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972A -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972A
KR20170027972A KR1020150124635A KR20150124635A KR20170027972A KR 20170027972 A KR20170027972 A KR 20170027972A KR 1020150124635 A KR1020150124635 A KR 1020150124635A KR 20150124635 A KR20150124635 A KR 20150124635A KR 20170027972 A KR20170027972 A KR 2017002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injection member
medicine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만
박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5012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972A/ko
Publication of KR2017002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조제기에 사용되는 개폐장치는,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사출부재 및 상기 본체의 중심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을 가격할 수 있는 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은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의 크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조제 시스템{SWITCHGEAR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SYSTEM COMPRISING THE SWITCHGEAR}
아래의 실시예들은 약제 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정제 형태의 약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자동으로 분배하여 포장해주는 약제 포장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약제 포장 장치는 각종 정제가 종류별로 수납되는 정제 캐비닛과, 정제 캐비닛의 하측에서 정제 캐비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약국의 약제 자동 조제기의 약품 보관 카세트는 1개의 약품에 대한 전용 카세트이다. 따라서,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품의 종류 또는 제형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약품에 맞추어 별도의 변경된 카세트 드럼을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캅셀류의 약품의 경우, 실온 보관시 여름과 같은 고온의 환경에서는 약품의 캅셀이 녹아 약품들 상호간에 붙을 가능성이 있는바, 카세트에 보관할 수 없고, 별도의 냉장고에 보관하여야 한다.
한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585218호에는 약제 조제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약제 조제 시스템의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 등이 변경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약품을 배출시키는 사출부재의 직경 크기가 변경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및 약제 조제 시스템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약제 조제 시스템의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품이 캅셀류인 경우, 실온에서도 녹지 않도록 상기 카세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한, 약제 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조제기에 사용되는 개폐장치는,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사출부재 및 상기 본체의 중심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을 가격할 수 있는 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은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의 크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사출부재는 복수 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이 상기 사출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의 경사진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15°이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조제 시스템은,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카세트, 상기 약품을 상기 카세트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 및 상기 개폐장치의 사출부재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사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은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상기 약품의 크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사출부재에서 배출되는 상기 약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사출부재의 테두리에 구비된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사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품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약품 조제 시스템은, 상기 카세트에 수용되는 상기 약품의 크기 및 제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약품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조제 시스템은, 상기 카세트의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카세트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카세트 후측에 구비되는 냉매 탱크, 상기 냉매 탱크와 상기 카세트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냉매를 상기 카세트에 분사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에 분사되는 상기 냉매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약제 조제 시스템은, 상기 카세트 내에 구비되고, 상기 카세트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세트들이 상기 개폐장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카세트들에 수용된 각각의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에 상응하여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는,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 등이 변경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약품을 배출시키는 사출부재의 직경 크기가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조제 시스템은, 카세트에 수용되는 약품이 캅셀류인 경우, 실온에서도 녹지 않도록 상기 카세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약제 조제기에 사용되는 개폐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개폐장치를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약제 조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한 약제 조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5는 복수 개의 카세트를 구비한 약제 조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약제 조제기에 사용되는 개폐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개폐장치를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약제 조제 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4는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한 약제 조제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5는 복수 개의 카세트를 구비한 약제 조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조제기에 사용되는 개폐장치(100)는,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의 본체(110), 본체(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본체(110)에 수용된 약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사출부재(120) 및 본체(110)의 중심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본체(110)에 수용된 약품을 가격할 수 있는 가격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출부재(120)의 직경은 본체(110)에 수용된 상기 약품의 크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체(110)는 깔대기 형상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의 상측으로부터 수용되는 약품은 본체(110)의 측벽을 따라 본체(110)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본체(110)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통형, 육면체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체(110)의 측면의 경사진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본체의 내측으로 15°이내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110)에 수용된 약품은 본체(110)의 측면을 따라 적정한 속도로 사출부재(120)로 이동될 수 있다.
가격부재(130)는 본체(110)의 중심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본체(110)에 수용된 약품을 가격함으로써, 약품끼리 엉켜 개폐장치 밖으로 배출되지 아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격부재(130)는 본체의 중심에 직립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축 및 축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에 수용된 약품을 가격할 수 있는 가격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격요소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축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격부재(130)는 약품 배출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110)의 중앙에서, 개폐장치(100)의 작동시에만 회전함으로써, 약품의 분산과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사출부재(120)는 본체(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본체(110)와 연결되고, 본체(110)에 수용된 약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의 크기는 본체(110)에 수용된 상기 약품의 크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장치(100)에 수용되는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에 따라 개폐장치(100)의 사출부재(120)의 직경(121) 크기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개폐장치(100)를 추가적으로 제작 및 교체할 필요 없이, 기존의 개폐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사출부재(120)는 복수 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격벽은 상호 교차되면서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좁아지는, 조리개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격벽은 회오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격벽이 사출부재(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이 조절될 수 있다.
개폐장치(100)는, 사출부재(120)에서 배출되는 약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출부재(120)의 테두리에 구비된 보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개폐장치(100)의 개폐시 약품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사출부재(120)의 가장 끝 가장자리에는 고무 재질과 같은 소재로 처리된 보호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보호부의 소재가 고무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드러운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뿐만 아니라, 사출부재(120)를 통해 배출되는 약품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조제시, 약품의 정확한 수량 제어가 가능하다.
도 2는 개폐장치(100)를 A방향에서 바라본 것으로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을 나타낸다. 도2의 (b)를 기준으로, 도2의 (a)와 같이 사출부재(120)의 복수 개의 격벽이 후진하는 경우,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2의 (c)와 같이 사출부재(120)의 복수 개의 격벽이 도2의 (b)에 비하여 전진하는 경우,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커니즘에 의하여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의 크기는 개폐장치(100)에 수용되는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조제 시스템(10),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카세트(200), 약품을 카세트(200)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100) 및 개폐장치(100)의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카세트(100)는 약품을 수용하고 보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카세트(200)에는 한 종류의 약품이 수용되며, 개폐장치(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장치(100)는 카세트(200)에 수용된 약품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카세트(200)는 표시부를 갖을 수 있으며, 표시부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s), TFT-LCD(Thin Film Transistor --iquid Crystal Disaply)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에는 카세트(200)에 수용된 약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카세트(200)의 온도, 습도 등의 상태 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약품 조제 시스템(10)은, 카세트(200)에 수용되는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약품의 정보에 따라, 제어부는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조제 오더시에 저장부에서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의 정보를 수신받아, 제어부를 통해 개폐장치(100)의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을 배출되어야 하는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에 맞게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카세트(200)에 수용되는 약품이 변경됨에따라 개폐장치(100)를 추가적으로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약제 조제 시스템(10)은 카세트(200)의 주위에 구비되고, 카세트(200)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조절 장치(300)는, 카세트(200) 후측에 구비되어 냉매를 수용할 수 있는 냉매 탱크(310), 냉매 탱크(310)와 카세트(200)를 연결하는 호스(320) 및 냉매를 카세트(200)에 분사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카세트(200)에 분사되는 냉매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조제 시스템(10)은, 카세트(200) 내에 구비되고, 카세트(200)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조제 시스템(10)의 카세트(200) 안에 수용되는 약품들이 실온에서 보관되는 경우, 약품이 정제인 경우에는 온도의 영향을 적게 받지만, 약품이 캅셀제(Capsules)인 경우,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게된다.
약품이 캅셀제인 경우 실온 보관시, 여름철과 같이 고온인 경우 약품이 녹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약품이 서로 엉켜서 사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2개이상의 약품이 서로 붙어서 나오거나 카세트(200)안에서 약품이 파손될 수 있다. 즉, 약제 조제 시스템(10)의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이된다.
따라서, 카세트(200)의 적정 온도 및 습도를 설정해두고, 카세트(200) 내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카세트(200)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체크할 수 있다.
카세트(200) 내의 온도 또는 습도가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는 경우, 냉매 탱크(310)에 수용된 냉매제를 카세트(200) 안에 최소량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냉매 탱크(310)에 수용된 냉매는 모터에 의한 동력에 의하여 분사될 수 있으며, 냉매 탱크(310)와 카세트(200)를 연결시킨 호스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냉매제로는 예를 들어 액화질소 또는 액화산소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약품의 변형을 주지 않는, 공기를 구성하는 질소 또는 산소가 활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액화질소 또는 액화산소가 기화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하강 시키는 원리를 활용하여, 카세트(200) 안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다만, 냉매제로서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에 무해하고 약품의 변형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다른 냉매제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카세트(200) 내의 온도 제어를 통하여, 약품이 캅셀제인 경우, 약품이 서로 엉켜서 사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이상의 약품이 서로 붙어서 나오거나 카세트(200)안에서 약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약제 조제 시스템(10)의 카세트(200)는 한 개 일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카세트(200)들이 개폐장치(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도 있다. 이때, 제어부는 복수 개의 카세트(200)들에 수용된 각각의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에 상응하여 사출부재(120)의 직경(1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원할한 약품의 배출을 위하여, 약품의 크기 및 무게를 감안하여, 약품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수록 위층의 카세트(200)에 수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약품의 층별 분리 및 배출 시차를 이용하여, 약품이 떨어지는 깔대기 형상의 본체(110)를 통하여 복수 개의 약품을 원할히 배출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카세트(200) 중 일부 카세트(200)에만 캅셀제의 약품이 수용된 경우, 캅셀제 약품이 수용된 카세트(2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센서를 통해 캅셀제 약품이 수용된 카세트(200)의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 온도를 벗어난 경우, 해당 카세트(200)에 온도 조절 장치(300)를 이용하여 1초간 냉매를 분사할 수 있다. 그 후, 설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간 경우, 냉매의 분사를 멈추고, 분사 후에도 카세트(200)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를 상회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1초간 1회 냉매를 분사시켜 카세트(2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카세트(200) 전체의 온도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상기와 같은 과정을 복수 개의 카세트(200) 전체에 대하여 실행함으로써, 복수 개의 카세트(200) 전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약제 조제 시스템
100 : 개폐장치
110 : 본체
120 : 사출부재
121 : 사출부재의 직경
130 : 가격부재
200 : 카세트
300 : 온도 조절 장치
310 : 냉매 탱크
320 : 호스
A : 화살표

Claims (11)

  1. 약제 조제기에 사용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사출부재; 및
    상기 본체의 중심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을 가격할 수 있는 가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은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의 크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는,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재는 복수 개의 격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격벽이 상기 사출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이 조절될 수 있는,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의 경사진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15°이내일 수 있는, 개폐장치.
  4.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카세트;
    상기 약품을 상기 카세트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 및
    상기 개폐장치의 사출부재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약품을 수용할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약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사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은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상기 약품의 크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사출부재에서 배출되는 상기 약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사출부재의 테두리에 구비된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사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품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에 수용되는 상기 약품의 크기 및 제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약품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주위에 구비되고, 상기 카세트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상기 카세트 후측에 구비되는 냉매 탱크;
    상기 냉매 탱크와 상기 카세트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냉매를 상기 카세트에 분사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에 분사되는 상기 냉매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내에 구비되고, 상기 카세트 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카세트들이 상기 개폐장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카세트들에 수용된 각각의 약품의 크기 또는 제형에 상응하여 상기 사출부재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약제 조제 시스템.
KR1020150124635A 2015-09-03 2015-09-03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조제 시스템 KR20170027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35A KR20170027972A (ko) 2015-09-03 2015-09-03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35A KR20170027972A (ko) 2015-09-03 2015-09-03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972A true KR20170027972A (ko) 2017-03-13

Family

ID=5841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635A KR20170027972A (ko) 2015-09-03 2015-09-03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9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9079B1 (en) Apparatus for orienting and positioning an elongate object for dispensing
KR100979611B1 (ko) 약제 포장 장치
JP2016515911A (ja) 薬剤分配容器
JP2012016570A5 (ko)
KR102142749B1 (ko) 약제 카세트 및 약제 포장 장치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201202480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nd delivering nutraceutical, pharmaceutical, and polyceutical compositions
KR20170027972A (ko)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조제 시스템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WO2021090314A1 (en) Dispenser for medications, food additives, and supplements
JP2016067840A5 (ko)
WO2020254662A3 (en) Delivery device for drug pellets
KR20160065114A (ko) 약제 충전 장치
KR20170060865A (ko) 약품 자동 포장장치
KR102543811B1 (ko) 약제 자동배출장치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JPH05285200A (ja) 散薬供給装置
JP2000247301A (ja) 薬剤分割装置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2369505B1 (ko) 약제조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14873B1 (ko) 약제포장장치
KR200337767Y1 (ko) 자동 약 포장기의 약통 수납장치
CN105173206A (zh) 包药机
KR20230113512A (ko)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