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847A -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847A
KR20170026847A KR1020150122295A KR20150122295A KR20170026847A KR 20170026847 A KR20170026847 A KR 20170026847A KR 1020150122295 A KR1020150122295 A KR 1020150122295A KR 20150122295 A KR20150122295 A KR 20150122295A KR 20170026847 A KR20170026847 A KR 2017002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unit
baby carriage
brak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호
황재희
김민준
김윤식
오창현
전찬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6847A/ko
Publication of KR2017002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2Discs; Drums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 상호를 연결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바퀴부; 센서부; 상기 바퀴부를 제동하는 제동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사용자와의 접촉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동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와 유모차가 비접촉된 경우 유모차의 구동여부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시키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BABY CARRIAGE WITH AUTOMATIC BREAK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와 유모차가 비접촉된 경우 유모차의 구동여부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시키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차의 일종으로서, 안전성 및 기능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유모차는 시트가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모차는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유모차의 주행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한다. 이는 경사지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유모차를 놓치거나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이에 특허출원 제10-2011-0135106호는 직접 마찰식 유모차 제동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는 직접 마찰 방식으로 바퀴의 회전을 멈추어 유모차를 제동한다. 그러나, 이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유모차 바퀴에 무리가 많이 간다는 점, 자동화시 바퀴의 정밀 제작이 요구되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10-2013-0014946호는 전자동 유모차를 제안하였다. 이는 센서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통제력을 잃었을 때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안전장치를 작동시켜 벨트를 당김으로써 유모차를 제동하는 밴드브레이크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유모차의 얇은 축의 직경을 고려할 때, 축이 휘어지는 등의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10-2010-0035706호는 스마트 키를 사용한 자동 제동기능을 갖는 유모차를 제안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갖고 있는 스마트키를 이용해서, 스마트키가 유모차로부터 떨어지면 통신모듈이 반응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유모차의 자동제동 뿐만 아니라 이동시에도 항상 스마트키가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11-0135106호 (2011.12.15.) 특허출원 제10-2013-0014946호 (2013.02.12.) 특허출원 제10-2010-0035706호 (2010.04.1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와 유모차가 비접촉시, 지면의 경사 등에 의한 유모차의 구동여부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하되 유모차의 내구성에 영향이 없는 자동제동기능을 갖는 유모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 상호를 연결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바퀴부; 센서부; 상기 바퀴부를 제동하는 제동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사용자와의 접촉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동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바퀴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회동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브레이크부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는 외주면이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이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의 회전여부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 센서와 상기 브레이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접촉정보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회전정보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회로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유모차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유모차의 구동여부를 파악하여 유모차가 구동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또한, 자동제동기능에 의해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는 디스크와 접촉하여 제동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하지 못한 바퀴 또는 샤프트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사용자가 유모차와 접촉되고 있는 경우에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로만 전원이 공급하므로, 적은 전력으로 자동제동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적은 전원으로도 구동이 가능하므로 배터리의 전력이 다 소모된 경우 태양전지를 이용할 수 있어 비상시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크의 외주면에는 대략 요철면이 형성되며, 브레이크의 외주면에는 대응되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마찰력이 증가되며 시스템의 건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브레이크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어부의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평지에서의 제동거리 데이터이며,
도 7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경사 6.7°에서의 제동거리 데이터이며,
도 8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경사 11.2°에서의 제동거리 데이터이며,
도 9는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경사 6.7°에서의 제동거리 데이터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예측 및 실제 데이터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는, 바퀴부(110)와, 바퀴부(110)를 제동하는 제동부(120)와, 센서부(130) 및 제동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바퀴부(110)는 유아 등의 탑승자가 탑승하는 본체부(미도시)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지지하며, 본체부(미도시)를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바퀴부(110)는 지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며 이동하는 적어도 한 쌍의 바퀴(111)와 한 쌍의 바퀴(111) 상호를 연결하는 프레임부(1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바퀴(111)는 프레임부(112)와 함께 회동함으로써 본체부(미도시)를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바퀴부(110)는 하중이 보다 강하게 인가되는 후륜일 수 있다.
프레임부(112)는 한 쌍의 바퀴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프레임(113)과, 메인 프레임(113)에 장착되는 디스크(114)를 포함한다.
디스크(114)는 제동부(120)에 의해 회전이 정지됨으로써 한 쌍의 바퀴(111)를 제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크(114)는 메인 프레임(113)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113)와 함께 회전 및 정지한다.
제동부(120)가 바퀴(11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동을 하는 경우 크기가 작은 유모차의 바퀴(111)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으로 유모차의 축의 직경이 작으므로 축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동하는 경우 설계의 정밀도가 요구되며 축의 휘어짐 등의 내구성 문제가 있다. 즉, 제동부(120)가 한 쌍의 바퀴(110)나 메인 프레임(113)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장치 전체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디스크(114)를 메인 프레임(113)에 설치하며, 디스크(114)가 제동부(120)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제동되도록 한다.
한편, 디스크(114)의 직경은 유모차 바퀴(111)의 직경 및 메인 프레임(113)과 본체부(미도시) 간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유모차의 주행에 제약이 없는 범위 내에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114)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은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디스크(114)의 가상의 원주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브레이크부(121)와 접촉시 마찰력이 증가되며 장치 전체의 건전성이 향상된다.
제동부(120)는 유모차를 제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브레이크부(121) 및 액츄에이터(122)를 포함한다.
브레이크부(121)는 디스크(114)의 외주면과 접촉됨으로써 한 쌍의 바퀴(111)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브레이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레이크부(121)는 브레이크(121a)와 와이어(121b)를 포함한다.
브레이크(121a)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디스크(114)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브레이크(121a)는 대략 호 형상으로 마련되며, 디스크(114)와 접촉하는 면은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이다. 한 쌍의 브레이크(121a)는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호 간의 각도가 좁아지거나 멀어진다.
와이어(121b)는 브레이크(121a) 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와이어(121b)는 일단은 액츄에이터(122)에 연결되며, 타단은 어느 하나의 브레이크(121a)에 연결된다. 액츄에이터(122)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121b)에 위로 당겨지면, 브레이크(121a) 간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 브레이크(121a)와 디스크(114)의 외주면이 접촉되며 디스크(114)의 회전이 정지된다. 디스크(114)의 회전 정지에 의해 메인 프레임(113)과 바퀴(111)의 회전이 정지되며 유모차는 제동된다.
센서부(130)는 제어부(140)에 구동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모차의 핸들부(H)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사용자가 파지 등의 접촉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사용자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제동부(120)의 구동여부가 제어되도록 한다. 즉, 센서부(130)은 제어부(140)에 사용자와의 접촉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와 유모차가 비접촉시, 지면의 경사 등에 의한 유모차의 구동여부를 파악하여 제동부(12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40)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와, 배터리(142) 및 회로계(143)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는 바퀴(111)의 회전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퀴(111) 측에 설치된다.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는 내부에 회전하는 작은 디스크에 홀을 형성하여, 바퀴(111)가 회전함에 따라 빛이 감지되면 그 빛을 통하여 회전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 내부 디스크의 홀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빛의 인식에 필요한 바퀴(111)의 회전각이 줄어들어 응답시간을 빨리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만큼 오작동의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는바 적절한 개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는 양쪽 바퀴(111)에 모두 설치되면 회전정보의 혼선과 오작동의 염려가 증가되므로 본 발명에서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는 한 쌍의 바퀴(111)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142)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와 액츄에이터(1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액츄에이터(122)는 유모차를 자동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부(121)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배터리(142)는 유휴상태시 액츄에이터(122)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며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만일 자동제동이 필요한 상황 즉, 사용자와 유모차가 비접촉되며 바퀴(111)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122)로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배터리(142)는 태양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터리(142)를 건전지가 사용되는 것으로 하는 경우에도 별도로 태양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의 유휴상태시 액츄에이터(122)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데, 대부분이 유휴상태이므로 전력의 소비는 크지 않고 태양전지만으로도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142)는 태양전지를 포함함으로써 만일 건전지가 다 소비되는 경우에도 태양전지를 통해서 구동될 수 있다.
회로계(143)는 배터리(142)로부터 액츄에이터(122) 측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회로계(143)가 센서부(130)로부터 사용자와의 비접촉정보를 제공받으며 또한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로부터 한 쌍의 바퀴(111)의 회전정보를 제공받은 경우, 회로계(143)는 배터리(142)로부터 액츄에이터(122)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부(121)가 작동되도록 한다.
센서부(13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와 자동제공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의 접촉정보와, 한 쌍의 바퀴(111)의 회전정보에 따른 액츄에이터(122)의 구동여부를 표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접촉정보 회전정보 액츄에이터 구동여부
O O X
O X X
X O O
X X X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자동제동이 필요없는 정상상태의 경우와 제동제동이 요구되는 비상상태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어부의 순서도이다.
1. 정상상태
정상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핸들부(H)를 파지하는 등의 이유로 센서부(130)에 접촉되며, 이러한 접촉정보는 회로계(143)로 제공된다.
회로계(143)는 사용자와 센서부(130)가 접촉되고 있으므로 배터리(142)로부터 액츄에이터(12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하며, 배터리(142)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 측으로만 전원을 공급한다.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는 지속적으로 바퀴(111)의 회전정보를 측정하여 회로계(143)로 전송하나, 바퀴(111)의 회전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와 센서부(130)가 접촉되므로 제동부(120)는 구동되지 않는다.
2. 비상상태
비상상태란 사용자가 유모차를 파지하고 있지 않는 등의 이유로 센서부(130)와 사용자가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센서부(130)는 사용자와의 접촉여부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회로계(143)로 전송하며, 사용자와 핸들부(H)가 접촉되고 있지 않으므로 비접촉의 정보가 회로계(143)로 전송된다.
한편, 사용자가 핸들부(H)를 파지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지면의 경사 등에 의해 유모차가 주행을 하는 경우, 바퀴(111)의 회전정보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141)에 의해 측정되며, 회전정보는 회로계(143)로 전달된다.
회로계(143)는 즉시 배터리(142)로부터 액츄에이터(122)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액츄에이터(122)는 구동하여 와이어(121b)를 당긴다. 와이어(121b)가 당겨지면 한 쌍의 브레이크(121a) 간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며, 브레이크(121a)의 요철면이 디스크(114)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브레이크(121a)와 디스크(114) 간의 접촉에 의하여 디스크(114)의 회전이 정지되며, 디스크(114)와 연결된 메인 프레임(113)과 바퀴(111)의 회전이 정지됨으로써 유모차가 제동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갖춘 유모차의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평지에서의 제동거리 데이터이며, 도 7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경사 6.7°에서의 제동거리 데이터이며, 도 8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경사 11.2°에서의 제동거리 데이터이며, 도 9는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경사 6.7°에서의 제동거리 데이터이다.
실험은,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를 일정거리 주행시키면서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에서 손을 놓기 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촬영 후 컴퓨터를 통해 영상배속을 낮추어 시간구간을 구하였으며, 구한 시간구간에서 주행하기 시작한 시간과 손을 놓은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속도를 구하고, 이를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의 초기 속도와 같다고 가정하였다. 제동거리 측정은 손을 놓은 후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의 앞바퀴가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평지(0°), 6.7°경사로, 11.2°경사로 및 15.2°경사로에서 측정하였으며, 초기속도는 1.3m/s와 2m/s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데이터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 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초기속도 1.3m/s에서의 예측 및 실제 데이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라색 선은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예상 제동거리이며, 녹색 점들은 경사에 따른 제동거리의 평균값, 녹색 점들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그래프가 파란색 선이다. 이는 기울기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의 실제 제동거리를 의미한다.
0°부터 약 5°까지는 예측 제동거리보다 더 적은 제동거리가 확보되며, 경사가 커짐에 따라 제동거리의 오차가 발생하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를 사용하면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낮은 경사 구간에서는 우수한 제동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의 초기속도 2m/s에서의 예측 및 실제 데이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빨간색 선은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예상 제동거리이며, 노란색 점들은 경사에 따른 제동거리의 평균값, 노란색 점들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그래프가 파란색 선이다. 이는 기울기에 따른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의 실제 제동거리를 의미한다.
0°부터 약 11°까지는 예측 제동거리보다 더 적은 제동거리가 확보되며, 경사가 커짐에 따라 제동거리의 오차가 발생하나,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100)를 사용하면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낮은 경사 구간에서는 우수한 제동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와 유모차가 비접촉된 경우 유모차의 구동여부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시키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110 : 바퀴부
120 : 제동부 130 : 센서부
140 : 제어부

Claims (6)

  1. 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 상호를 연결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바퀴부;
    센서부;
    상기 바퀴부를 제동하는 제동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사용자와의 접촉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동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바퀴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회동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브레이크부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외주면이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형상이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의 회전여부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 센서와 상기 브레이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접촉정보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회전정보로부터 상기 브레이크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회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KR1020150122295A 2015-08-31 2015-08-31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KR20170026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295A KR20170026847A (ko) 2015-08-31 2015-08-31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295A KR20170026847A (ko) 2015-08-31 2015-08-31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47A true KR20170026847A (ko) 2017-03-09

Family

ID=5840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295A KR20170026847A (ko) 2015-08-31 2015-08-31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684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706A (ko) 2007-07-18 2010-04-06 바이오다이나믹스 엘엘씨 근골격 외상, 정형 복구 및 연조직 치료용 이식 메시
KR20110135106A (ko) 2010-06-10 2011-12-16 에스티에스반도체통신 주식회사 방열 기능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KR20130014946A (ko) 2011-08-01 2013-02-12 인포뱅크 주식회사 무선통신장치와 정보처리방법과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706A (ko) 2007-07-18 2010-04-06 바이오다이나믹스 엘엘씨 근골격 외상, 정형 복구 및 연조직 치료용 이식 메시
KR20110135106A (ko) 2010-06-10 2011-12-16 에스티에스반도체통신 주식회사 방열 기능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KR20130014946A (ko) 2011-08-01 2013-02-12 인포뱅크 주식회사 무선통신장치와 정보처리방법과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46279A1 (en) Brake Pad Wear Monitoring System
TWI552891B (zh) 刹車油門組合裝置及採用該刹車油門組合裝置之汽車
US11500373B2 (en) On-board charging station for a remote control device
CN105806611A (zh) 制动器疲劳测试系统
KR101776496B1 (ko) 모터 특성 변화를 감지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KR101533256B1 (ko) 자가균형 이륜 이동차
KR101727703B1 (ko)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JP5028116B2 (ja) 自走車
US10065620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014698A1 (en) Component mounting head and suction nozzle assembly to be used therein
KR20170026847A (ko) 자동제동기능을 구비하는 유모차
CN104554416B (zh) 婴儿推车的刹车系统
KR101569130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US20210145236A1 (en) Floating bumper in autonomous cleaning robot
WO2018188650A1 (zh) 用于手推车的脚轮和手推车
JP2009122047A (ja) 角度検出装置
JP2018128772A (ja) 鶏舎用自律移動ロボット
JP2014061764A (ja) クローラ式走行体とその制御方法
KR101577142B1 (ko)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US8302505B2 (en) Sensing mechanism of pedaling assistant system
EP3299267B1 (en) Human-machine interaction motion apparatus
KR101897758B1 (ko) 전기자전거 및 이의 대기전원 절감 방법
KR20150025067A (ko)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M519195U (zh) 制動器釋煞動作之操作方向的設定結構
CN205099140U (zh) 一种具有速度监控部件的双向限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