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159A - 복합 조리대 - Google Patents

복합 조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159A
KR20170035159A KR1020150133906A KR20150133906A KR20170035159A KR 20170035159 A KR20170035159 A KR 20170035159A KR 1020150133906 A KR1020150133906 A KR 1020150133906A KR 20150133906 A KR20150133906 A KR 20150133906A KR 20170035159 A KR20170035159 A KR 2017003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oking
heater
steriliz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탁
Original Assignee
대덕이엠지호렙산전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이엠지호렙산전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덕이엠지호렙산전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3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159A/ko
Publication of KR2017003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복합 조리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복합 조리대는 사각 박스 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개의 홈에 각각 설치되는 조리판(20)과; 상면에 한 개 이상의 가열기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조리판(20) 중 한 개 이상의 조리판(20)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이동식 가열대(3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기오븐(50) 및;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쪽의 타측에 위치하는 소독기(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조리대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음식물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조리대{Hybrid Cooking Table}
본 발명은 주방 등에 비치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복합 조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가열판이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열원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 하부에는 전기오븐과 소독기가 구비됨으로써 한 개의 조리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동시에 주방용기 등을 쉽게 소독할 수 있는 복합 조리대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상면에 복수 개의 가열기가 구비된 조리대를 사용하는데, 이때 가열기는 일반적으로 가스렌지, 또는 코일히터 타입이나 인덕션(induction) 타입의 전기히터로 이루어진 한 가지 종류의 히터만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한 가지 종류의 히터로 이루어진 가열기만 설치된 경우, 예를 들면 인덕션 타입의 히터가 설치된 경우 인덕션 타입의 히터의 강력한 화력에 의해 음식물 조리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은 있으나, 유리그릇이나 질그릇과 같은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조리 용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여러 가지 크기의 조리용기를 사용하고, 또한 가열기의 크기에 따라 공급되는 열량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큰 사이즈의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가급적 큰 가열기가 설치된 조리판 위에 놓고 가열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다른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이 보다 작은 가열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여야 하므로 조리대의 사용효율이 저하된다.
한편, 조리대에는 빵이나 고기 등을 조리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오븐이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때 오븐에 공급되는 열원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기에 공급되는 열원과 동일한 열원이 사용되며, 예를 들면 가열기로서 코일 타입의 전기히터가 사용되는 경우 오븐의 열원도 코일 타입의 전기히터가 사용되고, 이 경우 오븐의 가열 성능이 가스렌지나 인덕션 타입의 히터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오븐에서의 음식물 조리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그 하부에 가열기가 설치된 조리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판의 하부쪽에서만 열이 공급되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바닥쪽에 위치하는 음식물은 빠르게 익는 반면, 조리용기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음식물은 상대적으로 늦게 익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끔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뒤집거나 저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더구나 음식물을 조리할 때 도마 등을 자주 소독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별도의 주방용기 소독기를 주방에 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간 이용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하다.
따라서 사용효율이 높으면서도 음식물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며, 또한 주방용기를 쉽게 소독할 수 있는 복합 조리대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20-1995-0005557 U KR 20-1995-0000227 U KR 10-2009-0021037 A KR 10-2006-0098799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조리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용효율이 높으면서도 음식물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동시에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며, 또한 소독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조리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조리대를, 사각 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면에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개의 홈에 각각 설치되는 조리판과; 상면에 한 개 이상의 가열기가 구비되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복수 개의 조리판 중 한 개 이상의 조리판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이동식 가열대와; 하우징의 하부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기오븐 및; 하우징의 하부쪽의 타측에 위치하는 소독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된 조리판의 후방쪽에는 보조 가열대가 가이드봉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가열대가 봉 형상의 수직 지주대와, 지주대에 삽입되어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열기와, 지주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지주대의 하단에는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조리판 중 어느 한 개의 조리판은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 이중 유리로 이루어지고, 이중 유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자성을 가지는 삽입판이 슬라이딩에 의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전기오븐이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하좌우 및 후면의 4면에 각각 설치된 전기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오븐의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전기히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하부쪽에 구비되는 소독기에는 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벽에 각각 수직으로 자외선 살균기가 설치되고, 하우징 바닥의 상면에는 전기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기오븐 또는 소독기의 전면에 투시창과, 개폐량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절기 및 손잡이가 구비된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의 열원으로서 인덕션 타입의 히터나 코일형상의 히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가 자성체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또한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열원(가열기)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대의 이용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대의 하부쪽에 설치된 오븐의 상하좌우 및 후면의 5개의 면에 가열기가 설치되면서, 특히 바닥면에는 인덕션 타입의 가열기가 설치되기 때문에 오븐에서의 음식물 조리시간이 대폭 줄어드는 동시에 조리대상 음식물이 균일하게 조리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조리대에는 상부로부터 열을 공급하는 보조 가열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균일하게 익는 동시에 조리시간이 단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대에는 주방용기 소독기가 일체로 구비되기 때문에 공간 이용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주방용기를 쉽게 소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리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가열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가열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B-B선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4의 C-C선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열원(가열기)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으며, 하부쪽에 전기오븐과 소독기가 구비됨으로써 한 개의 조리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동시에 주방용기 등을 쉽게 소독할 수 있는 복합 조리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복합 조리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조리판(20), 이동식 가열대(30), 보조 가열기(40), 전기오븐(50) 및 소독기(6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4각 박스 구조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조리판(20), 이동식 가열대(30), 보조 가열대(40), 전기오븐(50) 및 소독기(60)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며, 이때 하우징(10)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내식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이들 복수 개의 홈에는 각각 한 개 씩의 조리판(20)이 설치되는데, 이들 조리판(20)은 각각 내열성 유리로 제작되고, 이들 조리판(20) 중 한 개의 조리판은 이중 유리로 제작되며, 이때 이중 유리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이 이격된 공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판(P)이 슬라이딩에 의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 삽입판(P)은 자성을 가지는 금속판 또는 페라이트계의 금속입자가 포함됨으로써 자성을 가지는 세라믹판이 사용되며, 이에 의해 인덕션 타입의 히터가 구비된 이동식 가열대를 조리판의 하부에 위치시켜 질그릇이나 유리용기 등의 비자성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중 유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삽입판을 삽입하게 되면 인덕션 타입의 히터로 이루어진 가열기를 사용하더라도 가열기의 열이 삽입판에 전달되면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조리되게 된다.
복수 개의 조리판(20)의 하부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이동식 가열대(3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이동식 가열대(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한 대 이상의 가열기(31, 32)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이들 가열기(31, 32)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고 화력을 조절하며 가열기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제어기(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되며, 전방쪽 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손잡이가 설치된다. 이때 이동식 가열대(30)에 설치되는 가열기의 대수는 조리판(20)의 개수보다 한 대 이상 적게 설치되며, 이에 의해 이동식 가열대(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조리판(20)의 하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조리판(20) 중 남는 조리판(20)의 하부쪽에는 유색의 LED 등과 같은 전등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서 이동하는 이동식 가열대(3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개방되면 이 전등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주방을 밝히거나 또는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 대 이상의 가열기 중 어느 한 대의 가열기는 인덕션 타입의 히터로 제작된 가열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식 가열대(30)의 저면과 측면에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롤러(R)가 설치되며, 이들 롤러(R)에 의해 플레이트 형상의 이동식 가열대(30)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조리판(20)을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면에 설치된 조리판(20)의 후방쪽에는 보조 가열대(40)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보조 가열대(40)는 봉 형상의 수직 지주대(41)와, 이 지주대(41)의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열기(42)와, 지주대(41)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43)으로 이루어지고, 지주대(41)의 하단 부근에는 한 쌍의 관통공(41A)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후방쪽에는 한 쌍의 가이드봉(11)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고, 이 한 쌍의 가이드봉(11)은 지주대(41)의 하단 부근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41A)에 삽입되며, 지주대(41)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된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43)과 그 양 측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롤러(R)가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봉(11)과 복수 개의 롤러에 의해 보조 가열대(40)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41)에는 가열기(42)가 회전 가능하며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장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가열기(42)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42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42A)을 통해 가열기(42)가 지주대(41)를 타고 상하로 승강되는 동시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이때 지주대(41)에는 중앙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리모양의 지지체(43)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이 지지체(43)의 측면에는 자중에 의해 가열기(42)가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손잡이가 달린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됨으로써 지주대(41)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스토퍼의 손잡이를 누른 상태에서 가열기(42)를 상하로 움직여 가열기(42)의 설치위치를 조정한 다음 스토퍼의 손잡이를 놓게 되면 스토퍼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가열기(42)가 지주대(41) 상에 고정되게 되며, 이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손잡이의 누름 여부에 의해 물체를 고정하는 스토퍼의 구조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지주대(4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가열기(42)는 니크롬선으로 이루어진 코일 타입의 히터 또는 인덕션 타입의 히터를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이들 가열기는 각각 별개의 구조체로 제작되어 사용되며, 따라서 코일 타입의 가열기 대신 인덕션 타입의 가열기를 사용할 때에는 지주대(41)에서 코일 타입의 가열기를 제거한 다음, 인덕션 타입의 히터를 설치하여 사용하며, 이를 위해 각각의 가열기의 측면에는 전원과 화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되고, 이들 제어부에는 각각 전원선이 연결된다.
그리고 지주대(41)의 하부 양 측면에는 각각 사용자가 보조 가열기(4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의 손잡이(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된다.
하우징(10)의 하부쪽 내부에는 전기오븐(50)과 소독기(60)가 각각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전기오븐(50)은 하우징(1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51)이 설치되고, 이 프레임(51)의 6개 면 중 전면과 하면(바닥면)을 제외한 상좌우 및 후면의 4개의 면에는 각각 전기히터(52)가 설치되며, 하우징(10)과 프레임(51) 사이에는 단열재(53)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프레임(51)의 구조에 의해 전기히터가 고장나거나 손상된 경우 하우징(10)으로부터 프레임(51) 전체를 제거함으로써 히터를 손쉽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4개의 면에 설치된 전기히터에 의해 음식물이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가열된다.
이때 프레임(51)의 바닥면의 상면에도 코일 타입이나 인덕션 타입의 전기히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프레임(51)의 바닥면에 히터를 설치하게 되면 오븐(50)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대상 음식물이 더욱 신속하게 가열된다.
그리고 프레임(51)에 설치되는 4개 또는 5개의 히터의 전면에는 각각 음식물에서 생성된 수증기로부터 히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내열성 유리가 설치된다.
하우징(10)의 하부쪽에 설치된 전기오븐(50)의 옆에는 소독기(60)가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하우징(10)에는 전기오븐(50)과 소독기(60)를 구획하는 수직의 벽면이 형성되고, 이 벽면과, 이 벽면을 마주보는 하우징(10)의 내벽에는 각각 수직 홈이 형성되고, 이들 한 쌍의 홈에는 각각 자외선 살균기(61)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 바닥의 상면에는 전기히터(62)가 설치되며, 이러한 소독기(60)의 구조에 의해 소독기(60) 내부에 설치되면서 벽면과 하우징(1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선반 상에 도마나 조리용기를 올려놓게 되면 소독기(6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기(61)로부터 각각 방사되는 자외선과 하부로부터 방사되는 전기히터(62)의 열에 의해 더욱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소독기(60)의 내부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기(61)와 전기히터(62)의 전면에는 각각 소독 또는 건조과정에서 생성된 수증기 등으로부터 살균기(61)와 전기히터(62)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내열성 유리가 설치된다.
아울러 전기오븐(50)과 소독기(60)의 전면에는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되며, 이들 개폐도어에는 각각 투시창과, 전기오븐(50)과 소독기(60)에 각각 신선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량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절기 및 손잡이가 구비된다.
한편, 이동식 가열대(30)와 전기오븐(50) 및 소독기(60)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전기오븐(50)과 소독기(60)의 전원과 화력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패널(도면부호 없음)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복합 조리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하우징(10)에 3개의 조리판(20)이 설치되고, 이동식 가열대(30)에는 2개의 가열기가 설치된 구조의 복합 조리대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먼저 내부에 조리대상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3개의 조리판(20) 중 어느 하나의 조리판(20)에 위치시킨 다음, 이동식 가열대(3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식 가열대(30)에 설치된 가열기가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조리판(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열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하게 되면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익게 된다.
이때 만약 유리용기와 같은 비자성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식 가열대(30)에 설치된 2개의 가열기 중 코일타입의 히터가 설치된 가열기를 조리판(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인덕션 타입의 가열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식 가열대(30)에 설치된 2개의 가열기 중 인덕션 타입의 히터가 설치된 가열기를 조리판(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이중 유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자성을 가지는 삽입판(P)을 삽입하여 가열기의 열이 삽입판(P)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조리한다.
그리고 생선이나 육류 등을 구울 때는 3개의 조리판(20)의 어느 한 개의 조리판(20) 위에 프라이팬 등과 같은 조리용기를 위치시킨 다음, 이동식 가열대(30)를 이동시켜 이동식 가열대(30)에 설치된 가열기가 조리용기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조리용기에 생선이나 육류를 놓고 가열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조리용기에 놓인 육류 등이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이때 보조 가열대(40)를 조리용기가 설치된 조리판(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수평으로 이동시킨 다음, 보조 가열대(40)의 지주대(41)에 삽입 설치된 가열기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조정한 상태에서 보조 가열대(40)의 가열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가열기로부터 방사된 열이 조리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육류 등의 상부를 가열함으로써 육류 등이 신속하게 가열되며, 따라서 육류 등을 굳이 뒤집지 않아도 상하면이 균일하게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의 열원으로서 인덕션 타입의 히터나 코일타입의 히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가 자성체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또한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열원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대의 이용효율이 향상되며, 또한 본 발명의 조리대에는 상부로부터 열을 공급하는 보조 가열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균일하게 익는 동시에 조리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10: 하우징 11: 가이드봉
20: 조리판 30: 이동식 가열대
31, 32: 가열기 40: 보조 가열대
41: 지주대 41A: 관통공
42: 가열기 42A: 관통공
43: 지지판 50: 전기오븐
51: 프레임 52: 전기히터
53: 단열재 60: 소독기
61: 살균기 62: 전기히터
P: 삽입판 R: 롤러

Claims (8)

  1.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복합 조리대에 있어서,
    복합 조리대는 사각 박스 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개의 홈에 각각 설치되는 조리판(20)과;
    상면에 한 개 이상의 가열기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조리판(20) 중 한 개 이상의 조리판(20)을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이동식 가열대(3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기오븐(50) 및;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쪽의 타측에 위치하는 소독기(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조리판(20)의 후방쪽에는 보조 가열대(40)가 가이드봉(1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열대(40)는 봉 형상의 수직 지주대(41)와, 상기 지주대(41)에 삽입되어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열기(42)와, 상기 지주대(41)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4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대(41)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봉(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공(4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리판(20) 중 어느 한 개의 조리판(20)은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 이중 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유리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자성을 가지는 삽입판(P)이 슬라이딩에 의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오븐(50)은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51)의 상좌우 및 후면의 4면에 각각 설치된 전기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기오븐(50)의 프레임(51)의 바닥면에는 전기히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쪽에 구비되는 소독기(60)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벽에 각각 수직으로 자외선 살균기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 바닥의 상면에는 전기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대.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기오븐(50) 또는 상기 소독기(60)의 전면에는 투시창과, 개폐량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절기 및 손잡이가 구비된 개폐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리대.
KR1020150133906A 2015-09-22 2015-09-22 복합 조리대 KR20170035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906A KR20170035159A (ko) 2015-09-22 2015-09-22 복합 조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906A KR20170035159A (ko) 2015-09-22 2015-09-22 복합 조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159A true KR20170035159A (ko) 2017-03-30

Family

ID=5850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906A KR20170035159A (ko) 2015-09-22 2015-09-22 복합 조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255B1 (ko) * 2018-04-12 2019-05-30 자이글주식회사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KR101985843B1 (ko) * 2018-10-31 2019-06-04 하이얼코리아알앤디 주식회사 양방향 조리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227A (ko) 1993-06-21 1995-01-03 윌리엄 이.램버트 3세 건조 시간 단축방법
KR950005557A (ko) 1993-08-21 1995-03-20 오오가 노리오 인쇄장치
KR20060098799A (ko) 2005-03-08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겸용 식기세척기
KR20090021037A (ko)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브로일 히터를 구비한 전기 오븐 및 이 전기 오븐의프리히팅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227A (ko) 1993-06-21 1995-01-03 윌리엄 이.램버트 3세 건조 시간 단축방법
KR950005557A (ko) 1993-08-21 1995-03-20 오오가 노리오 인쇄장치
KR20060098799A (ko) 2005-03-08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겸용 식기세척기
KR20090021037A (ko) 2007-08-24 200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브로일 히터를 구비한 전기 오븐 및 이 전기 오븐의프리히팅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255B1 (ko) * 2018-04-12 2019-05-30 자이글주식회사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WO2019198914A1 (ko) * 2018-04-12 2019-10-17 자이글주식회사 유동 가능한 다수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KR101985843B1 (ko) * 2018-10-31 2019-06-04 하이얼코리아알앤디 주식회사 양방향 조리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830B1 (en) Countertop cooking appliance
US4474107A (en) Food oven and smoker device
US2290572A (en) Stove utility drawer
KR20070108022A (ko) 히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3161755A (en) Cooking range
US2526476A (en) Apartment range
JP53228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3088396A (en) Broiling oven
CA2734832A1 (en) Hybrid broil system-electric broil element
US6621053B1 (en) Toaster oven rack
US20150319811A1 (en) Inductio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P1818620B1 (en) Oven having a pull out door with integral heating element and cooking grids
KR20170035159A (ko) 복합 조리대
US20100288748A1 (en) Warming cart
JPH0138486B2 (ko)
US2984730A (en) Multi-purpose cooking unit
RU93502U1 (ru) Плита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 жарочным шкафом (варианты)
KR102104894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41174B1 (ko) 바비큐 구이기
EP2068083A2 (en) Heating unit of an oven
RU2649824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трехъярусная печь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овременных электрофизических методов нагрева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897176B1 (ko) 복합구조를 갖는 인덕션레인지
KR101233246B1 (ko) 슬라이딩 랙걸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200480100Y1 (ko) 로스터
KR102005172B1 (ko) 다목적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