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888A -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888A
KR20170033888A KR1020177004947A KR20177004947A KR20170033888A KR 20170033888 A KR20170033888 A KR 20170033888A KR 1020177004947 A KR1020177004947 A KR 1020177004947A KR 20177004947 A KR20177004947 A KR 20177004947A KR 20170033888 A KR20170033888 A KR 20170033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nsumption
engine
time
opera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니시카와
고지 이시카와
도모아키 가네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3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G01F9/001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ith electric, electro-mechanic or electron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7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60W2530/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작업기의 조작시와 비조작시를 포함한 엔진 가동 기간 전체에서 연비의 좋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고, 그 평가를 오퍼레이터에게 리얼 타임으로 통지하여, 연비 절감 운전을 촉구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가 토출한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로서,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 시간을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으로 나누거나, 또는,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을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 시간으로 나누어, 제 1 연비 지표를 산출하는 연비 지표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비 지표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제 1 연비 지표를 표시부에 리얼 타임으로 표시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WORKING MACHIN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등의 작업 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게 에너지 절약 운전을 촉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작업 차량의 연비를 산출하는 연비 산출부와, 연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연비가 목표 연비 이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연비 표시부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아이들 상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게 연비가 좋은 상태로의 이행을 촉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아이들 상태에 있어서의 엔진 부하의 상태를 통지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8-62791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225004호 공보
유압 셔블 등의 작업 기계의 경우, 시간당 연료 소비량(이하, 시간 연비라고 한다)(예를 들면 [L/h])으로 연비를 평가하면, 이하의 문제가 있다.
시간 연비의 수치는 엔진 부하가 높을수록 커지기 때문에, 작업기를 조작하는 조작시와 비조작시 중에서는 비조작시의 수치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어떤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평균의 시간 연비(평균 연비라고 한다)를 고려하면, 비조작의 시간이 긴 작업 기계 쪽이 평균 연비의 수치가 작아진다.
그러나, 작업 기계는, 어떤 작업을 행한 경우에 소비한 연료가 적은 경우를 연비 절감 운전이라고 파악한다. 이것을 평가하는 수치로서 연료 1L당의 작업량(이하, 작업량 연비라고 한다)(예를 들면, [㎥/L])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 수치가 클수록 연비 절감 운전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비조작 상태는 연료만을 소비할 뿐이므로, 작업량 연비가 작아져, 연비 절감 운전이라고는 할 수 없다.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작업중의 연비의 좋고 나쁨을 시각적으로 오퍼레이터에게 나타내어 연비 절감 운전을 촉구하고 있으나, 비조작시의 연비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비조작시의 연비의 좋고 나쁨을 시각적으로 오퍼레이터에게 나타내어 연비 절감 운전을 촉구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1, 2 모두 어떤 순간에 있어서의 연비를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엔진 가동 기간에 있어서의 연비에 대해서는 평가할 수 없다.
시간 연비로 작업 기계의 연비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비조작시가 길면 연비가 좋은 것처럼 보인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비조작 상태가 작업량 연비의 관점에서의 연비 절감 운전에 악영향을 주고 있음을 통지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항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기의 조작시와 비조작시를 포함한 엔진 가동 기간 전체에서 연비의 좋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고, 그 평가를 오퍼레이터에게 리얼 타임으로 통지하여, 연비 절감 운전을 촉구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은,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가 토출한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로서,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 상태의 시간을 조작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과 비조작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을 가산한 값으로 나누거나, 또는, 조작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과 비조작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을 가산한 값을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 상태의 시간으로 나누어, 제 1 연비 지표를 산출하는 연비 지표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비 지표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제 1 연비 지표를 표시부에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의 조작시와 비조작시를 포함한 엔진 가동 기간 전체에서 연비의 좋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그 평가를 오퍼레이터에게 리얼 타임으로 통지하므로, 연비 절감 운전을 촉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구비한 유압 셔블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구비한 유압 셔블의 개략 시스템과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의 증감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표시부의 로(low) 아이들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표시부의 하이(high) 아이들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표시부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표시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표시색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증감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의 증감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보조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작업 기계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기계 전반에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적용은 유압 셔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구비한 유압 셔블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유압 셔블(작업 기계)은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1)와, 하부 주행체(1)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2)와, 굴삭 작업 수단 등을 구비하는 프론트 작업기(3)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1)에는 좌우 한 쌍의 주행용 유압 모터(도시 생략)가 배치되고, 이 주행용 유압 모터 및 그 감속 기구 등에 의해 각 크롤러가 독립하여 회전 구동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한다.
상부 선회체(2)에는, 유압 셔블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장치(6)나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 등이 배치된 운전실(4), 엔진 등의 원동기, 유압 펌프 및 선회 모터(도시 생략) 등이 구비되어 있고, 이 선회 모터에 의해 상부 선회체(2)가 하부 주행체(1)에 대하여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선회된다. 운전실(4)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작업 기계)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종 계기류나 기체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작업기(3)는 붐(3a), 아암(3b) 및 버킷(3c)으로 구성되어 있고, 붐(3a)은 붐 실린더(3d)에 의해 상하동되고, 아암(3b)은 아암 실린더(3e)에 의해 덤프측(열리는 측) 또는 크라우드측(그러모으는 측)으로 조작되고, 버킷(3c)은 버킷 실린더(3f)에 의해 덤프측 또는 크라우드측으로 조작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구비한 유압 셔블의 개략 시스템과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의 운전실(4)에는 기체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체 컨트롤러(7)와,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유압 셔블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5)와, 원동기인 엔진(9)의 회전수를 기체 컨트롤러(7)에 지시하는 엔진 컨트롤 다이얼(EC 다이얼)(8)과, 유압 셔블의 각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표하여 1개를 나타낸다)의 조작 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압 셔블은 원동기인 엔진(9)과, 엔진(9)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10)와, 고정 용량형의 파일럿 펌프(11)와, 유압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붐 실린더(3d)나 아암 실린더(3e), 버킷 실린더(3f) 등의 복수의 액추에이터(도 1 참조)에 공급되는 압유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군(12)과, 조작 장치(6)로부터 컨트롤 밸브군(12)에 보내지는 파일럿압 조작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밸브군(13)과, 유압 펌프(10)의 경사판의 틸팅각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14)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장치(6)에는 조작 레버(6a)가 설치되어 있고, 오퍼레이터가 조작 장치(6)에 설치된 조작 레버(6a)를 조작함으로써 파일럿 유압의 조작 신호가 생성되고, 신호 제어 밸브군(13)을 개재하여 컨트롤 밸브군(12)에 보내짐으로써 대상인 액추에이터가 구동된다.
EC 다이얼(8)은, 오퍼레이터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엔진(9)의 회전수(N)를 기체 컨트롤러(7)에 지시하는 회전 다이얼식의 지시 장치이고, 엔진(9)의 회전수(N)의 지시 가능 범위에 있어서의 최소값, 최대값 및 그 사이의 값을 무단계로 지시할 수 있다.
엔진 제어 장치(9a)는, 기체 컨트롤러(7)와 신호의 수수를 행하고 있고,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의 제어 신호(EC 다이얼(8)에 의한 지시 회전수 등)에 의거하여 엔진(9)의 구동을 제어함과 함께, 엔진(9)으로부터 얻어지는 회전수(N)나 연료 분사량 등의 정보를 기체 컨트롤러(7)에 출력한다.
레귤레이터(14)는, 펌프 토크 제어 전자 밸브(14a)를 가지고 있고,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펌프 토크 제어 전자 밸브(14a)에 출력되는 제어 신호와, 신호 제어 밸브군(13)에서 생성되는 파일럿 유압의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유압 펌프(10)의 틸팅각을 제어한다.
또한, 유압 회로부에는, 신호 제어 밸브군(13)으로부터 레귤레이터(14)에 보내지는 파일럿 유압(즉, 레귤레이터(14)의 제어압)을 검출하는 펌프 컨트롤압 센서(14b)와, 유압 펌프(10)의 토출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0a)와, 조작 장치(6)로부터 신호 제어 밸브군(13)에 보내지는 조작 신호의 파일럿 유압을 검출하는 조작압 센서(13a)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검출 신호를 기체 컨트롤러(7)에 출력한다. 기체 컨트롤러(7)는, 조작압 센서(13a)의 검출 신호, 압력 센서(10a)의 검출 신호 및 펌프 컨트롤압 센서(14b)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유압 펌프(10)의 토출 용량(틸팅)을 산출하고, 산출한 틸팅이 되도록, 펌프 토크 제어 전자 밸브(14a)로의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기체 컨트롤러(7)는, 엔진 부하에 연관된 정보인 엔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엔진 부하값 산출부(7a)와, 연비 지표를 산출하는 연비 지표 산출부(7b)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부하값 산출부(7a)는, 상술한 각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펌프(10)의 펌프 출력(W)[kW] 등을 산출하여, 표시 장치(5)에 동작 상태 정보로서 엔진(9)의 회전수(N)[rpm] 등과 함께 출력한다.
예를 들면, 엔진 부하값 산출부(7a)가 동작 상태 정보로서 펌프 출력(W)[kW]을 산출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펌프(10)의 펌프 용량(L)[c㎥]과 엔진 회전수(N)[min-1]로부터 펌프 유량[L/min]을 산출하고, 그 펌프 유량과 펌프압[MPa]으로부터 펌프 출력(W)[kW]을 산출한다.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상술한 각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연비(연료 소비량)(M)[L/h]나 후술하는 연비 지표를 산출하여, 표시 장치(5)에 동작 상태 정보로서 적산 연료 사용량(S)[L] 등과 함께 출력한다.
연비 지표 산출부(7b)에서는, 연비 지표로서, 작업기의 조작 시간(T)[min]을 연료 소비량(F)[L]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작업 시간 연비(FI)[min/L]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작업 시간 연비(FI)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표시 장치(5)를 조작함으로써 초기화(0으로 리셋)할 수 있다.
연비 지표 산출부(7b)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의 계산은 1초마다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먼저, 엔진 제어 장치(9a)로부터 수신한 적산 연료 사용량(S)을 기초로, 초기화된 시점의 적산 연료 사용량을 연료 소비량 초기값(F0)으로 한다. 이 연료 소비량 초기값(F0)과 엔진 가동중의 적산 연료 사용량(S)으로부터 그 엔진 가동중에 있어서의 연료 소비량(F)을 이하의 식으로 산출한다. 엔진 가동중에 있어서의 연료 소비량(F)은, 조작 장치(6)의 조작 상태에서의 엔진(9)의 연료 소비량과 조작 장치(6)의 비조작 상태에서의 엔진(9)의 연료 소비량을 가산한 값이 된다.
F=S-F0[L]
다음에,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조작압 센서(13a)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미리 설정한 문턱값과 비교하여, 조작 신호가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작업기가 조작중이라고 판단하고, 조작 시간(T)에 1초를 가산함으로써, 조작 시간(T)의 값을 적산한다. 환언하면, 조작 시간(T)은 조작 장치(6)의 조작 상태의 시간을 나타낸다.
다음에,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조작 시간(T)과 연료 소비량(F)으로부터 작업 시간 연비(FI)를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고, 표시 장치(5)에 연비 지표로서 리얼 타임으로 출력한다.
FI=T/F[min/L]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5)는, 유압 셔블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a)와, 각종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표시 조작부(5b)를 구비하고 있고, 각종 정보의 표시나 조작을 도시하지 않은 표시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하고 있다. 또한, 표시부(5a)를 터치 패널식의 액정 모니터로 하여 표시 조작부(5b)를 겸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표시부(5a)에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의 연비 지표 정보를 표시하는 연비 지표 표시부(70)와 부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연비 지표 지시부(70)에 있어서는, 연비 평가를 위한 수치임을 오퍼레이터에게 명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비 스코어」라고 표시하고, 그 아래에 작업 시간 연비(FI)의 수치를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보다 스코어답게 시인할 수 있도록 단위 [min/L]를 비표시로 하고 있으나, 단위를 표시해도 되고, 「연비 스코어」라는 표시를 없애도 된다.
다음에, 연비 지표의 증감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의 증감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시간 연비[L/h]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선은 작업을 계속 행한 경우(조작 상태만인 경우)를 나타내고, 파선은 조작 상태 후에 비조작 상태가 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각 t1은 연비료 지표를 초기화하고 나서 60분 후의 시각을, 시각 t2는 연비료 지표를 초기화하고 나서 120분 후의 시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먼저, 실선으로 나타내는 조작 상태만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연비 지표를 초기화(리셋)하고 나서, 시간 연비 12[L/h]로 1시간 작업기를 계속 조작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하면, 이때(시각 t1) 연료의 소비량은 12[L]이고 조작 시간은 60[min]이므로, 연비 지표인 작업 시간 연비(FI)는 60/12=5.0이 된다. 이것은, 반대로 생각하면 작업 시간 연비(FI)가 5.0일 때는 대응하는 시간 연비는 12[L/h]라고 할 수 있다.
이 다음(시각 t1 후)에, 작업중의 연비가 악화하여, 시간 연비 14[L/h]의 작업이 되었다고 하면, 연비로서는 악화 상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추가로 1시간 가동하였다고 하면, 시각 t2에 있어서의 작업 시간 연비(FI)는 (60+60)/(12+14)=4.6이 되어, 작업 시간 연비(FI)의 값은 시각 t1일 때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이 작아지면, 연비가 악화된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릴 수 있다.
다음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조작 상태 후에 비조작 상태가 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각 t1까지는, 상기한 경우와 동일하여 이때의 작업 시간 연비(FI)는 5.0이다. 이 다음(시각 t1 후)에 비조작이 된 경우, 작업량을 고려한 연비로서는 악화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비조작에서의 시간 연비를 3[L/h]으로 하여 1시간 비조작 상태였다고 하면, 시각 t2에 있어서의 작업 시간 연비(FI)는, 연료 소비량(F)은 가산되나 조작 시간(T)이 가산되지 않기 때문에, 60/(12+3)=4.0이 되어, 작업 시간 연비(FI)의 값은 시각 t1일 때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이 작아지면, 연비가 악화된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비조작 시간이 시각 t2를 초과하여 계속되어, 작업 시간 연비(FI)가 3.0이 된 경우를 생각하면, 이때, 연료 소비량(F)은 20이 되고, 대응하는 시간 연비는 20[L/h]이다. 이 다음에, 조작을 재개하여 작업중의 시간 연비가 14[L/h]였다고 하면, 재개 후에 있어서의 작업중의 시간 연비 (14)가,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이 3.0이 된 경우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 (20)보다 작으므로, 연비 지표의 값은 커지고, 연비가 호전된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비 지표를 이용하면, 작업 시간의 시간 연비가 악화하고 있는 경우나 작업기가 비조작시에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이 감소한다. 또한, 작업기의 비조작시로부터 조작을 개시하는 경우 등에, 재개 후의 작업에 있어서의 시간 연비가, 조작 개시시의 연비 지표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보다 좋을 때는,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연비 지표의 값이 크면 클수록, 작업기의 조작중과 비조작중을 포함한 엔진 가동 기간 전체에서 연비의 좋고 나쁨을 평가 판정할 수 있다. 이 점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이 연비 지표의 값을 좋게(크게) 하기 위하여, 작업중에는 에너지 절약 운전에 주의하는 것이 예상되고, 작업기의 비조작시에는, 이 시간을 단축하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아이들링 스톱 등에 주의하는 것이 예상된다.
다음에,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50)에 대하여 도 3, 도 5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표시부의 로 아이들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표시부의 하이 아이들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표시부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표시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표시색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50)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출력되는 엔진(9)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엔진(9)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아이들 상태 표시부(50a)와, 아이들 상태 표시부(50a)에 이어지도록 배치되고, 조작 장치(6)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엔진(9)의 시간 연비에 따라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상태 표시부(50b)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들 상태 표시부(50a)는,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점등 상태와 소등 상태를 전환하는 표시 셀로 이루어지는 로 아이들 표시부(51)와 하이 아이들 표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아이들 상태 표시부(50a)에서는, 기체 컨트롤러(7)에서 산출되는 연비 지표에 의거한 연비의 좋고 나쁨에 따라, 점등 상태에서의 표시색을 변화시키고 있다.
동작 상태 표시부(50b)는, 동작 상태 표시부(50b)는,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점등 상태와 소등 상태를 전환하는 복수(본 예에서는 8개)의 표시 셀(53,…, 60)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표시 셀(53,…, 60)은, 아이들 상태 표시부(50a)의 하이 아이들 표시부(52)측에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동작 상태 표시부(50b)에서는, 동작 상태 정보로서 기체 컨트롤러(7)에서 산출되는 엔진(9)의 시간 연비에 따라 각 표시 셀(53,…, 60)의 점등 상태와 소등 상태를 전환한다. 또한, 기체 컨트롤러(7)에서 산출되는 연비 지표에 의거한 연비의 좋고 나쁨에 따라 점등 상태에서의 표시색을 변화시키고 있다.
다음에, 표시 장치(5)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표시 처리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타트의 상태로서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의 도시하지 않은 키 스위치에 의해 엔진 가동중의 상태로 한다.
표시 장치(5)는,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로 아이들 표시부(51)를 점등 상태로 한다(단계 S1).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엔진(9)이 가동 상태라는 상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상태로 한다.
기체 컨트롤러(7)는, 조작 신호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구체적으로는, 연비 지표 산출부(7b)에 있어서, 조작압 센서(13a)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미리 설정한 문턱값과 비교하고, 조작 신호가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작업기가 조작중이라고 판단한다. 조작 신호가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YES라고 판단되어 (단계 S3)으로 진행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6)으로 진행된다.
표시 장치(5)는,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하이 아이들 표시부(52)를 점등 상태로 한다(단계 S3).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단계 S2)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상태로 한다.
표시 장치(5)는 엔진(9)의 시간 연비(M)를 취득한다(단계 S4).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의 연비 지표 산출부(7b)로부터 시간 연비(M)[L/h]를 수신한다.
표시 장치(5)는, 취득한 시간 연비(M)에 따라 동작 상태 표시부(50b)를 점등 상태로 한다(단계 S5). 구체적으로는, 시간 연비(M)의 크기에 따라, 동작 상태 표시부(50b)의 대응하는 표시 셀(53,…, 60)을 점등 상태로 하여,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상태로 한다. (단계 S5)의 처리 완료 후 리턴을 경유하여 (단계 S1)에 되돌아가고, 다시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2)에서, 조작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기체 컨트롤러(7)는 엔진(9)의 회전수(N)를 취득한다(단계 S6).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의 엔진 부하값 산출부(7a)가 엔진 제어 장치(9a)로부터 회전수(N)[rpm]를 수신한다.
기체 컨트롤러(7)는, 취득한 엔진 회전수(N)가 미리 정한 기준값(NI0)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구체적으로는, 엔진 부하값 산출부(7a)에 있어서, 회전수(N)가 기준값(NI0) 이하일 경우에는 로 아이들 상태라고 판단한다. 회전수(N)가 기준값(NI0) 이하일 경우에는 YES라고 판단되어 리턴으로 진행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8)로 진행된다.
표시 장치(5)는,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하이 아이들 표시부(52)를 점등 상태로 한다(단계 S8).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단계 S7)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상태로 한다. (단계 S8)의 처리 완료 후 리턴을 경유하여 (단계 S1)에 되돌아가고, 다시 처리를 개시한다.
다음에, 표시 장치(5)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표시색 처리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체 컨트롤러(7)에서 산출되는 연비 지표에 의거한 엔진(9)의 연비의 좋고 나쁨에 따라,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점등 상태에서의 표시색을 변화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연비가 좋은 상태를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것으로서 표시색 1(예를 들면 녹색)을 나타내고, 연비가 나쁜 상태를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것으로서 표시색 2(예를 들면 적색)를 나타낸다.
먼저, 스타트의 상태로서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의 도시하지 않은 키 스위치에 의해 엔진 가동중의 상태로 한다.
기체 컨트롤러(7)는, 조작 신호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구체적으로는, 연비 지표 산출부(7b)에 있어서, 조작압 센서(13a)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미리 설정한 문턱값과 비교하여, 조작 신호가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작업기가 조작중이라고 판단한다. 조작 신호가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YES라고 판단되어 (단계 S13)으로 진행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12)로 진행된다.
표시 장치(5)는 동작 상태 표시부(50)를 표시색 2로 점등한다(단계 S12).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단계 S11)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 작업기의 비조작의 경우는, 연비가 나쁘기(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은 감소한다) 때문에, 표시색 2를 점등하여 오퍼레이터에게 연비의 악화를 통지한다. (단계 S12)의 처리 완료 후 리턴을 경유하여 (단계 S11)에 되돌아가고, 다시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11)에서, 조작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기체 컨트롤러(7)는, 유압 펌프(10)의 토출압이 미리 정한 릴리프압(Pph)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의 엔진 부하값 산출부(7a)에 있어서, 압력 센서(10a)가 검출한 유압 펌프(10)의 토출압의 값과 릴리프압(Pph)을 비교한다. 유압 펌프(10)의 토출압이 릴리프압(Pph) 이상일 경우에는 YES라고 판단되어 (단계 S14)로 진행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15)로 진행된다.
표시 장치(5)는 동작 상태 표시부(50)를 표시색 2로 점등한다(단계 S14).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단계 S13)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 압력 센서(10a)가 검출한 유압 펌프(10)의 토출압의 값이 릴리프압(Pph) 이상일 경우에는, 릴리프 동작한다는 점에서 연비가 악화된(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은 감소한다) 상태라고 판단하고, 표시색 2을 점등하여 오퍼레이터에게 연비의 악화를 통지한다. (단계 S14)의 처리 완료 후 리턴을 경유하여 (단계 S11)에 되돌아가고, 다시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13)에서, 유압 펌프(10)의 토출압의 값이 릴리프압(Pph) 이상이 아닌 경우, 기체 컨트롤러(7)는, 엔진의 시간 연비(M)가, 그때의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구체적으로는, 연비 지표 산출부(7b)에 있어서, 엔진(9)의 시간 연비(M)를 그때의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와 비교한다. 엔진(9)의 시간 연비(M)가 연비 지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 이하일 경우에는 YES라고 판단되어 (단계 S16)으로 진행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NO라고 판단되어 (단계 S17)로 진행된다.
표시 장치(5)는 동작 상태 표시부(50)를 표시색 1로 점등한다(단계 S16).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단계 S15)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 엔진(9)의 시간 연비(M)가 연비 지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 이하일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시간 연비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연비가 호전된(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은 증가한다) 상태라고 판단하고, 표시색 1을 점등하여 오퍼레이터에게 연비의 양호화를 통지한다. (단계 S16)의 처리 완료 후 리턴을 경유하여 (단계 S11)에 되돌아가고, 다시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15)에서, 엔진(9)의 시간 연비(M)가 연비 지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 이하가 아닌 경우, 표시 장치(5)는 동작 상태 표시부(50)를 표시색 2로 점등한다(단계 S17). 구체적으로는, 기체 컨트롤러(7)로부터 (단계 S15)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 엔진(9)의 시간 연비(M)가 연비 지표의 값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시간 연비보다 커지기 때문에, 연비가 악화된(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은 감소한다) 상태라고 판단하고, 표시색 2를 점등하여 오퍼레이터에게 연비의 악화를 통지한다. (단계 S14)의 처리 완료 후 리턴을 경유하여 (단계 S11)에 되돌아가고, 다시 처리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현재의 작업기의 조작 상황과 부하 상황이 연비에 대하여 주는 영향(즉,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의 증감)을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50)의 표시색을 변화시켜 명시하므로, 오퍼레이터는 현재의 운전 상태(에너지 절약 운전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기의 조작시와 비조작시를 포함한 엔진 가동 기간 전체에서 연비의 좋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그 평가를 오퍼레이터에게 리얼 타임으로 통지하므로, 연비 절감 운전을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비 지표 표시부(70)에 직접 연비 지표를 명시하므로, 오퍼레이터에게는 이 연비 지표를 좋게 하기 위한 에너지 절약 운전이 촉구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각 표시 셀의 표시색을 변화시킴으로써, 현재의 작업기의 조작 상황과 부하 상황이 연비에 대하여 주는 영향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므로, 오퍼레이터는 현재의 운전 상태(에너지 절약 운전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연비 지표로서, 조작 시간(T)을 연료 소비량(F)으로 나눈 작업 시간 연비[min/L]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료 소비량을 조작 시간으로 나눈 값[L/min]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연비 지표의 값은 작으면 작을수록 연비가 좋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보다 오퍼레이터에게 에너지 절약 운전을 촉구하기 위하여, 연비 지표가 무엇을 나타내고 있는지, 또한, 어떻게 하면 연비 지표가 좋아지는지를 문장 등에 의해 표시 장치(5)에 표시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연비 스코어의 근방에 「연비 스코어는 단위 연료 소비량에 있어서의 조작 시간[min/L]입니다」라고 표시해도 되고, 「비조작 시간을 길게 하거나 릴리프 시간을 길게 하면, 연비가 나빠집니다」 등이라고 표시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5)의 동작 상태 표시부(50)의 점등 상태와 소등 상태의 전환(부하 표시)에 엔진(9)의 시간 연비(M)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펌프 출력(W)을 이용해도 된다. 펌프 출력(W)과 엔진(9)의 시간 연비(M)에는 상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미리 변환식을 설정해 두면, 펌프 출력으로 연비 지표의 증감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비의 좋고 나쁨을 판정함에 있어서, 작업 시간의 시간 연비와, 그때의 연비 지표에 대응하는 시간 연비를 비교하여, 대소 관계로 연비의 좋고 나쁨을 판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비교 결과에 일정한 문턱값을 설정하여, 연비의 좋고 나쁨 외에 연비의 변화 없음이라는 판정을 행하여도 된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증감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의 개략 시스템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표시 장치(5)의 표시부(5a)의 일부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50)를 생략하고, 연비 지표 표시부(70)의 근방에 연비 지표 증감 상황 표시부(80)를 설치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현재의 작업기의 조작 상황과 부하 상황이 연비에 대하여 주는 영향(즉, 작업 시간 연비(FI)인 연비 지표의 값의 증감)을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50)의 표시색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시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증감 상황 표시부(80)는, 단순하게 화살표 표시로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비가 좋아지고 있는 경우(연비 지표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화살표가 표시되고, 연비가 악화되고 있는 경우(연비 지표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에는 하방향으로 화살표가 표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의 개략 시스템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기체 컨트롤러(7)의 연비 지표 산출부(7b)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의 산출 방법과 연비 지표 표시부(70)의 표시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먼저, 기체 컨트롤러(7)의 연비 지표 산출부(7b)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 시간(T)[h]을 산출함과 함께, 그때까지의 엔진 가동 시간(Te)[h]을 기초로 그때의 가동률(R)[%]을 이하의 식으로 산출한다.
R=T/Te×100
또한, 이 가동률(R)로 조작하고 있을 때의 시간 연비를 FR[L/h]이라고 하고, 비조작시(가동률이 0%일 때)의 시간 연비를 기준 연비(FZ)[L/h]로 정의한다. 작업 기계의 기준으로 하는 가동률을 미리 정하여, 이것을 기준 가동률(RS)[%]로 하고, 기준 가동률에 있어서의 시간 연비(FRS)[L/h]를 후술하는 방법으로 산출한다. 연비 지표 산출부(7b)에는, 연비 지표로서,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FRS)[L/h]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FRS)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표시 장치(5)를 조작함으로써, 초기화(0으로 리셋)할 수 있다.
연비 지표 산출부(7b)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의 계산은 1초마다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먼저, 엔진 제어 장치(9a)로부터 수신한 적산 연료 사용량(S)을 기초로,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FRS)가 초기화된 시점의 적산 연료 사용량을 연료 소비량 초기값(F0)으로 한다. 이 연료 소비량 초기값(F0)과 엔진 가동중의 적산 연료 사용량(S)으로부터 그 엔진 가동중에 있어서의 연료 소비량(F)을 이하의 식으로 산출한다.
F=S-F0[L]
다음에,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비조작 시간에 소비한 연료의 값을 비조작 시간의 적산값으로 나눔으로써, 가동률이 0[%](비조작시)인 시간 연비인 기준 연비(FZ)[L/h]를 산출한다.
다음에,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조작 시간(T)과 엔진 가동 시간(Te)으로부터 가동률(R)[%]을 산출함과 함께, 그때까지 소비한 연료 소비량(F)을 엔진 가동 시간(Te)으로 나눔으로써, 현재의 가동률(R)[%]에서의 시간 연비(FR)[L/h]를 산출한다.
다음에,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이러한 수치로부터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FRS)를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고, 표시 장치(5)에 연비 지표로서 리얼 타임으로 출력한다.
FRS=α·RS+FZ[L/h]
단, α=(FR-FZ)/R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5)의 표시부(5a)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표시부(70)는, 현재의 가동률로서 상술한 R의 값을, 현재의 시간 연비로서 상술한 FR의 값을, 기준 가동률(RS)로서 상술한 RS의 값을,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로서 상술한 FRS의 값을 각각,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연비 지표의 증감에 대하여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의 증감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가로축은 가동률을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시간 연비[L/h]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선은 가동률(R)이 50[%]일 때의 시간 연비가 10[L/h]으로 작업을 한 경우의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FRS)의 특성을 나타내고, 파선은 가동률(R)이 50[%]일 때의 시간 연비가 8[L/h]로 작업을 한 경우의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FRS)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준 가동률(RS)을 80[%]으로 하고, 기준 연비(FZ)를 3[L/h]으로 하고 있다.
먼저, 실선으로 나타내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연비 지표를 초기화하고 나서 엔진 가동 시간(Te)이 2시간 경과하고, 조작 시간이 1시간이며, 연료 소비량이 20[L]인 경우, 가동률(R)은 1/2×100으로 50[%]이 된다. 또한, 이때의 가동률(R)[%]에서의 시간 연비(FR)[L/h]는, 그때까지 소비한 연료 소비량(F)인 20을 엔진 가동 시간(Te)인 2로 나누어 10[L/h]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치를 상술한 식에 대입하여, 아래와 같이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FRS)를 산출한다.
FRS=(FR-FZ)/R·RS+FZ[L/h]
=(10-3)/50·80+3=14.2[L/h]
다음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연비 지표를 초기화하고 나서 엔진 가동 시간(Te)이 2시간 경과하고, 조작 시간이 1시간이며, 연료 소비량이 16[L]인 경우, 가동률(R)은 1/2×100으로 50[%]이 된다. 또한, 이때의 가동률(R)[%]에서의 시간 연비(FR)[L/h]는 그때까지 소비한 연료 소비량(F)인 16을 엔진 가동 시간(Te)인 2로 나누어 8[L/h]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치를 상술한 식에 대입하여, 아래와 같이 기준 가동률(RS)에서의 시간 연비(FRS)를 산출한다.
FRS=(FR-FZ)/R·RS+FZ[L/h]
=(8-3)/50·80+3=11[L/h]
이와 같이, 어떤 때의 가동률에서의 시간 연비가 다른 경우나, 가동률이 다른 경우에는, 그 시점의 시간 연비가 변화하므로, 기준으로 하는 가동률에서의 시간 연비를 비교함으로써, 작업 기계의 연비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비조작 시간이 증가하면 가동률의 수치가 감소하므로, 현재의 가동률의 수치가 큰 쪽이 연비가 좋은 상태임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여, 연비 절감 운전을 촉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보조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의 개략 시스템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표시부(5a)의 연비 지표 표시부(70)의 표시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비 지표 표시부(70)의 근방에 연비 지표 보조 표시부(71)를 설치하여, 비조작 시간과 비조작 시간의 소비 연료를 표시하고 있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 연비 지표 보조 표시부(71)는 상술한 제 2∼제 3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부가해도 된다.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 시간(T)[h]을 산출함과 함께, 비조작시의 시간(TH)[h]과 비조작시에 소비된 연료 소비량(FH)[L]을 산출하고, 이들을 연비 보조 지표로서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 비조작시의 시간(TH)[h]과 비조작시에 소비된 연료 소비량(FH)[L]은,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표시 장치(5)를 조작함으로써, 초기화(0으로 리셋)할 수 있다.
연비 지표 산출부(7b)에 있어서의 연비 보조 지표의 계산은 1초마다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연비 지표 산출부(7b)는, 조작압 센서(13a)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미리 설정한 문턱값과 비교하여, 조작 신호가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기가 비조작중이라고 판단하고, 비조작 시간(TH)에 1초를 가산함으로써, 비조작 시간(TH)의 값을 적산한다. 또한, 동일하게, 비조작시의 연료 소비량(FH)을 적산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5)의 표시부(5a)에 있어서의 연비 지표 보조 표시부(71)는 상술한 연비 지표 표시부(7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현재의 가동률로서 상술한 TH의 값을, 비조작 시간에 소비한 연료로서 상술한 FH의 값을 각각,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고 있다.
비조작의 상태가 계속되면, 표시부(5a)의 연비 지표 보조 표시부(71)의 비조작 시간의 값이 증가함과 함께, 비조작시의 연료 소비량의 값이 증가하므로,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무효가 된 연소 소비량을 간단히 통지할 수 있다. 이 점에 의해, 오퍼레이터에게 에너지 절약 운전을 촉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례가 포함된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히 설명한 것이고,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 삭제, 치환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하부 주행체
2 : 상부 선회체
3 : 프론트 작업기
4 : 운전실
5 : 표시 장치
5a : 표시부
5b : 표시 조작부
6 : 조작 장치
7 : 기체 컨트롤러
7a : 엔진 부하값 산출부
7b : 연비 지표 산출부
8 : 엔진 컨트롤(EC) 다이얼
9 : 엔진
9a : 엔진 제어 장치
10 : 유압 펌프
10a : 압력 센서
11 : 파일럿 펌프
12 : 컨트롤 밸브군
13 : 신호 제어 밸브군
13a : 조작압 센서
14 : 레귤레이터
14a : 펌프 토크 제어 전자 밸브
14b : 펌프 컨트롤압 센서
50 :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
50a : 아이들 상태 표시부
50b : 동작 상태 표시부
70 : 연비 지표 표시부
80 : 연비 지표 증감 상황 표시부
51,…, 60 : 표시 셀

Claims (6)

  1.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가 토출한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로서,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 상태의 시간을 조작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과 비조작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을 가산한 값으로 나누거나, 또는, 조작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과 비조작 상태에서의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을 가산한 값을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 상태의 시간으로 나누어, 제 1 연비 지표를 산출하는 연비 지표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비 지표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제 1 연비 지표를 표시부에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산출하는 엔진 부하값 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비 지표 산출부는, 상기 엔진 부하값 산출부에서 산출한 상기 엔진의 동작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연비 지표의 값의 증감을 판단하고,
    상기 연비 지표 산출부가 판단한 상기 제 1 연비 지표의 변화 상황을 상기 표시부에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엔진 부하 산출부가 산출한 상기 엔진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비 지표 산출부가 판단한 상기 제 1 연비 지표의 변화 상황을 상기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에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표시부는, 상기 동작 상태 정보에 따라 점등 상태와 소등 상태를 전환하는 복수의 표시 셀을 세로로 배치한 것으로서,
    상기 표시 셀의 점등 상태의 표시색을, 상기 제 1 연비 지표의 변화 상황이 악화하는 경우와 좋아지는 경우에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비 지표 산출부는,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 시간을 상기 엔진의 가동 시간으로 나누어 엔진 가동률을 산출하고,
    상기 엔진의 연료 소비량을 상기 엔진의 가동 시간으로 나누어 현재의 엔진 가동률에 있어서의 시간 연비를 산출하고,
    상기 엔진 가동률에 있어서의 시간 연비를 기초로, 미리 설정한 기준 가동률에 있어서의 시간 연비를 제 2 연비 지표로서 산출하고,
    상기 제 2 연비 지표를 표시부에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비 지표 산출부는, 상기 압력 센서가 검출한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량을 받아들여,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량에 따라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KR1020177004947A 2014-09-24 2015-03-05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KR20170033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4495 2014-09-24
JP2014194495 2014-09-24
PCT/JP2015/056558 WO2016047167A1 (ja) 2014-09-24 2015-03-05 作業機械の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888A true KR20170033888A (ko) 2017-03-27

Family

ID=5558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947A KR20170033888A (ko) 2014-09-24 2015-03-05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76530A1 (ko)
EP (1) EP3199713A4 (ko)
JP (1) JPWO2016047167A1 (ko)
KR (1) KR20170033888A (ko)
CN (1) CN106574457A (ko)
WO (1) WO20160471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03A (ko) 2020-01-16 2021-07-26 권오경 영유아 수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1127B2 (ja) * 2017-09-27 2020-11-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152148B2 (ja) * 2017-12-18 2022-10-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1247026A (zh) * 2018-09-28 2020-06-05 株式会社日立建机Tierra 电动式工程机械
KR20200109459A (ko) * 2019-03-13 2020-09-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트랙 장력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14991951A (zh) * 2022-06-01 2022-09-0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用于确定泵车油耗分布的方法、处理器、装置及泵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2791A (ja) 2006-09-07 2008-03-21 Komatsu Ltd 燃費表示装置および作業車両
JP2012225004A (ja) 2011-04-15 2012-11-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3357B2 (ja) * 1997-04-15 2005-11-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出力制限装置
KR101263948B1 (ko) * 2005-10-07 2013-05-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가동가능시간 산출장치 및 방법
JP5118332B2 (ja) * 2006-11-17 2013-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燃費表示システム
JP4329866B1 (ja) * 2008-03-07 2009-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0188961A (ja) * 2009-02-20 2010-09-02 Kubota Corp 作業機の表示構造
JP5257478B2 (ja) * 2011-03-11 2013-08-07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御装置
JP5337220B2 (ja) * 2011-09-29 2013-1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を搭載した作業機械
JP6037210B2 (ja) * 2012-09-11 2016-12-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投影システムの運用方法、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の遠隔操作装置
JP5552523B2 (ja) * 2012-11-20 2014-07-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作業量計測方法
JP2013151284A (ja) * 2013-03-07 2013-08-08 Kubota Corp 作業機の表示構造
EP2966612B1 (en) * 2013-03-08 2020-01-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Management server for work machine and management method for work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2791A (ja) 2006-09-07 2008-03-21 Komatsu Ltd 燃費表示装置および作業車両
JP2012225004A (ja) 2011-04-15 2012-11-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403A (ko) 2020-01-16 2021-07-26 권오경 영유아 수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74457A (zh) 2017-04-19
JPWO2016047167A1 (ja) 2017-07-06
WO2016047167A1 (ja) 2016-03-31
EP3199713A4 (en) 2018-05-23
US20170276530A1 (en) 2017-09-28
EP3199713A1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3888A (ko)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JP4440271B2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出力制御方法
US8924100B2 (en) Hybrid construction machine
KR101714948B1 (ko) 건설 기계
KR101898105B1 (ko)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EP2685010A1 (en) Shov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ovel
CN105683452B (zh) 作业机器
US9284720B2 (en) Guidance output device and guidance output method
US8437926B2 (en) Control device and pitch angle control method
JP6247552B2 (ja) 建設機械の運転支援システム
KR20140048114A (ko) 건설 기계의 제어 시스템
KR20140118705A (ko) 쇼벨
JP2009256988A (ja) 電動式作業機械
JP6817494B2 (ja) 電動式建設機械
KR20140093931A (ko) 건설기계의 연비절감용 제어 장치
CN110268149A (zh) 作业机
JP2011157751A (ja) 油圧作業機
KR20150122959A (ko) 건설기계의 엔진 및 유압펌프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00801B2 (ja) 作業機械
CN110607820A (zh) 静压驱动推土机的控制方法、系统以及静压驱动推土机
JP6872510B2 (ja) 作業機械
KR102461072B1 (ko) 건설기계의 오토 아이들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098216A (ja) 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WO2020039861A1 (ja)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JP2021095739A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