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635A -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 Google Patents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635A
KR20170033635A KR1020150131629A KR20150131629A KR20170033635A KR 20170033635 A KR20170033635 A KR 20170033635A KR 1020150131629 A KR1020150131629 A KR 1020150131629A KR 20150131629 A KR20150131629 A KR 20150131629A KR 20170033635 A KR20170033635 A KR 2017003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line
vehicle
condition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568B1 (ko
Inventor
최진관
Original Assignee
최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관 filed Critical 최진관
Priority to KR1020150131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5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devices being independent of the vehicle
    • B60H1/00264Transportab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된 공조기에서 외관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공조라인이 구비되고, 이 공조라인의 단부에 구비된 실외 송풍구에 캠핑카 또는 텐트로 연결되는 벨로우즈관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공조기를 이용해 캠핑카 또는 텐트의 난방 및 냉방이 가능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캠핑을 즐길 수 있는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는 히터 및 에어컨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공조기와, 상기 공조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실내 송풍구에 타단이 연결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유동되는 제 1 공조라인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조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자동차의 외관으로 그 단부가 연장되는 제 2 공조라인과, 상기 제 1 공조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조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공조기에서 발생 된 온풍 또는 냉풍이 제 1 공조라인 또는 제 2 공조라인으로 유동되게 하는 삼방밸브와, 자동차의 내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삼방밸브의 작동이 제어되게 하는 제어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CAR HAVING OUTSIDE AIR CONDITIONING FUNCTION}
본 발명은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구비된 공조기에서 외관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공조라인이 구비되고, 이 공조라인의 단부에 구비된 실외 송풍구에 캠핑카 또는 텐트로 연결되는 벨로우즈관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공조기를 이용해 캠핑카 또는 텐트의 난방 및 냉방이 가능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캠핑을 즐길 수 있는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 주 5일 근무제의 시행 등에 따라 야외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각종 여행 및 레저 관련 산업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전국 각지에 야영지, 펜션 등의 숙박시설, 산림욕장 등의 휴양지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 캠핑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 되고 있는 실정인데 숙식을 해결하기 위해서 텐트 또는 캠핑 전용차량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에서도 텐트는 뛰어난 방풍 및 방한성에 의해 사용자의 체온을 보호하고 유지하는데 매우 적합한 용품인데 방수 및 방풍성에 주안점을 갖고 제작되기 때문에 냉방 및 난방 기능을 전혀 갖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동절기나 일교차가 큰 날씨에 캠핑을 할 경우 난로나 전기매트 등을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고, 하절기에는 이동식 에어컨이나 무선 선풍기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난방제품의 경우 질식사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로 직결될 수 있어 그 관리에 많은 주의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1. 한국 특허공개 제10-2014-0121519호(2014.10.16)
2. 한국 특허공개 제10-1998-0048280호(1998.09.15)
3.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8-0012448호(1998.05.25)
4.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8-0058760호(1998.10.26)
5.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8-0060740호(1998.11.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 구비된 공조기에서 외관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공조라인이 구비되고, 이 공조라인의 단부에 구비된 실외 송풍구에 캠핑카 또는 텐트로 연결되는 벨로우즈관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공조기를 이용해 캠핑카 또는 텐트의 난방 및 냉방이 가능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캠핑을 즐길 수 있는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 및 에어컨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공조기와, 상기 공조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실내 송풍구에 타단이 연결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유동되는 제 1 공조라인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조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자동차의 외관으로 그 단부가 연장되는 제 2 공조라인과, 상기 제 1 공조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조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공조기에서 발생 된 온풍 또는 냉풍이 제 1 공조라인 또는 제 2 공조라인으로 유동되게 하는 삼방밸브와, 자동차의 내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삼방밸브의 작동이 제어되게 하는 제어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가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2 공조라인의 단부에는 실외 송풍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외 송풍구는 회동되는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실외 송풍구에는 벨로우즈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벨로우즈관의 타단은 캠핑카 또는 텐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공조라인을 따라 유동되는 온풍 또는 냉풍이 캠핑카 또는 텐트로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에 의하면 자동차에 구비된 공조기에서 외관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공조라인이 구비되고, 이 공조라인의 단부에 구비된 실외 송풍구에 캠핑카 또는 텐트로 연결되는 벨로우즈관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공조기를 이용해 캠핑카 또는 텐트의 난방 및 냉방이 가능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캠핑을 즐길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개념도. (벨로우즈관 1개 분리 / 덮개 추가도시 / 제어버튼 확대도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다른 블럭구성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개념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블럭구성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다른 블럭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는 히터 및 에어컨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공조기와, 상기 공조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실내 송풍구에 타단이 연결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유동되는 제 1 공조라인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조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자동차의 외관으로 그 단부가 연장되는 제 2 공조라인과, 상기 제 1 공조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조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공조기에서 발생 된 온풍 또는 냉풍이 제 1 공조라인 또는 제 2 공조라인으로 유동되게 하는 삼방밸브와, 자동차의 내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삼방밸브의 작동이 제어되게 하는 제어버튼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1)에는 히터 및 에어컨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공조기(100)와, 상기 공조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실내 송풍구에 타단이 연결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유동되는 제 1 공조라인(120)이 구비되며 공조기가 설치되었다면 승용차, 상용차 등 어떠한 자동차라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한다.
전술한 제 2 공조라인(10)은 자동차(130)에 설치된 공조기(100)에서 발생되어 제 1 공조라인(120)을 통해 유동되는 온풍과 냉풍을 자동차(130)의 외관 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것으로, 제 1 공조라인(120)에서 분기 된다.
이러한 제 2 공조라인(10)은 자동차(130)의 내부를 통해서 외관의 곳곳을 향해 선택적으로 연장되는데, 전방 및 후방의 펜다, 프론트 판넬, 리어 판넬, 루프 판넬 등 다양한 위치를 향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공조라인(10)의 단부에는 각각 실외 송풍구(11)가 구비되는데, 이 실외 송풍구(11)는 회동되는 덮개(40)에 의해 개폐되며, 이때 전술한 덮개(40)는 일반적인 자동차(130)에 구비되는 주유구 덮개(4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덮개(40)에는 개폐 여부가 감지되는 별도의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덮개(40)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2 공조라인(10) 측으로 온풍 및 냉풍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외 송풍구(11)에는 벨로우즈관(50)이 연결되는데, 전술한 벨로우즈관(50)은 실외 송풍구(11)를 통해서 배출되는 온풍 및 냉풍을 캠핑카(150) 또는 텐트(140) 측으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벨로우즈관(50)의 일단은 실외 송풍구(1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캠핑카(150) 또는 텐트(140)에 연결된다. 벨로우즈관(50)이 실외 송풍구(11)에 연결되는 방법은 종래기술에 따른 관부의 탈착 방법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것으로 하며 캠핑카(150) 또는 텐트(140)에는 벨로우즈관(50)의 타단이 밀실하게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연결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벨로우즈관(50)은 다수 개의 실외 송풍구(11)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텐트(140)나, 캠핑카(150)와 텐트(140)에 동시에 온풍 또는 냉풍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 1 공조라인(120)으로부터 제 2 공조라인(10)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삼방밸브(20)가 구비되는데, 전술한 삼방밸브(20)는 그 작동 여부에 따라 공조기(100)에서 발생 된 온풍 또는 냉풍이 제 1 공조라인(120) 또는 제 2 공조라인(10)으로 유동되게 하는 것이다.
즉, 추후에 설명될 제어버튼(30)이 OFF 상태일 때에는 공조기(100)에서 발생 된 온풍이나 냉풍이 제 1 공조라인(120)으로 유동되어 실내 송풍구(110)를 통해 자동차(130)의 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어버튼(30)이 ON 상태일 때에는 공조기(100)에서 발생 된 온풍이나 냉풍이 제 1 공조라인(120)이 아닌 제 2 공조라인(10)으로만 유동되며 실외 송풍구(11)와 벨로우즈관(50)을 통해서 텐트(140) 및 캠핑카(150)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자동차(130)의 내관 일측(바람직하게는 운전석 대쉬보드 측)에는 제어버튼(30)이 구비되는데, 전술한 제어버튼(30)은 삼방밸브(20)의 작동이 제어되게 하는 것으로 ON 또는 OFF의 방식으로 제어되는데, OFF 상태일 경우에는 공조기(100)→삼방밸브(20)→제 1 공조라인(120)→실내 송풍구(110) 순서로 온풍 또는 냉풍이 유동 및 공급되고, ON 상태일 경우에는 공조기(100)→삼방밸브(20)→제 2 공조라인(10)→실외 송풍구(11)→벨로우즈관(50)→텐트(140) 및 캠핑카(150) 순서로 유동 및 공급된다.
이때 온풍과 냉풍의 선택, 온도 및 바람의 세기조절 등 공조기(100)의 제어는 자동차(13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제어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1)를 캠핑카(150)와 텐트(140)가 위치된 근방에 주차하는데 이때 기어는 P 상태이고 시동을 끄지 않는다. 그런 다음, 필요한 위치의 덮개(40)를 모두 열고 일측 실외 송풍구(11)에는 캠핑카(150)와 연결된 벨로우즈관(50)을 연결하고 타측 실외 송풍구(11)에는 텐트(140)와 연결된 벨로우즈관(50)을 연결한다.
그런 다음 공조기(100)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라면 난방 또는 냉방, 온도, 바람의 세기 등을 선택해서 설정해주고, 공조기(100)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라면 공조기(100)를 작동시킨 다음 마찬가지로 난방 또는 냉방, 온도, 바람의 세기 등을 선택해서 설정해준다.
그런 다음 제어버튼(30)을 ON 상태로 설정해 공조기(100)를 통해 발생 된 온풍 또는 냉풍이 공조기(100)→삼방밸브(20)→제 2 공조라인(10)→실외 송풍구(11)→벨로우즈관(50)→텐트(140) 및 캠핑카(150) 순서로 유동 및 공급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1)는 자동차(130)에 구비된 공조기(100)에서 외관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공조라인이 구비되고, 이 공조라인의 단부에 구비된 실외 송풍구(11)에 캠핑카(150) 또는 텐트(140)로 연결되는 벨로우즈관(50)이 구비되어 자동차(130)의 공조기(100)를 이용해 캠핑카(150) 또는 텐트(140)의 난방 및 냉방이 가능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안전하게 캠핑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10 : 제 2 공조라인
11 : 실외 송풍구
20 : 삼방밸브
30 : 제어버튼
40 : 덮개
50 : 벨로우즈관
100 : 공조기
110 : 실내 송풍구
120 : 제 1 공조라인
130 : 자동차
140 : 텐트
150 : 캠핑카

Claims (3)

  1. 히터 및 에어컨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공조기와, 상기 공조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실내 송풍구에 타단이 연결되어 온풍 또는 냉풍이 유동되는 제 1 공조라인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조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자동차의 외관으로 그 단부가 연장되는 제 2 공조라인;
    상기 제 1 공조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2 공조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공조기에서 발생 된 온풍 또는 냉풍이 제 1 공조라인 또는 제 2 공조라인으로 유동되게 하는 삼방밸브; 및
    자동차의 내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삼방밸브의 작동이 제어되게 하는 제어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조라인의 단부에는 실외 송풍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외 송풍구는 회동되는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외 송풍구에는 벨로우즈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벨로우즈관의 타단은 캠핑카 또는 텐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공조라인을 따라 유동되는 온풍 또는 냉풍이 캠핑카 또는 텐트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KR1020150131629A 2015-09-17 2015-09-17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KR10172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629A KR101724568B1 (ko) 2015-09-17 2015-09-17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629A KR101724568B1 (ko) 2015-09-17 2015-09-17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635A true KR20170033635A (ko) 2017-03-27
KR101724568B1 KR101724568B1 (ko) 2017-04-07

Family

ID=5849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629A KR101724568B1 (ko) 2015-09-17 2015-09-17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2668A (zh) * 2022-11-11 2023-03-07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9367B2 (en) 2021-06-23 2024-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xternal heating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448U (ko) 1996-08-27 1998-05-25 이재정 자동차 에어컨을 이용한 아이스박스
KR19980048280U (ko)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에어백용 전자제어장치의 취부구조
KR19980058760U (ko) 1997-02-26 1998-10-26 이재정 자동차 에어컨을 이용한 아이스 박스
KR19980060740U (ko) 1997-03-15 1998-11-05 전창기 휴대용 난방기
KR200171722Y1 (ko) * 1999-08-28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기로용 전극봉 접속장치
KR20000050329A (ko) * 1999-01-06 2000-08-05 윤종용 통신 시스템의 오프-셋 보정 회로
KR20040061633A (ko) * 2002-12-31 2004-07-0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컨디셔너 냉기를 이용한 냉장박스
KR20140121519A (ko) 2013-04-05 2014-10-16 안희열 연탄보일러가 구비된 캠핑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448U (ko) 1996-08-27 1998-05-25 이재정 자동차 에어컨을 이용한 아이스박스
KR19980048280U (ko)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에어백용 전자제어장치의 취부구조
KR19980058760U (ko) 1997-02-26 1998-10-26 이재정 자동차 에어컨을 이용한 아이스 박스
KR19980060740U (ko) 1997-03-15 1998-11-05 전창기 휴대용 난방기
KR20000050329A (ko) * 1999-01-06 2000-08-05 윤종용 통신 시스템의 오프-셋 보정 회로
KR200171722Y1 (ko) * 1999-08-28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기로용 전극봉 접속장치
KR20040061633A (ko) * 2002-12-31 2004-07-07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컨디셔너 냉기를 이용한 냉장박스
KR20140121519A (ko) 2013-04-05 2014-10-16 안희열 연탄보일러가 구비된 캠핑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42668A (zh) * 2022-11-11 2023-03-07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568B1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54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ventilating function while parking
KR101724568B1 (ko) 외부 공조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KR20130120574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공기조절 시스템
US11465465B2 (en) Air ventilation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6190512A (ja) 車両用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US9174512B2 (en)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system,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 automobile vehicle
KR201300484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02333A (ko) 자동차용 에어덕트
KR200800976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3358853A (zh) 汽车后排吹风机构
CN202158637U (zh) 汽车空调壳体风口防水机构
JP3680442B2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JP4187211B2 (ja) 車両用換気装置
JP62330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301178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24009214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KR960009639Y1 (ko) 자동차용 샤워형 에어 벤틸레이터
JP200334135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021372B1 (ko) 자동차의 에어 벤트 구조
KR2010006589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81309A (ko) 주차시 자동차 실내 온도 자연 냉방 장치
KR20150142434A (ko) 주차시 자동차 실내 온도 자연 냉방 장치
KR2013004848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089830A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59922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