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869A - 수간 주입제 - Google Patents

수간 주입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869A
KR20170027869A KR1020177005620A KR20177005620A KR20170027869A KR 20170027869 A KR20170027869 A KR 20170027869A KR 1020177005620 A KR1020177005620 A KR 1020177005620A KR 20177005620 A KR20177005620 A KR 20177005620A KR 20170027869 A KR20170027869 A KR 20170027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tree
agent
inje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마에카와
야스히로 오모리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8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4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s, e.g. biuret; Thio analogues thereof; Urea-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17Enzyme or microbe electrode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수목 중의 병원균 및/또는 해충을, 단시간의 작업으로 저약량으로도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는 수간 주입제, 및 수간 주입제를 사용한 수목 병해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어느 양태에서는, 아세타미프리드 등의 살충 성분의 수용액에, 티오파네이트메틸 등의 난용성 살균 성분을 첨가하여, 그 난용성 살균 성분을 체적 기준 50 % 입경 4 ㎛ 이하의 크기로 현탁하거나, 또는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을 첨가하여 수간 주입제를 얻는다.

Description

수간 주입제{TREE TRUNK INJECTION}
본 발명은 수간 주입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수목 중의 병원균 및/또는 병해충을 단시간의 처리로 저약량으로도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는 수간 주입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5월 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107600호, 및 2012년 5월 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10760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일본에서는, 졸참나무, 모밀잣밤나무, 떡갈나무 등의 참나무과 수목에 있어서 대량 고사 (졸참나무 시들음 혹은 참나무과 수목 청고병이라고도 칭한다) 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졸참나무 시들음은 투구벌레 긴나무좀 (Platypus quercivorus) 에 의해 발생된다. 그 구체적 원인은 다음과 같다. 긴나무좀이 졸참나무·떡갈나무류의 줄기에 천공하여 산란한다. 긴나무좀의 몸에는 균낭이라고 불리는 기관이 있어, 이것에 부착되어 있던 병원 사상균인 졸참나무균 (Raffaelea quercivora) 이 수목 내부에 반입된다. 졸참나무균은 공도 (孔道) 를 따라 이동하여 수목의 세포에 감염된다. 졸참나무균이 감염된 세포가 죽으면 도관이 막혀 통수가 저해된다. 그 결과, 수목이 쇠약해지고, 잎이 변색되며, 이윽고 고사한다. 부화한 긴나무좀의 유충은 졸참나무균 등의 사상균을 먹이로 하여 공도 내에서 성장한다. 공도 내에서 성장, 우화한 차세대의 성충은 수목으로부터 튀어나와 졸참나무균을 끄집어낸다.
상기 긴나무좀과 동일한 양식으로 병원성 사상균과 공생하는 곤충은 양균성 곤충이라고 불리고, 특히 긴나무좀을 포함하는 양균성 투구벌레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곤충에 의해 매개되는 졸참나무균과 같은 사상균에 의한 수목 병해는 그 밖에도 알려져 있다. 병원균의 예를 들자면, 라펠리아 (Rafaellea), 암브로시엘라 (Ambrosiella), 드리아도미케스 (Dryadomyces), 오피오스토마 (Ophiostoma) 등의 각 속에 속하는 병원균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라펠리아속에 근연 (近緣) 이라고 여겨지는 오피오스토마속균에 의한 느릅나무류 입고병 (Dutch elm disease) 은 중대한 수목 병해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고, 그 밖에 라펠리아속균에 의한 녹나무과 청고병 (Laurel wilt), 오피오스토마속균에 의한 소나무류 청변병, Ceratocystis fagacearum 균에 의한 떡갈나무 청고병 (Oak wilt) 등이 있다.
상기 「졸참나무 시들음」 등에 대한 기존의 대책으로는, (1) 높이 2 ∼ 4 m의 높이에 비닐 시트로 수목을 피복하여 벌레의 침입을 막는 방법, (2) 수목에 살충제를 도포하여 살충하는 방법, (3) NCS (카밤제) 의 훈증 또는 주입에 의해 살충하는 방법, (4) 살균제, 예를 들어, 베노밀 등을 수간 주입하여 살균하는 방법 등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4) 의 살균법에 사용되는 수간 주입제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트리포린, 비터타놀, 펜부코나졸, 마이크로부타닐,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등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를 함유하는 졸참나무균 증식 방지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 졸참나무균 증식 방지제는 베노밀을 함유하는 종래의 수간 주입제보다 졸참나무균에 대한 번식·증식의 저해 효과가 컸던 것이 특허문헌 1 에는 기재되어 있다.
또 비특허문헌 1 은 녹나무과 청고병 병원균에 대해,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인 프로피코나졸이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84930호
Laurel wilt : a destructive new disease of redbay, avocado and related plants in the southeastern U.S. : Colloquium on Plant Pests of Regulatory Significance, University of Florida, January 23, 2008.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수목에 천공하여 병원균을 반입하는 해충 및 수목 중의 병원균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수간 주입제, 및 수간 주입제를 사용한 병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베노밀 등의 난용성 농약 활성 성분 그 자체는 졸참나무균 등의 병원균에 대해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런데 난용성 농약 활성 성분을 현탁 상태로 함유하는 수간 주입제로는, 주입에 많은 시간을 요하고, 수고스러운 데다가, 결과적으로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수목에 단시간에 다량으로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수목 중의 병원균을 남김없이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는 수간 주입제, 및 수간 주입제를 사용한 병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 과제는, 수목 중의 병원균을 저약량으로도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는 수간 주입제, 및 수간 주입제를 사용한 졸참나무 시들음 등의 병해의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살충 성분 및 살균 성분을 함유하는 수간 주입제에 의해, 졸참나무 시들음 등의 병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명백히 하였다. 또, 적어도 1 개의 농약 활성 성분을 특정한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간 주입제는, 수목에 단시간에 다량으로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수목 중의 병원균을 남김없이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 트리플루미졸 또는 메트코나졸을 함유하는 액제를 수간 주입제로서 사용하면, 트리포린 등을 함유하는 졸참나무균 증식 방지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졸참나무균을 저약량으로 방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들의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한 것에 의해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1) 적어도 1 개의 살충 성분, 및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을 함유하는 수간 주입제.
(2) 살충 활성 성분이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 및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1)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3) 살충 성분이 아세타미프리드인 (2)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4) 살균 성분이 벤즈이미다졸계 살균 활성 성분 및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5) 살균 성분이 티오파네이트메틸,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4)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6) 살균 성분 또는/및 살충 성분을 체적 기준 50 % 입경 4 ㎛ 이하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7) 적어도 1 개의 농약 활성 성분을 체적 기준 50 % 입경 4 ㎛ 이하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간 주입제.
(8) 농약 활성 성분은 25 ℃ 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 ppm 이하인 (7)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9) 농약 활성 성분이 벤즈이미다졸계 살균 성분인 (7) 또는 (8)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10) 농약 활성 성분이 티오파네이트메틸인 (9)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11)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을 함유하는 수간 주입제.
(12) 살충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11)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13) 살충 성분이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 및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12)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14) 살충 성분이 아세타미프리드인 (12)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15) 양균성 곤충에 의해 매개되는 균류에 의한 병해를 방제하기 위한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16) 졸참나무 시들음 방지용인 (15) 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
(17)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간 주입제를 참나무과 수목의 생립목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졸참나무 시들음 방지 방법.
본 발명의 수간 주입제는, 살충 성분 및 살균 성분을 함께 함유함으로써, 수목에 천공하여 병원균을 반입하는 해충 및 수목 중의 병원균의 저약량에 의한 방제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또, 농약 활성 성분이 특정 크기로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수목에 단시간에 다량으로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수목 중의 해충 및/또는 병원균을 남김없이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살균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졸참나무균 등의 병원균에 대한 방제 효과가 종래의 것에 비해 우수하여 수목 중의 병원균을 저약량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간 주입에 의해 졸참나무 시들음 등의 병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삼림 또는 수목의 관리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적어도 1 개의 살충 성분 및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을 함유하는 수간 주입제이다. 이로써, 수목에 천공하여 병원균을 반입하는 해충 및 수목 중의 병원균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살균 성분과 살충 성분의 질량비 (살균 성분/살충 성분) 는 바람직하게는 1/10 ∼ 50/1,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10/1 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살충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 또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이 바람직하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으로는, 이미다클로프리드, 아세타미프리드, 티아메톡삼,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프란 등을 들 수 있다.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으로는, 퍼메트린, 사이퍼메트린, 델타메트린, 펜발레레이트, 펜프로파트린, 피레트린, 알레트린, 테트라메트린, 레스메트린, 디메트린, 프로파트린, 페노트린, 프로트린, 플루발리네이트, 사이플루트린, 사이할로트린, 플루사이트리네이트, 에토펜프록스, 사이클로프로트린, 트랄로메트린, 실라플루오펜, 브로펜프록스, 아크리나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살충 성분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이 바람직하고, 아세타미프리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살충 성분으로서 시판되는 살충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닛폰 소다사 제조의 마츠그린 (상표) 또는 모스피란 (상표)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살균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벤즈이미다졸계 살균 성분 또는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가 바람직하다.
벤즈이미다졸계 살균 성분으로는, 베노밀, 카르벤다짐, 티오파네이트, 티오파네이트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로는, 트리플루미졸,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메트코나졸, 트리포린, 비터타놀, 펜부코나졸, 마이크로부타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살균 성분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티오파네이트메틸 또는 트리플루미졸이 바람직하다. 살균 성분으로서 시판 살균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닛폰 소다사 제조의 탑 진 M (상표) 또는 트리푸민 (상표) 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적어도 1 개의 농약 활성 성분을 체적 기준 50 % 입경 4 ㎛ 이하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체적 기준 50 % 입경 0.1 ∼ 4 ㎛ 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간 주입제이다. 또한, 농약 활성 성분의 체적 기준 50 % 입경은, 액체 중에 현탁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광산란식 입경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체적 기준 누적 입경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경, 이른바 메디안 직경이다.
상기 크기로 함유하는 농약 활성 성분은, 액체에 대해 난용성 또는 불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물에 대해 난용성 또는 불용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에 대해 난용성 또는 불용성의 농약 활성 성분은, 25 ℃ 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난용성 또는 불용성의 농약 활성 성분과 가용성 또는 용해 용이성의 농약 활성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들 중 어느 것 또는 양방의 농약 활성 성분이 상기의 크기로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농약 활성 성분은, 농약에 사용되고 있는 활성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살균 성분 또는 살충 성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살균 성분과 살충 성분의 조합이다. 살균 성분과 살충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상기와 같이 방제 효력이 특히 높고, 양 성분의 바람직한 질량비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양태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살균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벤즈이미다졸계 살균 성분이 바람직하다. 벤즈이미다졸계 살균 성분으로는, 상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티오파네이트메틸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살균 성분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살충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이 바람직하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으로는, 상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아세타미프리드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살충 성분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간 주입제이다.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은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에 포함되는 공지된 살균성 물질인데,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중에서 특히 졸참나무균 등에 대한 방제 효력이 높은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명백해진 것이다.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 질량 % 이다. 본 발명의 수간 주입제는, 살균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액체로 희석하여 상기 농도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간 주입제는, 추가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농약 활성 성분으로는, 살충 성분, 살진드기 성분, 유해 생물 기피 성분,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 이외의 살균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살충 성분은 병해균을 매개하는 벌레 (긴나무좀 등) 의 방제에 의해 효율적인 병해 방지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 및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충 성분을,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과 병용하면, 살균 효과와 살충 효과의 공력 작용에 의해,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저약량으로 유효하게 병해를 방지할 수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 및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충 성분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 ∼ 10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0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본 발명의 수간 주입제를 수목의 생립목에 시용하여 수목의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이다.
상기 병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양균성 곤충에 의해 매개되는 균류에 의한 병해에 대해 효과적이다.
양균성 곤충에 의해 매개되는 균류에 의한 병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라펠리아 (Rafaellea), 암브로시엘라 (Ambrosiella), 드리아도미케스 (Dryadomyces), 오피오스토마 (Ophiostoma), 세라토시스티스 (Ceratocystis) 의 각 속에 속하는 병원균에 의한 병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대상 병해 중에서, 라펠리아속 또는 오피오스토마속균에 의한 병해가 본 발명의 방제 대상으로서 바람직하고, 특히 졸참나무 시들음, 녹나무과 청고병 (Laurel wilt), 및 느릅나무류 입고병 (Dutch elm disease) 이 바람직하며, 참나무과 수목을 대상으로 하는 졸참나무 시들음 방제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간 주입제는 액제이다. 액제는, 상기 살균 및/또는 살충 성분의 농후액이어도 되고, 상기 살균 및/또는 살충 성분의 희박액이어도 된다. 또, 당해 액제는, 유제, 플로어블, 마이크로 에멀션, 에멀션 오일 인 워터, 서스포 에멸선, 서스펜션 등의 형태이어도 된다. 그 액제로 조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 성분을 유화, 현탁 또는 용해시킬 수 있는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균 성분 및/또는 상기 농약 활성 성분을 유화, 현탁 또는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액체로는, 물, 친수성 액체, 친유성 액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액체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 원자수 1 ∼ 4 의 저급 알코올 ;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및 그 유도체 ;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글리콜에스테르류 및 그 유도체 ;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및 그 유도체 ; 시클로헥사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의 술폭사이드류 ; 글리세린, 글리세린에스테르류, 글리세린에테르류, N-메틸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류 ;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고리형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친유성 액체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벤질알코올 등의 방향족 화합물 ;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 n-데칸 등의 고비점 파라핀류 ; 고비점 케톤류, 고비점 에스테르류, 고비점 글리콜류 ; 채종유, 대두유, 올리브유, 어유, 간유, 라놀린과 같은 동식물성 유지 ; 올레산, 라놀린산, 팔미트산 등의 지방산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간 주입제는, 상기 농약 활성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안정제, 분산제, 및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계면활성제로는, 논이온계 계면활성제, 아니온계 계면활성제, 및 카티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고급 지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아민류, 제 4 급 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산, 알칼리, 및 그들의 염 등의 pH 조정제, BHT, DBHQ, 토코페롤 등의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제가 수간 주입제에 함유되어 있으면 제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화이트 카본,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잔탄검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가 수간 주입제에 함유되어 있으면 제제의 분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첨가제로는, 소포제나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간 주입제를 수목에 주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주입할 수 있다. 먼저, 수간 주입제가 수용된 노즐이 부착된 용기를 준비한다. 용기는 눌러 찌부러뜨림으로써 노즐로부터 공기를 압출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용기로서, 예를 들어, 수지제 용기를 들 수 있다. 노즐은 수간에 뚫은 구멍에 끼워 넣어 수목 내부에 액제를 보낼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수간 주입제의 운반의 편의를 위해서, 용기는 노즐이 부착된 뚜껑과, 노즐이 없는 뚜껑을 교환할 수 있는 구조로 하거나, 노즐 입구에 캡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참나무과 수목 등의 수목 생립목의 수간에 구멍 (주입 구멍) 을 뚫는다. 주입 구멍은 노즐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직경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경 7 ∼ 8 ㎜ 정도이다. 주입 구멍은 하방으로 45 도 기울여, 주관 도관부까지 (깊이 4 ㎝ 정도) 뚫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 구멍은 수간 하부 (지제 (地際)) 의 주위에 복수 부분 분산시켜 뚫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 구멍의 위치가 지나치게 높으면 주입 구멍보다 아래 부위에 긴나무좀이 천공하여 졸참나무균을 매개하는 경우가 있다. 주입 구멍은 드릴 등으로 뚫어도 되고, 긴나무좀이 수목에 천공한 구멍을 이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의 노즐을 주입 구멍에 끼워 넣고, 상기 수간 주입제를 수목에 주입한다. 수간 주입제는 대기압에 의해 수목에 주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주입 개시시에 용기를 눌러 찌부러뜨려 노즐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방을 향하여 끼워 넣은 용기의 바닥에 아일릿 구멍을 뚫어, 용기 내를 대기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간 주입제는, 수간 주입하는 것 이외에, 수간에 산포 또는 도포함으로써, 그루터기에 산포하거나 또는 토양관주함으로써 수목에 시용할 수 있다. 이들 시용 방법과 수간 주입법을 병용함으로써 병해 방제의 효과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주입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간의 흉고직경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약 활성 성분의 농도가 0.035 % 인 수간 주입제에 있어서는, 흉고직경 20 ㎝ 미만에 대해 600 ∼ 800 ㎖, 흉고직경 20 ㎝ 이상 30 ㎝ 미만에 대해 1000 ∼ 1200 ㎖, 흉고직경 30 ㎝ 이상 40 ㎝ 미만에 대해 1400 ∼ 2000 ㎖, 흉고직경 40 ㎝ 이상 50 ㎝ 미만에 대해 2200 ∼ 3200 ㎖, 흉고직경 50 ㎝ 이상 60 ㎝ 미만에 대해 3400 ∼ 5200 ㎖, 흉고직경 60 ㎝ 이상은 직경 4 ㎝ 늘어날 때마다 200 ㎖ 추가하거나 하는 기준으로 양을 설정할 수 있다.
주입 완료 후, 코르크, 고무 마개, 유합제 등으로 주입 구멍을 막아, 빗물이나 잡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간 주입제는, 통상, 춘계부터 하계까지의 시기, 바람직하게는 개엽기 이후부터 긴나무좀의 발생 (신성충의 우화 개시) 전까지의 시기에, 수목에 시용할 수 있다. 또한, 신성충의 우화 개시 시기는 지역에 따라 상이한데, 일본에서는 대체로 5 월 ∼ 6 월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간 주입제를 적용할 수 있는 수목으로는, 예를 들어, 너도밤나무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물참나무, 졸참나무, 개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가시나무 등의 졸참나무속의 수목, 밤 등의 밤속의 수목, 구실잣밤나무, 모밀잣밤나무 등의 모밀잣밤나무속의 수목, 돌참나무 등의 돌참나무속의 수목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용기에 물 97.58 부를 넣고, 이어서 아세타미프리드 원체 0.2 부를 투입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 % 수용액 1 부, 시트르산일수화물 0.15 부, 인산수소이나트륨 12 수화물 0.47 부, 티오파네이트메틸 40 % 현탁액 0.5 부, 방부제 (케톤 CG ; 롬앤드하스사 제조) 0.075 부, 화이트 카본 (카프렉스 FPS-500 ; 시오노기 제약사 제조) 0.02 부, 및 소포제 (SILFOAM SE39 ; 아사히카세이 왁카실리콘사 제조) 0.003 부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수간 주입제-1 을 얻었다. 수간 주입제-1 은 티오파네이트메틸이 체적 기준 50 % 입경 1.543 ㎛ 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현탁액이었다.
[실시예 1-2]
물의 양을 97.48 부로, 아세타미프리드 원체의 양을 0.3 부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법으로 수간 주입제-2 를 얻었다. 수간 주입제-2 는, 티오파네이트메틸이 체적 기준 50 % 입경 1.543 ㎛ 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현탁액이었다.
[실시예 1-3]
용기에 물 87.38 부를 넣고, 이어서 아세타미프리드 원체 0.4 부, 및 γ-부티로락톤 10 부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 % 수용액 1 부, 시트르산일수화물 0.15 부, 인산수소이나트륨 12 수화물 0.47 부, 티오파네이트메틸 40 % 현탁액 0.5 부, 방부제 (케톤 CG ; 롬앤드하스사 제조) 0.075 부, 화이트 카본 (카프렉스 FPS-500 ; 시오노기 제약사 제조) 0.02 부, 및 소포제 (SILFOAM SE39 ; 아사히카세이 왁카실리콘사 제조) 0.003 부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수간 주입제-3 을 얻었다. 수간 주입제-3 은 티오파네이트메틸이 체적 기준 50 % 입경 1.543 ㎛ 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현탁액이었다.
[실시예 1-4]
마츠그린 액제 2 (닛폰 소다사 제조, 아세타미프리드를 2 % 함유한다) 를 물로 50 배 희석하였다. 이 희석액에, 티오파네이트메틸 농도가 0.2 % 가 되도록 체적 기준 50 % 입경 1.543 ㎛ 의 티오파네이트메틸 현탁액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수간 주입제-4 를 얻었다. 수간 주입제-4 는, 티오파네이트메틸이 체적 기준 50 % 입경 1.543 ㎛ 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현탁액이었다.
[비교예 1-1]
시판되는 50 % 베노밀 수화제 (스미토모 화학 공업사 제조, 벤레이트 수화제) 를 물로 500 배 희석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간 주입제-5 를 얻었다. 수간 주입제-5 는, 베노밀이 체적 기준 50 % 입경 7.093 ㎛ 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현탁액이었다.
[비교예 1-2]
체적 기준 50 % 입경 1.543 ㎛ 의 티오파네이트메틸 현탁액 대신에, 티오파네이트메틸 70 % 함유 수화성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수법으로 수간 주입제-6 을 얻었다. 수간 주입제-6 은, 티오파네이트메틸이 체적 기준 50 % 입경 5.178 ㎛ 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현탁액이었다.
(수간 주입 시험)
[시험예 1]
3 개의 약제 보틀 각각에 수간 주입제 200 ㎖ 를 넣고 노즐이 부착된 뚜껑으로 보틀을 닫았다. 졸참나무 생립목의 수간에 드릴로 직경 7 ㎜, 깊이 3 ㎝ 의 주입 구멍을 3 개 뚫었다. 약제 보틀 각 1 개를 주입 구멍에 끼워 넣고, 자연압에 의해 맞추어 600 ㎖ 의 수간 주입제의 주입을 시도하였다.
주입 개시시부터 6 시간 경과시 및 24 시간 경과시에 있어서 주입이 완료된 보틀 개수를 기록하였다. 이 시험을 수간 주입제-1 ∼ 수간 주입제-6 에 대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1 개의 농약 활성 성분이 체적 기준 50 % 입경 4 ㎛ 이하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간 주입제 (실시예) 를 사용한 경우, 24 시간 이내에 600 ㎖ 이상의 주입이 가능하고, 수목 중의 병원균의 남김없는 방제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농약 활성 성분이 체적 기준 50 % 입경 4 ㎛ 초과의 크기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간 주입제 (비교예) 를 사용한 경우, 24시간 경과시에 있어서도 약간 밖에 주입하지 못하여, 활성 성분이 도달되어 있지 않은 부위의 병원균 방제에 불안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평판 항균 시험)
[실시예 2-1]
트리플루미졸을 100 ppm, 10 ppm, 1 p㎜, 0.1 ppm, 및 0.01 ppm 의 각 농도가 되도록 PDA (potato dextrose agar) 배지용 용액에 용해시켜 수간 주입제를 얻었다. 그 수간 주입제를 내경 9 ㎝ 의 샬레에 따라 고화시켜, 직경 9 ㎝ 의 평판 배지를 제작하였다. 이 배지에 졸참나무균 (Raffaelea quercivora) 의 균총디스크를 치상 (置床) 하였다. 이것을 25 ℃ 에서 3 일 ∼ 4 일간 가만히 정지시켜 배양하였다. 그 후, 균총 직경을 측정하여 균사 신장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균사 신장 저해율 (%) 은 계산식 : ((무처리구의 균총 직경 - 트리플루미졸 함유 배지의 균총 직경)/무처리구의 균총 직경) × 100 으로 산출하였다.
[실시예 2-2]
트리플루미졸 대신에 메트코나졸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사 신장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1]
트리플루미졸 대신에 테트라나졸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사 신장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중의 「-」 는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2-2]
트리플루미졸 대신에 헥사코나졸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사 신장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중의 「-」 는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2-3]
트리플루미졸 대신에 마이크로부타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사 신장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중의 「-」 는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2-4]
트리플루미졸 대신에 트리포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사 신장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중의 「-」 는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수간 주입제는 0.01 ppm 의 저농도에 있어서도 졸참나무균에 대한 항균 효과 (균사 신장 저해율 25 % 이상) 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테트라코나졸, 헥사코나졸, 마이크로부타닐, 트리포린 등을 함유하는 종래의 수간 주입제는 약 1 ppm 미만의 저농도에서는 항균 효과를 전혀 나타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이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은 해충 방제 효과가 우수하다. 트리플루미졸 및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살균 성분과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 성분이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병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간 주입제는, 병원균을 매개하는 해충과 병원균 자체의 효과적 방제를 기대할 수 있어, 긴나무좀과 졸참나무균에 의해 발생되는 졸참나무 시들음의 방지에 유용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수간 주입제는, 살충 성분 및 살균 성분을 함께 함유함으로써, 수목에 천공하여 병원균을 반입하는 해충 및 수목 중의 병원균의 저약량에 의한 방제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또, 농약 활성 성분이 특정한 크기로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수목에 단시간에 다량으로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수목 중의 해충 및/또는 병원균을 남김없이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살균 성분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졸참나무균 등의 병원균에 대한 방제 효과가 종래의 것에 비해 우수하여 수목 중의 병원균을 저약량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간 주입에 의해 졸참나무 시들음 등의 병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삼림 또는 수목의 관리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은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2)

  1. 살충 성분 아세타미프리드와, 살균 성분 티오파네이트메틸을 함유하는 수간 주입제에 있어서, 상기 살균 성분, 상기 살충 성분, 또는 상기 살균 성분 및 살충 성분의 체적 기준 50 % 입경이 0.1 ~ 4 ㎛ 의 크기이고, 상기 살균 성분과 상기 살충 성분의 질량비인 살균 성분/살충 성분이 1/1 ~ 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간 주입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비가 1/1 ~ 5/1 인 수간 주입제.
KR1020177005620A 2012-05-09 2013-04-30 수간 주입제 KR201700278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7600 2012-05-09
JP2012107601 2012-05-09
JPJP-P-2012-107601 2012-05-09
JP2012107600 2012-05-09
PCT/JP2013/062556 WO2013168630A1 (ja) 2012-05-09 2013-04-30 樹幹注入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013A Division KR20150013595A (ko) 2012-05-09 2013-04-30 수간 주입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869A true KR20170027869A (ko) 2017-03-10

Family

ID=495506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620A KR20170027869A (ko) 2012-05-09 2013-04-30 수간 주입제
KR1020147033013A KR20150013595A (ko) 2012-05-09 2013-04-30 수간 주입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013A KR20150013595A (ko) 2012-05-09 2013-04-30 수간 주입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33509A1 (ko)
EP (1) EP2850944A4 (ko)
JP (2) JPWO2013168630A1 (ko)
KR (2) KR20170027869A (ko)
CN (1) CN104334023B (ko)
CA (1) CA2872833A1 (ko)
WO (1) WO2013168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2243A (zh) * 2015-02-26 2015-10-21 北华大学 一种活立改性木、活立木改性剂及其制备方法
CN106070216B (zh) * 2016-06-02 2018-07-24 江西农业大学 氯氟氰虫酰胺注干液剂及其在防治树木病虫害中的应用
CN108157318B (zh) * 2018-01-15 2021-09-03 宁波高新区鹏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理树干上害虫的装置
WO2021101445A1 (en) * 2019-11-18 2021-05-27 Hydroemission Corporation Pte. Ltd. Controlled release trunk implant formulation and trunk implant comprising the same
CN110999661B (zh) * 2019-12-18 2022-01-04 四川大学 一种石墨烯对活体植物纤维改性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4930A (ja) 2008-02-01 2009-08-20 Sankei Kagaku Kk ナラ菌増殖防止剤、及びナラ枯れ防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759A (ja) * 1983-07-15 1985-01-31 Nippon Soda Co Ltd ホルムアミドオキシム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農園芸用殺菌剤
NL8402979A (nl) * 1984-09-28 1986-04-16 Tno Werkwijze voor het bestrijden van vaatverwelkingsziekten bij gewassen, in het bijzonder de iepeziekte.
US5597840A (en) * 1994-07-07 1997-01-28 Ciba-Geigy Corporation Microemulsion formulation for injection into trees
FR2722652B1 (fr) * 1994-07-22 1997-12-19 Rhone Poulenc Agrochimie Composition fongicide comprenant une 2-imidazoline-5-one
JP3314148B2 (ja) * 1996-09-24 2002-08-12 三共株式会社 樹幹注入剤
JP4288745B2 (ja) * 1998-07-23 2009-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組成物
JP4559100B2 (ja) * 2004-03-10 2010-10-06 シンジェンタ ジャパン株式会社 害虫から樹木類への加害を防止するための樹幹注入用組成物及び方法
EP1796465B9 (en) * 2004-09-27 2010-02-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mixtures of thiophene derivative
DE102005048539A1 (de) * 2005-10-11 2007-04-12 Bayer Cropscience Ag Suspensionskonzentrate auf Ölbasis
EP2036438A1 (en) * 2007-09-12 2009-03-18 Bayer CropScience AG Post-harvest treatment
MX2010011223A (es) * 2008-04-25 2010-12-21 Nippon Soda Co Composicion agroquimica granulada y procedimiento de su produccion.
JP5386194B2 (ja) * 2009-02-25 2014-01-15 保土谷アグロテック株式会社 植物又は植物周辺土壌に対する薬液注入装置
JP5774874B2 (ja) * 2011-03-02 2015-09-09 サンケイ化学株式会社 ナラ菌増殖防止剤及びナラ枯れ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4930A (ja) 2008-02-01 2009-08-20 Sankei Kagaku Kk ナラ菌増殖防止剤、及びナラ枯れ防止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aurel wilt : a destructive new disease of redbay, avocado and related plants in the southeastern U.S. : Colloquium on Plant Pests of Regulatory Significance, University of Florida, January 23,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34023B (zh) 2018-01-02
JP6307759B2 (ja) 2018-04-11
WO2013168630A1 (ja) 2013-11-14
EP2850944A4 (en) 2016-04-27
JPWO2013168630A1 (ja) 2016-01-07
KR20150013595A (ko) 2015-02-05
CN104334023A (zh) 2015-02-04
EP2850944A1 (en) 2015-03-25
US20150133509A1 (en) 2015-05-14
JP2017075180A (ja) 2017-04-20
CA2872833A1 (en)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7759B2 (ja) 樹幹注入剤およびナラ枯れ防止方法
CN1279817C (zh) 含有化合物2-氰基-3-氨基-3-苯基丙烯酸乙酯的杀菌组合物
RU2389185C2 (ru) Композиция, которая предотвращает повреждение деревьев вредными насекомыми, 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такого повреждения
BRPI0720768A2 (pt) Composição pesticida, e, método para aumentar a meia-vida de um pesticida fotolábil
KR101041755B1 (ko)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KR20170089843A (ko) 물리적 작용 방식을 갖는 살충성 제형
EP4197329A1 (en) Stable co-formulation of benzoylurea with pyrethroids
CN107372570A (zh) 一种含有戊吡虫胍的悬浮种衣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362770A (zh) 一种含噻虫嗪、吡唑醚菌酯和三唑类的杀虫杀菌组合物
JP2012121834A (ja) 木材用防腐防カビ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6233205B2 (ja) 害虫防除用水性組成物
JP3314148B2 (ja) 樹幹注入剤
EP1767090B1 (en) Clathrate compound, method of controlling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 of agricultural-chemical active ingredient, and agricultural-chemical preparation
TWI665965B (zh) 含水溶性活性成分及滲透增強劑之殺蟲劑調配物及其用途
JP2007513108A (ja) 相乗作用を有する殺昆虫剤混合物
CN106490014A (zh) 一种含蓖麻碱的植物复配杀虫剂及其制备方法
JP5774874B2 (ja) ナラ菌増殖防止剤及びナラ枯れ防止方法
JP5735335B2 (ja) 殺虫剤の殺虫効力増強剤
JP7201480B2 (ja) 植物体の物理的強化剤
JP2023177329A (ja) 植物体地下部の食害を抑制する方法
KR20220088841A (ko) 상승작용 살균 조성물
JP2003095813A (ja) 動物の外部寄生虫駆除用液剤
CN106614696A (zh) 一种含有联苯菊酯的杀虫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