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172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172A
KR20170032172A KR1020160108638A KR20160108638A KR20170032172A KR 20170032172 A KR20170032172 A KR 20170032172A KR 1020160108638 A KR1020160108638 A KR 1020160108638A KR 20160108638 A KR20160108638 A KR 20160108638A KR 20170032172 A KR20170032172 A KR 20170032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e
substrate
artificial muscl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716B1 (ko
Inventor
허재영
박경완
정희석
강승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3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8Mounting of power supply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01L27/323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01L2227/32
    • H01L2251/5338
    • H01L22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보드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영상처리보드 사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지지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호 인접한 두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며, 인가되는 기 설정된 전압에 대응하여 지지부재의 형상이 가변하도록 변형되게 마련된 복수의 인공근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형태가 고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임의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판면을 포함한 장치 전체가 플렉서블(flexible)하게 벤딩(bending)이 가능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가 있고,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가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또는 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진 영상처리장치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TV와 같이 대형화되어 일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형태가 있으며, 태블릿이나 모바일 폰과 같이 소형화되어 사용자가 휴대가 용이한 형태가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장치를 구현하는 구성의 특성 상, 리지드(rigid)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타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기본적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패널과,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영상처리보드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구성들은 일반적으로 리지드한 재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임의로 벤딩시킬 수 없는 리지드한 구조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평면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컨텐츠의 종류 및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리지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진 면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 전체가 플렉서블한 구조를 가지는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구현이 보다 곤란한데,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뿐만 아니라 하우징, 영상처리보드 등 디스플레이장치를 이루는 제반 구성도 모두 플렉서블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단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루는 제반 구성이 모두 플렉서블하게 구현된다고 하더라도, 사용 시에 리지드한 구조에서 발생하지 않은 여러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한 구조를 적용하면서도 사용 시에 예상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전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영상처리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호 인접한 두 상기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며, 인가되는 기 설정된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형상이 가변하도록 변형되게 마련된 복수의 인공근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를 플렉서블한 구조로 구현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때에 플렉서블한 구조로 인해 터치 위치의 영상이 왜곡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상기 인공근육이 휘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상처리보드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인공근육이 휘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인공근육이 상기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임의의 형태로 변형시켰을 때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손을 떼더라도 해당 변형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근육이 일 형태로 휘어진 시점에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휘어진 형태가 유지되면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자유로이 디스플레이장치를 변형시킬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근육이 복수의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기 지정된 복수의 전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인공근육의 휘어진 형태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값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취하며, 상기 독취된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인공근육에 인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자유로이 디스플레이장치를 변형시켰을 때에 다양한 변형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인공근육을 변형시키는 외력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외력이 사용자에 의한 것이라고 감지되면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외력에 사용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감지되면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 의하지 않은 외력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장치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인공근육의 휘어진 각도, 휘어져 있는 시간, 휘어지도록 가해지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감지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변형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휘어진 형태를 사용자가 지정하도록 마련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게 하며, 상기 UI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가 휘어지도록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장치가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공근육이 복수의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기 지정된 복수의 전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인공근육의 휘어진 형태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값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취하며, 상기 독취된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인공근육에 인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자유로이 디스플레이장치를 변형시켰을 때에 다양한 변형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인공근육이, 상기 상호 인접한 두 상기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며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형상이 가변 가능한 제1영역 및 가변 가능하지 않은 제2영역 중에서 상기 제2영역을 지지하는 제2영역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인공근육은 상기 제1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에서만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제2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굳이 플렉서블한 구조의 영상처리보드를 적용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가 변형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힌지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게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접히는 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힌지 사이의 영역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서블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리지드한 구조의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판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플렉서블한 복수의 기판과; 상기 복수의 기판에 대해 각기 갭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판면에 평행하게 상기 복수의 기판 사이에 배치된 플렉서블한 다이(die)와;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 각각의 상판면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배선이 형성된 플렉서블한 배선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판면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를 상기 배선 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시키는 본딩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딩 필름은, 상기 배선 필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를 상기 배선 필름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배선 필름의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상기 결합부재에 매립된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딩 필름은, 상기 배선 필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도전체 및 상기 결합부재를 각기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판면 및 하판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판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판면의 일 영역이 함몰됨으로써 형성된 수용영역을 가지는 플렉서블한 기판과; 상기 기판에 대해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판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플렉서블한 다이와;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 각각의 상판면을 지지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배선이 형성된 플렉서블한 배선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판면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를 상기 배선 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시키는 본딩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딩 필름은, 상기 배선 필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를 상기 배선 필름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배선 필름의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상기 결합부재에 매립된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딩 필름은, 상기 배선 필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도전체 및 상기 결합부재를 각기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판면 및 하판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반복되는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기판 및 다이 사이의 인터커넥션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플렉서블하게 벤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다이 및 기판 사이의 인터커넥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기판 및 다이 사이의 인터커넥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기판 및 다이의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도 6과 상이한 기판 및 다이의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본딩 필름의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도 8과 상이한 본딩 필름의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도 6의 구조로부터 기판 및 다이가 추가로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도 7의 구조로부터 기판 및 다이가 추가로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기판 및 다이 사이의 인터커넥션 구조의 배리에이션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처리보드의 일부에만 플렉서블 구조를 적용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2는 도 21에 나타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지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지지부재에서, 두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인공근육의 설치 형태들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지지부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된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인공근육을 제어하는 구성에 관한 블록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센서의 구현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센서의 또 다른 구현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UI의 예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벤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벤딩했을 때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채널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0은 도 39의 채널지지부재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전방으로 벤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전방으로 벤딩되는 경우에, 개별 구성들이 벤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유닛의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
도 44는 도 43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도 42의 배터리유닛을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보드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부가되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현된 모바일 타입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바일 타입인 것은 어느 한 가지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은 모바일 타입 이외에도 가능한 여러 가지 타입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의해 지지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20) 이외에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루는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도면에서 나타난 방향의 지시에 관해 설명한다. X 방향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가로방향을 나타내며, Y 방향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세로방향을 나타내며, Z 방향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판면의 법선방향을 나타낸다.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 각각의 반대방향은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평면을 형성할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X-Y 평면에 평행한 표시면을 가진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영상을 볼 때에, 사용자의 눈은 디스플레이 패널(120)로부터 개략적으로 Z 방향으로 이격된 소정 위치에 있을 것이다.
만일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평면 구조이고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리지드한 구조라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X-Y 평면에 평행한 판면을 유지할 것이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구조이고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리지드한 구조라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X-Y 평면에 대해 벤딩된 형태의 판면을 유지할 것이다. 어떤 경우이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리지드한 구조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플렉서블한 구조라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벤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플렉서블하게 벤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플렉서블 구조인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를 들면 Z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만 벤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Z 방향으로 오목하게 벤딩되거나 또는 특정 영역이 불규칙한 형태로 벤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벤딩 형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조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기인한다.
플렉서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루는 구성 중 일부분에 대해서만 플렉서블 구조가 적용되어서는 안되며, 모든 구성에 대해서 플렉서블 구조가 적용되어야 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0) 뿐만 아니라, 하우징(110), 영상처리보드(미도시), 배터리(미도시) 등도 플렉서블이 가능해야, 본 도면과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벤딩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판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영상신호를 처리 및 공급하는 영상처리보드(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실제 구현을 위해서는 이들 구성 이외에도 배터리(미도시)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내용을 간략하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0) 기본적인 구성 일부만 나타낸다.
하우징(110)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영상처리보드(130)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을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10)은 조립 및 분해의 용이함을 위해 상부하우징(111) 및 하부하우징(112)으로 구분되며, 상부하우징(111) 및 하부하우징(112)의 조립에 의해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특히, 상부하우징(111)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영상처리보드(130)로부터 케이블(133)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특정한 구현 형태가 한정되지는 않으나,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한 구조로 구현되어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OLED와 같은 자발광 패널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액정과 같은 비자발광 패널 구조라면 광을 생성하기 위한 백라이트(미도시)의 추가 구성이 필요하므로, 이 경우에 플렉서블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구현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영상처리보드(130)는 영상신호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신호를 케이블(133)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출력한다. 영상처리보드(130)는 기판(131) 상에 다이(die)(132)가 장착되고 배선(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집적회로로 구현된다. 영상신호는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처리보드(130)가 실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관련된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이(132)는 회로가 제작되는 사각형 조각의 반도체 물질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웨이퍼(wafer)에서 여러 개의 집적회로가 생성되는데, 웨이퍼를 집적회로 단위로 절단하게 되면 각 단위조각이 집적회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각 단위조각을 다이(132)라고 지칭한다.
기판(131)은 전도체들이 인쇄된 복수 개의 전도판이 적층됨으로써 구현된다. 각 전도판 사이에는 유전체층이 개재됨으로써 전도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며, 각 전도판의 전도체들은 비아(via)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판(131) 상에는 다이(132)가 장착되며, 기판(131) 및 다이(132) 사이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 구조가 형성된다. 기판(131) 상에 다이(132)의 장착 및 배선의 구현이 완료되면, PCA(Printed Circuit Assembly), PBA(Printed Board Assembly) 또는 PCBA(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로 지칭되는 영상처리보드(130)가 구현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하게 벤딩되기 위해서는, 하우징(110), 디스플레이 패널(120), 영상처리보드(130) 등의 구성들이 모두 플렉서블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10), 디스플레이 패널(120), 케이블(133), 다이(132), 기판(131)은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플렉서블한 구조를 가진다고 하더라도, 반복되는 벤딩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다이(132) 및 기판(131) 사이의 인터커넥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132) 및 기판(131) 사이에는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커넥션 구조가 설치되며, 이러한 인터커넥션은 다이(132) 및 기판(131)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복수의 배선(134)에 의해 구현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이 벤딩되면 다이(132) 및 기판(131)이 벤딩되며, 이에 따라서 복수의 배선(134)에 장력이 가해진다. 벤딩 회수가 반복되어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배선(134) 중에서 일부가 단락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커넥션의 단락은 배선(134)의 수가 적을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높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위해 배선(134)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단락의 위험성이 커진다. 또한, 배선(134)의 수가 많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다이(132)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배선(134)이 접속된 영역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다이(132) 및 기판(131)에 플렉서블한 재질을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다이(132) 및 기판(131) 사이를 접속하는 인터커넥션 구조에서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이와 같은 단락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기판(210) 및 다이(220) 사이의 인터커넥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는 기판(210)과, 기판(210) 상에 적층된 다이(220)와, 기판(210) 및 다이(220) 상에 적층된 스트레처블 필름(stretchable film)(230)과, 기판(210) 및 다이(220)에 스트레처블 필름(230)을 접착시키는 본딩 필름(bonding film)(240)을 포함한다. 앞선 도 4에서의 배선(134, 도 4 참조)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처블 필름(230) 및 본딩 필름(240)이 기판(210) 및 다이(220)의 인터커넥션 구조를 형성한다.
스트레처블 필름(230)은 다이(220)가 기판(210)의 상판면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다이(220) 및 기판(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스트레처블 필름(230)은 기판(210) 및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사이에 개재된다. 스트레처블 필름(230)은 다이(220) 및 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배선(231)이 연신 가능한 절연필름(232)에 임베딩된 형태로 구현된다. 여기서, 배선(231)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벤딩에 맞춰 연신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은(Ag) 나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레처블 필름(230)의 배선(231)은 기판(210)의 단자(211) 및 다이(220)의 단자(221)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판(210) 및 다이(220) 각각의 단자(211, 221)는 패드(pad)라고도 지칭한다. 그런데, 스트레처블 필름(230)만으로는 기판(210) 및 다이(220)를 지지할 수 없으므로, 접착 역할을 수행하는 본딩 필름(240)이 추가적으로 인터커넥션 구조에 적용된다.
상호 마주하는 기판(210)의 상판면 및 다이(220)의 하판면 사이에는 접착 테이프로 접착될 수 있다. 또는, 본딩 필름(240)에 의해 다이(220), 기판(210), 스트레처블 필름(230)이 서로 결합되므로, 상호 마주하는 기판(210)의 상판면 및 다이(220)의 하판면 사이에는 어떠한 접착 구성도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본딩 필름(240)은 기본적으로 기판(210)의 상판면 및 다이(220)의 상판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스트레처블 필름(230)의 하판면에 접착시킴으로써, 기판(210), 다이(220) 및 스트레처블 필름(230)을 상호 결합시킨다. 또한, 본딩 필름(240)은 접착물질 내에 도전체(241)이 임베딩되는 바, 도전체(241)는 기판(210)의 단자(211) 및 다이(220)의 단자(221)를 각기 스트레처블 필름(230)의 배선(231)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로써, 다이(220) 및 기판(210)은 스트레처블 필름(230) 및 본딩 필름(240)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딩 필름(240)은 여러 가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 ACF)로 구현될 수 있다. ACF는 고무에 전도성 입자를 분산시킨 필름으로서, 두께방향인 Z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나타내는 반면 횡방향인 X-Y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전도성 입자로는 니켈이나 금과 같은 금속입자, 또는 그와 같은 금속들로 코팅된 고분자 입자가 적용된다.
제조자가 접속시키고자 하는 회로 사이에 ACF를 배치하고 일정한 조건의 가열 및 가압 공정을 가하면, 회로 단자들 사이는 전도성 입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반면, 인접 회로와의 사이의 공간에는 절연성 접착 수지가 충진되어 전동성 입자가 서로 독립하여 존재하는 바, 높은 절연성이 부여된다.
또는, 본딩 필름(240)은 금속 섬유나 탄소 섬유를 접착 수지 내에 수직방향으로 임베딩시킨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하게 벤딩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200)는 기판(210), 다이(220), 스트레처블 필름(230), 본딩 필름(240)이 모두 상호 밀착된 형태를 가지므로, 벤딩 회수의 누적에 따른 스트레스의 축적을 견디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특히, 스트레스의 축적으로 인해, 기판(210), 다이(220), 스트레처블 필름(230)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단락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이 도 4 및 도 5와 같은 구조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판(210), 다이(220), 스트레처블 필름(230), 본딩 필름(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개선한 안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기판(310, 320) 및 다이(330)의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상호 분리된 제1기판(310) 및 제2기판(320)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기판(310) 및 제2기판(320) 사이의 빈 공간 사이에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다이(330)의 상판면에는 통전을 위한 단자(311, 321, 331)가 각각 형성된다.
본 도면의 구조를 앞선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면 양자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기판(210, 도 5 참조)이 하나로 마련되며, 기판(210, 도 5 참조)의 상판면 상에 다이(220, 도 5 참조)가 적층됨으로써 기판(210, 도 5 참조)의 상판면 및 다이(220, 도 5 참조)의 하판면이 서로 마주한다.
이에 비해, 본 도면의 구조에서는, 기판(310, 320)이 두 개로 분리되며, 두 기판(310, 320) 사이에 다이(330)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제1기판(310), 다이(330), 제2기판(320)이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하여, 제1기판(310) 및 다이(330) 사이에 갭(g1)이 형성되고, 다이(330) 및 제2기판(320) 사이에 갭(g2)이 형성된다.
본 도면의 구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될 때, 이러한 갭(g1, g2)은 기판(310, 320)과 다이(330) 사이에서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시킨다.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곡률이 갭(g1, g2)이 허용하는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기판(310, 320)과 다이(330)가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갭(g1, g2)의 길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를 고려하여 과도하게 작지 않은 수치로 마련된다. 갭(g1, g2)의 길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설계 시 다양한 환경 요인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구체적인 수치를 한정할 수 없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도 6과 상이한 기판(340) 및 다이(350)의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기판(340)은 상판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됨으로써 형성된 수용공간(342)을 가지며, 이 수용공간(342)에 다이(350)가 수용된다. 기판(340) 및 다이(350)의 상판면에는 통전을 위한 단자(341, 351)가 각각 형성된다.
본 도면의 구조를 앞선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면 양자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기판(210, 도 5 참조)이 하나로 마련되며, 기판(210, 도 5 참조)의 상판면 상에 다이(220, 도 5 참조)가 적층됨으로써 기판(210, 도 5 참조)의 상판면 및 다이(220, 도 5 참조)의 하판면이 서로 마주한다.
이에 비해, 본 도면의 구조에서는 기판(340)의 수용공간(342)에 다이(350)가 수용되며, 이 때에 수용공간(342)은 기판(340)과 다이(350) 사이에 갭(g3, g4, g5)이 형성되도록 다이(350)보다 큰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공간(342)의 좌측벽과 다이(350)의 좌측 사이에 형성된 갭(g3), 수용공간(342)의 우측벽과 다이(350)의 우측 사이에 형성된 갭(g4), 수용공간(342)의 저면벽과 다이(350)의 하판면 사이에 형성된 갭(g5)에 의해, 본 도면의 구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될 때에 기판(340)과 다이(350) 사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해소된다.
또한, 갭(g3, g4, g5)의 길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설계 시 다양한 환경 요인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구체적인 수치를 한정할 수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본딩 필름의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 필름은 접착수지(361) 내에 도전체(362)가 임베딩된 복수의 단위필름(360)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필름(360)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는 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스트레처블 필름(미도시), 기판(미도시), 다이(미도시)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본딩 필름은, 도 5의 본딩 필름(240, 도 5 참조)에서 도전체(241, 도 5 참조)가 포함되도록 복수 개로 절단한 형태를 가진다. 각각의 단위필름(360) 사이는 갭(g6)이 형성되는 바,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될 때에 갭(g6)에 의해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여기서, 도전체(362)의 폭(w1)은 기판(210, 도 5 참조) 다이(220, 도 5 참조), 스트레처블 필름(230, 도 5 참조) 각각의 단자(211, 221, 231, 도 5 참조)의 폭보다는 소정치 이상 크게 마련된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도전체(362)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도 8과 상이한 본딩 필름(370)의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 필름(370)은 도 5에 도시된 본딩 필름(240, 도 5 참조)에서, 전도체(372) 사이의 접착수지(371)에 공극(cavity)(373, 374)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복수 개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본 도면에서 공극(373, 374)은 본딩 필름(370)의 상하에 상측공극(373) 및 하측공극(374)이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딩 필름(370)에 공극(373, 374)이 형성되는 한 가지 형태일 뿐이며, 공극(373, 374)의 형성 방식은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딩 필름(370)에 상측공극(373) 및 하측공극(374)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측공극(373) 및 하측공극(374)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지 않고 상호 어긋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측공극(373)의 폭(w3) 및 깊이(w4)와, 하측공극(374)의 폭(w5) 및 깊이(w6)는 어느 하나의 수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측공극(373) 및 하측공극(374)으로 인해 형성되는 갭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써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도 6의 구조로부터 기판(380, 390) 및 다이(400)가 추가로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80, 390) 및 다이(400)는 앞선 도 6의 구조에 대해, 하판면에 추가적으로 공극(382, 392, 402)을 형성한 형태를 가진다. 본 도면에서는 기판(380, 390) 및 다이(400)에 모두 공극(382, 392, 402)이 형성된 것으로 표현하나, 공극(382, 392, 402)은 기판(380, 390) 및 다이(400)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공극(382, 392, 402)은 기판(380, 390) 및 다이(400) 각각의 하판면에 형성되는 것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기판(380, 390) 및 다이(400)의 상판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기판(380, 390) 및 다이(400)의 상판면에는 단자(381, 391, 401)를 비롯한 회로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극(382, 392, 402)은 이러한 회로 구조에 간섭하지 않도록 기판(380, 390) 및 다이(400)의 하판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기판(380, 390) 및 다이(400)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한편, 공극(382, 392, 402)에 의한 갭도 형성된다. 이러한 갭들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는 바,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도 7의 구조로부터 기판(410) 및 다이(420)가 추가로 개선된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10)은 다이(4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430)을 가지는 바, 이러한 점은 앞선 도 7의 구조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판(410)의 하판면, 수용공간(430)의 저면, 다이(420)의 하판면에 각각 공극(412, 413, 422)을 형성한다.
본 도면에서는 공극(412, 413, 422)이 기판(410)의 하판면, 수용공간(430)의 저면, 다이(420)의 하판면에 모두 설치되는 것으로 표현하지만, 이는 한정된 사항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 설계가 적용될 수 있다. 공극(412, 413, 422)은 기판(410)의 하판면, 수용공간(430)의 저면, 다이(420)의 하판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극(412, 413, 422)은 단자(411, 421)와 같은 회로 구조를 간섭하지 않도록 기판(410)의 하판면, 수용공간(430)의 저면, 다이(420)의 하판면 등에 설치되지만, 이는 한정사항이 아니며 기판(410) 또는 다이(420) 각각의 상판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극(412, 413, 422)에 의한 갭과 수용공간(430)에 의한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들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는 바,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구조를 조합하여 다이 및 기판의 인터커넥션 구조를 개선한 여러 가지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기판 및 다이 사이의 인터커넥션 구조의 배리에이션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1기판(510)과, 제2기판(520)과, 다이(530)와, 스트레처블 필름(540)과, 본딩 필름(55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기판(510)의 단자(511) 및 제2기판(520)의 단자(521)는 본딩 필름(550)의 도전체(551) 및 스트레처블 필름(540)의 배선(541)을 통해 다이(530)의 단자(5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기판(510), 제2기판(520) 및 다이(530)는 본딩 필름(550)에 의해 스트레처블 필름(5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510) 및 제2기판(520)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다이(530)는 제1기판(510) 및 제2기판(520) 사이에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 때, 제1기판(510) 및 다이(530) 사이와 제2기판(520) 및 다이(530) 사이에는 각각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00)는 기판(610)과, 다이(630)와, 스트레처블 필름(640)과, 본딩 필름(65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판(610)의 단자(611)는 본딩 필름(650)의 도전체(651) 및 스트레처블 필름(640)의 배선(641)을 통해 다이(630)의 단자(6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610) 및 다이(630)는 본딩 필름(650)에 의해 스트레처블 필름(6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610)의 상판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수용공간(612)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612)에 다이(630)가 수용된다. 기판(610) 및 다이(630)는 본딩 필름(650) 및 스트레처블 필름(640)에 의해 결합되므로, 수용공간(612)에서는 기판(610) 및 다이(6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 적용되지 않으며 수용공간(612)에서 기판(610) 및 다이(630)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제1기판(710)과, 제2기판(720)과, 다이(730)와, 스트레처블 필름(740)과, 본딩 필름(75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기판(710)의 단자(711) 및 제2기판(720)의 단자(721)는 본딩 필름(750)의 도전체(751) 및 스트레처블 필름(740)의 배선(741)을 통해 다이(730)의 단자(7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기판(710), 제2기판(720) 및 다이(730)는 본딩 필름(750)에 의해 스트레처블 필름(7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710) 및 제2기판(720)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다이(730)는 제1기판(710) 및 제2기판(720) 사이에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본딩 필름(750)은 각기 도전체(751)가 임베딩된 복수 개의 단위필름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열된다.
이 때, 제1기판(710) 및 다이(730) 사이, 제2기판(720) 및 다이(730) 사이, 그리고 각 본딩 필름(750) 사이에는 각각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800)는 기판(810)과, 다이(830)와, 스트레처블 필름(840)과, 본딩 필름(85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판(810)의 단자(811)는 본딩 필름(850)의 도전체(851) 및 스트레처블 필름(840)의 배선(841)을 통해 다이(830)의 단자(8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810) 및 다이(830)는 본딩 필름(850)에 의해 스트레처블 필름(8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810)의 상판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수용공간(812)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812)에 다이(830)가 수용된다. 기판(810) 및 다이(830)는 본딩 필름(850) 및 스트레처블 필름(840)에 의해 결합되므로, 수용공간(812)에서는 기판(810) 및 다이(8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 적용되지 않으며 수용공간(812)에서 기판(810) 및 다이(830)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또한, 본딩 필름(850)은 각기 도전체(851)가 임베딩된 복수 개의 단위필름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열되는 바, 각 본딩 필름(850) 사이에도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900)는 제1기판(910)과, 제2기판(920)과, 다이(930)와, 스트레처블 필름(940)과, 본딩 필름(95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기판(910)의 단자(911) 및 제2기판(920)의 단자(921)는 본딩 필름(950)의 도전체(951) 및 스트레처블 필름(940)의 배선(941)을 통해 다이(930)의 단자(9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기판(910), 제2기판(920) 및 다이(930)는 본딩 필름(950)에 의해 스트레처블 필름(9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910) 및 제2기판(920)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다이(930)는 제1기판(910) 및 제2기판(920) 사이에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본딩 필름(950)은 각 도전체(951)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공극(952, 953)을 포함한다.
이 때, 제1기판(910) 및 다이(930) 사이, 제2기판(920) 및 다이(930) 사이, 그리고 각 공극(952, 953)에는 각각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0)는 기판(1010)과, 다이(1030)와, 스트레처블 필름(1040)과, 본딩 필름(105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판(1010)의 단자(1011)는 본딩 필름(1050)의 도전체(1051) 및 스트레처블 필름(1040)의 배선(1041)을 통해 다이(1030)의 단자(10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1010) 및 다이(1030)는 본딩 필름(1050)에 의해 스트레처블 필름(10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010)의 상판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수용공간(1012)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1012)에 다이(1030)가 수용된다. 기판(1010) 및 다이(1030)는 본딩 필름(1050) 및 스트레처블 필름(1040)에 의해 결합되므로, 수용공간(1012)에서는 기판(1010) 및 다이(10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 적용되지 않으며 수용공간(1012)에서 기판(1010) 및 다이(1030)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또한, 본딩 필름(1050)은 각 도전체(1051)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공극(1052, 1053)을 포함하는 바, 각 공극(1052, 1053)에서도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100)는 기판(1110)과, 다이(1130)와, 스트레처블 필름(1140)과, 본딩 필름(115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판(1110)의 단자(1111)는 본딩 필름(1150)의 도전체(1151) 및 스트레처블 필름(1140)의 배선(1141)을 통해 다이(1130)의 단자(1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1110) 및 다이(1130)는 본딩 필름(1150)에 의해 스트레처블 필름(11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1110), 제2기판(1120) 및 다이(1130)의 하판면 상에,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공극(1113, 1123, 1133)이 마련된다. 또한, 본딩 필름(1050)은 각 도전체(1051)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공극(1152, 1153)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극(1113, 1123, 1133, 1152, 1153)에 의해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200)는 기판(1210)과, 다이(1230)와, 스트레처블 필름(1240)과, 본딩 필름(125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판(1210)의 단자(1211)는 본딩 필름(1250)의 도전체(1251) 및 스트레처블 필름(1240)의 배선(1241)을 통해 다이(1230)의 단자(12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1210) 및 다이(1230)는 본딩 필름(1250)에 의해 스트레처블 필름(12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210)의 상판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수용공간(1212)이 형성되며, 이 수용공간(1212)에 다이(1230)가 수용된다. 기판(1210) 및 다이(1230)는 본딩 필름(1250) 및 스트레처블 필름(1240)에 의해 결합되므로, 수용공간(1212)에서는 기판(1210) 및 다이(12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 적용되지 않으며 수용공간(1212)에서 기판(1210) 및 다이(1230)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또한, 기판(1210)의 하판면 및 수용공간(1212)의 저면에 각기 하나 이상의 공극(1213, 1214)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마련된다. 그리고, 본딩 필름(1250)은 각 도전체(1251)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공극(1252, 1253)을 포함한다. 이에, 이러한 공극(1213, 1214, 1252, 1253)에서도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갭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 시에 벤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고, 반복되는 벤딩에 의한 스트레스의 누적이 해소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장치 전체에 적용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임의대로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장치 전체가 아닌 일부에만 적용됨으로써,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벤딩이 가능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벤딩이 불가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300)에서 영상처리보드(1330)의 일부에만 플렉서블 구조를 적용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300)는 하우징(1310)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320)과, 디스플레이 패널(132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보드(1330)를 포함한다.
하우징(13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320)은 플렉서블 구조가 적용된다. 다만, 영상처리보드(1330)는 리지드 PBA(1331, 1332)와 플렉서블 PBA(1333)로 구분된다. 즉, 리지드 PBA(1331, 1332)가 있는 영역(A1, A2)에서는 벤딩이 불가하지만, 플렉서블 PBA(1333)가 잇는 영역(A3)에서는 벤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플렉서블 구조를 디스플레이장치(1300) 전체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곤란하거나, 또는 특정 영역(A3)에서만 벤딩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300)의 중앙영역을 벤딩시킬 수 있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300)는 폴더 형태로 접힐 수 있게 마련된다.
플렉서블 PBA(1333)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여러 가지 설계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앞선 도 5 내지 도 19 관련 실시예들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대로 벤딩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플렉서블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14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410)을 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410)에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모바일 장치로 구현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410)의 판면을 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400)와의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400)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플렉서블한 구조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장치(1400)를 이루는 구성들 또한 플렉서블한 구조가 되어야 한다. 만일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410)을 터치하면, 터치한 영역(1411)이 눌려서 안쪽으로 함몰되며, 해당 영역(1411)에서 영상이 일그러지고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장치(1400)가 벤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410)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디스플레이장치(1400)에 적용되어야 한다. 이하, 이러한 구조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50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500)는 하우징(1510)과, 디스플레이 패널(1520)과, 영상처리보드(1530)를 포함하며,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520) 및 영상처리보드(1530) 사이에 개재된 패널지지부재(1540)를 포함한다. 하우징(1510), 디스플레이 패널(1520) 및 영상처리보드(1530)는 벤딩 가능하도록 플렉서블한 구조를 가진다.
패널지지부재(1540)는 디스플레이 패널(1520)의 후방 또는 하측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520)을 지지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520)의 전방 또는 상측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520)의 상판면을 터치할 때, 패널지지부재(1540)는 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520)의 일 영역이 -Z 방향으로 함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패널지지부재(1540)는 디스플레이장치(1500)가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패널지지부재(1540)의 구체적인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지지부재(154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지지부재(1540)는 복수의 플레이트(1541)와, 각 플레이트(1541) 사이를 연결시키는 인공근육(artificial muscle)(1542)을 포함한다.
각 플레이트(1541)는 X 방향 축선 및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바, 복수의 플레이트(1541)는 X-Y 평면 상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플레이트(1541)가 사각형의 판상인 것으로 표현하지만, 플레이트(1541)는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판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1541)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그 후방에서 지지해야 하는 바, 리지드한 재질을 포함한다. 플레이트(1541)의 재질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SUS와 같은 솔리드(solid)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인공근육(1542)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1541) 사이를 연결한다. 인공근육(1542)은 플레이트(1541)와 달리 사용자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하게 벤딩될 수 있지만,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서 형태가 초기상태로부터 변형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인공근육(1542)은 전기 응답형 지능형 물질이라고도 지칭한다.
인공근육(1542)은 어떻게 제조되는지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전압 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근육(1542)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렉서블한 구조를 가지지만, 전압이 인가되면 리지드한 구조로 조직이 변할 수 있다. 또는, 인공근육(1542)은 인가되는 전압 레벨에 대응하여 상이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 또는, 인공근육(1542)은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상이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압 반응성을 가지기 위한 인공근육(1542)의 구현 형태는 다양한 변경 실시예가 가능한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인공근육(1542)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해 자유로이 변형될 수 있지만,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변형된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변형시킨 상태대로 인공근육(1542)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인접한 두 플레이트(1541) 사이를 연결하는 인공근육(1542)은 단일체일 수도 있고, 둘 이상일 수도 있다. 이하,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둘 이상의 인공근육(1542)에 의해 인접한 두 플레이트(1541)가 연결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지지부재에서, 두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인공근육의 설치 형태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인공근육(1561, 1562)이 상호 인접한 두 플레이트(1551, 1552) 사이를 연결시킨다. 여기서, 한 쌍의 인공근육(1561, 1562)은 X-Y 평면 상에서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인공근육(1561, 1562)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각 인공근육(1561, 1562)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두 인공근육(1561, 1562)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바, 패널지지부재의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두 인공근육(1561, 1562)에 동시에 힘이 가해지면, 패널지지부재는 평평한 상태가 될 것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인공근육(1563, 1564)은 상호 인접한 두 플레이트(1553, 1554)를 연결시킨다. 다만, 한 쌍의 인공근육(1563, 1564)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되지만, 도 24의 경우와 달리 동일한 X-Y 평면 상에 배치되지 않고 Z 방향 축선을 따라서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조의 패널지지부재가 변형 가능한 다양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지지부재(154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된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지지부재(1540)는 X-Y 평면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1541)와, 각 플레이트(1541)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인공근육(1542)을 포함한다. 외력에 의해 어느 인공근육(1542)이 어느 방향으로 변형되는지에 따라서, 패널지지부재(1540)는 다양한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나타난 라인(b1, b2, b3, b4, b5, b6, b7, b8)은 패널지지부재(1540)의 벤딩라인을 나타내며, 벤딩라인에 걸쳐져 있는 인공근육(1542)이 변형함으로써 패널지지부재(1540)가 벤딩된다. 벤딩된 패널지지부재(1540)에서 벤딩라인은 하나만 나타날 수도 있지만, 도 30의 경우와 같이 복수 개의 벤딩라인(b5, b6, b7, b8)이 함께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패널지지부재(1540)는 보다 복잡한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외력에 의해 벤딩된 패널지지부재(1540)가 현재의 벤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벤딩라인(b1, b2, b3, b4, b5, b6, b7, b8)에 걸쳐져 있는 인공근육(1542)이 현재의 변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당 인공근육(1542)에 대해 기 설정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1541) 사이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플렉서블한 재질 대신에 인공근육(1542)이 적용된다.
패널지지부재(1540)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어느 인공근육(1542)이 변형되었는지 판별하고, 해당 인공근육(1542)의 변형 형태를 판별하며, 판별된 변형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는지 판단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600)에서 인공근육(1610)을 제어하는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600)는 인공근육(1610)와, 센서(1620)와, 저장부(1630)와, 전원공급부(1640)와, 제어부(1650)를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들은 디스플레이장치(1600)의 영상처리보드(미도시) 상에 구현되거나, 또는 영상처리보드(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센서(1620)는 디스플레이장치(1600)의 현재 벤딩된 상태를 감지한다. 센서(1620)가 감지하는 벤딩 상태는, 디스플레이장치(1600) 또는 인공근육(1610)의 벤딩 각도, 벤딩되어 있는 시간, 벤딩되도록 가해지는 압력 등이 있다. 센서(1620)는 감지 결과에 따라서 이러한 벤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65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센서(1620)의 구현 방식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 바, 특정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630)는 기 설정된 DB를 저장한다. 본 DB는 복수의 인공근육(1610)의 ID와, 각 ID 별로 배정된 전류 또는 전압값을 지정한다. 인공근육(1610)이 인가 전압에 따라서 변형 각도와 같은 변형량이 다르게 마련된 경우에, 본 DB는 인공근육(1610)의 ID와, 각 ID의 변형량과, 각 변형량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지정한다.
전원공급부(1640)는 디스플레이장치(1600)의 시스템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공급부(1640)는 외부 전원을 컨버팅하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장치(1600)가 모바일 장치인 경우에는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40)는 제어부(1650)의 제어에 따라서, 지정된 전압을 각 인공근육(1610)에 대해 선별적으로 공급한다.
제어부(1650)는 센서(1620)의 감지 결과에 대응하여 저장부(1630)의 DB를 검색하고, DB의 검색 결과에 따라서 전원공급부(1640)가 인공근육(1610)에 대해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50)는 센서(16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인공근육(1610)의 벤딩 상태를 판단하고, 각 인공근육(1610)의 벤딩 상태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저장부(1630)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1650)는 취득한 전압값이 각 인공근육(1610)에 인가되도록 전원공급부(1640)를 제어한다.
제어부(1650)는 센서(1620)가 인공근육(1610)의 벤딩을 감지하는 시점에서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보다는, 해당 시점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600)의 벤딩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장치(1600)를 임의로 여러 가지 형태로 벤딩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650)는 센서(1620)에 의해 감지된 인공근육(1610)의 벤딩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면, 위의 동작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650)는 디스플레이장치(1600)를 벤딩시키는 외력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사용자에 의한 것이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50)는 디스플레이장치(1600)가 사용자에 의해 벤딩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반면, 디스플레이장치(1600)가 사용자에 의해 벤딩되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장치(1600)를 벤딩시키는 외력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600)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 압력감지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제어부(1650)는 압력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센서(1620)에 의해 벤딩이 감지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벤딩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5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이 터치된 상태에서 센서(1620)에 의해 벤딩이 감지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벤딩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600)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제어부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미도시)에 의한 특정 감지 결과가 도출되는 상태에서 센서(1620)에 의해 벤딩이 감지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벤딩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센서(1620)가 디스플레이장치(1600)의 현재 벤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구현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 설계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한 가지 형태로 한정될 수는 없다. 이하, 센서(1620)의 몇 가지 구현 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700)에 적용되는 센서(1731, 1732, 1733, 1734)의 구현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700)를 X-Y 평면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1720)이 위를 향하도록 놓은 경우에, 하우징(1710)의 상하좌우 4방향의 가장자리에 각기 벤딩감지센서(1731, 1732, 1733, 1734)가 하우징(17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벤딩감지센서(1731, 1732, 1733, 1734)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의 센서로서, 외력에 의해 벤딩되면 각 영역 별 벤딩된 상태를 수치화하여 출력한다.
벤딩감지센서(1731, 1732, 1733, 1734)는 하우징(1710) 상측에서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제1벤딩감지센서(1731)와, 하우징(1710) 하측에서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제2벤딩감지센서(1732)와, 하우징(1710) 좌측에서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제3벤딩감지센서(1733)와, 하우징(1710) 우측에서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제4벤딩감지센서(174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네 개의 벤딩감지센서(1731, 1732, 1733, 1734)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700)가 X-Y 평면에 대해 어떤 형태로 벤딩되는지 판단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센서(1781, 1782)의 또 다른 구현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지지부재(1760)는 복수의 플레이트(1761, 1762)와, 인접한 두 플레이트(1761, 1762) 사이를 플렉서블하게 연결시키는 인공근육(1771, 1772)을 포함한다. 패널지지부재(1760)에 관한 구성은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내용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각 인공근육(1771, 1772)에는 벤딩감지센서(1781, 1782)가 임베딩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인공근육(1771, 1772)이 벤딩되면, 해당 인공근육(1771, 1772)에 임베딩된 벤딩감지센서(1781, 1782)가 벤딩 상태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모든 인공근육(1771, 1772)에 임베딩된 벤딩감지센서(1781, 1782)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결과를 종합하면, 어떤 형태로 패널지지부재(176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벤딩감지센서(1781, 1782)가 각 인공근육(1771, 1772) 별로 벤딩 상태를 감지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적인 벤딩 상태를 판단할 필요 없이, 해당 인공근육(1771, 1772)에 대응하는 값의 전압을 해당 인공근육(1771, 1772)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벤딩되는 것을 감지한다.
S1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벤딩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동일한 벤딩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1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벤딩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벤딩이 사용자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면, S1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벤딩 상태 정보를 도출한다.
S1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벤딩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인공근육 별 전압값을 취득한다.
S1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취득한 전압값으로 각 인공근육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벤딩시킨 형태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변형시킨 형태를 유지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가 각 인공근육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가 UI를 통한 사용자 지시에 대응하여 각 인공근육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를 벤딩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800)에 표시되는 UI(1810)의 예시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8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800)를 원하는 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는 UI(1810)를 표시한다.
UI(1810)는 디스플레이장치(1800)의 벤딩 형태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어떠한 내용을 가지는가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도면의 UI(1810)는 구현 가능한 한 가지 형태에 불과할 뿐이다.
UI는 디스플레이장치(1800)를 형상화한 오브젝트(1811)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오브젝트(1811) 위에서 드래그하여 벤딩라인(1812)을 그림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800)의 벤딩의 기준이 되는 벤딩라인(1812)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UI(1810)는 벤딩라인(1812)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장치(1800)가 Z 축 방향 또는 -Z 축 방향을 따라서 어느 정도로 벤딩될 것인지 지정하는 슬라이더(1813)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슬라이더(1813)를 좌우로 조정함으로써, 벤딩라인(1812)에 해당하는 영역의 벤딩 정도를 지정할 수 있다.
UI(1810)를 통해 벤딩 상태가 지정되면, 디스플레이장치(1800)는 지정된 벤딩 상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800)를 벤딩시킨다. 디스플레이장치(1800)는 UI(1810)를 통해 지정된 벤딩 상태가 되도록 내부의 인공근육(미도시)에 대해 대응 전압값을 인가함으로써, 자체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800)는 사용자가 임의로 벤딩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평판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벤딩한다. 이와 같은 자동 벤딩 방식은, 벤딩을 위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1800)의 벤딩이 사용자에게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800)가 자체적으로 벤딩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벤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벤딩 상태를 지정하기 위한 UI를 표시한다.
S2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UI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벤딩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S2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벤딩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인공근육 별 전압값을 취득한다.
S2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취득한 전압값으로 각 인공근육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를 벤딩시킨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채널지지부재를 폴더 형태로 벤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9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1900)는 전체 영역(A4, A5, A6) 중에서 중앙 영역(A6)만이 플렉서블한 구조가 적용되며, 나머지 영역(A4, A5)에는 리지드한 구조가 적용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900)는 중앙 영역(A6)을 벤딩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바, 폴더 형태로 접히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900)는 하우징(1910)과, 디스플레이 패널(1920)과, 영상처리보드(1930)와, 패널지지부재(19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구성에 대해서는 플렉서블한 구조 또는 리지드한 구조가 모두 일괄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1920)은 중앙 영역(A6)만을 개별적으로 플렉서블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전체적으로 플렉서블한 구조가 적용된다.
하우징(1910)은 가장자리 영역(A4, A5)에서 리지드한 재질을 포함하고 중앙 영역(A6)에서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전체적으로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910)에서 중앙 영역(A6)의 측면부는 다관절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수축 팽창이 자유로운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중앙 영역(A6)에서의 벤딩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영상처리보드(1930)는 굳이 중앙 영역(A6)에 배치할 필요 없이 가장자리 영역(A4, A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리지드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지지부재(1940)는 디스플레이 패널(1920) 후방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 영역(A4, A5, A6)에 걸쳐서 설치된다. 가장자리 영역(A4, A5)에서는 벤딩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패널지지부재(1940)는 가장자리 영역(A4, A5)에서 리지드한 구조를 포함한다. 반면, 중앙 영역(A6)에서는 벤딩을 고려해야 하므로, 패널지지부재(1940)는 중앙 영역(A6)에서 플렉서블한 구조가 적용되어야 한다. 즉, 패널지지부재(1940)는 가장자리 영역(A4, A5)에서의 구조와 중앙 영역(A6)에서의 구조가 서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900)를 벤딩했을 때에 디스플레이장치(1900)의 일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900)가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접힌 상태일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1920)은 수축하도록 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920)이 하우징(1910)과 같이 수축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하우징(1910)의 Y 방향 단부 또는 -Y 방향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920)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패널수용부(1911)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장치(1900)가 평면 상태일 때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920)이 정위치에 있으므로 패널수용부(1911)는 불필요하다. 이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1920)의 단부는 정위치인 d1에 위치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900)가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접힌 상태일 때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920)이 팽창하도록 하는 힘을 받으므로 이 경우에도 패널수용부(1911)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900)가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접힌 상태일 때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920)이 수축하도록 하는 힘을 받는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920)은 해당 힘에 따라서 일단부가 패널수용부(1911)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920)의 단부는 d1에서 d2으로 이동한다.
이하, 채널지지부재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채널지지부재(194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지지부재(1940)는 X-Y 평면 상에서, 가장자리 영역(A4, A5)에 대응하는 구조 및 중앙 영역(A6)에 대응하는 구조가 상이하다. 가장자리 영역(A4, A5)에서는 벤딩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채널지지부재(1940)는 가장자리 영역(A4, A5)에서 리지드한 플레이트(1941, 1942)를 포함한다.
그러나, 중앙 영역(A6)에서는 벤딩을 고려해야 하는 바, 채널지지부재(1940)는 중앙 영역(A6)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플레이트(1943)와, 복수의 플레이트(1943) 사이를 연결시키는 인공근육(1944)을 포함한다. 채널지지부재(1940)의 벤딩이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수행된다고 하면, 플레이트(1943)는 Y 방향 축선에 직교하는 X 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며, 인공근육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된다. 플레이트(1943) 및 인공근육(1944)에 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들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0은 도 39의 채널지지부재(1940)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전방으로 벤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지지부재(1940)에서 플레이트(1943)는 X 방향으로 연장되며, 인공근육(1944)은 Y 방향을 따라서 인접한 두 플레이트(1943) 사이를 연결시킨다. 채널지지부재(1940)가 벤딩될 때, X 방향 축선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벤딩라인이 형성된다. 각 벤딩라인에 대응하는 인공근육(1944)이 변형함으로써 채널지지부재(1940)는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벤딩된다. 이와 같은 벤딩 상태는, 사용자가 임의로 채널지지부재(1940)를 벤딩시킨 상태에서 인공근육(1944)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해당 벤딩 상태가 유지되거나, 또는 채널지지부재(1940)가 평면이 상태에서 각 인공근육(1944)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해당 벤딩 상태로 변형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943)가 X 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것은 채널지지부재(1940)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벤딩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이다. 만일 채널지지부재(1940)가 X 방향 축선을 따라서 벤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1943)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어야 한다. 채널지지부재(1940)가 X 방향 축선 및 Y 방향 축선 모두를 따라서 벤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채널지지부재(1940)는 앞선 도 23 관련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져야 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900)가 전방으로 벤딩되는 경우에, 개별 구성들이 벤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900)의 중앙 영역이 폴더 형태로 전방을 향해 벤딩될 때, 안쪽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920)은 수축하는 힘을 받으며 바깥쪽에 있는 하우징(1910)은 팽창하는 힘을 받는다. 채널지지부재(1940)는 중앙 영역이 벤딩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92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920)을 지지한다.
영상처리보드(1930)는 벤딩되지 않는 영역에 있으므로 리지드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채널지지부재(1940)에서 상하 양측에 있는 플레이트(1941, 1942)는 벤딩되지 않는 영역에 있으므로 리지드한 구조를 가진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1900)의 벤딩에 따라서, 중앙영역에 위치하며 플레이트(1943)를 지지하는 인공근육(1944)이 벤딩한다. 플레이트(1943)는 벤딩방향 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즉 벤딩라인에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1900)의 벤딩에 간섭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장치(1900)는 벤딩이 가능하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배터리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배터리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타 구성과 마찬가지로 플렉서블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지만, 부득이하게 리지드한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유닛(2000)의 단면도이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유닛(2000)은 복수의 단위배터리(2010)와, 각 단위배터리(2010)를 수용하는 플렉서블한 배터리하우징(2110)을 포함한다. 단위배터리(2010)는 리지드한 구조의 배터리이다. 배터리하우징(2110)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배터리(2010)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한편, 각 단위배터리(20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배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인접한 두 개의 단위배터리(2010) 사이에 형성된 배터리하우징(2110)의 일 영역은 노드(2021)라고 지칭한다. 이 노드(2021)를 중심으로 배터리유닛(2000)은 Z 방향 또는 -Z 방향을 향해 벤딩이 가능하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100)의 예시도이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100)는 복수의 힌지(2111)를 가지는 하우징(2110)을 포함하고 벤딩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힌지(2111)는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하나 이상이 마련되는 바, 즉, 하우징(2110)은 다관절 구조가 적용된다.
본 도면에서와 같이 힌지(2111)가 3개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2100)는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총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힌지(2111)를 중심으로 분할되는 복수 개의 영역 각각에, 배터리(미도시)가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이들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영상처리보드(미도시)가 배치되어야 하는 바, 각 영역마다 영상처리보드(미도시)와 배터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배치하거나, 영상처리보드(미도시)에 소형 배터리(미도시)를 임베딩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4는 도 43의 디스플레이장치(2100)에 도 42의 배터리유닛(2000)을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100)는 하우징(2110)과, 디스플레이 패널(2120)과, 영상처리보드(2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2120)은 플렉서블한 구조가 적용되며, 하우징(2110)은 3개의 힌지(2111)를 가진 다관절 구조에 의해 벤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디스플레이장치(2100)는 벤딩 가능한 힌지(2111)를 중심으로, A11, A12, A13, A14의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하우징(2110) 내 각 영역(A11, A12, A13, A14)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각 수용공간에 배터리유닛(2000) 및 영상처리보드(213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역 A11, A12, A13에 각각 배터리유닛(2000)의 개별 단위배터리(2010)가수용되도록 하고, 영역 A14에 영상처리보드(2130)가 수용되도록 하며, 배터리유닛(2000) 및 영상처리보드(213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에 의하여, 리지드한 단위배터리(2010) 및 영상처리보드(2130)는 각 영역(A11, A12, A13, A14)에 수용되어 있으며, 힌지(2111)가 위치한 영역에는 플렉서블한 배터리하우징(2110)이 위치한다. 따라서, 힌지(2111)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장치(2100)가 벤딩될 때, 벤딩 동작이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앞선 도 22 및 도 23과 같은 구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에는, 복수의 소형 배터리가 플레이트(1541, 도 23 참조)의 하판면 상에 각기 배치되며 플렉서블한 케이블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플레이트(1541, 도 23 참조)의 상판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해야 하는 영역인 바, 소형 배터리는 플레이트(1541, 도 23 참조)의 하판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영상처리보드의 기능별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보드(2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보드(2200)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게 마련된 통신부(2210)와,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2220) 및 스피커(2230)에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240)와, 신호처리부(2240)의 동작을 위한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CPU(2250)가 신호처리부(2240)에 대해 독립적인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CPU(2250)는 신호처리부(2240)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의 칩셋과 통합되어 단일 SOC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210)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바, 다양한 컨텐츠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스트림을 수신하며 또는 신호처리부(224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통신부(2210)는 복수의 통신규격에 각기 대응하는 통신포트 또는 통신모듈의 집합체에 의해 구현되는 바, 지원 가능한 프로토콜 및 통신접속대상이 어느 하나의 종류 또는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부(2210)는 RFIC나 블루투스 모듈이나 와이파이 모듈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2212),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이더넷(Ethernet) 모듈(2213), USB 메모리(미도시) 등의 로컬 접속을 위한 USB 포트(미도시),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가 적외선을 투사하는 경우에 해당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감지부(미도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신부(2210)는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및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 소스에 접속됨으로써, 각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부(2210)가 각 컨텐츠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신호처리부(224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신부(2210)는 각 컨텐츠 소스로부터의 통신을 담당하는 단위모듈이 CPU(2250)에 의해 개별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는 바, 활성화된 단위모듈에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신호처리부(2240)에 전달한다. 또는, 통신부(2210)는 각 단위모듈이 개별적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CPU(2250)에 의해 지정된 단위모듈의 컨텐츠 데이터를 신호처리부(22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2240)는 통신부(2210)에 수신되는 전송스트림에 대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통신부(2210)에 전송스트림이 수신되면, 신호처리부(2240)는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222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222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신호처리부(224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입력되는 전송스트림을 영상신호, 음성신호,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240)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종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되므로 신호처리부(2240)가 수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영상처리 프로세스로 한정할 수 없으며, 또한 신호처리부(2240)가 처리 가능한 데이터가 통신부(2210)에 수신되는 것만으로 한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신호처리부(2240)는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는 음성신호에 대해 음성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음성신호를 스피커(2230)로 출력한다. 또한, 신호처리부(2240)는 디스플레이장치(2200)에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음성인식 프로세스에 따라서 해당 발화를 처리한다.
영상처리보드(2200)의 이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영상처리보드(2200)의 구현 형태 및 지원 기능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가 방송영상의 표시를 지원한다면 방송신호를 특정 주파수로 튜닝하기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겠지만, 디스플레이장치가 일반 태블릿이라면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구성은 제외될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방송영상을 표시 가능하게 마련된 경우에 신호처리부(224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본 도면에서의 통신부(2210) 및 신호처리부(2240)는 제품에서 실제로 구현되는 구성 중에서 기본적인 것만을 나타낸 바, 디스플레이장치가 실제 제품으로 구현될 때에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 이외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처리부(2240)를 실행 기능에 따라서 복수의 처리부(2241, 2242, 2243)로 구분하고 있지만, 실제 제품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들이 하드웨어적으로 분류되거나 또는 분류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혼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처리부(2240)가 영상처리부(2242) 및 음성처리부(22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신호처리부(2240)는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10)는 방송스트림을 특정 주파수로 튜닝하는 튜너(2211)와, 외부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2212)과, 외부와의 유선통신을 위한 이더넷모듈(22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는 통신부(2210)가 튜너(2211), 무선통신모듈(2212), 이더넷모듈(2213)을 모두 포함하는 것처럼 표현하였으나, 실제 구현 시에는 일부 구성은 제외될 수도 있다.
한편, 신호처리부(2240)는 통신부(221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스트림을 복수의 서브신호들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먹스(deMUX)(2241)와, 디먹스(2241)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신호 중 영상신호를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2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2242)와, 디먹스(2241)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신호 중 음성신호를 음성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스피커(2230)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2243)를 포함한다.
튜너(2211)는 방송스트림이 수신되면, 지정된 특정 채널의 주파수로 방송스트림을 튜닝하여 전송스트림으로 변환한다. 튜너(2211)는 고주파 반송파를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전송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튜너(2211)는 A/D 컨버터(미도시)를 가질 수 있는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A/D 컨버터(미도시)는 튜너(2211)가 아닌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미도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모듈(2212)은 다양한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에는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으며, 무선통신모듈(2212)은 지원하는 각 프로토콜 별로, 해당 프로토콜의 통신을 위한 단위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언급된 각 프로토콜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와이파이는 IEEE 802.11 기반의 무선LAN 연결과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와이파이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인 경우에, AP에 의해 중계되는 장치들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공한다. 와이파이는 IEEE 802.11n 기반인 경우에 최대 300Mbps 급의 전송속도를 보장한다. AP는 외부 WAN(Wide Area Network)에 접속된 라우터에 접속되며, 폐쇄되지 않은 공간 내에 소정 범위의 핫스팟(hot-spot)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AP 주위의 핫스팟 내에 위치함으로써 AP에 무선으로 접속하며, AP를 경유하여 네트워크에 통신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증폭을 위한 리피터(repeater)와 같은 장비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핫스팟의 범위가 확장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핫스팟의 범위는 넓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와이파이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와이파이 기술에서 AP를 필요로 하지 않는, peer-to-peer(P2P)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AP 없이 타 장치에 다이렉트로 통신 접속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대체로 장치 간 거리가 200m 범위 내에서 최대 250Mbps의 전송 속도를 보장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와이파이 기술 중에서 애드혹(ad-hoc) 관련 기술을 활용한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mobile host)로만 구성되는 통신망으로서,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렵거나 또는 망을 구성한 이후에 단시간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의 이동에 제약이 없고 유선망 및 기지국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빠른 망 구성과 저렴한 비용의 장점이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이동 노드는 단지 호스트가 아니라 하나의 라우터로 동작하게 되며, 다른 노드에 대해 다중 경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애드혹 기술의 단점인 전송속도 및 보안문제를 향상시켜 구현된 기술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1:N 접속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1:1 접속에 관한 방식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에 따라서 모바일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와 통신 접속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모바일장치는 푸시(push) 방식으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한다. 디스플레이장치가 모바일장치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모바일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에 통신 접속이 가능하도록 페어링이 완료된다.
블루투스는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기기 간의 다이렉트 통신 방식이다. 블루투스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 내지 2483.5MHz를 사용한다. 블루투스는 이 중에서,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 내지 2480MHz, 총 79개 채널을 사용한다.
여러 시스템들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간 전파 간섭이 생길 우려가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블루투스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취한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데이터)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이다. 블루투스는 할당된 79개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한다.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 간에 동기화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 구성으로 연결되는데, 마스터 기기가 생성하는 주파수 호핑에 슬레이브 기기를 동기화시키지 못하면 두 기기 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의 전파 간섭을 피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하나의 마스터 기기에는 최대 7대의 슬레이브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 간 통신만 가능할 뿐 슬레이브 기기 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서로 역할을 바꿀 수 있다.
UPNP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따라서, 장치 간을 P2P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프로토콜이다. UPNP는 IP, TCP, UDP, HTTP, XML과 같은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한다. UPNP는 와이어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기기 간에 교환되는 정보는 XML로 표현되고, HTTP 프로토콜을 통해서 통신한다.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프로토콜이 통신모듈의 고유 식별자로서 48비트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UPNP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라는 식별자를 사용한다. UUID는 16옥테트(octet), 즉 128비트의 식별자이며, 32 lowercase hexadecimal digits에 의해 표현된다. UUID는 32개의 문자나숫자와, 4개의 하이픈에 의해 구성되는 바, 8-4-4-4-12의 총 36개의 자리수의 형식을 가진다.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하나로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이다. 대략 NFC는 10cm 정도의 가까운 거리에서 기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며, ISO/IEC 14443을 확장한 것이다. NFC 통신은 상호 근접한 자기 필드 내에 있는 두 개의 루프 안테나 사이의 전자기 유도작용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NFC는 수동통신모드 및 능동통신모드의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한다. 수동통신모드에서는 시동장치가 캐리어 필트를 제공하고, 타겟장치가 제공된 필드를 변조하면서 동작한다. 수동통신모드의 타겟장치는 동작 전원을 시동장치가 제공하는 전자기 필드에서 획득하며, 이로 인하여 타겟장치도 송수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능동통신모드에서는 시동장치 및 타겟장치 모두 자체 전자기 필드를 생성하여 통신한다. 능동통신모드에서 하나의 장치는 상대방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자신의 전자기 필드를 해제하고, 자신이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자신의 전자기 필드를 활성화시킨다.
이하, 신호처리부(2240)의 각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디먹스(2241) 또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2241)는 기본적으로 멀티플렉서(미도시)와 반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디먹스(2241)는 하나의 입력단을 복수의 출력단과 연결하여, 입력단에 입력되는 스트림을 선택신호에 따라서 각 출력단에 출력하는 분배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입력단에 대해 네 개의 출력단이 있다면, 디먹스(2241)는 0 또는 1의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선택신호의 상태를 조합함으로써 네 개의 출력단 각각을 선택할 수 있다. 디먹스(2241)는 특히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통신부(2210)로부터 전달되는 전송스트림을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서브신호들로 구분하여 각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디먹스(2241)가 전송스트림을 서브신호들로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먹스(2241)는 전송스트림 내의 패킷들에 각기 부여된 식별자인 PID(packet identifier)에 따라서 전송스트림을 각 서브신호들로 구분한다. 전송스트림 내의 채널 별 서브신호는 독립적으로 압축되어 패킷화되어 있으며, 어느 한 채널에 해당하는 패킷에는 동일한 PID가 부여됨으로써 다른 채널의 패킷과 구별되도록 마련된다. 디먹스(2241)는 전송스트림에서 PID 별로 패킷들을 분류하여, 동일한 PID를 가지는 서브신호들을 추출한다.
영상처리부(2242)는 디먹스(224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 및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20)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부(2242)는 특정 포맷에 의해 인코딩된 상태의 영상신호에 대해 해당 인코딩 과정을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영상신호를 인코딩 이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디코더(decoder)(미도시)와,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2220)의 해상도 또는 별도로 지정된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scaler)(미도시)를 포함한다. 만일 디먹스(224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되어 있지 않은 무압축 상태라면, 영상처리부(2242)는 해당 영상신호에 대해 디코더(미도시)에 의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음성처리부(2243)는 디먹스(224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 처리하여 스피커(2230)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성처리부(2243)는 음성신호인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공급부(미도시)와, 디지털신호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신호를 출력하는 PWM 처리부(미도시)와, PWM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미도시)와, 증폭부(미도시)에 의해 증폭된 PWM 신호를 특정 수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함으로써 PWM 신호를 복조하는 LC 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
CPU(2250)는 신호처리부(2240) 내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중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해석 및 연산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CPU(2250)는 내부적으로, 처리할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프로세서 레지스터(미도시)와,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 연산 유닛(arithmetic logic unit, ALU)(미도시)와, 명령어의 해석과 올바른 실행을 위하여 CPU(2250)를 내부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control unit)(미도시)과, 내부 버스(BUS)(미도시)와, 캐시(cache)(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CPU(2250)는 디먹스(2241), 영상처리부(2242) 및 음성처리부(2243)와 같은 신호처리부(2240)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다. 다만, 신호처리부(224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신호처리부(2240)의 구성 중에는 CPU(2250)의 데이터 연산 없이 동작하거나 또는 별도의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500 : 디스플레이장치
1510 : 하우징
1520 : 디스플레이 패널
1530 : 영상처리보드
1540 : 패널지지부재
1541 : 플레이트
1542 : 인공근육

Claims (2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영상처리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호 인접한 두 상기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며, 인가되는 기 설정된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형상이 가변하도록 변형되게 마련된 복수의 인공근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상기 인공근육이 휘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영상처리보드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인공근육이 휘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인공근육이 상기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근육이 일 형태로 휘어진 시점에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휘어진 형태가 유지되면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근육이 복수의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기 지정된 복수의 전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인공근육의 휘어진 형태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값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취하며, 상기 독취된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인공근육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인공근육을 변형시키는 외력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외력이 사용자에 의한 것이라고 감지되면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외력에 사용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감지되면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인공근육의 휘어진 각도, 휘어져 있는 시간, 휘어지도록 가해지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휘어진 형태를 사용자가 지정하도록 마련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게 하며, 상기 UI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가 휘어지도록 상기 인공근육에 상기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근육이 복수의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기 지정된 복수의 전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인공근육의 휘어진 형태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값을 상기 저장부에서 독취하며, 상기 독취된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인공근육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인공근육이, 상기 상호 인접한 두 상기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형상이 가변 가능한 제1영역 및 가변 가능하지 않은 제2영역 중에서 상기 제2영역을 지지하는 제2영역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인공근육은 상기 제1영역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제2영역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힌지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게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접히는 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힌지 사이의 영역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판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플렉서블한 복수의 기판과;
    상기 복수의 기판에 대해 각기 갭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판면에 평행하게 상기 복수의 기판 사이에 배치된 플렉서블한 다이(die)와;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 각각의 상판면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배선이 형성된 플렉서블한 배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판면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를 상기 배선 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시키는 본딩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딩 필름은,
    상기 배선 필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기판 및 상기 다이를 상기 배선 필름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배선 필름의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상기 결합부재에 매립된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필름은, 상기 배선 필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도전체 및 상기 결합부재를 각기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판면 및 하판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 판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판면의 일 영역이 함몰됨으로써 형성된 수용영역을 가지는 플렉서블한 기판과;
    상기 기판에 대해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판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플렉서블한 다이와;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 각각의 상판면을 지지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배선이 형성된 플렉서블한 배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판면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보드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를 상기 배선 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시키는 본딩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딩 필름은,
    상기 배선 필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다이를 상기 배선 필름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배선 필름의 상기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상기 결합부재에 매립된 도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필름은, 상기 배선 필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도전체 및 상기 결합부재를 각기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판면 및 하판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60108638A 2015-09-14 2016-08-25 디스플레이장치 KR102618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58 2015-09-14
KR20150129958 2015-09-14
KR1020150179598 2015-12-15
KR1020150179598A KR20160085202A (ko) 2015-01-07 2015-12-15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72A true KR20170032172A (ko) 2017-03-22
KR102618716B1 KR102618716B1 (ko) 2023-12-29

Family

ID=562864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598A KR20160085202A (ko) 2015-01-07 2015-12-15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60108638A KR102618716B1 (ko) 2015-09-14 2016-08-25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598A KR20160085202A (ko) 2015-01-07 2015-12-15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60195902A1 (ko)
KR (2) KR20160085202A (ko)
WO (2) WO20161115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28A1 (ko) * 2018-07-13 2020-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060228A1 (ko) * 2018-09-21 2020-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사 방지층 및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80062B2 (en) 2019-12-31 2024-05-07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0957B1 (fr) * 2014-05-19 2021-07-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cutane, notamment pour application medicale.
KR20160085202A (ko) 2015-01-07 2016-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05867533B (zh) * 2016-03-28 2020-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TWI626526B (zh) * 2016-04-22 2018-06-11 Susa Inc mouse
KR102582688B1 (ko) * 2016-08-09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0244088B2 (en) * 2016-10-11 2019-03-26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CN106875850A (zh) 2017-04-18 2017-06-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及其变形驱动方法、显示装置
CN106940965A (zh) * 2017-05-12 2017-07-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7170374A (zh) * 2017-06-29 2017-09-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N108076221B (zh) * 2017-11-29 2020-06-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02053B1 (ko) * 2017-11-30 2022-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936648B (zh) 2017-12-18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转动机构及折叠终端
TWI678959B (zh) * 2018-03-09 2019-12-01 創王光電股份有限公司 鉸鏈、殼體結構與可撓式顯示裝置
CN108711371B (zh) * 2018-05-18 2019-1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柔性显示面板的形变驱动模块、柔性显示装置
US20190393278A1 (en) * 2018-06-26 2019-12-26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102588626B1 (ko) 2018-07-27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CN111326068B (zh) * 2018-12-13 2022-04-26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639858A (zh) * 2018-12-15 2019-04-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1930177B (zh) 2019-05-13 2023-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电子设备
CN111028686B (zh) * 2019-12-13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220001255A (ko) * 2020-06-29 2022-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746083B (zh) * 2020-07-24 2021-11-11 聯陽半導體股份有限公司 訊號中繼系統
KR20220060605A (ko) * 2020-11-04 2022-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240006388A1 (en) * 2021-03-18 2024-01-04 Kortek Corporation Display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7822A1 (en) * 2008-10-12 2011-09-22 Efrat BARIT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20130079736A (ko) * 2012-01-03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40025923A (ko)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69302A (ko) * 2011-09-30 2014-06-09 애플 인크. 가요성 전자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946A (en) * 1995-09-21 1998-04-14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device
JP3581627B2 (ja) * 1999-02-24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HU0204489D0 (en) * 2002-12-23 2003-02-28 Bognar Jozsef Image converter display
CN101129101B (zh) 2005-02-28 2010-07-14 联邦科学和工业研究组织 柔性电子装置
EP1892009B1 (en) * 2005-06-14 2011-12-2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WO2008023275A2 (en) * 2006-08-21 2008-02-28 Contra Vision Ltd. Structural assembly with a flexed, tied panel
TWI441115B (zh) * 2007-11-21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具有可撓式顯示器之電子裝置
JP5243842B2 (ja) * 2008-05-19 2013-07-24 篠田プラズマ株式会社 大型表示装置
KR101529921B1 (ko) * 2008-11-04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IT1392321B1 (it) * 2008-12-15 2012-02-24 St Microelectronics Srl Sistema sensore/attuatore interamente in materiale organico
EP2550580B1 (en) 2010-03-25 2019-07-03 Nokia Technologies Oy Contor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8587539B2 (en) 2011-01-21 2013-11-19 Blackberry Limited Multi-bend display activation adaptation
US8593420B1 (en) * 2011-03-04 2013-11-26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tactile output and interaction
US9007300B2 (en) * 2011-10-14 2015-04-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process with bend movements
KR101945948B1 (ko) * 2011-12-30 201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80071Y1 (ko) 2012-02-27 2016-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용 카드
KR20130113784A (ko) 2012-04-06 2013-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285921A1 (en) * 2012-04-25 2013-10-31 Motorola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Rollable Illumination Device
KR101350435B1 (ko) 2012-04-26 2014-01-16 하나 마이크론(주) 집적회로 소자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02243A (ko) * 2012-06-28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970455B2 (en) * 2012-06-28 2015-03-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ntent displayed on a flexible display
US9046949B2 (en) * 2012-10-12 2015-06-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114312B1 (ko) *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JP6430377B2 (ja) * 2013-05-30 2018-11-28 京セラ株式会社 ユニット、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101662386B1 (ko) 2013-09-13 2016-10-05 한국과학기술원 지지 기판을 이용한 플렉서블 소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소자
US20150234188A1 (en) * 2014-02-18 2015-08-20 Aliphcom Control of adaptive optics
KR20160085202A (ko) 2015-01-07 2016-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602306B1 (ko) * 2015-01-14 2016-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4884440U (zh) * 2015-08-27 2015-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7822A1 (en) * 2008-10-12 2011-09-22 Efrat BARIT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20140069302A (ko) * 2011-09-30 2014-06-09 애플 인크. 가요성 전자 디바이스
KR20130079736A (ko) * 2012-01-03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40025923A (ko) * 2012-08-23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28A1 (ko) * 2018-07-13 2020-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07510A (ko) * 2018-07-1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038784B2 (en) 2018-07-13 2024-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0060228A1 (ko) * 2018-09-21 2020-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사 방지층 및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80062B2 (en) 2019-12-31 2024-05-07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202A (ko) 2016-07-15
WO2017047945A1 (en) 2017-03-23
US10133381B2 (en) 2018-11-20
US20160364055A1 (en) 2016-12-15
US20160195902A1 (en) 2016-07-07
KR102618716B1 (ko) 2023-12-29
WO2016111536A1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2172A (ko) 디스플레이장치
EP3076270B1 (en) Portable keyboard and speaker assembly
US9990002B2 (en)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CN105681969B (zh) 电子装置、音频装置、控制电子装置和音频装置电源的方法
KR102537318B1 (ko) 회로 기판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666B1 (ko)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2016032149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hared Near Field Communications and Sensor Structures
WO20140074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tennas
KR20200061935A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92036B2 (en) Sound output apparatus and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WO201403123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ocking with wireless connector
EP28439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14908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rille for the apparatus
US10440456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US11115741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output apparatus,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pparatus, and grille for the apparatus
CN105323608A (zh) 电子装置、外部装置及控制对外部装置供电的方法
WO2019164129A1 (ko) 복수의 통신 방식들 중 신호의 강도에 기반하여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05578391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及终端设备
CN105451368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KR2018011446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2602682U (zh) 带路由功能的多媒体播放器
US9978340B2 (en) Touch communications device for performing touch communications
CN104956641B (zh) 互连组件
CN116195350A (zh) 用于与外部电子设备直接通信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20220102461A (ko) 프로토콜/서비스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