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794Y1 -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794Y1
KR200458794Y1 KR2020100000895U KR20100000895U KR200458794Y1 KR 200458794 Y1 KR200458794 Y1 KR 200458794Y1 KR 2020100000895 U KR2020100000895 U KR 2020100000895U KR 20100000895 U KR20100000895 U KR 20100000895U KR 200458794 Y1 KR200458794 Y1 KR 200458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lock
urinal
spa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656U (ko
Inventor
박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젤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젤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젤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2020100000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9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4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블록을 사출성형하여 더욱 콤팩트하게 경량으로 구비한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바닥에 요입부가 형성된 제1블록과, 상기 벽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상부에는 공간으로 용변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변좌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측면에 절취홈이 형성된 제2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된 변기블록과; 상기 제1블록에 설치되고 소변이 튀지 않도록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소변기와; 상기 제2블록의 내부 공간의 절취홈을 통해서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용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Light chamber pot for both feces and urial}
본 고안은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블록을 사출성형하여 더욱 콤팩트하게 경량으로 구비한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변기는 유아가 사용하는 것으로서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중심에 구멍이 형성된 착좌부와, 이 구멍의 연직하부에 낙하하는 유아의 용변을 수납한 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 형식의 용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남아들의 경우에는 성장하면서 성정체성을 인식하게 되므로 소변을 서서 보려고 하기 때문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 차량의 내부에서 폐음료수병을 사용하여 소변을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개 제1999-0038036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432981호에 대소변 겸용 변기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복잡한 구성의 세척장치들이 설치되어 있고 세라믹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실제로 휴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변기블록을 사출성형하므로 더욱 콤팩트하게 경량으로 구비한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바닥에 요입부가 형성된 제1블록과, 상기 벽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상부에는 공간으로 용변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변좌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측면에 절취홈이 형성된 제2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된 변기블록과; 상기 제1블록에 설치되고 소변이 튀지 않도록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소변기와; 상기 제2블록의 내부 공간의 절취홈을 통해서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용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변기는 상기 제1블록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소변기는 상기 제1블록에 끼워지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소변기는 상기 제1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변기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소변에 의해서 그 색깔이 변하도록 된 스티커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소변기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소변에 의해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멜로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벽체의 상부에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파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변기블록에 물을 채울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별도의 공간에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밸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변기블록을 사출성형하여 구비하므로 구조가 콤팩트하여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소변기가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더욱 위생적으로 변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벽체의 상부에 파지구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변기블록에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채울 수 있으므로 휴대용으로만이 아니라 소정의 위치에 정착시킨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별도의 공간에 드레인 밸브가 설치되므로 이동시 신속하게 물을 배출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소변기가 변기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소변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소변에 의해서 색깔이 변하는 스티커나 소변에 의해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멜로디를 설치하여 유아들이 더욱 즐겁게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소변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블록(10)과, 변기블록(10)의 일측에 형성된 소변기(20)와, 변기블록(10)의 타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도록 형성된 용기(30)와, 상기 소변기(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방뇨여부를 감지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소변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변기블록(10)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벽체(11)와, 상기 벽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블록(12)과, 상기 벽체(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11)는 유아가 후술하는 변좌(13b)에 앉았을 때 등이 닿아도 불쾌하지 않고 동절기에 차겁지 않도록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벽체(11)의 높이는 유아의 키를 고려하여 소변의 줄기가 상단을 넘어가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체(11)의 상부에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파지구(14)가 형성된다.
벽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블록(12)은 유아가 소변을 보았을 때 소변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요입부(12a)가 형성된 소변기(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변기(20)의 내측면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불연속면이 없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13)은 내부에 용기(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13a)의 상부에는 공간(13a)으로 용변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변좌(13b)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13a)의 측면에는 용기(30)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절취홈(13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11), 상기 제1블록(12) 및 상기 제2블록(13)은 사출성형에 의해 콤팩트하게 형성된다.
용기(30)는 상기 제2블록(13) 내부의 공간(13a)에 삽입되며 상기 제2블록(13) 측면의 절취홈(13c)에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수단(60)은 상기 소변기(20)에 부착 설치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푸른 염화코발트로 이루어진 스티커로서 상기 푸른 염화코발트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물이 묻으면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붉은 색으로 색상의 변하므로 아이가 소변을 방뇨하게 되면 푸른 염화코발트 스티커가 소변 중의 물과 반응하여 붉은색을 나타낸다. 상기 푸른 염화코발트 스티커는 다양한 문양이나 캐릭터 등을 사용하여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수단(60)으로 푸른 염화코발트를 사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물과 결합하여 변색하는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변의 방뇨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으로 시각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는 푸른 염화코발트를 사용하고 있지만 청각적으로도 소변의 방뇨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청각적으로 방뇨여부를 나타내는 표시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센서부(62)와, 상기 센서부(62)에 의해 전달된 온도신호를 감지하여 스피커(64)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6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변을 방뇨하면 센서부(62)가 일시적으로 인간의 체온에 가까운 온도를 감지하고 이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어 연산된 후 음향이 발생하도록 스피커(64)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스피커(64)는 음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피커(64)를 통하여 발생되는 음향은 유아들의 취향을 고려하여 유아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음악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블록(10)과, 변기블록(10)의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소변기(30)와, 변기블록(10)의 타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도록 형성된 용기(30)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변기블록(10)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벽체(11)와, 상기 벽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블록(12)과, 상기 벽체(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11)는 유아가 후술하는 변좌(13b)에 앉았을 때 등이 닿아도 불쾌하지 않고 동절기에 차겁지 않도록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벽체(11)의 높이는 유아의 키를 고려하여 소변의 줄기가 상단을 넘어가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블록(12)은 후술하는 소변기(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는 소변기(30)가 끼워져 안착된다.
벽체(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13)은 내부에 용기(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13a)의 상부에는 공간(13a)으로 용변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변좌(13b)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13a)의 측면에는 용기(30)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절취홈(13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11), 상기 제1블록(12) 및 상기 제2블록(13)은 사출성형에 의해 콤팩트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블록(12)에 끼워지는 소변기(30)는 유아가 소변을 보았을 때 소변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요입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변기(40)의 내측면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불연속면이 없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변기(30)는 상기 제1블록(1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30)는 상기 제2블록(13) 내부의 공간(13a)에 삽입되며 상기 제2블록(13) 측면의 절취홈(13c)에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블록(10)과, 변기블록(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소변기(50)와, 변기블록(10)의 타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도록 형성된 용기(30)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변기블록(10)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벽체(11)와, 상기 벽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블록(12)과, 상기 벽체(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11)는 유아가 후술하는 변좌(13b)에 앉았을 때 등이 닿아도 불쾌하지 않고 동절기에 차겁지 않도록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벽체(11)의 높이는 유아의 키를 고려하여 소변의 줄기가 상단을 넘어가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블록(12)은 후술하는 소변기(50)가 설치된다. 상기 소변기(50)는 상기 제1블록(12)과 중간에 끼워지는 스페이스(61)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스에는 후술하는 소변기(50)의 봉(54)이 끼워지는 끼움부재(19)가 형성된다.
벽체(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13)은 내부에 용기(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13a)의 상부에는 공간(13a)으로 용변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변좌(13b)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13a)의 측면에는 용기(30)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절취홈(13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11), 상기 제1블록(12) 및 상기 제2블록(13)은 사출성형에 의해 콤팩트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블록(12)에 끼워지는 소변기(50)는 유아가 소변을 보았을 때 소변이 밖으로 튀지 않도록 요입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변기의 요입부(58)는 중앙에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6)가 형성된다. 상기 소변기(50)의 배면에는 상기 스페이스(61)의 끼움부재(19)에 끼워지는 봉(54)이 형성된다. 상기 소변기(50)의 내측면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불연속면이 없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변기(50)는 상기 제1블록(12)과 스페이스(6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30)는 상기 제2블록(13) 내부의 공간(13a)에 삽입되며 상기 제2블록(13) 측면의 절취홈(13c)에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블록(10)과, 변기블록(10)의 일측에 형성된 소변기(20)와, 변기블록(10)의 타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도록 형성된 용기(30)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의 측단면도이다.
변기블록(10)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벽체(11)와, 상기 벽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블록(12)과, 상기 벽체(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11)는 유아가 후술하는 변좌(13b)에 앉았을 때 등이 닿아도 불쾌하지 않고 동절기에 차겁지 않도록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벽체(11)의 높이는 유아의 키를 고려하여 소변의 줄기가 상단을 넘어가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블록(12)은 유아가 소변을 보았을 때 소변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요입부(12a)가 형성된 소변기(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변기(70)의 내측면은 세척이 용이하도록 불연속면이 없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11)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13)은 내부에 용기(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13a)의 상부에는 공간(13a)으로 용변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변좌(13b)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13a)의 측면에는 용기(30)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절취홈(13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11), 상기 제1블록(12) 및 상기 제2블록(13)은 사출성형에 의해 콤팩트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벽체(11), 상기 제1블록(12) 및 상기 제2블록(13)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콤팩트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벽체(11), 제1블록(12) 및 제2블록(13)을 이루어진 변기블록(10)의 내부에는 물을 채우기 위한 별도의 공간(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정착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변기블록(11) 내부의 공간(16)에 물을 채워 변기가 소정의 장소에 정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변기블록(10) 내부의 공간(16)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드레인 밸브(1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30)는 상기 제2블록(1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13a)에 삽입되며 상기 제2블록(13) 측면의 절취홈(13c)에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변기블록 11 : 벽체
12 : 제1블록 13 : 제2블록
14: 파지구 16 : 공간
17 : 드레인 밸브 20, 30, 50, 70 : 소변기

Claims (8)

  1.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벽체;
    상기 벽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바닥에 요입부가 형성된 제1블록; 및
    상기 벽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상부에는 공간으로 용변이 낙하할 수 있도록 변좌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측면에 절취홈이 형성된 제2블록을 구비하는 변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에 안착하고, 끼움부재를 구비하는 스페이스;
    상기 끼움부재에 끼워지는 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1블록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소변이 튀지 않도록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소변기; 및
    상기 제2블록의 내부 공간의 절취홈을 통해서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용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는 상기 제1블록에 끼워지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는 상기 제1블록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변기.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소변에 의해서 그 색깔이 변하도록 된 스티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변기.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소변에 의해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멜로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변기.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부에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파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변기.
  8. 제1항, 제3항 및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블록에 물을 채울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별도의 공간에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밸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변기.
KR2020100000895U 2010-01-26 2010-01-26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KR200458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95U KR200458794Y1 (ko) 2010-01-26 2010-01-26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895U KR200458794Y1 (ko) 2010-01-26 2010-01-26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56U KR20110007656U (ko) 2011-08-03
KR200458794Y1 true KR200458794Y1 (ko) 2012-03-09

Family

ID=4559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895U KR200458794Y1 (ko) 2010-01-26 2010-01-26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4712A1 (en) * 2012-04-30 2013-1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seat
KR101562184B1 (ko) * 2013-09-12 2015-10-20 박희범 내통 교체형 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1078B (zh) * 2012-11-26 2014-10-22 济南智善物联网服务有限公司 带计量装置的婴幼儿座便器
CN103696479A (zh) * 2013-12-03 2014-04-02 连新兰 一种双用马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59Y1 (ko) * 2001-12-13 2002-03-12 박광희 자동차용 어린이 변기
KR200320381Y1 (ko) * 2003-02-28 2003-07-22 송경옥 남아용 소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59Y1 (ko) * 2001-12-13 2002-03-12 박광희 자동차용 어린이 변기
KR200320381Y1 (ko) * 2003-02-28 2003-07-22 송경옥 남아용 소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4712A1 (en) * 2012-04-30 2013-1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seat
KR101562184B1 (ko) * 2013-09-12 2015-10-20 박희범 내통 교체형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56U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8192B1 (en) Toilet training, bathing and toileting devices for infants, toddlers and pre schoolers
CN101484057B (zh) 儿童大小便训练椅
EP2320779B1 (en) Toilet training device
KR200458794Y1 (ko) 휴대용 대소변 겸용 경량 변기
US20140143944A1 (en) Potty Training Urinal
WO2007104101A1 (en) Toileting and toilet training devices for children
US8776279B2 (en) Toilet training system
CA3061318A1 (en) Training potty
KR101103351B1 (ko) 휴대용 소변기
US6938278B2 (en) Clip-on training urinal
JP5781788B2 (ja) 簡易小尿器携帯支持体及びこれを収納可能な収納函体兼便座
US6000943A (en) Training urinal and commode
JP2914658B1 (ja) 便器用排尿補助具
KR101297757B1 (ko) 남아용 휴대 소변기
CN220521491U (zh) 一种男性站立小便时防止尿液飞溅的马桶
KR101848816B1 (ko) 남자 소변용 기구를 포함하는 좌변기
JP3088124U (ja) 便器補助具及び便器補助具装置
KR20170029784A (ko) 배변연습용 다기능 유아변기
CN206443642U (zh) 带感应装置的语音男童小便斗
CN103924650A (zh) 倾倒式蹲坐两用节水马桶
KR101200118B1 (ko) 남아소변기를 가지는 유아용 변기
JP2003147835A (ja) 介護用トイレ設備
KR20060087307A (ko) 공동주택의 좌변기카바 자동개폐 시스템
CN203017267U (zh) 感应式卧床宝
KR20090119377A (ko) 신생아 및 유아용 변기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