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800A - 다슬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다슬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800A
KR20170033800A KR1020160180750A KR20160180750A KR20170033800A KR 20170033800 A KR20170033800 A KR 20170033800A KR 1020160180750 A KR1020160180750 A KR 1020160180750A KR 20160180750 A KR20160180750 A KR 20160180750A KR 20170033800 A KR20170033800 A KR 20170033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water
protruding
receiving body
wat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948B1 (ko
Inventor
이기주
Original Assignee
이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주 filed Critical 이기주
Priority to KR102016018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9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1Cleaning operations on shellfish, e.g. evisceration, br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5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containers, e.g. baskets, or racks immersed and agitated in a liquid ba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슬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공급되는 세척수를 통해 다량의 다슬기를 단시간내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작업의 신속화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다슬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단 양측에 외통회전구동구와 내통회전구동구가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기 외통회전구동구에 제1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내통회전구동구에 제2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통회전구동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반원통형 세척수 수용몸체;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의 내측에 수용되어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내통회전구동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다슬기의 세척을 위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1돌출엠보가 내주연에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엠보에는 세척수의 유동을 위한 세척수유동공이 형성된 다슬기 세척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슬기 세척장치{MARSH SNAIL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슬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공급되는 세척수를 통해 다량의 다슬기를 단시간내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작업의 신속화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다슬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슬기는 연체동물 중복족목 다슬기과에 속하는 담수패로서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다슬기는 하천과 호수 등 물이 깊고 물살이 센 곳의 바위틈에 주로 서식하는데,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 동양의학서의 기록에 의하면 숙취해독에 좋고 당뇨예방과 눈을 맑게 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열독을 풀어주고 주독을 해소하며 소갈증(당뇨), 이질, 취질, 위암, 변비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다슬기는 피를 맑게 하여 두통, 여성 어지러움증, 선혈증에 좋으며, 피부미용, 위장병에 특별한 효능이 있다.
다슬기는 요리하면 국물이 푸른빛을 띠는데 이는 혈액 속에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구리 성분이 미네랄 형태로 함유된 것으로 간의 정화작용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최근에 와서 다슬기의 몇 가지 주요구성성분이 밝혀졌는데,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하고 불면증을 완화하며 신경전달 기능 및 근육 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부정맥을 방지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수용성 칼슘과 신체각 세포들의 산소공급에 필요한 헤모글로빈의 구성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다슬기는 맛과 영양이 풍부하고, 구수하고 담백하며 쌉쌀한 감칠맛이 독특하며 간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어 최근에 건강을 중시하는 추세에 따라 건강식품으로 알려지면서 그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다슬기를 하천과 호수 등에서 채취하게 되면 다슬기의 표면에 진흙이나 이물질이 묻어 있게 되고, 종래에는 이러한 다슬기를 세척시 다수의 작업자가 채취한 다슬기를 망체에 수용하여 손으로 씻어 다슬기를 세척하게 됨으로 많은 시간 및 과도한 인건비가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5007호의 전복양식구 세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슬기 세척통의 내부에 다수의 제1돌출엠보를 형성하여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회전시, 다량의 다슬기가 상기 제1돌출엠보에 마찰되면서 세척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자동공급하여 다슬기 세척작업의 신속화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다슬기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단 양측에 외통회전구동구와 내통회전구동구가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기 외통회전구동구에 제1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내통회전구동구에 제2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통회전구동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반원통형 세척수 수용몸체;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의 내측에 수용되어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내통회전구동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다슬기의 세척을 위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1돌출엠보가 내주연에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엠보에는 세척수의 유동을 위한 세척수유동공이 형성된 다슬기 세척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일측면에 다수개의 제2돌출엠보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엠보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내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세척판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내통회전구동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을 관통하여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내부와 연통되게 장착되는 중공형 세척수 공급회전관과, 상기 세척수 수용통의 외측면에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을 지지하도록 장착되되 내측에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을 감싸는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회전지지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판재는,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단면상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눕혀지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슬기 세척통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제1돌출엠보에 의해 효과적인 다슬기 세척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다슬기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세척수 공급회전관을 통해 세척수 수용몸체의 내측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슬기 세척작업의 신속화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다슬기 세척에 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여 농가의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통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1돌출엠보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판재가 다슬기 세척통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발명에 따른 섹척판재에 제2돌출엠보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통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1돌출엠보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판재가 다슬기 세척통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9는 본발명에 따른 섹척판재에 제2돌출엠보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는 채취된 대량의 다슬기를 회전되는 다슬기 세척통에 수용하여 단시간내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작업의 신속화 및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농가의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세척장치는 지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원통형 세척수 수용몸체(200)와,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대량의 다슬기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슬기 세척통(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단 양측에 외통회전구동구(140)와 내통회전구동구(150)가 설치되는 것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프레임(110)과 상기 안착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통회전구동구(140)는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직립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통회전구동구(150)는 다른 직립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안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0)에는 상기 외통회전구동구(140)와 내통회전구동구(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0)가 설치되어 한 명의 작업자가 다슬기 세척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는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통회전구동구(140)에 제1연결부재(21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내통회전구동구(150)에 제2연결부재(22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통회전구동구(14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동작에 의해 상기 외통회전구동구(14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의 회전은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에 의한 다슬기의 세척이 완료된 후, 사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만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가 일정각도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싱기 제1연결부재(210)는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의 외측면에 장착되되 내부에 베어링(212)이 설치된 장착구(211)와 상기 장착구(211)의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통회전구동구(14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2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내통회전구동구(1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를 관통하여 후술되는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장착되는 중공형 세척수 공급회전관(221)과,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의 외측면에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221)을 지지하도록 장착되되 내측에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221)을 감싸는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회전지지체(2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221)은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회전을 위해 상기 내통회전구동구(150)와 연결된 상태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은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의 내측에 수용되어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내통회전구동구(1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다슬기의 세척을 위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1돌출엠보(310)가 내주연에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엠보(310)에는 세척수의 유동을 위한 세척수유동공(3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210)에 연결되는 끼움연결체(320)가 설치되고,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길이방향 양측 내주연 중심부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회전중심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중심관(330)의 내부는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221)의 내부와 연통된다.
즉, 상기 끼움연결체(320)는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210)의 장착구(211) 내측 베어링(212)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회전중심관(330)에는 다수의 세척수배출공(33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221)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기 회전중심관(330)을 거쳐 상기 세척수배출공(331)을 통해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에는 내부개폐를 위한 개폐도어(340)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도어(340)에도 상기 제1돌출엠보(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에는 다슬기의 세척을 더욱 원활히 하도록 하는 세척판재(4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세척판재(400)는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일측면에 다수개의 제2돌출엠보(41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엠보(410)에는 통공(411)이 형성되어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내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내측에 다량의 다슬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다슬기 세척을 위해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1돌출엠보(310)에 의해 다슬기의 1차 표면세척이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판재(400)에 의해서 2차 표면세척되게 함으로써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내부에 수용된 다량의 다슬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판재(400)는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단면상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눕혀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세척대상 다슬기가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회전시 상기 세척판재(400)의 면부를 따라 미끌리듯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슬기 세척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개폐도어(340)를 개방하여 세척대상 다슬기를 수용한다. 이후,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221)을 통해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면 상기 제1돌출엠보(310)의 세척수유동공(311)을 거쳐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로 배출되어 수용된다.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에 일정량의 세척수가 수용되면 세척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동작을 통해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을 회전시켜 다량의 다슬기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에 수용된 다슬기가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1돌출엠보(310)와 세척판재(400)의 제2돌출엠보(410)에 의해 표면 진흙이나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다슬기 세척통을 회전시켜 다슬기를 세척하다보면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에 수용된 세척수가 더러워지는데, 이때는 새로운 세척수로 바꿔주어 다슬기 세척작업을 진행하면 될 것이다.
즉,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의 내부에 수용된 폐세척수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내통회전구동구(150)의 구동을 멈춰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회전을 중단시킨 후, 상기 외통회전구동구(140)를 구동하여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에 수용된 폐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20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내통회전구동구(15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후, 다시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221)을 통해 새로운 세척수를 공급한 후, 상기 다슬기 세척통(300)의 회전을 통해 다슬기 세척작업을 재개한다. 이와 같은 반복작업을 수행하여 다슬기의 세척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지지프레임 110: 안착프레임
120: 직립지지프레임 130: 제어부
140: 외통회전구동구 150: 내통회전구동구
200: 세척수 수용몸체 210: 제1연결부재
211: 장착구 212: 베어링
213: 끼움구 220: 제2연결부재
221: 세척수 공급회전관 223: 회전지지체
300: 다슬기 세척통 310: 제1돌출엠보
311: 세척수유동공 320: 끼움연결체
330: 회전중심관 331: 세척수배출공
340: 개폐도어 400: 세척판재
410: 제2돌출엠보 411: 통공

Claims (4)

  1.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단 양측에 외통회전구동구와 내통회전구동구가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기 외통회전구동구에 제1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내통회전구동구에 제2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외통회전구동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반원통형 세척수 수용몸체;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의 내측에 수용되어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내통회전구동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다슬기의 세척을 위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1돌출엠보가 내주연에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엠보에는 세척수의 유동을 위한 세척수유동공이 형성된 다슬기 세척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일측면에 다수개의 제2돌출엠보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엠보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내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세척판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내통회전구동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세척수 수용몸체을 관통하여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내부와 연통되게 장착되는 중공형 세척수 공급회전관과, 상기 세척수 수용통의 외측면에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을 지지하도록 장착되되 내측에 상기 세척수 공급회전관을 감싸는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회전지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세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판재는,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단면상 상기 다슬기 세척통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눕혀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세척장치.
KR1020160180750A 2016-12-28 2016-12-28 다슬기 세척장치 KR10192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50A KR101922948B1 (ko) 2016-12-28 2016-12-28 다슬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50A KR101922948B1 (ko) 2016-12-28 2016-12-28 다슬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800A true KR20170033800A (ko) 2017-03-27
KR101922948B1 KR101922948B1 (ko) 2018-11-28

Family

ID=5849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750A KR101922948B1 (ko) 2016-12-28 2016-12-28 다슬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94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9449A (zh) * 2017-10-25 2018-02-02 安徽万利达羽绒制品有限公司 一种羽毛清洗筒
CN107751336A (zh) * 2017-12-08 2018-03-06 柳州市螺状元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螺蛳粉制作的螺蛳清洗机
CN108576179A (zh) * 2018-08-01 2018-09-28 唐伟 一种小龙虾浸泡清洗机器
CN108935615A (zh) * 2018-08-01 2018-12-07 唐伟 一种小龙虾加工用清洗浸泡装置
CN109127578A (zh) * 2018-08-30 2019-01-04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附属医院 尖锐物件超声清洗用辅助装置
CN109169816A (zh) * 2018-09-13 2019-01-11 湖南文理学院 一种方便去钳的小龙虾加工处理装置
CN110345718A (zh) * 2019-07-12 2019-10-18 高扬 一种清洗烘干一体式整形美容手术器具用清洁装置
CN112273424A (zh) * 2020-09-28 2021-01-29 黄磊 一种水产养殖用龙虾清洗设备
KR102413449B1 (ko) * 2021-10-27 2022-06-27 주식회사 이엔지스토리 플레이트의 회전을 통해 오브젝트의 이동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세척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673B (zh) * 2020-01-14 2021-04-16 天津万纳源荣钢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能除油的五金产品电镀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3961B2 (ja) 2001-11-29 2005-12-07 政義 小形 養殖貝用洗浄選別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9449A (zh) * 2017-10-25 2018-02-02 安徽万利达羽绒制品有限公司 一种羽毛清洗筒
CN107751336A (zh) * 2017-12-08 2018-03-06 柳州市螺状元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螺蛳粉制作的螺蛳清洗机
CN108576179A (zh) * 2018-08-01 2018-09-28 唐伟 一种小龙虾浸泡清洗机器
CN108935615A (zh) * 2018-08-01 2018-12-07 唐伟 一种小龙虾加工用清洗浸泡装置
CN108935615B (zh) * 2018-08-01 2020-12-04 王微静 一种小龙虾加工用清洗浸泡装置
CN109127578A (zh) * 2018-08-30 2019-01-04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附属医院 尖锐物件超声清洗用辅助装置
CN109127578B (zh) * 2018-08-30 2020-09-15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尖锐物件超声清洗用辅助装置
CN109169816A (zh) * 2018-09-13 2019-01-11 湖南文理学院 一种方便去钳的小龙虾加工处理装置
CN110345718A (zh) * 2019-07-12 2019-10-18 高扬 一种清洗烘干一体式整形美容手术器具用清洁装置
CN112273424A (zh) * 2020-09-28 2021-01-29 黄磊 一种水产养殖用龙虾清洗设备
KR102413449B1 (ko) * 2021-10-27 2022-06-27 주식회사 이엔지스토리 플레이트의 회전을 통해 오브젝트의 이동과 흐름 조절이 가능한 세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948B1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948B1 (ko) 다슬기 세척장치
KR102000476B1 (ko) 다슬기 세척장치
CN208466770U (zh) 一种医药储存罐清洗装置
CN210988117U (zh) 一种边冲洗边去皮的土豆加工装置
CN210187815U (zh) 一种中药饮片原料的清洗设备
CN201234970Y (zh) 洗鞋机
CN201375962Y (zh) 洗刀机
CN210045675U (zh) 一种旋转式眼科器械清洗架
CN209303304U (zh) 一种豆制品加工用高效清洗设备
CN213316531U (zh) 一种中药材清洗机
CN108940961B (zh) 一种中药饮片原料清洗装置
KR100446800B1 (ko) 양어장의 수조바닥 세척장치
CN209951053U (zh) 一种便于清洗的饮水机
CN205630190U (zh) 一种卫浴挂架的加工装置
CN205459888U (zh) 一种实现搅拌、过滤、储藏中药汤剂的设备
CN220966324U (zh) 一种新型脱衣机
CN207679066U (zh) 一种可调节水流的移动式浴室清洗刷
CN219922821U (zh) 一种兽药制备用搅拌箱浓配罐
CN107865513A (zh) 一种可调节水流的移动式浴室清洗刷
CN220109016U (zh) 一种真空滚揉机
CN203866582U (zh) 滚筒式灭菌洗衣机的灭菌及在线清洗装置
CN217895580U (zh) 一种乳酸菌发酵用混合装置
CN213134241U (zh) 一种旋转式中药材清洗机
CN215533849U (zh) 一种沐足盆送热风用风向调节机构
CN213756606U (zh) 一种蔬菜、水果用气泡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