싱된 가속페달 개도량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만약, 가속페달의 개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시킬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주차모드의 실시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확인단계(S30)를 실시한다. 여기서, 기준값는 가속페달의 스트로크가 50%일 경우의 가속페달의 개도량일 수 있다. 즉, 가속페달의 스트로크가 50% 이하일 경우에는 운전자가 전진주행을 실시할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50% 초과일 경우에는 운전자가 전진주행의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차량 또는 설계자에 따라 가변되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확인단계(S30) 시, R단 기어와 2단 기어가 체결가능한 입력축은 짝수단 입력축으로 설정될 수 있는바, 짝수단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짝수단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이 R단 기어인 경우, R단 기어의 해제를 방지하는 주차모드 제어를 실시한다(S40).
구체적으로, 상기 주차모드는 변속레버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로 전환되더라도 입력축에 R단 기어를 체결 유지시키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변속레버가 D레인지 또는 N레인지로 전환되면 제어부는 전진주행에 대비하여 2단 기어를 프리셀렉팅하는 제어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본 기술에서 제어부는 가속페달의 개도량이 기준값 이하이고, 짝수단 입력축에 R단 기어가 체결된 경우라면, 운전자가 후진주행을 지속하는 상황이라 판단하여 변속레버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로 전환되더라도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저속 러치(Lurch)주행 시,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해제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R단 기어 체결/해제에 따른 주행 응답성 지연현상 또한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단계(S20) 수행결과, 상기 개도량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단계(S30) 수행결과, 상기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가속페달의 개도량이 기준값보다 크거나, 가속페달의 개도량이 기준값보다는 작지만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운전자가 후진주행을 유지할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주행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기술은 상기 센싱단계(S20) 수행 전, DCT의 R단 기어와 2단 기어가 체결가능한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이 2단 기어인지 판단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S10) 수행결과, 상기 2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센싱단계(S2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판단단계(S10) 수행결과, 상기 2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된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센싱단계(S20)를 수행하기에 앞서 2단 기어가 짝수단 입력축에 체결되었는지 확인하고, 2단 기어가 체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전진주행의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바로 차량을 주행모드로 제어한다. 반면, 2단 기어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센싱단계(S20)를 실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의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모드는 변속레버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로 전환될 시 입력축에 2단 기어를 체결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차량을 주행모드로 제어할 경우라면, 변속레버가 N 또는 D레인지로 조작되면 운전자가 전진주행의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짝수단 입력축에 2단 기어를 체결함으로써 차량의 2단 주행에 대비하는 프리셀렉팅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모드별 기어체결을 도시한 표이고, 도 3은 주차모드 적용 시의 기어체결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4는 주행모드 적용 시의 기어체결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가 차량을 주차모드로 제어하여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변속레버의 위치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인 경우에 짝수단 입력축에 R단 기어를 체결한다. 반대로 차량을 주행모드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변속레버의 위치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인 경우에 짝수단 입력축에 2단 기어를 체결하여 전진 주행에 대비한다.
도 3에서는 주차모드로 차량이 주행되는바, 변속레버의 위치가 변동하여도 짝수단 입력축 측의 기어 체결상태와 짝수단 클러치의 스트로크값이 변동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주행모드로 차량이 주행되는바, 변속레버의 위치 변동에 따라 짝수단 입력축 측의 R단 기어가 체결/해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DCT가 탑재된 차량이 러치주행을 실시할 때, 차량 상태에 따라 R단 기어의 체결을 유지함으로써 잦은 R단 기어 체결 및 해제에 따른 소음 및 주행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 판단단계
S20: 센싱단계
S30: 확인단계
S40: 제어단계

Claims (7)

  1. 가속페달의 개도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단계 수행결과, 상기 개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DCT의 R단 기어와 2단 기어가 체결가능한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단계 수행결과, 상기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된 경우, 차량을 R단 기어의 해제를 방지하는 주차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모드는 변속레버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로 전환되더라도 입력축에 R단 기어를 체결 유지시키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단계 수행결과, 상기 개도량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 수행결과, 상기 R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단계 수행 전, DCT의 R단 기어와 2단 기어가 체결가능한 입력축에 체결된 기어단이 2단 기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2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센싱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2단 기어가 입력축에 체결된 경우, 차량을 2단 기어의 체결에 대비하는 주행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7. 청구항 3, 4 또는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는 변속레버가 N레인지 또는 D레인지로 전환될 시 입력축에 2단 기어를 체결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KR1020150135299A 2015-09-24 2015-09-24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KR10179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99A KR101795149B1 (ko) 2015-09-24 2015-09-24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US15/041,854 US10151388B2 (en) 2015-09-24 2016-02-11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or vehicle
DE102016102584.4A DE102016102584B4 (de) 2015-09-24 2016-02-15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Getriebes für ein Fahrzeug
CN201610124107.6A CN106555875B (zh) 2015-09-24 2016-03-04 用于控制车辆变速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99A KR101795149B1 (ko) 2015-09-24 2015-09-24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902A true KR20170036902A (ko) 2017-04-04
KR101795149B1 KR101795149B1 (ko) 2017-11-08

Family

ID=5828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299A KR101795149B1 (ko) 2015-09-24 2015-09-24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51388B2 (ko)
KR (1) KR101795149B1 (ko)
CN (1) CN106555875B (ko)
DE (1) DE10201610258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569B1 (ko) * 2017-09-25 2021-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856A (ko) 2012-10-11 2014-04-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무장 장치 및 이의 조준 각도 보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6625B2 (ja) * 2004-11-30 2011-01-19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自動変速制御装置
DE102005061078A1 (de) 2005-01-15 2006-07-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JP4941833B2 (ja) 2007-08-17 2012-05-30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装置
FR2947880B1 (fr) * 2009-07-09 2011-07-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piloter une boite de vitesses
KR101103874B1 (ko) 2009-09-03 2012-0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JP2011179604A (ja) 2010-03-02 2011-09-15 Honda Motor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110105636A (ko) 2010-03-19 2011-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 차량의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133959A (ko) 2011-05-31 2012-12-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듀얼 변속 클러치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73628B1 (ko) * 2011-09-19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836523B1 (ko) * 2012-10-18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dct 제어방법
KR101438616B1 (ko) 2012-12-12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후진 변속 쇼크를 저감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856A (ko) 2012-10-11 2014-04-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무장 장치 및 이의 조준 각도 보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55875B (zh) 2019-11-01
US20170089457A1 (en) 2017-03-30
DE102016102584A1 (de) 2017-03-30
KR101795149B1 (ko) 2017-11-08
DE102016102584B4 (de) 2021-11-04
CN106555875A (zh) 2017-04-05
US10151388B2 (en)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4644B2 (en) Vehicle shift control device
US9453575B2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US20150258982A1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KR10256534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KR20190082608A (ko) Dct 차량의 가속 제어 방법
KR102030144B1 (ko) Dc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JP5131126B2 (ja)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67381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US10479351B2 (en) Downshift control method for hybrid DCT vehicle
JP2014201220A (ja)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KR101795149B1 (ko) 차량용 변속기 제어방법
CN110803155A (zh) 具有双离合变速器的混合动力车辆的换挡控制方法
US9664277B1 (en) Control method of dual clutch transmission for vehicle and control system for the same
JP2014094596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592973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1694019B1 (ko) Dct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7809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KR102262136B1 (ko) 하이브리드 dct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KR102019322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JP2014054952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1114459B1 (ko) 자동변속기용 파워 오프 다운 시프트 제어방법
JP2007016921A (ja) スイッチバック制御装置
KR20150025213A (ko) 토크 어시스트를 갖는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20110116589A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가지는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제어 방법
KR101714260B1 (ko)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