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252A -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252A
KR20170036252A KR1020150135189A KR20150135189A KR20170036252A KR 20170036252 A KR20170036252 A KR 20170036252A KR 1020150135189 A KR1020150135189 A KR 1020150135189A KR 20150135189 A KR20150135189 A KR 20150135189A KR 20170036252 A KR20170036252 A KR 20170036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ransmittance
weight
thermoplastic resin
visi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984B1 (ko
Inventor
허재준
우인섭
박주태
김명욱
박철민
김진원
임영훈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솔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솔루시스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9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08K5/5357Esters of phosphonic acids 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 저하 없이 염료 및 안료 조합으로 가시광선을 차폐하고, 적외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0~99.89중량%;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0.1~5중량%; 및 흑색 염료를 포함하는 염안료 0.0001~5중량%;를 포함하여, 난연성 등급(UL-94 시험)이 V-0이고, 가시광선(300nm 이상, 700nm 미만 파장 영역) 투과율이 5% 이하이고, 적외선(700nm 이상 파장 영역) 투과율이 85%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O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NFRARED TRANSMITTANCE AND VISIBLE LIGHT SHIELDING RAT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컨트롤러 분야는 전통적으로 TV, 가전제품, 자동차 내장재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드론 컨트롤러, 무선 조종 헬기, 무선 조종 자동차 등 레저 영역으로 적용 분야를 넓히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투명 수지로서 적외선 투과율이 우수하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난연 성능이나 표면 슬립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난연제를 첨가하거나, 다른 수지와 공중합 등을 할 경우 투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난연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난연제나 불화올레핀 등이 첨가될 경우 투명성이 저하되고, 가시광선 및 적외선 파장대가 일부 차폐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표면 슬립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실록산 코폴리머 등을 제조할 경우에도 투명성이 저하되고, 가시광선 및 적외선 파장대가 일부 차폐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9060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적외선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초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와 방향족 포스페이트, 불화올레핀을 변량한 기술을 개시하면서, 적외선 투과율 측정에 있어 실제적인 투과율 측정 대신 리모콘 작동 거리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실제 제품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안료나 염료를 이용하여 착색할 경우 리모콘 작동 거리가 단축되고, 적외선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458053호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코폴리머, 다크 칼라 염료를 포함하는 염료 조합으로 적외선 투과율이 65%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코폴리머 조합에서는 기초 수지의 투과율이 저하되며 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 저하 없이 염료 및 안료 조합으로 가시광선을 차폐하고, 적외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0~99.89중량%;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0.1~5중량%; 및 흑색 염료를 포함하는 염안료 0.0001~5중량%;를 포함하여, 난연성 등급(UL-94 시험)이 V-0이고, 가시광선(300nm 이상, 700nm 미만 파장 영역) 투과율이 5% 이하이고, 적외선(700nm 이상 파장 영역) 투과율이 85%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은 디페닐설폰-3-설폰산나트륨, 디페닐설폰-3-설폰산칼륨, 4,4'-디브로모디페닐-설폰-3-설폰산나트륨, 4,4'-디브로모디페닐-설폰-3-설폰산칼륨, 4-클로로-4'-니트로디페닐설폰-3-설폰산칼슘, 디페닐설폰-3,3'-디설폰산디나트륨 및 디페닐설폰-3,3'-디설폰산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흑색 염료는 솔벤트 레드 179(Solvent red 179, CAS No. 89106-94-5), 솔벤트 그린 3(Solvent Green 3, CAS No. 128-80-3) 및 솔벤트 그린 26(Solvent green 28, CAS No. 28198-0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안료는 황색 염료인 솔벤트 옐로우 114(Solvent yellow 114, CAS No. 75216-45-4 또는 7576-65-0) 및 자색 염료인 솔벤트 바이올렛 36(Solvent violet 36, CAS No. 61951-89-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흑색 염료에 대한 상기 황색 염료 및 상기 자색 염료의 중량비는 각각 1:1~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최적 조성의 난연제와 염안료를 함유함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인 300nm 이상, 700nm 미만의 파장대는 거의 흡수하고, 적외선 영역인 700nm 이상의 파장대는 90% 이상 투과하는 우수한 적외선 투과율과 가시광선 차폐율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대한 투과율(가시광선, 적외선)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비교예 1, 4, 5 및 6에 따라 제조된 시편에 대한 투과율(가시광선, 적외선)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난연 성능이나 슬립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성분에 따라 투명성 저하, 가시광선 및 적외선 파장대 차폐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결과가 보고되지 않은 상황을 직시하고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난연제와 염안료를 최적 함량으로 첨가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 저하 없이 향상된 난연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대비 월등히 우수한 적외선 투과율과 가시광선 차폐율을 구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0~99.89중량%;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0.1~5중량%; 및 흑색 염료를 포함하는 염안료 0.0001~5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등급(UL-94 시험)이 V-0이고, 가시광선(300nm 이상, 700nm 미만 파장 영역) 투과율이 5% 이하이고, 적외선(700nm 이상 파장 영역) 투과율이 85% 이상인 특성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300nm 이상, 700nm 미만 파장 영역) 투과율이 2% 이하이고, 적외선(700nm 이상 파장 영역) 투과율이 90% 이상인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유연성,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며, 내후성이 뛰어나 장기간 높은 물성을 유지하고, 내열성 및 내한성이 뛰어나 심한 온도 변화에도 성능을 유지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에이의 중합체로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4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000~35,000일 수 있다. 또한 분지쇄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 전량에 대하여 0.05~2몰%의 트리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예를 들면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지수(220℃, 10kg 하중)가 3~28g/10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g/10min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용융지수가 3g/10min 미만일 경우에는 가공온도가 높아져 성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28g/10min을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조방법을 따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분자량 조절제 및 촉매의 존재 하에서 디히드록시페놀(dihydroxy phenol)과 포스겐(phosgen)을 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디히드록시페놀(dihydroxy phenol)과 디페닐카보네이트(diphenyl carbonate)에 의해 얻어지는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 교환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후술하는 난연제 및 염안료의 최적 첨가량을 고려하여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90~99.89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98~99.8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B)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은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난연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후술하는 염안료와 조합 시 그 난연 성능에 저하가 없고 또한, 최종 수지 조성물의 향상된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 특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난연제로서 유기화된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충격강도 저하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가시광선 및 적외선이 모두 차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을 사용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으로는 예컨대, 디페닐설폰-3-설폰산나트륨, 디페닐설폰-3-설폰산칼륨, 4,4'-디브로모디페닐-설폰-3-설폰산나트륨, 4,4'-디브로모디페닐-설폰-3-설폰산칼륨, 4-클로로-4'-니트로디페닐설폰-3-설폰산칼슘, 디페닐설폰-3,3'-디설폰산디나트륨, 디페닐설폰-3,3'-디설폰산디칼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페닐설폰-3-설폰산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0.1~5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1~1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성이 부족하게 되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C) 염안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안료는 흑색 염료로서 특정한 흑색 염료의 조합을 통해 가시광선(300nm 이상, 700nm 미만 파장 영역) 투과율이 5% 이하이고, 적외선(700nm 이상 파장 영역) 투과율이 85% 이상으로서, 기존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을 갖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난연제 사용으로 인해 향상된 난연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흑색 염료의 조합은 상호 보색 관계에 있는 염료 및 안료의 조합으로 기초 수지에 착색되어 육안으로 판단하기에 흑색 계열을 나타낸다. 여기서 표현하는 '흑색 계열'은 극단적으로 모든 파장대를 차단하는 흑색이 아니고, 육안으로 판단하기에 흑색 계열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적색을 띄는 흑색, 청색을 띄는 흑색, 녹색을 띄는 흑색, 자색을 띄는 흑색으로 표현 가능하다.
이러한 흑색 염료의 조합으로서 본 발명은 솔벤트 레드 179(Solvent red 179, CAS No. 89106-94-5), 솔벤트 그린 3(Solvent Green 3, CAS No. 128-80-3) 및 솔벤트 그린 26(Solvent green 28, CAS No. 28198-05-2)을 포함할 경우 상기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염안료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0.0001~5중량% 함량으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염안료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가시광선 영역을 완전히 차폐하기 어렵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 표면으로 용출되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수지 조성물의 보다 향상된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흑색 염료에 더하여 황색 염료 및 자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황색 염료로는 솔벤트 옐로우 114(Solvent yellow 114, CAS No. 75216-45-4 또는 7576-6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색 염료로는 솔벤트 바이올렛 36(Solvent violet 36, CAS No. 61951-89-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황색 염료 및 자색 염료의 첨가 비율은 상기 흑색 염료에 대한 중량비(흑색 염료:황색 염료 또는 흑색 염료:자색 염료)로 각각 1:1~10:1인 것이 바람직하고, 4:1~6: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그 목적하는 용도나 효과에 적합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하방지제, 광안정제, 활제, 조색제, 윤활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커플링 강화제, 열안정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등을 상기 (A) 내지 (C) 성분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여 다양한 용도로 응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비롯한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33,000 및 용융지수(220℃, 10㎏f)가 10g/10min인 비스페놀 A형의 폴리카보네이트(Hopelex PC-1100S, 롯데케미칼)를 사용하였다.
(B)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ARICHEM사의 KSS-FR(디페닐설폰-3-설폰산나트륨)을 사용하였다.
(C) 염안료
흑색 염료로 Solusys사의 Black JLB(C-1, Solvent red 179, Solvent Green 3 및 Solvent green 28 함유), Solusys사의 Black LB(C-2), Solusys사의 Black EKB(C-3) 및 Solusys사의 Black EKR(C-4)을 사용하였고, 황색 염료로 Solusys사의 Yellow EG(C-5, Solvent yellow 114 함유)를 사용하였고, 자색 염료로 Solusys사의 Violet 3R(C-6, Solvent violet 36 함유)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9.71중량%,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0.2중량% 및 Black JLB(C-1) 0.09중량% 비율로 정량하여 혼합하고, 270℃~300℃로 가열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칩 상태로 만든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110℃에서 4시간 건조한 후 시편 제작용 몰드를 사용하여 시편을 사출 성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99.67중량%로 조절하고, Yellow EG(C-5) 0.02중량% 및 Violet 3R(C-6) 0.02중량%를 추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99.91중량%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9.791중량% 및 Black JLB(C-1) 0.009중량%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8.7중량% 및 Black JLB(C-1) 1.1중량%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Black JLB(C-1) 대신 Black LB(C-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Black JLB(C-1) 대신 Black EKB(C-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Black JLB(C-1) 대신 Black EKR(C-4)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난연성, 용출성 및 투과율(가시광선, 적외선)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난연성
3.2㎜로 사출된 시편을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항온실 내에서 72시간 방치하고, 미국 보험협회 안전시험소가 정하고 있는 UL94 시험(기기의 부품용 플라스틱 재료의 연소성 시험)에 준거한 난연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난연 등급은 V-0, V-1, V-2 및 HB로 나누어진다.
(2) 용출성
3.0㎜로 사출된 시편과 동일한 크기의 EPDM 고무 시편을 맞대어 80℃ 열풍건조기에서 4시간 방치 후 육안으로 확인하여 EPDM 고무 시편으로 염료나 안료의 용출 여부를 평가하였다.
(3) 투과율(가시광선, 적외선)
1.0㎜로 사출된 시편에 대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및 염안료를 최적 조성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경우(실시예 1 및 2),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면서 가시광선 영역인 300nm 이상, 700nm 미만의 파장대는 거의 흡수하고, 적외선 영역인 700nm 이상의 파장대는 90% 이상 투과하는 우수한 적외선 투과율과 가시광선 차폐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1)에는 난연성이 좋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염료의 조합을 이용하더라도 그 함량이 너무 적거나 많을 경우(비교예 2 및 3)에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급격히 높아지거나 적외선 투과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흑색 염료의 조합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4 내지 6)에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아질 뿐 아니라 적외선 투과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0~99.89중량%;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 0.1~5중량%; 및
    흑색 염료를 포함하는 염안료 0.0001~5중량%;
    를 포함하여, 난연성 등급(UL-94 시험)이 V-0이고, 가시광선(300nm 이상, 700nm 미만 파장 영역) 투과율이 5% 이하이고, 적외선(700nm 이상 파장 영역) 투과율이 85%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설폰설폰산 금속염은 디페닐설폰-3-설폰산나트륨, 디페닐설폰-3-설폰산칼륨, 4,4'-디브로모디페닐-설폰-3-설폰산나트륨, 4,4'-디브로모디페닐-설폰-3-설폰산칼륨, 4-클로로-4'-니트로디페닐설폰-3-설폰산칼슘, 디페닐설폰-3,3'-디설폰산디나트륨 및 디페닐설폰-3,3'-디설폰산디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염료는 솔벤트 레드 179(Solvent red 179, CAS No. 89106-94-5), 솔벤트 그린 3(Solvent Green 3, CAS No. 128-80-3) 및 솔벤트 그린 26(Solvent green 28, CAS No. 28198-0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안료는 황색 염료인 솔벤트 옐로우 114(Solvent yellow 114, CAS No. 75216-45-4 또는 7576-65-0) 및 자색 염료인 솔벤트 바이올렛 36(Solvent violet 36, CAS No. 61951-89-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염료에 대한 상기 황색 염료 및 상기 자색 염료의 중량비는 각각 1:1~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150135189A 2015-09-24 2015-09-24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5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89A KR101753984B1 (ko) 2015-09-24 2015-09-24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89A KR101753984B1 (ko) 2015-09-24 2015-09-24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252A true KR20170036252A (ko) 2017-04-03
KR101753984B1 KR101753984B1 (ko) 2017-07-04

Family

ID=5858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189A KR101753984B1 (ko) 2015-09-24 2015-09-24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9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493A1 (ko)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KR20190038376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WO2019221408A1 (ko) * 2018-05-15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성형품
WO2021043968A1 (en) 2019-09-04 2021-03-1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Infrared transpar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CN114381109A (zh) * 2020-10-21 2022-04-22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可透过红外光的聚碳酸酯组合物
CN115044183A (zh) * 2022-06-16 2022-09-13 苏州丰盈工程塑胶有限公司 一种红外线可穿透的透明黑色pc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4098A (ja) 2009-09-29 2011-04-14 Sumitomo Dow Ltd 漆黒性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12082354A (ja) * 2010-10-13 2012-04-26 Sumika Styron Polycarbonate Ltd 難燃性および漆黒性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493A1 (ko)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KR20190038376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US11155694B2 (en) 2017-09-29 2021-10-26 Lg Chem,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molded article composed thereof
WO2019221408A1 (ko) * 2018-05-15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성형품
US11591475B2 (en) 2018-05-15 2023-02-28 Lg Chem,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molded product including the same
WO2021043968A1 (en) 2019-09-04 2021-03-1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Infrared transpar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CN114381109A (zh) * 2020-10-21 2022-04-22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可透过红外光的聚碳酸酯组合物
CN115044183A (zh) * 2022-06-16 2022-09-13 苏州丰盈工程塑胶有限公司 一种红外线可穿透的透明黑色pc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984B1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984B1 (ko) 적외선 투과율 및 가시광선 차폐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96377B1 (ko) 매우 낮은 색과 높은 투광도를 나타내는 폴리술폰 조성물과 이들로 제조된 물품
TWI577731B (zh) 具有吸熱性質之聚合物組成物
CN105579503A (zh) 用于建筑材料的聚烯烃组合物
JP6457948B2 (ja) 有機着色剤および良好な加工特性を有する着色ポリマー組成物
JP2013505349A (ja) 難燃性であり、光学的に透明な熱可塑性成形組成物
JP7054105B2 (ja) レーザー溶着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溶着体
CN103502340A (zh) 颜色稳定的 led-基材
JP7374840B2 (ja) 波長選択透過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1497376B1 (en) Polyarylethersulfone compositions exhibiting reduced yellowness and high light transmittance properti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2179473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US11091604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and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same
CN112654670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和包含该聚碳酸酯树脂组合物的光学模制品
KR20130124946A (ko)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것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필름, 플레이트, 및 사출 성형품
KR101838171B1 (ko) 열 차단 투명 시트 및 제조방법
CN108264751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使用其的模制品
KR101956806B1 (ko) 난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820244B1 (ko) 난연성 및 광차단 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TW201336930A (zh) 屋外設置用透明成形體
EP3702409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molded product including the same
CN114031921B (zh) 一种绿色耐候的无卤阻燃pc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7002169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樹脂シート
US20170002177A1 (en) Uv-stabilized polysulfones-v4
TWI614304B (zh) 一種抗gamma-ray照射黃變之聚碳酸酯塑料組合物的用途
KR20220059504A (ko) 적외선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