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924A - 히알루론산 및 카르노신으로부터 수득된 유도체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 및 카르노신으로부터 수득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924A
KR20170035924A KR1020177002648A KR20177002648A KR20170035924A KR 20170035924 A KR20170035924 A KR 20170035924A KR 1020177002648 A KR1020177002648 A KR 1020177002648A KR 20177002648 A KR20177002648 A KR 20177002648A KR 20170035924 A KR20170035924 A KR 2017003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nosine
hyaluronic acid
compound according
formula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087B1 (ko
Inventor
세바스티아노 슈토
발렌티나 그레코
엔리코 리짜렐리
프란체스코 벨리아
발레리아 란짜
수잔나 바카로
루치아노 메시나
Original Assignee
콘시글리오 나치오날레 델레 리체르체
세바스티아노 슈토
피디아 파마슈티치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시글리오 나치오날레 델레 리체르체, 세바스티아노 슈토, 피디아 파마슈티치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콘시글리오 나치오날레 델레 리체르체
Publication of KR2017003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47/482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17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6026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 i.e. Gly or A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61K47/4803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2Carboxylic acids, e.g. a fatty acid or an 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hist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5Peptide, protein hydrolys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카르노신과의 히알루론산의 관능화에 의해 수득된, 식 (1)을 가지는 카르노신 (β-알리닐-L-히스티딘)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 및 카르노신으로부터 수득된 유도체{DERIVATIVES OBTAINED FROM HYALURONIC ACID AND CARNOSINE}
본발명은 카르노신을 사용한 히알루론산의 관능화에 의해 수득된, 식 (1)을 가지는 카르노신 (β-알리닐-L-히스티딘)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발명은 식 (1)을 가지는 화합물
Figure pct00001
(1)
즉 2-(3-아미노프로판아미드)-3-(1H-이미다졸-4-일)프로판산, 또는 히알루로닐-카르노신 또는 3-(1H-이미다졸-4-일)-2-(3-히알루론아미도프로판아미드)프로판산의 공액화된 3-N-히알루로닐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나타낸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은 식 (2)을 가지는 카르노신 디펩티드
Figure pct00002
및 히알루론산 사이의 컨쥬게이트이고, 여기서 컨쥬게이션은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 기에서 보호된 카르노신의 NH2 기와, 히알루론산,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의 활성 유도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3)을 가지는 COX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 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의 형성에 의해 수득된다
Figure pct00003
본발명은 또한 2-(3-아미노프로판아미드)-3-(1H-이미다졸-4-일)프로판산 (HyCar)의 공액화된 3-N-히알루로닐의 제조를 위한 공정, 및 항산화제, 상처치료, 킬레이팅, 위장보호 (Zn2 +와의 복합체로서), 당조절, 면역조절, 항종양, 유전독성억제, 신경보호, 항-당화, 항피브릴로겐 활성, 중추신경계의 항-노화 활성, 국소빈혈/재관류로 인한 손상에 대한 보호 활성, 신장보호, 간장-보호 활성을 가지는 제약학적, 화장품 및 건강기능성 용도를 위한 이를 함유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세포 호흡 과정은 생물학적 거대분자 가령 단백질, DNA 및 지질과 함께 이를 손상시키면서 반응할 수 있는 중요한 및 잠재적으로 위험한 부산물: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O2 ㆍ-를 발생시키고, 세포 시스템에 대해 잠재적으로 공격적인 기타 매우 반응성 종 (ROS) 가령 OH, RO2 , ROOH, RO, H2O2 및 ONOO을 발생시킬 수 있다. 모든 호기성 유기체는 O2 ㆍ- 라디칼에 대한 방어 매카니즘을 가지고 있고, 그 중에서 주요한 것은, O2 ㆍ-의 O2 및 H2O2로의 부동변화를 촉매화하는 디스뮤타제 수퍼옥사이드 (SOD) 효소이다. 따라서 생성된 과산화수소는, 결국, 카탈라제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에 의해 H2O로 전환되고, 따라서 Fenton 반응 (Fe(II)+)+ H2O2 Fe(III)+OH+-OH)에 의해 발생되는 OH 라디칼의 형성을 저해한다. 특정 병리학적 병태 (염증 공정, 재관류 손상, 심근경색, 알츠하이머병, ALS, 등) 하에서, SOD 효소는 생성된 과량의 O2 ㆍ-를 제거하기에 불충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생물학적 조직은 추가의 손상을 격을 수 있다. 더 높은 수준의 산화적 대사를 특징으로 하는 일부 척추동물 조직, 가령 근육 또는 뇌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공정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항산화제 활성을 가지는 소분자 가령 글루타치온 및 기타 펩티드 (카르노신, 호모카르노신, 안세린, 등)이 높은 수준으로 발견되었다. ROS에 대한 이들 펩티드의 보호 활성은 문헌에서 널리 논의되고 입증되었다 ((Biochim. Biophys. Acta 1570, 89, 2002; Mol. Cells 13, 498, 2002; Biochem. J. 967, 241, 1988).
특히, 그의 항-라디칼 및 항-과산화 특성과 관련하여, 카르노신에 대한 예비-임상 연구로 백내장을 예방하고 및 일부 경우 회복시키는 그의 능력이 입증되었다 (Biochem. Int. 15, 1105, 1987; Biochim. Biophys. Acta 1004, 363, 1989). 소화계의 조직, 눈 및 피부에서의 항-염증 활성이 입증되었다 ((US4508728 A, DE4316293, WO 01/52808 A). 또한, 카르노신은 Cu(II)에 의해 유도된 인간 LDL의 산화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냈고 (Eur. J. Med. Chem. 43, 373, 2008), 히드록실 라디칼에 대한 그의 스캐빈저 활성이 특히 입증되었다 (Helv. Chim. Acta 85, 1633, 2002). 카르노신이 질산화적 스트레스의 병리학적 효과를 저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매카니즘에 대해, 산화질소와의 직접 상호작용이 가능한 경로 중 하나이고 (J. Neurosci. Res. 85, 2239, 2007), 반면 단지 천연 디펩티드가 No-도너에 의해 방출된 산화질소 양을 극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더욱 최근, 산화적 스트레스 유도 이후의 PARP-1, 및 또한 PARP-2의 활성화의 감소에서의 카르노신의 효능이 입증되었다 (Neurochem. Res.35,2144, 2010; Mol. Aspects Med. 32, 258, 2011). 한편, N-모노메틸-아르기닌 (iNOS의 공지된 저해제)과 유사한 L-카르노신은 PRAP-1 발현을 하향조절한다 (Neurochem. Res. 38, 50, 2013).
Cu(II)와 카르노신의 복합체는 두 개의 라디칼 독성 종, O2 -ㆍ 및 HO에 대한 상승적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관찰하는 것도 또한 흥미롭다 (DaltonTrans. 4406, 2003). 동시에, 카르노신, 안세린, 호모카르노신 및 기타 유사한 펩티드의 존재는, 아연의 장 흡수를 향상시키고, 사실, 생물학적이용율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또한 관찰되었다. 이 사실은 아연 결핍 증후군 및 염증성 장 질환에서 특히 흥미롭다 (Biomed. Res. Trace Elem. 12, 159, 2001).
카르노신의 펩티드 특성은 특이적 펩티다제의 부분에 대한 그의 분해능과 관련된, 그의 용도에서의 다양한 제한을 부과한다. 유리 카르노신(Clin. Chim. Acta 254, 1-21, 1996) 보다 훨씬 느리게 분해하는 N-아세틸-카르노신 (WO 95/10294 A)의 사용은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동일한 목적으로, 2차 아민의 형성을 통해 시클로덱스트린, 즉 약물 담체로서 널리 사용된 화합물과 카르노신의 유도체화 (EP 1176154 A)가 또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시클로덱스트린은 디펩티드를 안정화시키고, 유사한 시스템에 대해 입증된 바와 같이, 카르노시나제의 가수분해 활성으로부터 디펩티드를 보호하고 (J. Am. Chem. Soc. 120, 7030, 1998), 따라서 카르노신이 ㆍOH 라디칼을 제거하는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존재로 인해 그의 생물학적 활성을 발휘하도록 한다 (Helv. Chim. Acta 85, 1633, 2002). 동일한 이론에 기초하여, 트레할로스과 카르노신의 공액화된 화합물 (EP 1860116 A1)은, 이후 항산화제, 항당화 및 항혈소판 활성을 가지는 시스템으로서 특허받았다. 또한 이 경우 카르노신은 트레할로스의 기능성 기 -OH와 결합에 의해 공액화되고, 2차 아민을 형성한다. 따라서 형성된 결합은, 특히 이온성 결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것보다 더욱 안정하고, 카르노신을 효소적 분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변성제로 인한 배열 변화로부터 단백질을 보호하기 위한 트레할로스의 공지된 능력의 장점을 이용한다.
반면 본발명의 목적인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은, HA의 카르복실 기 및 카르노신의 아민 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의 형성을 통해 히알루론산과 카르노신의 공유결합성 컨쥬게이션에 의해 수득된다.
히알루론산은, 글루쿠론산 (β-D-글루코피라누론산)의 아노머 탄소 원자와 아세틸 글루코자민(2-아세틸아미노-2-데옥시-β-D-루코피라노시움)의 C-3 사이의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글루쿠론산 및 아세틸 글루코자민으로 구성된 반복적 2당 단위로 구성된 중합체이다. 2당 단위는, 결국, 2당 단위의 아세틸 글루코자민의 아노머 탄소와 다음 2당 단위에 속하는 글루쿠론산 잔기의 C-3 사이의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가변적 길이의 선형 사슬을 형성한다. HA의 평균 분자량 (MW)은 이 길이에 의존하고, 상기 MW는 극히 가변적이고, 또한 HA가 수득된 공급원에 의존한다. 특히, 본발명에서 사용된 HA는 추출 (예를 들면 수탉로부터), 발효, 또는 생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90 및 230 kDa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180 및 210 kDa 사이의 평균 MW을 가진다. 본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용한 평균 MW의 추가의 범위는 500 및 730 kDa 사이로 구성된다. 본명세서에서 평균 MW은,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의 방법에 따라 계산된 "중량 평균 MW"을 의미한다 (Terbojevich et al., carbohydr Res, 1986, 363-377). 히알루론산 (HA)은 조직 엔지니어링용 분자골격 및 골관절염의 치료용 점성보충용액을 포함하는, 약제에서의 다양한 응용용도를 가지는 천연 생분해성 중합체이다. 히알루론산은 그의 보호 및 보습 특성으로 인해 현재 화장품에서 사용된다. 히알루론산은 척추동물 조직의 세포외 매트릭스(ECM)의 주요 구성성분 중의 하나이고 신체의 거의 모든 유체 및 조직, 활액, 유리체 및 유리질 연골에서 발견될 수 있다 (Biomedical applications of hyaluronic acid. ACS Publications, p. 155-74, 2006; Biomaterials 25, 1339, 2004; Calcified Tissue Int. 7, 175, 1971; Dumitriu S., Polymeric biomaterials. New York: Marcel Dekker, 2002. ISBN:0-8247-8969-5). 이 생중합체는 분자골격으로서 작용하고 매트릭스의 기타 분자에 연결되고 그 중에는 아글리칸이 있다 (Garg H. G., Hales C. A., Chemistry and biology of hyaluronan. Oxford: Elsevier Science, 2004. ISBN:978-0-08-044382-9).
HA는 또한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 가령 세포 부착 및 이동성의 조절, 세포 분화 및 증식의 조작에서 역할을 가지고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조직을 제공한다 (Biomaterials 25, 1339, 2004). 일부 세포 표면 수용체 (가령 CD44, RHAMM 및 ICAM-1)는, HA와 상호작용하여 일부 세포 공정에 영향을 미치고, 그 중에는 형태형성, 상처회복, 염증 및 전이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Biomaterials 26, 359-71, 2005; Nat. Rev. Cancer 4, 528, 2004; J. Surg. Res. 147, 247, 2008; J. Cell. Sci. 103,293, 1992). HA는 또한 일부 생물학적 유체 (활액, 눈의 유리체) 점탄성의 원인이고 조직 수화 및 물 수송을 조절한다 (Vet. Med. 53, 397, 2008). 또한, HA는 탯줄 내에서 배아 발달 동안 발견되어, HA 복합 물질이 조직의 재생 및 성장을 위한 유리한 병태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cta Biomater. 6, 2407, 2010; Biomaterials 28, 1830, 2007; J. Control. Release 69,1 69, 2000; Chem. Rev. 101, 1869, 2001; Biomaterials 24, 4337, 2003).
그의 농도, 생적합성 및 친수성을 포함하는 HA의 특성으로 인해 화장품 피부학 및 피부-케어 제품에서 우수한 보습제로 사용된다 (Vet. Med. 53, 397, 2008).
특허출원 WO 2012/076961 A2에서, 카르노신으로 염화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염화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청구되었고; 본특허출원의 발명자의 목적은 두 화합물 모두의 생약제학적 특성을 부여하는 제제를 얻는 것이다. 이 경우, 그러나, 청구된 화합물이 생물학적 유체에 도달할 때 두 개의 활성 성분을 보유하는 결합의 이온성 특성으로 인해, 즉시 유리 카르노신을 방출하고 이는 혈청 카르노시나제에 의해 신속히 파괴된다. 반면, 본발명의 목적인, 식 (1)을 가지는 컨쥬게이트는 이전에 고려된 바와 같이, 카르노신 및 히알루론산 사이의, 즉시 가수분해되지 않는 아미드 타입의 공유 결합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고; 카르노신은, 그의 공액화된 형태로, 따라서 혈청 카르노시나제의 작용에 더욱 저항성이고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은 동일한 카르노신을 그의 작용을 발휘하는 부위에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서방출의 기술적 효과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연결된 및 온전한 카르노신을 유지한다.
매우 놀랍게도, 본출원인은 이 결합이 예상되는 바와 같이 카르노신의 방출을 지연시켜 이전에 기술된 결합보다 덜 가수분해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극히 높은 항산화제 활성을 식 (1) 화합물에 부여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입증하였다. 본명세서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아미드를 통한 HA 및 카르노신의 컨쥬게이션은 효소적 가수분해로부터의 단순한 보호로 인한 효과보다 확실히 더 높은 정도로 카르노신의 생물학적 효과를 증가시키고, 이는 HA가 이와 같이 항산화제 활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 완전히 예측불가하였다.
상기한 점에서, 본발명의 목적인 컨쥬게이트 내 히알루론산 존재는 카르노신 내에 이미 존재하는 산화적 공정에 대한 작용을 상승적으로 향상시키고, 후반에 혈청 카르노시나제에 대한 상당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따라서 그와 같이 또는 아세틸-유도체로서 카르노신에 대한 더 높은 활성을 부여한다.
카르노신과의 아미드 결합을 통해 공액화된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 기의 퍼센트는 HA의 총 카르복실 기의 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와 동일하다.
본특허출원의 목적은 또한 식 (1)을 가지는 컨쥬게이트의 Cu (II)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식 (1)을 가지는 컨쥬게이트의 Cu (II) 복합체의 SOD-형 항산화제 활성은 사실 평가되었고, 유리 카르노신의 Cu (II) 복합체 및 비-공액화된 히알루론산의 Cu (II) 복합체와 인비트로에서 비교에 의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식 (1)을 가지는 Cu (II) 복합체의 활성은 카르노신 또는 히알루론산의 상응하는 복합체의 활성에 비해 매우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발명의 목적은 또한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히알루론산의 유도체는 카르복실 기에서 보호된 카르노신으로 공유결합적으로 공액화되어 있다. 본발명에 따라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은, 사실 적절히 활성화된 히알루론산 및 카르복실 기에서 보호된 카르노신으로부터 시작하여 합성되었다. 히알루론산의 활성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히드록시-1,2,3,-벤조트리아진-4(H)-온의 에스테르 (HOOBT)이고, 반면 카르노신 디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스테르의 형태로 사용된다.
카르노신의 기타 에스테르 또는 HOOBT의 에스테르와 동등한 히알루론산의 기타 활성 유도체가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은 비-공액화된 카르노신에 대해 인간 혈청 카르노시나제의 작용에 더 큰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본발명의 목적은 또한, 활성 성분으로서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산화제, 항당화, 항혈소판 및 전이금속에 대한 킬레이팅 특성을 고려하여,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당화반응 및 기타 원인 모두로 인한, 유리 라디칼 형성 또는 단백질의 손상된 배열이 병리적 역할을 하는 병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병태의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백내장, 안구건조증, 피부의 노화, 상처, 위장 상처, 당뇨병, 손상된 면역조절 반응, 신장 질환, 간 질환, 종양 및 신경학적 병인 (중추신경계 노화, 알츠하이머병), 국소빈혈/재관류로 인한 손상.
본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단백질 배열 장애 및 병태 가령 백내장, 안구건조증, 피부의 노화, 상처, 위장 상처, 당뇨병, 손상된 면역조절 반응, 신장 질환, 간 질환, 종양 및 신경학적 질환, 손상으로 인한 국소빈혈/재관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의 사용을 위한, 활성 성분으로서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은, 사실, 바람직하게는 Zn2 +와의 복합체로서, 상처치료, 위장보호, 당조절, 면역조절, 항종양, 유전독성억제, 신경보호 활성, 중추신경계의 항-노화, 국소빈혈/재관류로 인한 손상에 대한 보호 활성, 신장보호 및 간장-보호 활성을 가진다.
투여량 및 투여경로는 병태에 따라 다르고 일반적으로 임상 전문가에 의해 결정되지만, 통상 경구로 100 내지 5000 mg/다이, 및 외용 또는 전신 용도 (즉 주사)에 대해 제제에 대한 중량으로 0.1 내지 10% 범위이다.
제제의 가능한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캡슐, 정제, 과립제, 산제, 액제, 연고제, 겔제, 점안제 및 제제 전문가에게 공지된 기타 제제.
가능한 투여경로는 치료될 질병과 당연히 관련되고, 경구, 외용, 국소-지역적, 근육내, 피내, 안내, 관절내 또는 주변, 주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카르노신 단위에 아미드 다리로 연결된 카르복실 기의 퍼센트 (로딩 %)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공명을 나타낸다.
도 2는 TSK-GEL GMPWXL 칼럼 상 HyCar (7% 로딩) 샘플의 크로마토그래피 거동을 나타내는 HyCar (로딩 7%)에 대해 수득된 대표적인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3는, 예시로서, 비-공액화된 히알루론산과 비교하여 히알루론산-카르노신의 컨쥬게이트 (로딩 7%)의 Mark-Howink 그래프 (분자량 log, MW에 대한 점도 log)을 나타낸다.
도 4는 pH 7.4에서 결정된 검사 하 금속 복합체의 I50 값 (즉 NBT의 감소의 50% 저해를 생성하는 농도)을 나타낸다.
도 5는 카르노신 (■), 카르노신 + HA (▲), 및 HA 단독 (◆)(후자는 실험의 음성 대조구로서 사용됨)의 안정성과 비교하여, 인간 혈청 카르노시나제의 작용으로 처리된 HyCar (●)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발명을 예시하는 예시를 이하에 제공한다.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다면, 필요시 다음과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약을 사용하고 처리하였다: 카르노신 메틸-에스테르의 합성을 위해 사용된 무수 메탄올 (SIGMA, MeOH)은 사용전 4Å 분자체 상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0℃에서 메탄올 내에서 카르노신 (Sigma)을 처리하여 카르노신 메틸-에스테르 (Car-OMe)을 합성하였다. 아세틸 클로라이드를 HCl 공급원으로서 사용하였다.
기준으로서 HOD 주파수를 사용하여 500 MHz에서 Varian 장비 (Inova 500) 상에서 1H-NM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Malvern 3중 검출기 (ViscoteckTDmax)를 구비한 CPG/SEC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상에서 공액화된 HyCar의 분자량 분포 (MWD) 및 고유 점도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SHIMADZU RF-5301 PC 분광형광광도계 상에서 형광 측정을 실행하고, SHIMADZU UV-1800 또는 Beckman DU 650 분광광도계 상에서 UV-vis 흡수 측정을 실행하였다.
공액화된 HyCar의 Cu(II) 복합체 및 카르노신 또는 HA의 Cu(II) 복합체의 SOD-형 활성을 Fridovich 시험에 의해 결정하였다 (Anal. Biochem . 44, 276, 1971).
상기 Cu(II)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다음 농도에서 수성 용액 내 초산제2동을 사용하였다: [L] = [Cu(II)] = 10-6 -10-7; 사실 카르노신은 쉽게 전이금속과 킬레이트를 형성한다는 것이 본업계에서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Free Red Res. Commun.; 1991, 12-13 pt.1, 179-185). 사용된 모든 화학 생성물을 Sigma 로부터 구입하였다.
HyCar 또는 유리 히알루론산의 효소적 소화 이후 생성된 올리고사카라이드의 HPLC 분석을 소 고환 히알루로니다제를 사용하여, UV 검출기를 구비한 Agilent 1200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상에서 수행하였고, Supelcosil LC-SAX1 칼럼 (25 x 4.6 cm; Supelco)을 사용하고 214 nm 파장에서 크로마토그래피 프로필을 판독하였다. 용리: 흐름 1.2 ml/min; 5 min 동안 등용매 NaCl 50 mM (pH 4), 이후, 60 min 내 NaCl 1.2 M (pH 4)로 프로그래밍됨.
실시예:
2-(3- 아미노프로판아미드 )-3-(1H- 이미다졸 -4-일) 프로판산의 공액화된 3- N - 히알루로닐 (HyCar)의 합성
대표적인 합성 절차에서, 1그램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95 KDa)를, 5℃에서 20 ml의 차가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에 교반 하에서 부가하였다. 다음 생성물을 순서대로 결과로서 얻어진 현탁액에 부가하였다: 20 ml의 0.5 mmoles의 HOOBT를 함유하는 H2O/THF (1:1 v/v) 용액, 0.2 mmoles의 트리스[2-(2-메톡시에톡시)에틸]아민을 함유하는10 ml의 H2O/THF (1:1 v/v) 용액, 및 0.125 mmoles의 L-카노신 메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5 ml의 메탄올 용액. 5℃에서 30 분 후, 10 ml의 N-(3-Di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C.HCl; 0.25 mmoles) 용액을 상기 혼합물에 부가하고 20 시간 동안 5℃에서 연속 교반 하에서 전체 반응 부피를 두었다. 이 기간 이후, 반응 혼합물을 100 ml의 NaOH 0.1N 용액으로 처리하고 추가의 3.5 시간 동안 5℃에서 두었다. 이 시점에서, 상기 혼합물의 pH를 2N HCl로 7.0로 만들고, 800 ml의 아세톤의 부가에 의해 컨쥬게이트를 침전시켰다. 목적 생성물을 이후 제거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상청액으로부터 제거하고 이후 60 시간 동안 물에 대해 투석시켰다. 컨쥬게이트를 이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켰다 (수율 70%).
1H NMR (D20, 500 MHz) (ppm): 8.66 (단일항; 이미다졸 링의 H-2), 7.34 (단일항; 이미다졸 링의 H-5), 4.61-4.52 (넓은 다중항; 글루쿠론산의 잔기의 H-6, N-아세틸글루코자민의 잔기의 H-1 및 프로판산의 사슬의 H-2), 3.90-3.23 (넓은 다중항; 글루쿠론산의 잔기의 H-2, H-3, H-4 및 H-5, N-아세틸 글루코자민 잔기 및 프로판아미드 기의 C-3 메틸렌의 H-2, H-3, H-4, H-5, 2H-6), 3.17 (다중항; 프로판산의 사슬의 2H-3, 2.44 (다중항; 프로판아미드 기의 메틸렌 C-2), 2.06 (N-아세틸글루코자민의 잔기의 넓은 단일항 CH3). 주요 할당을 가지는 공액화된 HyCar의 1H NMR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내는데, 도 1은 카르노신 단위에 아미드 다리로 연결된 카르복실 기의 퍼센트 (로딩 %)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공명을 나타낸다.
컨쥬게이트 내에 존재하는 카르노신의 양은 2.06 ppm에서의 신호 (HA의 아세틸 기와 관련된)의 적분값과 2.44 ppm 에서의 신호 (프로판아미드 기의 C-3와 관련된), 또는 이미다졸 링의 H-2 또는 H-5 신호 중 하나 (각각 8.66 및 7.34 ppm에서)의 적분값 사이의 비로부터 결정된다.
위에서 기술된 합성 절차에 따라서, 카르노신과 아미드 결합을 형성한 컨쥬게이트의 다당류 단위 내에 존재하는 카르복실 기의 퍼센트는 7%로 입증되었다. HA 및 기타 시약 사이의 화학양론적 비를 적절히 수정함으로써, 25%까지의 컨쥬게이션 값이 수득되었다.
컨쥬게이트 HyCar 의 고유 점도 및 분자량 분포
시리즈로 설치된 두 개의 TSK-GEL GMPWXL 칼럼 (7.8 mm ID x 30 cm; Viscotek- TOSOH BIOSCIENCE)를 구비한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GPCmax VE 2001 (Malvern) 상에서 수행된 크기 선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위에서 나타낸 파라미터들을 결정하였다. 상기 시스템을, 시리즈로 배치된 굴절률 검출기, 광산란 검출기 및 4-모세관 편차 점도계:를 포함하는 세 개의 검출기의 시스템과 커플링시킨다. 40℃에서 0.6 ml/min 흐름으로 0.5 g/L의 소듐 아지드를 함유하는 소듐 니트레이트의0.1M 수성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샘플을 용리하였다. 취득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해 소프트웨어 Omnisec 4.1를 사용하였다.
도 2는 TSK-GEL GMPWXL 칼럼 상 HyCar (7% 로딩) 샘플의 크로마토그래피 거동을 나타내는 HyCar (로딩 7%)에 대해 수득된 대표적인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3중-검출기 검출을 Viscotek TDA 302 (Malvern) 상에서 실행하였다.
3중 검출기와 커플링된 크기 선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상응하는 히알루론산과 비교하여, 히알루론산-카르노신의 컨쥬게이트에 대해 상이한 농도에서 결정된 고유 점도 및 분자량 (MW)에 관한 물리적 파라미터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도 3는, 예시로서, 비-공액화된 히알루론산과 비교하여 히알루론산-카르노신의 컨쥬게이트 (로딩 7%)의 Mark-Howink 그래프 (분자량 log에 대한 점도 log, MW)을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그래프는 상응하는 비-공액화된 히알루론산의 동일한 농도에서의 용액과 비교하여 HyCar (7% 로딩)의 용액 (0.5 mg/ml)에 대해 수득되었다.
상기 결과는 HyCar 컨쥬게이트의 고유 점도가 동일한 MW을 가지는 비-공액화된 히알루론산보다 단지 약간 낮고, 반면 컨쥬게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부모 다당류보다 일관성있게 크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는 컨쥬게이션이 HA의 유체학적 거동이 의존하는 HA의 물리-화학 특성을 변경시키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완성된 생성물의 유체학적 파라미터 (점도, 평활도, 등)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인, 제품의 제제화 단계에서 특히 매우 중요하다.
SOD-형 항산화제 활성
Fridovich의 직접 방법 (Anal. Biochem . 44, 276, 1971)을 사용하여 HyCar 컨쥬게이트의 Cu(II) 복합체의 SOD-형 활성을 결정하였다. 크산틴-크산틴 옥시다제 시스템에 의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을 효소적으로 발생시키고 이후 560 nm에서 니트로 블루 테트라졸륨 (NBT) 감소를 분광학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다음을 함유하였다: pH 7.4에서 인산염 완충액 (10 mM) 내 사이토크롬 c (30 μM) 또는 NBT (250 μM), 크산틴 (50 μM). 적절한 양의 크산틴-옥시다제를 2 ml의 이 혼합물에 부가하여 0.024의 ΔA min- 1를 생성하였다. 이는 1.1 μM min- 1와 같은 O2 ㆍ1- 생산속도에 해당한다. 발색 분자의 감소 속도를 600 초 동안 검사 하에서 복합체의 존재하 및 부재하에서 측정하였다. 1 cm의 광학 경로를 가지고, 온도조절장치-조절되고 자기 교반을 구비한 큐벳을 사용하여 25±0.2 ℃에서 모든 측정을 실행하였다. 크산틴-옥시다제 활성의 가능한 저해를 배제하기 위해, 별도의 실험에서 크산틴 옥시다제의 부분에 대한 요산 생성을 295 nm에서 분광학적으로 따랐다.
pH 7.4에서 결정된 검사 하 금속 복합체의 I50 값 (즉 NBT의 감소의 50% 저해를 생성하는 농도)을 도 4 및 아래의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따라서 표 2는 NBT의 감소의 50%를 저해할 수 있는 농도 (I50)로서 표시된, HyCar, Car 및 HA의 Cu(II) 복합체의 SOD-형 활성을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4는 위에서 기술된 작동 상세사항에 따라서 Fridovich에 의해 제안된 간접 방법에 의해 결정된, (Cu-HyCar) 및 비-공액화된 HA (Cu-HA)의 Cu(II) 복합체의 SOD-형 활성을 나타낸다. 명백히, I50 값을 얻기 위해 사용된 생성물의 양이 적을수록, 그의 항산화제 활성은 더 크다. 데이터의 분석으로부터, 컨쥬게이트 Cu/Hycar는 Cu/Car보다 약 4배 더 높은 항산화제 활성을 가지는 것이 명백한 것으로 보인다. 기대되는 바와 같이, 복합체 Cu/HA가 매우 낮은 항산화제 활성을 갖는다면, Cu/Hycar로 수득된 결과는 놀랍고 예상불가하고, 본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아미드 결합을 통해 컨쥬게이션 HA/ 카르노신의 특정 타입으로 인한 시너지를 입증한다.
인간 혈청 카르노시나제의 부분에 대한 효소적 가수분해
카르노신 + HA 또는 카르노신 단독의 혼합물의 안정성과 비교하여, 인간 혈청 카르노시나제에 대한 HyCar의 시간-의존적 안정성을, 이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Hela Cells의 배지에 의해 정제된, 상기 효소 (CN1)와 함께 50 mM 트리스/HCl (pH 8.0) 내에서 37℃에서 이들 물질 (900 μM) 각각을 배양함으로써 결정하였다 (Antioxid. Redox Signal., 11, 2759, 2009). 음성 대조구로서 평행 실험을 수행했는데, 여기서 히알루론산 단독을 효소적 작용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과정 이후 총 5 시간 동안 50 μl 분취량의 상기 혼합물을 다양한 시간 간격에서 수집하고,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으로 탈단백질화한 후, 이미 기술된 절차 (Clin. Chim. Acta, 1982, 123, 221)에 따라 오르토-프탈산 알데히드(OPA; Fluka)와 함께 반응 후, 최종 용액 내 히스티딘 양을 형광분석적으로 결정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는 카르노신 (■), 카르노신 + HA (▲), 및 HA 단독 (◆)(후자는 실험의 음성 대조구로서 사용됨)의 안정성과 비교하여, 인간 혈청 카르노시나제의 작용으로 처리된 HyCar (●)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나타낸다. 방출된 히스티딘을 OPA-유도체로서 분광학적으로 결정하였다.
고환 히알루로니다제의 부분에 대한 효소적 가수분해
히알루로니다제 (소 고환 히알루로니다제, Sigma)에 대한 HyCar 컨쥬게이트의 안정성을 1,500 단위 효소와 함께 완충액 (소듐 아세테이트 100 mM, NaCl 150 mM, pH 5.2) 내 37℃에서 2 h 동안 이를 (250 μL, 20 mg/mL) 배양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이 시간 이후, 항목 [0024] 하에서 기술되고 문헌 (Anal. Chem., 2007, 6390-6397)에서 이전에 언급된 실험 조건 하에서 음이온-교환 칼럼 상에서 HPLC 내에서 가수분해물을 분석하였다. 평행 실험에서, 동일한 실험 조건 하에서 동일한 효소에 대해 유리 히알루론산을 기질로서 사용하였다. 두 경우 모두, 유사한 크로마토그래피 프로필을 수득하였고, 4량체 및 6량체 글리시드 단위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분해 산물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참고문헌
단지 독자의 편의를 위해 만든 다음 리스트는 출원인에 의해 언급된 참고문헌을 표시한다. 이 리스트는 특허 문헌의 일부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최대한의 주의를 가지고 작성되었지만, 오류 및 누락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관해서는 어떠한 책임도 추정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허:
ㆍ US 4508728 A;
ㆍ DE 4316293;
ㆍ WO 0152808 A;
ㆍ WO 9510294 A;
ㆍ EP 1176154 A;
ㆍ EP 1860116 A1;
ㆍ WO 2012/076961 A2;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비-특허 문헌:
ㆍ Biochim. Biophys. Acta, 2002, vol. 1570, 89;
ㆍ Molecules and Cells, 2002, vol. 13, 498;
ㆍ Biochem. J., 1988, vol. 967, 241;
ㆍ Biochem. Int., 1987, vol. 15, 1105;
ㆍ Biochim. Biophys. Acta, 1989, vol. 1004, 363;
ㆍ Eur. J. Med. Chem., 2008, vol. 43, 373;
ㆍ Helv. Chim. Acta, 2002, vol. 85, 1633;
ㆍ J. Neurosci. Res. 2007, vol. 85, 2239;
ㆍ Neurochem. Res., 2010, vol. 35, 2144;
ㆍ Mol. Aspects Med., 2011, vol. 32, 258;
ㆍ Neurochem. Res., 2013, vol. 38, 50;
ㆍ Dalton Trans., 2003, 4406;
ㆍ Biomed. Res. Trace Elem., 2001, vol. 12, 159;
ㆍ Clinical Chim. Acta, 1996, vol. 254, 1;
ㆍ J. Am. Chem. Soc., 1998, vol. 120, 7030;
ㆍ Biomedical applications of hyaluronic acid. ACS Publications, 2006, p. 155-74;
ㆍ Biomaterials, 2004, vol. 25, 1339;
ㆍ Calcified Tissue Int., 1971, vol. 7, 175;
ㆍ Dumitriu S., Polymeric biomaterials. New York: Marcel Dekker, 2002. ISBN: 0-8247-8969-5;
ㆍ Garg H.G., Hales C.A., Chemistry and biology of hyaluronan. Oxford: Elsevier Science, 2004. ISBN: 978-0-08-044382-9;
ㆍ Biomaterials, 2005, vol. 26, 359;
ㆍ Nat. Rev. Cancer, 2004, vol.4, 528;
ㆍ J. Surg. Res., 2008, vol. 147, 247;
ㆍ J. Cell Sci., 1992, vol. 103, 293;
ㆍ Vet. Med., 2008, vol. 53, 397;
ㆍ Acta Biomater., 2010, vol. 6, 2407;
ㆍ Biomaterials, 2007, vol. 28, 1830;
ㆍ J. Control. Release, 2000, vol. 69, 169;
ㆍ Chem. Rev., 2001, vol. 101, 1869;
ㆍ Biomaterials, 2003, vol. 24, 4337;
ㆍ Int. J. Tissue React., 2002, vol. 24, 65;
ㆍ Acta Biomater., 2013, vol. 9, 7081 ;
ㆍ Anal. Biochem., 1971, vol. 44, 276;
ㆍ Clin. Chim. Acta, 1982, vol. 123, 221;
ㆍ Anal. Chem., 2007, 6390-6397;
. Free Red Res. Commun., 1991, 12-13 pt.1, 179-185.

Claims (10)

  1. 식 (2)을 가지는 카르노신 디펩티드
    Figure pct00006

    의 히알루론산과의 컨쥬게이트인 식 (1)을 가지는 화합물
    Figure pct00007

    , 여기서 컨쥬게이션은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 기에서 보호된 카르노신의 NH2 기와, 히알루론산,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의 활성 유도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3)을 가지는 COX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 기 사이의 아미드 결합의 형성에 의해 수득됨
    Figure pct00008
  2. 제 1항에 있어서, 카르노신과의 아미드 결합의 형성에 의해 공액화된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 기의 퍼센트는 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7%인 화합물.
  3.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은 90 및 230 kDa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180 및 210 kDa 사이의 범위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화합물.
  4.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은 500 및 730 kDa 사이의 범위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화합물.
  5.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에 있어서, 식 (1)을 가지는 화합물은 Cu(II)의 복합체의 형태인 화합물.
  6. 히알루론산의 활성 유도체가,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 기에서 보호된 카르노신과 공유결합적으로 공액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공정.
  7. 제 6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활성 유도체는 에스테르이고, 바람직하게는 3-히드록시-1,2,3,-벤조트리아진-4(H)-온의 에스테르인 공정.
  8. 제 6 또는 7항에 있어서, 카르노신은 메틸 에스테르의 형성에 의해 카르복실 기에서 보호되는 공정.
  9.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제약학적,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10. 단백질 배열 장애 및 병태 가령 백내장, 안구건조증, 피부 노화, 상처, 위장 상처, 당뇨병, 손상된 면역 반응, 신장 질환, 간 질환, 종양 및 신경학적 질환, 국소빈혈/재관류로 인한 손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의 사용을 위한,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제약학적,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KR1020177002648A 2014-07-31 2015-07-30 히알루론산 및 카르노신으로부터 수득된 유도체 KR102394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4A001395 2014-07-31
ITMI20141395 2014-07-31
PCT/IB2015/055782 WO2016016847A1 (en) 2014-07-31 2015-07-30 Derivatives obtained from hyaluronic acid and carnos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924A true KR20170035924A (ko) 2017-03-31
KR102394087B1 KR102394087B1 (ko) 2022-05-03

Family

ID=5162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648A KR102394087B1 (ko) 2014-07-31 2015-07-30 히알루론산 및 카르노신으로부터 수득된 유도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64299B2 (ko)
EP (1) EP3174555B1 (ko)
KR (1) KR102394087B1 (ko)
CN (1) CN106573957B (ko)
CA (1) CA2951808C (ko)
EA (1) EA032076B1 (ko)
ES (1) ES2725874T3 (ko)
PL (1) PL3174555T3 (ko)
PT (1) PT3174555T (ko)
WO (1) WO2016016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83975A1 (it) * 2016-08-09 2018-02-09 Consorzio Interuniversitario Naz Per La Scienza E Tecnologia Dei Materiali Acido ialuronico funzionalizzato
IT201700110784A1 (it) * 2017-10-03 2019-04-03 Fidia Farm Spa Composizioni farmaceutiche contenenti Acido Ialuronico e Carnosina e relativo uso
IT202000014017A1 (it) 2020-06-11 2021-12-11 Fidia Farm Spa Nuovi derivati ottenuti da acido ialuronico e carnosina
WO2023220754A1 (en) * 2022-05-13 2023-11-16 University Of Vermont And State Agricultural College Antioxidant derivative of hyaluronic acid
CN115215948B (zh) * 2022-06-02 2023-07-11 润辉生物技术(威海)有限公司 一种低分子的乙酰透明质酸脱羧肌肽衍生物、制备方法及应用
CN117050145B (zh) * 2023-10-11 2024-05-03 杭州湃肽生化科技有限公司 美容肽的透明质酸修饰物及其应用
CN117700583A (zh) * 2023-12-22 2024-03-15 珠海瑞玞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基生物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6154A1 (en) * 2000-07-25 2002-01-30 Universita' Degli Studi Di Catania Carnosine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1860116A1 (en) * 2006-04-07 2007-11-28 Universita' Degli Studi Di Catania Trehalose conjugate with carnosine having antioxidant activity, stable to enzymatic hydrolysis, procedure for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smetic and nutraceutical compositions that contain it
WO2012076961A2 (en) * 2010-12-06 2012-06-14 Gianfranco De Paoli Ambrosi New carnosine compou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8728A (en) 1984-05-24 1985-04-02 Kineshiro Nagai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DE4316293C2 (de) 1993-05-14 1996-05-09 Jobst Krauskopf Verwendung einer Kombination von Anserin/Carnosin und Hypotaurin/Taurin zur Bekämpfung entzündlicher Erkrankungen
IT1270905B (it) 1993-10-15 1997-05-13 Bruschettini Srl Composizioni farmaceutiche contenenti n-acetilcarnosina per il trattamento della cataratta
AUPQ515000A0 (en) 2000-01-19 2000-02-10 Grigg, Geoffrey Walter Treatment of uv induced immunosuppression
ITPD20020271A1 (it) * 2002-10-18 2004-04-19 Fidia Farmaceutici Composti chimico-farmaceutici costituiti da derivati dei taxani legati covalentemente all'acido ialuronico o ai suoi derivat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6154A1 (en) * 2000-07-25 2002-01-30 Universita' Degli Studi Di Catania Carnosine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1860116A1 (en) * 2006-04-07 2007-11-28 Universita' Degli Studi Di Catania Trehalose conjugate with carnosine having antioxidant activity, stable to enzymatic hydrolysis, procedure for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smetic and nutraceutical compositions that contain it
WO2012076961A2 (en) * 2010-12-06 2012-06-14 Gianfranco De Paoli Ambrosi New carnosine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4555A1 (en) 2017-06-07
CN106573957A (zh) 2017-04-19
EP3174555B1 (en) 2019-02-27
US20170246306A1 (en) 2017-08-31
WO2016016847A1 (en) 2016-02-04
CA2951808A1 (en) 2016-02-04
PT3174555T (pt) 2019-05-28
ES2725874T3 (es) 2019-09-30
US10364299B2 (en) 2019-07-30
PL3174555T3 (pl) 2019-08-30
EA032076B1 (ru) 2019-04-30
CN106573957B (zh) 2021-10-26
KR102394087B1 (ko) 2022-05-03
CA2951808C (en) 2022-06-21
EA201692368A1 (ru) 201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087B1 (ko) 히알루론산 및 카르노신으로부터 수득된 유도체
Li et al. Sulfated mod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nd moisture absorption/retention activities of a soluble neutral polysaccharide from Enteromorpha prolifera
Wan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high molecular weight chitosan and N, O-quaternized chitosans
Dong et al. Pharmacokinetics and biodegradation mechanisms of a versatile carboxymethyl derivative of chitosan in rats: in vivo and in vitro evaluation
Mourya et al. Carboxymethyl chitosan and its applications
Badano et al. Physicochemical, in vitro antioxidant and cytotoxic properties of water-soluble chitosan-lactose derivatives
US7041818B2 (en) DDS compound and method for measurement thereof
Kumar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depolymerization of chitosan by proteolytic enzymes
Prashanth et al. Free radical-induced chitosan depolymerized products protect calf thymus DNA from oxidative damage
KR20160008206A (ko) 단분산 글리코겐 및 파이토글리코겐 나노입자와, 화장품, 약품, 및 식품에 이를 첨가제로 사용하는 방법
KR101571385B1 (ko) 산성 다당체의 부티르산-포름산 에스테르 혼합물, 및 그의 제조 및 피부 화장료로서의 용도
Nguyen et al. Characterization of hyaluronic acid extracted from Liparis tessellatus eggs grafted with phenolic acids and nisin
Batista et al. Novel highly-soluble peptide–chitosan polymers: Chemical synthesis and spectral characterization
Motiei et al. Chemical stabilization of γ-polyglutamate by chitosan and the effect of co-solvents on the stability
Qin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sulfated tara gum: RSM optimiz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Tian et al. Synthesis and evaluation of oxidation-responsive alginate-deferoxamine conjugates with increased stability and low toxicity
EP1860116A1 (en) Trehalose conjugate with carnosine having antioxidant activity, stable to enzymatic hydrolysis, procedure for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smetic and nutraceutical compositions that contain it
Su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linear and star-shaped polypeptides modified with dopamine and glutathione
Pang et al. A chondroitin sulfate purified from shark cartilage and bovine serum albumin interaction activity
EP3922268B1 (en) New derivatives obtained from hyaluronic acid and carnosine
Valachova et al. Protective effects of catalase indicate hydrogen peroxide involvement in hyaluronan degradation initiated by Cu (II) ions plus ascorbate in situ
Tamer et al. Effects of glutathione, phosphonate, or sulfonated chitosans and their combination on scavenging free radicals
Omer et al. High-molecular weight biopolymer
Madroñal Bio-inspired materials for tissue engineering and controlled release of bioactive components
Mohamed High-molecular weight of bio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