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784A -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 Google Patents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784A
KR20170029784A KR1020150126803A KR20150126803A KR20170029784A KR 20170029784 A KR20170029784 A KR 20170029784A KR 1020150126803 A KR1020150126803 A KR 1020150126803A KR 20150126803 A KR20150126803 A KR 20150126803A KR 20170029784 A KR20170029784 A KR 20170029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late
plate
sheet
pie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해정
Original Assignee
조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정 filed Critical 조해정
Priority to KR102015012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784A/ko
Publication of KR20170029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6Chamber-pots; Throw-away urinals for non-bedridden persons; Chamber-po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에 관한 것으로, 해당 유아가 성장하여 변화되는 키에 맞게 좌석시트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그에 맞게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유아의 성장에 맞게 그에 맞는 크기의 간이변기를 수시로 교체할 필요 없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부모가 직접 유아의 주변에 존재하지 않고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가 없더라도 유아가 배변 절차를 유도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부모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 하고 스스로 배변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단계로의 진입이 쉽도록 하여 배변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다양한 접이구조 등을 적용하여 기존에 비해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관 및 휴대 시 공간소비율을 최소화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Excretion practice for multi-function infant toilet seat}
본 발명은 유아들의 배변연습을 유도하기 위해 가정에서 사용되는 배변연습용 유아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유아의 키에 맞게 시트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키가 성장하는 것에 맞게 항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별도 음성안내구조를 통해 유아가 스스로 배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배변학습효율을 극대화 시킴은 물론 배변 전 후 변수용함 내에 세척수가 자동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배변과정에서 변이 변 수용함 내에 눌러붙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더불어 접이구조를 개선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2세부터 6~7세까지의 유아는 부모의 도움없이 스스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배변 교육을 행하게 된다.
해당 시기의 유아는 기본적으로 배변을 하고자 할 때 스스로 탈의하고 스스로 변기에 앉아 힘을 주어 배변을 행한 뒤 휴지 등으로 항문을 닦고 다시 옷을 착용하는 과정에 대한 교육이 필요 하다
배변교육은 이러한 과정을 최대한 유아 스스로 시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형태로 진행되어야 하는데, 유아는 신체발육 시기 상 스스로 성인용 변기에 앉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대부분 별도의 유아용 간이변기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기존 간이변기는 단순히 전체적으로 좌석시트의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변 수용함이 형성된 의자 형태이고 실내 바닥에 위치되어 해당 유아가 쉽게 좌석시트에 앉아 배변을 행할 수 있는 형태이고, 유아가 좌석시트 상에 앉은 상태에서 배출된 변이 변 수용함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간이변기는 자체적으로 좌석시트의 위치가 항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유아의 특성 상 성장률이 높아 신체크기 등이 빠르게 변화되기 때문에 성장시기에 맞게 그에 맞는 크기에 해당하는 간이변기로 매번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경제적 부담이 초래된다.
또한 기존의 간이변기는 단순히 해당 유아가 시트에 앉아 배출한 배변을 수용하는 역할만을 할 뿐, 실질적인 배변교육 절차는 부모가 주변에서 직접 해당 절차에 대한 지시를 말로 설명해야 한다.
따라서 항시 부모가 배변 교육 시 옆에 있어야 하고 일일이 설명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며, 이로 인해 해당 유아는 부모의 지시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부모가 옆에 없고 부모의 지시가 없을 시 해당 배변과정을 스스로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처럼 부모의 직접적인 배변절차 지시에 의존해야 하므로 부모의 번거로움이 크고 해당 육아의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스스로 배변 절차를 진행하지 못하는 부작용이 초래된다.
즉 유아는 배변교육에 있어서 일정 기간동안은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에 의해 배변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을 거치다가 완전히 스스로 배변절차를 행하는 시기 이전에 부모가 주변에 없는 상태에서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를 받지 않은 상태로 배변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과정을 거처야만 추후 자연스럽게 완전히 자기 스스로 배변과정을 진행할 수 있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 외에 기존의 간이변기는 대부분이 유아용 블록처럼 상호 단순 끼움 결합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 사용 시 간이변기의 보관이나 운반 시 공간소비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간이변기는 배출된 변이 단순히 변 수용함에 수용되기 때문에 배변 과정에서 변이 수용함 표면에 들러붙게 되므로, 세척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해당 유아가 성장하여 변화되는 키에 맞게 좌석시트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그에 맞게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유아의 성장에 맞게 그에 맞는 크기의 간이변기를 수시로 교체할 필요 없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모가 직접 유아의 주변에 존재하지 않고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가 없더라도 유아가 배변 절차를 유도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부모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 하고 스스로 배변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단계로의 진입이 쉽도록 하여 배변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다양한 접이구조 등을 적용하여 기존에 비해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관 및 휴대 시 공간소비율을 최소화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해결과제의 해결수단을 갖는 것으로,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제1삽입홀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홀 전후 내벽면에는 제1걸림홈이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후측 일단부에는 제1삽입편이 후측을 향해 돌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편의 단부 좌우양측면에는 제1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전측 하부면에 제1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판, 상기 제1시트판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제1시트판과 좌우 대칭 형태로 위치되며 전측 일단부 중 상기 제1삽입홀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2삽입편이 돌출 연장 형성되고 제2삽입편의 단부 전후 양측면에는 제2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편이 상기 제1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제2삽입홀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홀 좌우내벽면에는 제2걸림홈이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중 상기 제1힌지편과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2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시트판, 상기 제2시트판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제2시트판과 전후 대칭 형태로 위치되며 전측 일단부 중 상기 제2삽입홀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3삽입편이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3삽입편의 단부 좌우 양측면에는 제3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삽입편이 상기 제2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제3삽입홀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삽입홀 전후내벽면에는 제3걸림홈이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중 상기 제2힌지편과 전후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3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3시트판, 상기 제3시트판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제3시트판과 좌우 대칭 형태로 위치되며 후측 일단부 중 상기 제3삽입홀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4삽입편이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4삽입편의 단부 전후 양측면에는 제4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삽입편이 상기 제3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제4삽입홀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삽입홀 좌우 내벽면에는 제4걸림홈이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 중 상기 제3힌지편과 좌우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4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4시트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내지 제4시트판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중앙에 배변통과홀이 형성된 사각링 형태이고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의 후측면에는 각각 세척액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시트,
상기 제1내지 제4시트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레일 구조를 갖는 착탈유도레일,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단부가 상기 제1시트판과 제2시트판의 전측 하부면을 좌우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되며 상단 좌우 양측면이 각각 별도 제1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1힌지편 및 제2힌지편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며 하단 좌우 양측면에는 제1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전측지지다리와,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전측지지다리 하측에 위치하며 하단부가 지면상에 안착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제7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측지지다리의 하단부가 상기 제7삽입홀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하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홈과 동일한 직경의 제2체결홈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는 제2전측지지다리 및 상기 제1체결홈이 상기 각 제2체결홈 중 어느 하나와 동일선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홈과 제1체결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제1높낮이제어핀을 갖는 형태이며 상기 제1전측지지다리와 제2전측지지다리가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전측지지다리와 제2전측지지다리의 후측면이 상기 안착시트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혀질 수 있는 전측지지다리,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단부가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의 후측 하부면을 좌우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되며 상단 좌우 양측면이 각각 별도 제2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3힌지편 및 제4힌지편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며 하단 좌우 양측면에는 제3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후측지지다리와,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후측지지다리 하측에 위치하며 하단부가 지면상에 안착 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제8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후측지지다리의 하단부가 상기 제8삽입홀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하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제3체결홈과 동일한 직경의 제4체결홈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는 제2후측지지다리 및 상기 제3체결홈이 상기 각 제4체결홈 중 어느 하나와 동일선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4체결홈과 제3체결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제2높낮이제어핀을 갖는 형태이며 상기 제1후측지지다리와 제2후측지지다리가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후측지지다리와 제2후측지지다리의 전측면이 상기 안착시트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혀질 수 있는 후측지지다리,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플라스틱재 주름관 형태이고 하단부가 상기 제1시트판 내지 제4시트판 상부면에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세워져 있고 주름관 구조를 통해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각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중 상기 제1시트판과 제2시트판 상에 위치한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상에 각각 안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해당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의 상하 길이조절 시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후측단부에는 제5삽입홀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5삽입홀의 내부 좌우양측면에는 제5걸림홈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는 제1손잡이바아,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각 제1손잡이바아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각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중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 상에 위치한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상에 각각 안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해당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의 상하 길이 조절 시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전측단부에는 손잡이삽입편이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삽입편이 상기 각 제5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각 손잡이삽입편의 전측 좌우 양측면에는 제5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 제2손잡이바아,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의 후측 상부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 제5힌지편과 제6힌지편,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하단부가 상기 제5힌지편과 제6힌지편 사이에 위치되며 하단 좌우 양측단부가 별도의 제3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5힌지편 및 제6힌지편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하여 전측을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전측면이 상기 안착시트 상부면 상에 안착되도록 접혀지며 상단부에는 제6삽입홀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삽입홀의 좌우 내측면에는 제6걸림홈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세척액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후측에는 상기 세척액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물 주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측면 중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의 세척액유입공과 전후 동일선상 지점에는 세척액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등받이판,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등받이판 상에 위치되며 하단부에는 제6삽입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6삽입편이 상기 제6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6삽입편의 하단 좌우 양측면에는 제6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등받이판,
주름관 형태이고 전후 양측단부가 상기 제1등받이판이 세척액배출공과 상기 제3시트판 및 제4시트판의 세척액유입공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액공급주름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변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되 전체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수지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 입구 테두리에는 금속재의 형태유지유도 와이어가 링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시트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형태유지유도 철사가 상기 안착시트의 착탈유도레일 전체구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배변 수용함,
사방이 막혀 있고 전체적으로 둘레면이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압축공기 형성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아래로 하강 시 수축되고 상측으로 이동 시 인장 가능한 형태이며 일측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펌핑유도함,
일단부가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등받이판의 물공급공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펌핑유도함의 상하 수축 및 인장과정에서 상기 펌핑유도함으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가 상기 제1등받이판의 세척액저장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펌핑유도함으로부터 토출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세척액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세척액저장공간 내 세척수가 상기 공기공급관을 따라 상기 펌핑유도함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
상기 제1시트판의 전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미리 녹음된 각 배변연습 단계별 행동 지시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녹음된 각 지시음성신호를 선별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유도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선별되어 출력되는 지시음성신호를 외부로 최종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 상기 각 지시음성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지시음성신호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리모트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컨트롤부를 통해 각 지시음성신호 중 특정 지시음성신호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면 제어부가 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 중 이에 해당하는 지시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해당 사용 유아가 해당 지시음성신호에 따라 행동하면 그 다음 단계에 해당하는 지시음성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유가가 각 지시음성신호에 따라 스스로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부모가 해당 유아 곁에서 일일이 직접 배변 절차를 직접 설명하지 않고 근거리에 위치한 상태에서 리모트컨트롤부를 이용해 배변 절차에 해당하는 음성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해당 유아가 해당 지시음성신호를 따라 해당 배변 절차를 단계별로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유아가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에 의존하지 않고 간접적인 유도절차를 통해 각 배변절차 행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아가 부모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여 점차 스스로 배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수준의 단계로 진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결국 배변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부모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유아가 지시음성신호에 따라 해당 배변절차 행동을 수행할 때마다 미리 녹음된 칭찬 음성신호를 부여함으로 해당 유아의 배변학습에 더욱 관심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어 배변학습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착시트를 구성하는 제1시트판 내지 제4시트판이 상호 삽입홀과 삽입편 간 결합구조에 의해 상호 슬라이딩 되어 안착시트의 전체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유아의 신체조건 및 성장에 따른 신체크기 변화에 따라 안착시트의 전체면적을 그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유아의 배변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측지지다리가 제1전측지지판과 제2전측지지판 간 상하 슬라이딩 삽입결합구조에 의해 상하 길이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높낮이제어핀에 의해 높낮이 조절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후측지지다리도 제1후측지지판과 제1후측지지판 간 상하 슬라이딩 삽입결합구조에 의해 상하 길이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2높낮이제어핀에 의해 높낮이 조절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결국 해당 유아의 신체조건이나 성장에 따른 신체크기 변화에 따라 안착시트의 높낮이도 그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유아의 배변시 항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의 신체변화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변기를 구매해야 함에 따른 번거로움 및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등받이판 또한 제1등받이판과 제2등받이판 간의 상하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통해 등받이판 전체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유아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착판의 면적조절구조와 전후측지지다리의 상하길이조절 및 접이구조, 등받이판의 상하길이조절 및 접이구조, 그리고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에 의한 손잡이바아의 상하 위치조절구조 및 제1손잡이바아와 제2손잡이바아 간 전후슬라이딩 결합구조에 의해 전체적인 크기의 축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나 보관 시 공간소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배변 수용함이 전체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직물 재질로 이루어져 접이가 가능하고 형태유지유도 철사를 통해 안착시트의 착탈유도레일에 간단하게 탈부착될 수 있으므로, 배변 후 배변 수용함을 손쉽게 분리시켜 쉽게 세척이 가능하며 세척 후 쉽게 결합시켜 재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미 사용 시 배변 수용함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나 휴대 시 공간소비율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등받이판(53)에 세척액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1등받이판(53)의 내부와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의 내부가 세척액공급주름관(65)을 통해 세척액배출공(58)과 세척액유입공(27)간 연통구조에 의해 연통되고, 펌핑유도함(69)의 압축을 통해 생성된 압축공기에 의해 제1등받이판(53) 내 세척액이 배변 수용함(66)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배변과정에서 사용 유아가 펌핑유도함(69)을 누르면 세척액에 의해 배변이 배변수용함 내부 면에 들러붙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세척이 용이하고 냄새도 억제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배변 과정에서 사용 유아가 배변과정의 각 행동절차를 진행하기에 앞서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가 아니라 메모리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지시음성신호가 해당 행동절차에 앞서 출력되어 사용 육아에게 전달되고 이러한 지시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유아가 그에 따라 해당 배변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에 의존하는 비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결국 추후 본인 스스로 배변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단계로 진입하기 수월해질 수 있다.
뿐만아니라 사용 유아 주변에 부모가 함께 있더라도 리모트컨트롤부를 통해 근거리에서 지시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배변교육에 있어 부모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유아 본인도 부모와 함께 있더라도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 없이 배변절차를 완수했다는 느낌을 얻을 수 있어 배변교육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지시음성신호에 각 배변절차에 따른 지시내용 뿐만 아니라 사용 유아가 해당 배변절차를 완수하였을 때 칭찬내용 등이 출력됨에 따라 사용 유아 스스로 뿌듯함을 느끼고 배변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전체 측단면도
도3은 도2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4는 전체 정면 개략도
도5는 안착시트의 일부 절개 평면도
도6은 도5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7은 안착시트의 면적이 증가된 상태의 일부 절개 평면도
도8은 도7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9는 도3의 A부분 확대도
도10은 음성지시수단의 구성 개략도
도11 및 도12는 전체 접이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시트(1)와 전측지지다리(35), 후측지지다리(42),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 제1손잡이바아(50), 제2손잡이바아(81), 제1등받이판(53), 제2등받이판(59), 세척액공급주름관(65), 배변 수용함(66), 펌핑유도함(69), 공기공급관(71), 케이스(76), 메모리부(77), 제어부(78), 스피커(79), 리모트컨트롤러부(80)로 구성된다.
안착시트(1)는 사용 유아가 배변 시 앉았을 때 엉덩이가 안착 되는 부분으로, 다시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1시트판(3)은 안착시트(1)의 전측부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평면에서 봤을 때 'ㄴ'형태를 띤다.
이때 제1시트판(3)의 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후술하는 제2시트판(9)의 제2삽입편(10)의 삽입결합을 위한 제1삽입홀(4)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삽입홀(4)의 입구주변 전후 내벽면에는 제1걸림홈(5)이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시트판(3)의 후측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제4시트판(21)과의 삽입결합 및 길이연장 기능을 위한 제1삽입편(6)이 후측을 향해 돌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편(6)의 단부 좌우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다단체결부(29)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홈(7)이 상호 마주한 상태로 함몰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1시트판(3)의 전측 모서리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제1전측지지다리(35)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1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시트판(9)은 제1시트판(3)과 더불어 안착시트(1)의 전측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1시트판(3)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제1시트판(3)과 좌우 대칭을 이루며 제1시트판(3) 일측에 위치된다.
이때 제2시트판(9)의 전측 일단부 중제1시트판(3)의 제1삽입홀(4)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1삽입홀(4)과 동일한 형상 및 단면적을 갖는 제2삽입편(10)이 돌출 연장되어 제1삽입홀(4)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2삽입편(10)의 단부 전후 양측면에는 제2설치홈(11)이 함몰 형성된다
이렇게 제2삽입편(10)이 제1시트판(3)의 제1삽입홀(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삽입편(10)의 제2설치홈(11)은 제1삽입홀(4) 내 각 제1걸림홈(5) 중 어느 하나와 전후 동일선상을 이루며 마주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렇게 제2삽입편(10)이 제1시트판(3)의 제1삽입홀(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시트판(9)과 제1시트판(3)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좌우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직선이동 과정에서 제2삽입편(10)은 제1삽입홀(4) 구간 내에서 좌우 직선 슬라이딩 이동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삽입편(10)의 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후술하는 제3시트판(15)의 제3삽입편(16)의 삽입결합을 위한 제2삽입홀(12)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삽입홀(12)의 입구주변 좌우 내벽면에는 제2걸림홈(13)이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시트판(9)의 전측 모서리 하부면 중 제1시트판(3)의 제1힌지편(8)과 좌우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1힌지편(8)과 동일한 형태의 제2힌지편(14)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3시트판(15)은 안착시트(1)의 후측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제1시트판(3) 및 제2시트판(9)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제2시트판(9)과 전후 대칭을 이루며 제2시트판(9) 후측에 위치된다.
이때 제3시트판(15)의 전측 일단부 중 제2시트판(9)의 제2삽입홀(12)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2삽입홀(12)과 동일한 형상 및 단면적을 갖는 제3삽입편(16)이 돌출 연장되어 제2삽입홀(12)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3삽입편(16)의 단부 좌우 양측면에는 제3설치홈(17)이 함몰 형성된다.
이렇게 제3삽입편(16)이 제2시트판(9)의 제2삽입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3삽입편(16)의 제3설치홈(17)은 제2삽입홀(12) 내 각 제2걸림홈(13) 중 어느 하나와 좌우 동일선상을 이루며 마주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렇게 제3삽입편(16)이 제2시트판(9)의 제2삽입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3시트판(15)과 제2시트판(9)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직선이동 과정에서 제3삽입편(16)은 제2삽입홀(12) 구간 내에서 전후 직선 슬라이딩 이동 된다.
이 상태에서 제3삽입편(16)의 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후술하는 제4시트판(21)의 제4삽입편(22)의 삽입결합을 위한 제3삽입홀(18)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3삽입홀(18)의 입구주변 전후 내벽면에는 제3걸림홈(19)이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3시트판(15)의 하부면 중 제2시트판(9)의 제2힌지편(14)과 좌우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2힌지편(14)과 동일한 형태의 제3힌지편(20)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4시트판(21)은 제3시트판(15)과 더불어 안착시트(1)의 후측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3시트판(15)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제3시트판(15)과 좌우 대칭을 이루며 제3시트판(15) 일측 및 제1시트판(3) 후측에 위치된다.
이때 제4시트판(21)의 전측 일단부 중 제3시트판(15)의 제3삽입홀(18)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3삽입홀(18)과 동일한 형상 및 단면적을 갖는 제4삽입편(22)이 돌출 연장되어 제3삽입홀(18)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4삽입편(22)의 단부 전후 양측면에는 제4설치홈(23)이 함몰 형성된다.
이렇게 제4삽입편(22)이 제3시트판(15)의 제3삽입홀(18)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4삽입편(22)의 제4설치홈(23)은 제3삽입홀(18) 내 각 제3걸림홈(19) 중 어느 하나와 전후 동일선상을 이루며 마주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렇게 제4삽입편(22)이 제3시트판(15)의 제3삽입홀(18)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4시트판(21)과 제3시트판(15)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좌우 직선이동 가능하며 좌우 직선이동 과정에서 제4삽입편(22)은 제3삽입홀(18) 구간 내에서 좌우 직선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제4삽입편(22)의 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제1시트판(3)의 제1삽입편(6)의 삽입결합을 위한 제4삽입홀(24)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4삽입홀(24)의 좌우 내벽면에는 제4걸림홈(25)이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4시트판(21)의 후측 모서리 하부면 중 제3시트판(15)의 제3힌지편(20)과 좌우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3힌지편(20)과 동일한 형태의 제4힌지편(26)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3시트판(15)과 제4시트판(21)의 후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등받이판(53)의 세척액 수용공간(56) 내 세척액의 유입을 위한 세척액유입공(27)이 형성되고 제3시트판(15)과 제4시트판(21)의 전측면에는 세척액의 외부 배출을 위한 세척액토출공(28)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안착시트(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 링 형태를 이루며 중앙에 배변통과홀(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 간 슬라이딩 결합구조에 의해 안착시트(1) 전체의 면적이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어지거나 좁혀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사용 유아의 신체크기 등에 따라 안착시트(1)의 면적을 그에 맞게 넓히거나 좁혀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항시 사용 유아가 안착시트에 편안한 자세로 앉아 사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안착시트(1)에는 제1다단체결부(29)가 설치된다.
제1다단체결부(29)는 안착시트(1)의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 간 슬라이딩 연결구조를 통한 전체 면적 조절 과정에서, 각 시트판 간의 원치않는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조절된 면적의 고정유지를 위한 것으로, 다시 제1탄성스프링(30)과 제1체결볼(31)로 구성된다.
그 중 제1탄성스프링(30)은 전체적으로 코일스프링 형태이고 제1시트판(3)의 제1설치홈(7)과 제2시트판(9)의 제2설치홈(11), 제3시트판(15)의 제3설치홈(17) 및 제4시트판(21)의 제4설치홈(23)마다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제1체결볼(31)은 제1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을 이용해 실질적으로 각 시트판의 각 삽입편과 삽입홀 간의 다단 체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금속재질의 볼(ball)형태이고 제1시트판(3) 내지 제4시트판(21)의 제1설치홈(7) 내지 제4설치홈(23)마다 삽입 설치되되, 일부분만이 각 설치홈 내 각 제1탄성스프링(30) 전측단부 앞쪽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머지 일부분은 각 설치홈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각 제1체결볼(31)은 외부힘에 의해 각 설치홈 안쪽을 향해 눌려지는 과정에서 각 제1탄성스프링(30)이 압축됨과 동시에 반대쪽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발휘됨에 따라, 외부의 누름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외측을 향해 자동으로 다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제1다단체결부(29)가 각 시트판에 설치된 상태에서 각 제1체결볼(31) 중 각 설치홈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타 시트판의 각 걸림홈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즉 제2시트판(9)의 제2삽입편(10)에 설치된 제1체결볼(31)은 제1시트판(3)의 제1삽입홀(4) 내 제1걸림홈(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제3시트판(15)의 제3삽입편(16)에 설치된 제1체결볼(31)은 제2시트판(9)의 제2삽입홀(12) 내 제2걸림홈(1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제4시트판(21)의 제4삽입편(22)에 설치된 제1체결볼은 제3시트판(15)의 제3삽입홀(18) 내 제3걸림홈(19)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제1시트판(3)의 제1삽입편(6)에 설치된 제1체결볼은 제4시트판(21)의 제4삽입홀(24) 내 제4걸림홈(2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각 제1체결볼(31)의 후측은 각 제1탄성스프링(30)에 의해 지지 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각 시트판이 불필요하게 상호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게 되고, 안착시트(1)의 면적조절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각 시트판을 잡아당겨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각 제1체결볼(31)이 해당 걸림홈을 타고넘으면서 후측으로 밀려 제1탄성스프링(30)이 압축되고, 제1체결볼이 타 걸림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1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해당 걸림홈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각 시트판 간의 고정 체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처럼 본 발명은 안착시트(1)의 면적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1다단체결부(29)에 의해 각 시트판 간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불필요한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안착시트(1)의 내측 테두리면에는 후술하는 배변 수용함(66)과의 탈착을 위한 착탈유도레일(32)이 원형 레일구조를 띠며 형성되는데,
착탈유도레일(32)은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의 후측면과 제3시트판(15)과 제4시트판(21)의 전측면에 형성된 직선레일홈 단부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하나의 착탈유도레일(32)이 되는 것이다.
이 외에 제3시트판(15)과 제4시트판(21)의 상부면 후측 좌우 양쪽 지점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1등받이판(53)의 회동연결을 위한 제5힌지편(33) 및 제6힌지편(34)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안착시트(1)에는 전측지지다리(35)와 후측지지다리(42)가 설치된다.
전측지지다리(35)와 후측지지다리(42)는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의 지지체 역할 및 후술하는 배변 수용함(66) 설치를 위한 공간확보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중 전측지지다리(35)는 안착시트(1)의 전측 지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전측지지판(36)과 제2전측지지판(38)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제1전측지지판(36)은 전체적으로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의 하부면을 좌우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되며 상단 좌우 양측면이 각각 별도 제1힌지축(82)을 통해 제1힌지편(8) 및 제2힌지편(14)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1전측지지판(36)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전측지지판(36)의 하단 좌우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제2전측지지판(38) 과의 길이조절 시 체결지점 역할을 위한 제1체결홈(37)이 형성된다.
제2전측지지판(38)은 제1전측지지판(36)보다 약간 큰 좌우폭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제1전측지지판(36) 하측에 위치하며 하단부는 지면 상에 안착 되고 상단부에는 제7삽입홀(39)이 형성되어 제1전측지지판(36)의 하단부가 제7삽입홀(39)에 삽입되어진 상태로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제1전측지지판(36)과 제2전측지지판(38)은 상호 삽입체결 구조 상태에서 상호 상하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다.
이때 제7삽입홀(39)의 양측면에는 제1체결홈(37)과 동일한 직경의 제2체결홈(40)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며 제1체결홈(37)은 각 제2체결홈(40) 중 어느 하나와 좌우 동일선상을 이루며 위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별도의 제1높낮이제어핀(41)이 상호 동일선상을 이루는 제1체결홈(37)과 제2체결홈(40)을 동시에 분리 가능하도록 관통함에 따라 제1전측지지판(36)과 제2전측지지판(38) 간 불필요한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차단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전측지지다리(35) 전체는 제1힌지축(82)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고 후측을 향해 회동 하는 과정에서 후측면이 안착시트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전측지지다리(35) 전체는 제1높낮이제어핀(41)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1전측지지판(36)과 제2전측지지판(38) 간 상하 슬라이딩 구조에 의해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제1높낮이제어핀(41)을 통해 조절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후측지지다리(42)는 안착시트(1)의 후측 지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후측지지판(43)과 제2후측지지판(45)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제1후측지지판(43)은 전체적으로 제1전측지지판(36)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제3시트판(15)과 제4시트판(21)의 하부면을 좌우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되며 상단 좌우 양측면이 각각 별도 제2힌지축(83)을 통해 제3힌지편(20) 및 제4힌지편(26)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1후측지지판(43)은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후측지지판(43)의 하단 좌우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제2후측지지판(45) 과의 상하 길이조절 시 체결지점 역할을 위한 제3체결홈(44)이 형성된다.
제2후측지지판(45)은 제1후측지지판(43) 보다 약간 큰 좌우폭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제1후측지지판(43) 하측에 위치하며 하단부는 지면 상에 안착 되고 상단부에는 제8삽입홀(46)이 형성되어 제1후측지지판(43)의 하단부가 제8삽입홀(46)에 삽입되어진 상태로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제1후측지지판(43)과 제2후측지지판(45)은 상호 삽입체결 구조 상태에서 상호 상하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다.
이때 제8삽입홀(46)의 양측면에는 제3체결홈(44)과 동일한 직경의 제4체결홈(47)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며 제3체결홈(44)은 각 제4체결홈(47) 중 어느 하나와 좌우 동일선상을 이루며 위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별도의 제2높낮이제어핀(48)이 상호 동일선상을 이루는 제3체결홈(44)과 제4체결홈(47)을 동시에 분리 가능하도록 관통함에 따라 제1후측지지판(43)과 제2후측지지판(45) 간 불필요한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차단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후측지지다리(42) 전체는 제2힌지축(83)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고 전측을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전측면이 안착시트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후측지지다리(42) 전체는 제2높낮이제어핀(48)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1후측지지판(43)과 제2후측지지판(45) 간 상하 슬라이딩 구조에 의해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제2높낮이제어핀(48)이 관통 삽입됨에 따라 조절된 길이가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전측지지다리(35)와 후측지지다리(42)까지 구비된 안착시트(1)에는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가 설치된다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는 후술하는 제1손잡이바아(50)와 제2손잡이바아(81)의 지지체 역할 및 각 손잡이바아의 하강 및 상승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 및 휴대 시 변기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자체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주름관 형태이고 하단부가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 상부면 상에 안착 고정되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각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는 자체가 주름관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힘에 의해 상부가 눌려졌을 때 수축되어 상하 길이가 줄어들되 적정수준 이하의 누름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수축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반대로 수축 상태에서 외부힘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졌을 때 원활하게 길이가 인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 상에는 제1손잡이바아(50)와 제2손잡이바아(81)가 안착 설치된다.
제1손잡이바아(50)와 제2손잡이바아(81)는 사용 유아의 팔걸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중 제1손잡이바아(50)는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각형 바아 형태이고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 상에 위치하는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 상에 안착 고정설치된다.
이때 각 제1손잡이바아(50)의 후측단부에는 제5삽입홀(51)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손잡이바아(81)는 전후 길이방향을 각형 바아 형태이고 각 제1손잡이바아(50)의 후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3시트판(15)과 제4시트판(21) 상에 위치한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 상에 안착 고정설치된다.
이때 각 제2손잡이바아(81)의 전측 단부에는 각 제1손잡이바아(50)와의 체결을 위한 손잡이삽입편(52)이 전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각 손잡이삽입편(52)이 각 제1손잡이바아(50)의 제5삽입홀(51)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손잡이바아(50)와 제2손잡이바아(81)는 상측에서 누르는 힘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해졌을 때 아래로 눌려지는데 이 과정에서 각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의 수축에 의해 원활하게 하강 되고 각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의 길이 증가 시 함께 상승 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안착시트(1)의 면적 조절과정에서 제1시트판(3)과 제4시트판(21) 간의 전후 직선 슬라이딩 이동과 제2시트판(9)과 제3시트판(15) 간의 전후 직선 슬라이딩 이동 시 각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49)도 함께 따라 전후 이동되므로 이와 연결된 각 제1손잡이바아(50)와 제2손잡이바아(81)도 상호 전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전체 전후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안착시트(1)에는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이 연결된다.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은 사용 유아가 안착시트(1) 상에 앉았을 때 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중 제1등받이판(53)은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하단부가 제5힌지편(33) 및 제6힌지편(34)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좌우 양측면이 별도의 제3힌지축(84)을 통해 제5힌지편(33) 및 제6힌지편(34)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됨에 따라 제6힌지편(34)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등받이판(53)은 제3힌지축(84)을 중심으로 전측을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전측면이 안착시트(1)의 상부면에 안착 되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제1등받이판(53)의 상단면에는 제6삽입홀(54)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6삽입홀(54)의 전후 내측면에는 제6걸림홈(55)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된다.
그리고 제1등받이판(53)의 내부 중 제6삽입홀(54) 하측에는 세척액 수용공간(56)이 형성되어 내부에 세척액이 채워져 있고 후측에는 세척액 수용공간(56)을 개폐하는 세척액 주입공(57)이 형성되며 전측면 중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의 세척액유입공(27)과 전후 마주하는 지점에는 세척액배출공(58)이 형성된다.
제2등받이판(59)은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제1등받이판(53) 위쪽에 위치되며 하단부에는 제6삽입편(60)이 하측을 향해 돌출 연장 형성되어 제1등받이판(53)의 제6삽입홀(54)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등받이판(59)은 제6삽입편(60)이 제6삽입홀(5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6삽입홀(54)의 하단 전후 양측면에는 후술할 제2다단체결부(62)의 설치를 위한 제6설치홈(61)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에는 제2다단체결부(62)가 설치된다.
제2다단체결부(62)는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 간 슬라이딩 연결구조를 통한 상하 길이조절 과정에서,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 간의 원치 않는 분리 현상을 방지하고 조절된 길이의 고정유지를 위한 것으로, 다시 제2탄성스프링(63)과 제2체결볼(64)로 구성된다.
그 중 제2탄성스프링(63)은 전체적으로 코일스프링 형태이고 제2등받이판(59)의 제6설치홈(61)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제2체결볼(64)은 제2탄성스프링(63)의 탄성력을 이용해 실질적으로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의 제6삽입편(60) 및 제6삽입홀(54) 간 다단 체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금속재질의 볼(ball)형태이고 제2등받이판(59)의 제6설치홈(61) 에 삽입 설치되되, 일부분만이 제6설치홈(61) 내 제2탄성스프링(63) 전측단부 앞쪽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머지 일부분은 제6설치홈(61)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각 제2체결볼(64)은 외부힘에 의해 제6설치홈(61) 안쪽을 향해 눌려지는 과정에서 제2탄성스프링(63)이 압축됨과 동시에 반대쪽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발휘됨에 따라, 외부의 누름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외측을 향해 자동으로 다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제2다단체결부(62)가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체결볼(64) 중 제6설치홈(61)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제1등받이판(53)의 제6걸림홈(55)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즉 제2등받이판(59)에 설치된 제2체결볼(64)은 제1등받이판(53)의 제6삽입홀(54) 내 제6걸림홈(5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각 제2체결볼(64)의 후측은 제2탄성스프링(63)에 의해 지지 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2등받이판(59)이 불필요하게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게 되고,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 간 상하 길이조절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제2등받이판(59)을 상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체결볼(64)이 해당 걸림홈을 타고넘으면서 후측으로 밀려 제2탄성스프링(63)이 압축되고, 제2체결볼(64)이 타 걸림홈과 동일선상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2탄성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해당 걸림홈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 간의 고정 체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제1등받이판(53)에는 세척액공급주름관(65)이 설치된다.
세척액공급주름관(65)은 제1등받이판(53)의 세척액 수용공간(56)과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의 각 세척액유입공(27)을 연결하여 세척액 수용공간(56) 내 세척액이 각 세척액유입공(27)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주름관 형태이고 후측단부는 제1등받이판(53)의 세척액배출공(58)에 연결되며 전측단부는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의 각 세척액유입공(27)에 연결된다.
이러한 세척액공급주름관(65)은 전체적으로 주름관 구조를 가짐에 따라 길이조절과 각도 변화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안착시트(1)에는 배변 수용함(66)이 연결 설치된다.
배변 수용함(66)은 사용 유아가 배설한 배변이 수용되어 임시 저장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변 수용공간(67)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되 전체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수지 직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변 수용함(66)이 상단 입구 테두리에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금속철사 형태의 형태유지유도 철사(68)가 링 형태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변 수용함(66)은 전체적으로 쉽게 접을 수 있음에 따라, 미 사용 시 각 지지다리와 등받이판 및 손잡이바아를 접는 과정에서 안착시트로부터 분리하여 접은 상태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간소비율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혀진 상태에서 형태유지유도 철사(68)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박스 형태를 띠도록 펼쳐질 수 있으므로 장착 과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이 상태에서 배변 수용함(66)에는 펌핑유도함(69)과 공기공급관(71)이 연결된다.
펌핑유도함(69)은 제1등받이판(53)의 세척액 수용공간(56)내 수용되어 있는 세척액을 강제적으로 외부 분사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발생 및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측을 향해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주름관 형태이고 내부는 비어 있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측에는 후술하는 공기공급관(71)과의 연결을 위한 공기토출구(70)가 형성된다.
이러한 펌핑유도함(69)은 상측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누르는 힘을 받을 경우 주름관 구조에 의해 수축됨과 동시에 위족을 향해 탄성력이 발휘됨에 따라 누르는 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원상복귀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공기공급관(71)은 펌핑유도함(69)의 수축과정에서 펌핑유도함(69) 내부에서 압축된 공기가 제1등받이판(53)의 세척액 수용공간(56)으로 공급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직선 튜브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펌핑유도함(69)의 공기토출구(7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등받이판(53)의 세척액 주입공(57)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펌핑유도함(69)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펌핑유도함(69) 내 공기는 압축됨과 동시에 공기공급관(71)을 따라 이동한 후 제1등받이판(53)의 세척액 수용공간(56)으로 주입되어 채워짐에 따라 세척액 수용공간(56) 내에 수용되어 있던 세척액은 주입된 공기 압력에 의해 세척액배출공(58)을 통해 를 통해 세척액공급주름관(65)을 통과하여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을 통과한 뒤 세척액토출공(28)을 통해 배변 수용함(66)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공급관(71)의 중간지점에는 펌핑유도함(69)의 수축 후 팽창 과정에서 내부 압력 변화에 의ㅎ 세척액 수용공간(56) 내 세척액이 공기공급관(71)을 따라 펌핑유도함(69) 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72)가 설치된다.
참고로 역류방지밸브(72)는 공지의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에 대한 역류방지 원리 및 구조에 대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이 상태에서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의 세척액토출공(28)에는 세척액분배토출관(73)이 연결 설치된다.
세척액분배토출관(73)은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의 세척액토출공(28)으로부터 토출된 세척액이 배변 수용함(66)의 전후좌우측면 쪽으로 분배되어 각 면 상에 골고루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안착시트(1)의 배변통과홀(2)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사각링 형태이고 배변통과홀(2) 내측면에 고정 위치된 상태에서 일측부가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의 세척액토출공(28)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세척액분배토출관(73)에는 복수개의 토출노즐(74)이 세척액분배토출관(73)의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됨에 따라, 세척액토출공(28)으로부터 토출된 세척액이 세척액분배토출관(73)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각 토출노즐(74)을 통해 배변 수용함(66) 내부 사방 면을 따라 분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 유아가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 없이 배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음성지시수단(75)이 적용된다.
음성지시수단(75)은 위 언급처럼 사용 유아가 부모가 바로 옆에 위치한 상태에서 직접적으로 유아에게 배변 진행에 따른 각 절차를 직접적으로 육성으로 설명하지 않고 부모가 옆에 위치하지 않고 직접적인 절차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 유아가 배변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76)와 메모리부(77), 제어부(78), 스피커(79), 리모트컨트롤러부(80)로 구성된다.
케이스(76)는 음성지시수단(75)의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고 안착시트(1)의 전측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76) 내부에는 음성지시수단의 핵심요소인 메모리부(77)가 설치되는데, 메모리부(77)는 배변 교육과 관련된 각 절차에 대한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지시음성신호나 칭찬음성신호 등이 녹음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모리부(77)에 저장되는 음성신호는 사전에 부모가 직접 각 진행 절차에 대한 지시사항이나 칭찬 내용 등을 녹음하는 형태가 되거나, 부모 외 타인의 음성, 예를들어 유아용 인기캐릭터의 음성으로 각 배변 절차 지시 내용이 녹음된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77)에는 제어부(78)가 연결된다.
제어부(78)는 메모리부(77)로의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과정 및 메모리부(77)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각 배변 절차 단계에 맞게 선택하여 후술하는 스피커(79)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은 물론, 후술하는 리모트컨트롤러부(8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부(77)의 음성신호 출력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부(78)는 일반적인 마이컴(micom) 구조를 통해 구현되며,
메모리부(77)와 제어부(78)간 연결구조를 비롯한 전체 회로 구성은 공지의 마이컴 연결구조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어부(78)에는 스피커(79)가 연결된다.
스피커(79)는 메모리부(77)에 저장된 각 음성신호 중 제어부(78)에 의해 선택된 해당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여 사용 유아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케이스(76) 전측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참고로 스피커(79)에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 버튼 등의 부가 구조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8)에는 별도의 조작버튼(85)이 연결되어 사용 유아가 음성신호를 통해 조작버튼을 작동함에 따라 전체 배변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78)에는 별도의 리모트컨트롤러부(80)가 연결될 수 있다.
리모트컨트롤러부(80)는 사용 유아가 배변절차를 진행함에 있어 조작버튼(85)의 직접 조작이 서툴 경우, 부모가 근거리에서 원격으로 해당 절차에 맞는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형태로 이루이지고 내부에는 동일한 케이스(76) 내 동일한 구조의 메모리부와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각 진행절차 단계별 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케이스(76) 내 제어부로 송신하면, 케이스(76) 내 제어부(78)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단계에 맞는 음성신호를 메모리부(77)로부터 추출하여 스피커(79)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부모 등이 사용 유아 근거리에서 리모트컨트롤러부(80)를 이용해 배변절차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유아는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를 받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부모의 직접적인 지시 없이 배변 절차를 진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 유아가 배변을 보고자 할 경우, 부모는 리모트컨트롤러부(80)를 작동시키면 전체 미리 세팅된 전체 배변절차 별 각 음성신호 중 첫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음성신호가 스피커(79)를 통해 출력되는데, 예를 들어 스피커(79)를 통해 "000야 이리와서 바지를 벗고 여기 앉아봐~"라는 형태의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이를 통해 사용 유아가 안착시트(1) 상에 정상적으로 앉아 해당 절차의 수행을 완료하면 부모는 리모트컨트롤러부(80)로 신호를 부여하여 스피커를 통해 그에 맞는 칭찬내용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000야 정말 잘했어~ 너 스스로 바지도 잘 벗고 대단하구나" 라는 등의 칭찬내용에 대한 음성신호가 출력되면 사용 유아는 자신이 마치 부모의 도움없이 스스로 해당 절차를 진행하였다는 뿌듯함을 느끼게 되어 배변 교육에 대한 적극성이 촉진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부모가 다시 리모트컨트롤러부(80)를 작동시키면 다음 2단계에에 해당하는 내용의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000야 이번에는 함께 엉덩이에 힘을 줘서 배속에 있는 응가가 나오도록 해보자 하나, 둘, 셋을 세면 같이 엉덩이에 힘을 주자~~ 하나~둘~셋!!!" 등의 형태처럼 해당 단계에 해당하는 배변 절차를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사용 유아가 그에 맞는 행동을 스스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최초 단계 이후 단계들에 대한 음성신호 출력은 리모트컨트롤러부(80)를 이용한 부모의 조작 외에 이전 단계의 배변 절차를 완료한 뒤에 스피커를 통해 다음단계에 대한 조작방법을 유아에게 출력하여, 예를 들어 "000아 잘했어, 그럼 이번에는 옆에 버튼 중에서 별 그림이 그려져 있는 버튼을 눌러보자" 라고 안내하면 해당 유아가 그에 따라 해당 버튼을 누르면 다음 단계에 대한 지시 음성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즉 부모에 의한 리모트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한 음성신호 출력이 아니라 사용 유아 스스로 배변 절차 진행을 시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익숙해지면 유아 스스로 해당 단계의 배변 절차가 완료되면 스스로 진행버튼을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렇게 2단계에 해당하는 배변 절차를 수행하면 역시 위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칭찬 내용의 음성신호가 출력되어 사용 유아를 격려한다.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각 단계별 배변절차를 진행하여 전체 배변이 완료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모가 사용 유아 옆에서 직접 옷을 벗겨주고 각 배변 절차에 대한 내용을 직접 지시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 없이 리모트컨트롤러부(80)나 유아 스스로의 작동을 통해 각 배변 절차가 단계별로 나뉘어 해당 단계에 해당하는 음성신호가 출력되어 그에 따라 배변 절차를 진행하도록 함에 따라, 유아 스스로 마치 본인이 직접 배변을 완료하였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결국 사용 유아는 음성신호 없이도 모든 배변절차를 본인 스스로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모 입장에서도 매번 각 절차를 직접 지시해야하는 번거로움 등이 해소되며 배변교육을 쉽게 진행하고 빨리 완료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배변이 완료되면 스피커를 통해 유아가 펌핑유도함(69)을 누르도록 하거나 부모가 직접 펌핑유도함(69)을 반복하여 누르면 펌핑유도함 내 압축공기가 공기공급관(71)을 통해 제1등받이판(53) 안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제1등받이판 내부의 압력 상승에 의해 제1등받이판(53) 내부의 세척액이 세척액공급주름관(65)을 통해 제3시트판(15)과 제4시트판(21)의 세척액유입공(27)을 통과하여 세척액분배토출관(73)을 통해 배변 수용함(66)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배변 수용함(66) 내 배변이 배변수용함 내부면에 들러붙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고 냄새발생도 억제될 수 있다.
만약 유아가 펌핑유도함(69)을 직접 작동시킬 경우 운동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해당 유아가 최초로 변기를 사용하기 이전에 부모가 안착시트(1)를 구성하는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을 직선 이동시켜 상호 간의 간격을 벌리거나 좁힘에 따라 안착시트(1) 전체 면적이 해당 유아의 신체크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한 상태로 사용한다.
모든 배변 과정이 완료되면 부모는 안착시트(1)부터 배변 수용함(66)을 분리시켜 내부를 세척하여 별도로 보관한다.
이때 배변 수용함(66)이 전체적으로 방수성 직물 형태로 이루어지고 안착시트(1)와의 체결지점이 탄성력을 갖는 형태유지유도 철사(68)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착시트(1)와의 체결 및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리 상태에서 쉽게 접어 보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변기 전체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먼저 안착시트(1)의 제1시트판(3)과 제2시트판(9), 제3시트판(15) 및 제4시트판(21)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안착시트(1)의 면적을 최소화 한 상태서 제1전측지지판(36)과 제2전측지지판(38) 간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한 전측지지다리(35)의 길이 축소와 제1후측지지판(43)과 제2후측지지판(45) 간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한 후측지지다리(42)의 길이를 축소한 상태에서 회동시켜 안착시트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접는다.
그 상태에서 제1등받이판(53)과 제2등받이판(59)을 동시에 전측으로 회동시켜 ㅇ안착시트(1)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접는다.
그리고 각 제1손잡이바아(50)와 제2손잡이바아(81)도 아래로 눌러 하강시킨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변기는 전체 부피가 축소된 상태가 되므로 전체 보관 및 휴대 시 공간소비율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전후 지지다리의 길이가 조절되고 안착시트의 면적이 조절 가능하며 등받이판의 길이 또한 조절 가능하므로 해당 유아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그에 맞게 변기 전체 크기를 그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유아의 성장으로 인해 변기를 수시로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1;안착시트 2;배변통과홀
3;제1시트판 4;제1삽입홀
5;제1걸림홈 6;제1삽입편
7;제1설치홈 8;제1힌지편
9;제2시트판 10;제2삽입편
11;제2설치홈 12;제2삽입홀
13;제2걸림홈 14;제2힌지편
15;제3시트판 16;제3삽입편
17;제3설치홈 18;제3삽입홀
19;제3걸림홈 20;제3힌지편
21;제4시트판 22;제4삽입편
23;제4설치홈 24;제4삽입홀
25;제4걸림홈 26;제4힌지편
27;세척액유입공 28; 세척액토출공
29;제1다단체결부 30;제1탄성스프링
31;제1체결볼 32;착탈유도레일
33;제5힌지편 34;제6힌지편
35;전측지지다리 36;제1전측지지판
37;제1체결홈 38;제2전측지지판
39;제7삽입홀 40;제2체결홈
41;제1높낮이제어핀 42;후측지지다리
43;제1후측지지판 44;제3체결홈
45;제2후측지지판 46;제8삽입홀
47;제4체결홈 48;제2높낮이제어핀
49;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50;제1손잡이바아
51;제5삽입홀 52;손잡이삽입편
53;제1등받이판 54;제6삽입홀
55;제6걸림홈 56;세척액 수용공간
57;세척액 주입공 58;세척액배출공
59;제2등받이판 60;제6삽입편
61;제6설치홈 62;제2다단체결부
63;제2탄성스프링 64;제2체결볼
65;세척액공급주름관 66;배변수용함
67;변 수용공간 68;형태유지유도 철사
69;펌핑유도함 70;공기토출구
71;공기공급관 72;역류방지밸브
73;세척액분배토출관 74;토출노즐
75;음성지시수단 76;케이스
77;메모리부 78;제어부
79;스피커 80;리모트컨트롤러부
81;제2손잡이바아 82;제1힌지축
83;제2힌지축 84;제3힌지축
85;조작버튼

Claims (1)

  1.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제1삽입홀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홀 전후 내벽면에는 제1걸림홈이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후측 일단부에는 제1삽입편이 후측을 향해 돌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삽입편의 단부 좌우양측면에는 제1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전측 하부면에 제1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시트판, 상기 제1시트판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제1시트판과 좌우 대칭 형태로 위치되며 전측 일단부 중 상기 제1삽입홀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2삽입편이 돌출 연장 형성되고 제2삽입편의 단부 전후 양측면에는 제2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편이 상기 제1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제2삽입홀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홀 좌우내벽면에는 제2걸림홈이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중 상기 제1힌지편과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2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2시트판, 상기 제2시트판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제2시트판과 전후 대칭 형태로 위치되며 전측 일단부 중 상기 제2삽입홀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3삽입편이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3삽입편의 단부 좌우 양측면에는 제3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삽입편이 상기 제2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제3삽입홀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삽입홀 전후내벽면에는 제3걸림홈이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중 상기 제2힌지편과 전후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3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3시트판, 상기 제3시트판과 동일하게 중간지점이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제3시트판과 좌우 대칭 형태로 위치되며 후측 일단부 중 상기 제3삽입홀을 향하는 쪽 단부에는 제4삽입편이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4삽입편의 단부 전후 양측면에는 제4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삽입편이 상기 제3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전측 일단부는 개방되어 내부에 제4삽입홀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삽입홀 좌우 내벽면에는 제4걸림홈이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 중 상기 제3힌지편과 좌우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4힌지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4시트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내지 제4시트판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중앙에 배변통과홀이 형성된 사각링 형태이고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의 후측면에는 각각 세척액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시트,
    상기 제1내지 제4시트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레일 구조를 갖는 착탈유도레일,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단부가 상기 제1시트판과 제2시트판의 전측 하부면을 좌우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되며 상단 좌우 양측면이 각각 별도 제1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1힌지편 및 제2힌지편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며 하단 좌우 양측면에는 제1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전측지지다리와,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전측지지다리 하측에 위치하며 하단부가 지면상에 안착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제7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전측지지다리의 하단부가 상기 제7삽입홀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하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홈과 동일한 직경의 제2체결홈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는 제2전측지지다리 및 상기 제1체결홈이 상기 각 제2체결홈 중 어느 하나와 동일선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홈과 제1체결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제1높낮이제어핀을 갖는 형태이며 상기 제1전측지지다리와 제2전측지지다리가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전측지지다리와 제2전측지지다리의 후측면이 상기 안착시트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혀질 수 있는 전측지지다리,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단부가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의 후측 하부면을 좌우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되며 상단 좌우 양측면이 각각 별도 제2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3힌지편 및 제4힌지편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며 하단 좌우 양측면에는 제3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후측지지다리와,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후측지지다리 하측에 위치하며 하단부가 지면상에 안착 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제8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후측지지다리의 하단부가 상기 제8삽입홀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하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제3체결홈과 동일한 직경의 제4체결홈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는 제2후측지지다리 및 상기 제3체결홈이 상기 각 제4체결홈 중 어느 하나와 동일선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4체결홈과 제3체결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제2높낮이제어핀을 갖는 형태이며 상기 제1후측지지다리와 제2후측지지다리가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후측지지다리와 제2후측지지다리의 전측면이 상기 안착시트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혀질 수 있는 후측지지다리,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플라스틱재 주름관 형태이고 하단부가 상기 제1시트판 내지 제4시트판 상부면에 각각 안착 고정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세워져 있고 주름관 구조를 통해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각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중 상기 제1시트판과 제2시트판 상에 위치한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상에 각각 안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해당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의 상하 길이조절 시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후측단부에는 제5삽입홀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5삽입홀의 내부 좌우양측면에는 제5걸림홈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는 제1손잡이바아,
    전후 길이방향을 갖는 직선 각형 바아 형태이고 상기 각 제1손잡이바아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각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중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 상에 위치한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 상에 각각 안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해당 길이가변형 손잡이 지지부재의 상하 길이 조절 시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전측단부에는 손잡이삽입편이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삽입편이 상기 각 제5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각 손잡이삽입편의 전측 좌우 양측면에는 제5설치홈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 제2손잡이바아,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의 후측 상부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 제5힌지편과 제6힌지편,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하단부가 상기 제5힌지편과 제6힌지편 사이에 위치되며 하단 좌우 양측단부가 별도의 제3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5힌지편 및 제6힌지편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하여 전측을 향해 회동하는 과정에서 전측면이 상기 안착시트 상부면 상에 안착되도록 접혀지며 상단부에는 제6삽입홀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삽입홀의 좌우 내측면에는 제6걸림홈이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세척액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후측에는 상기 세척액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물 주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측면 중 상기 제3시트판과 제4시트판의 세척액유입공과 전후 동일선상 지점에는 세척액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등받이판,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등받이판 상에 위치되며 하단부에는 제6삽입편이 하측을 향해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6삽입편이 상기 제6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6삽입편의 하단 좌우 양측면에는 제6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등받이판,
    주름관 형태이고 전후 양측단부가 상기 제1등받이판이 세척액배출공과 상기 제3시트판 및 제4시트판의 세척액유입공에 연결되어 있는 세척액공급주름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변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되 전체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수지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 입구 테두리에는 금속재의 형태유지유도 와이어가 링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시트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형태유지유도 철사가 상기 안착시트의 착탈유도레일 전체구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배변 수용함,
    사방이 막혀 있고 전체적으로 둘레면이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압축공기 형성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아래로 하강 시 수축되고 상측으로 이동 시 인장 가능한 형태이며 일측에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펌핑유도함,
    일단부가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등받이판의 물공급공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펌핑유도함의 상하 수축 및 인장과정에서 상기 펌핑유도함으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가 상기 제1등받이판의 세척액저장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펌핑유도함으로부터 토출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세척액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세척액저장공간 내 세척수가 상기 공기공급관을 따라 상기 펌핑유도함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
    상기 제1시트판의 전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미리 녹음된 각 배변연습 단계별 행동 지시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녹음된 각 지시음성신호를 선별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유도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선별되어 출력되는 지시음성신호를 외부로 최종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 상기 각 지시음성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지시음성신호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리모트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컨트롤부를 통해 각 지시음성신호 중 특정 지시음성신호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면 제어부가 이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 중 이에 해당하는 지시음성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해당 사용 유아가 해당 지시음성신호에 따라 행동하면 그 다음 단계에 해당하는 지시음성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유가가 각 지시음성신호에 따라 스스로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KR1020150126803A 2015-09-08 2015-09-08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KR20170029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03A KR20170029784A (ko) 2015-09-08 2015-09-08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03A KR20170029784A (ko) 2015-09-08 2015-09-08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784A true KR20170029784A (ko) 2017-03-16

Family

ID=5849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03A KR20170029784A (ko) 2015-09-08 2015-09-08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97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03A (ko) 2019-05-08 2020-11-18 박의수 배변자세 유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03A (ko) 2019-05-08 2020-11-18 박의수 배변자세 유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9851B2 (ja)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US5077845A (en) Bed with built-in commode
JP2008523928A6 (ja)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CN101484057B (zh) 儿童大小便训练椅
KR960008578Y1 (ko) 유아용 변기
KR20170029784A (ko)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KR200458794Y1 (ko)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KR200414378Y1 (ko) 좌변기의 덮개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US7454801B1 (en) Commodes with user's upper-body support
KR200462149Y1 (ko) 유아용 변기겸용 샴푸의자
KR101722727B1 (ko)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
KR200491817Y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이동식 배변유도 변기
JPH09273203A (ja) 局部洗滌送水装置付き洋式便器
KR20170091291A (ko) 양변기
KR101016723B1 (ko)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매트
US6000943A (en) Training urinal and commode
KR20110026034A (ko) 변기침대
KR101848816B1 (ko) 남자 소변용 기구를 포함하는 좌변기
CN207794237U (zh) 一种移动马桶结构
KR20130004961U (ko)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CN211326366U (zh) 一种充气式便盆
KR101742184B1 (ko)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20170084433A (ko) 변기용 좌대
KR20090119377A (ko)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