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067A -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067A
KR20150025067A KR20130102208A KR20130102208A KR20150025067A KR 20150025067 A KR20150025067 A KR 20150025067A KR 20130102208 A KR20130102208 A KR 20130102208A KR 20130102208 A KR20130102208 A KR 20130102208A KR 20150025067 A KR20150025067 A KR 20150025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ssembly
rotation angle
lock
spindle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범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3010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5067A/ko
Publication of KR2015002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3Position, angle 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48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stationary axes, e.g. spur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6Locking mechanisms, e.g. acting on actuators, on release mechanisms or on force transmission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스핀들과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와, 운전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주차스위치와,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기 위하여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이동축이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되도록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한 후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각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잠금유닛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또는 작동 해제를 제어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은 전기 모터를 구동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장치이다.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기어조립체와, 이 기어조립체의 회전에 의해 진퇴하면서 마찰패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전자식 주차 제동(Electric Parking Brake ; EPB) 기능을 포함하며, 주차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제동력이 유지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인 잠금유닛이 마련되어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주차된 상태에서 제동력을 유지하는 잠금유닛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이므로 구동모터를 구동하여도 제동 해제가 되지 않아 기구적인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함은 물론 차량이 출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차량을 주차시 잠금유닛의 고장으로 인하여 제동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잠금유닛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이 센서를 통해 감지된 잠금유닛의 작동여부를 근거로 하여 잠금유닛의 고장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이 잠금유닛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별도로 마련하고,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제품사이즈가 커지며, 조립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위해 제동력을 유지하는 잠금유닛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잠금유닛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 운전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주차스위치; 상기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이동축이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한 후 상기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각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주차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조립체, 스핀들 및 가압부재의 일련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Apply)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축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Apply)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값이 미리 설정된 가압목표값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킴과 함께 상기 이동축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는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회전속도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 운전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주차스위치; 상기 주차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어조립체, 스핀들, 가압부재의 일련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이동축을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고,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이동축을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이동축을 상기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 해제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된 경우 상기 잠금유닛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잠금유닛을 고장으로 판단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이동축이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한 후 상기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각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조립체, 스핀들 및 가압부재의 일련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Apply)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축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는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회전속도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어조립체, 스핀들, 가압부재의 일련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이동축을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고,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이동축을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이동축을 상기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구동모터의 회전각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 해제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된 경우 상기 잠금유닛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잠금유닛을 고장으로 판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정차 후 주차 브레이크 해제시 구동모터를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회전속도로 서서히 회전시키고, 회전 중인 모터의 회전각도변화를 감지하고, 이 모터의 회전각도변화를 근거로 하여 잠금유닛의 작동여부를 추정함으로써 잠금유닛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잠금유닛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제품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잠금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잠금유닛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잠금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잠금유닛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차량의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10)와, 이 디스크(10)의 양쪽 측면을 가압하여 제동을 수행하도록 디스크(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2마찰패드(13,14)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11,12)와,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11,12)의 가압을 위한 캘리퍼 하우징(20) 및 제동동작을 위해 캘리퍼 하우징(20)에 설치된 가압장치(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11,12)는 디스크(10)의 양쪽 측면을 향하여 제1,2마찰패드(13,14)를 진퇴시킬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된 캐리어(30)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다.
캘리퍼 하우징(20)은 내부가 빈 몸체부(21)와, 몸체부(21)로부터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 중 외측 패드 플레이트(12)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22)와, 외측 패드 플레이트(12)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연장부(22)에 연결된 핑거부(23)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장치(40)는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11,12) 중 내측 패드 플레이트([0017] 11)를 가압할 수 있도록 캘리퍼 하우징(20)의 몸체부(21)에 장착된다.
가압장치(40)는 내측 패드 플레이트(11)의 가압 및 가압해제를 위해 캘리퍼 하우징(20)의 몸체부(21)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41)와, 가압부재(41)에 결합된 스핀들(42)과, 스핀들(42)에 연결되는 기어조립체(50)와, 기어조립체(50)에 연결되는 구동모터(45)를 포함한다.
가압부재(41)는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진퇴할 수 있도록 몸체부(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스핀들(42)과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압부재(41)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는 가압부재(41)의 외면과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몸체부(21)의 내면이 다각형상이 이거나, 가압부재(41)의 외면과 몸체부(21)의 내면에 키와 키홈 형상의 안내수단(미도시)이 설치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스핀들(42)은 가압부재(41)의 암나사부와 결합되도록 한쪽에 수나사부를 구비한다. 또, 스핀들(42)은 가압부재(41)가 진퇴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몸체부(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핀들(42)의 지지를 위해 몸체부(21) 내에는 제1베어링(43)이 설치될 수 있다.
기어조립체(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45)의 회전력을 스핀들(42)에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기어조립체(50)는 스핀들(42)의 축 상에 설치되는 배력유닛(60)과, 이 배력유닛(60)과 구동모터(45)의 사이에 배치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기어(70)를 포함한다.
배력유닛(60)은 태양기어(61)와, 태양기어(61)에 외접하는 복수의 유성기어(62)와, 복수의 유성기어(62)와 내접하는 링기어(63)와, 복수의 유성기어(62)를 지지하는 캐리어(64)와, 태양기어(61)가 일단부에 설치되는 배력축(65)을 포함한다. 또한, 배력유닛(60)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부(21) 내부의 빈 공간에서 설치되는 평기어 조립체일 수 있다.
연결기어(70)는 구동모터(45)의 구동축(46) 상에 연결되는 구동기어(71)와, 구동기어(71)와 외접하는 제1기어(72)와, 제1기어(72)의 축상에 마련되어 제1기어(7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기어(73)와, 제2기어(73)와 외접하며 배력유닛(60)의 배력축(65)에 결합되는 제3기어(74)를 포함한다.
이때, 연결기어(70)는 구동모터(45)와 배력유닛(60)을 연결할 수 있으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기어조립체(50)에 마련되는 다수의 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에 복수의 잠금홀(80)과, 이 복수의 잠금홀(80) 중 하나에 이동되어 기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9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디스크(10)를 가압하여 제동하기 위한 캘리퍼 온 타입의 제동장치로써, 주차시 기어조립체(5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데 그 특징이 있으므로, 기어조립체(50)로부터 구동모터(4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동하는 구조를 갖는다면 예컨대, 볼 스크류 타입의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등 다양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계 제동 시스템에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잠금홀(80)은 기어조립체(50)의 기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잠금홀(80)은 구동기어(71)와 외접하는 제1기어(72)에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홀(80)은 제1기어(72)에서 동일 직경 상에 동일한 간격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잠금홀(80)이 배력유닛(60)의 유성기어(62) 및 연결기어(70)의 제3기어(74)에 형성되면, 기어조립체(50)의 종단으로 갈수록 토크가 세지므로 잠금유닛(90)을 통해 기어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풀기 위해서는 강력한 잠금유닛(90)의 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잠금홀(80)이 구동기어(71)에 형성되면, 구동기어(71)의 직경이 도시된 바와 같이 작으므로 후술할 잠금유닛(90)의 이동축(92)이 잠금홀(80)에 삽입되기 위해 구동기어(71)의 돌아가는 각도가 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잠금홀(80)은 제1기어(72)의 크기가 커 잠금유닛(90)이 잠금홀(80)에 삽입되기 위해 돌아가는 각도가 작으며 필요한 토크가 작으므로 기어조립체(50)의 기어 중 구동기어(71)와 외접하는 제1기어(72)에 형성될 수 있다.
잠금유닛(90)은 몸체(91)와, 이 몸체(91)의 중앙에 설치된 이동축(92)과, 이동축(92)을 복수의 잠금홀(80) 중 어느 하나에 이동시키는 영구자석(93) 및 코일(94)과, 몸체(91)의 내부에서 이동축(9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솔레노이드장치일 수 있다.
이때, 이동축(92)은 후술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잠금홀(80)에서 분리되거나 잠금홀(80)으로 이동하여 결합한다. 이동축(92)를 잠금홀(8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전자제어유닛이 잠금유닛(90)에 전원을 공급되게 한다. 잠금유닛(90)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94)에 전류가 흐르고, 코일(94)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94)에서 자력이 발생되어 코일(94)과 영구자석(93) 사이에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동축(92)이 잠금홀(80)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된다.
또한, 이동축(92)을 잠금홀(80)에 결합시킬 경우, 전자제어유닛이 잠금유닛(90)에 공급된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잠금유닛(90)에 공급된 전원이 차단되면 이동축(92)이 탄성부재(9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복수의 잠금홀(80) 중 하나에 삽입되어 제1기어(71)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즉, 잠금유닛(90)은 전원이 공급되면 제1기어(72)에 형성된 잠금홀(80)로부터 이동축(92)이 분리됨으로써 기어조립체(50)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고,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이동축(92)이 제1기어(72)의 잠금홀(80)로 이동되어 결합됨으로써 기어조립체(5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마련된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잠금유닛(90)을 이용하여 기어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유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제어유닛(ECU)(100)를 포함한다.
이 전자제어유닛(100)의 입력측에는 시동온검출부(110), 정차감지부(120), 주차 스위치(130) 및 모터 회전각 센서(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전자제어유닛(100)의 출력측에는 모터구동부(150), 경고부(160) 및 잠금유닛(9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시동온검출부(110)는 차량의 시동 온을 검출한다.
정차감지부(120)는 차량의 정차를 감지한다. 정차감지부(120)는 차량에 각 휠에 마련되어 휠 속도를 검출하는 휠 속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각 휠 속도를 근거로 하여 차량의 정차여부를 판단한다.
주차 스위치(130)는 차량의 주차를 조작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된다. 주차 스위치(130)는 운전자에 의해 온으로 조작되면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Apply)을 위한 주차 브레이크 신호를 전자제어유닛(100)으로 전송하고, 운전자에 의해 오프로 조작되면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를 위한 주차 브레이크 해제 신호를 전자제어유닛(100)으로 전송한다. 주차 스위치(130)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은 작동(Apply) 또는 작동 해제(Release) 상태로 변경된다.
모터 회전각 센서(140)는 구동모터(45)의 속도정보와 위상을 센싱하여 회전자의 위치정보 등의 회전각정보를 전자제어유닛(100)에 전송한다. 전자제어유닛(100)은 모터 회전각 센서(140)에 의해 검출된 구동모터(45)의 회전각정보를 근거로 하여 구동모터(45)의 회전여부 및 회전정도를 판단한다.
모터 구동부(150)는 전자제어유닛(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45)를 일방향 회전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 구동부(150)는 전자제어유닛(100)의 주차 브레이크 신호 또는 주차 브레이크 해제 신호에 따라 제동력(parking force)을 발생시키거나 해제하기 위해 구동모터(45)에 전류를 인가한다.
경고부(160)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잠금유닛(90)의 고장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전자제어유닛(100)은 주차 스위치(130)로부터 주차 브레이크 신호가 입력되면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고, 주차 스위치(130)로부터 주차 브레이크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 해제(Release)한다.
즉, 전자제어유닛(100)는 운전자가 주차를 위해 주차 스위치(110)를 온 조작하면, 전자제어유닛(100)은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모터 구동부(150)를 통해 구동모터(45)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구동모터(4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모터(45)의 일방향 회전은 기어조립체(50)를 거치면서 감속되어 큰 힘으로 스핀들(4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핀들(4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재(41)를 가압함으로써 제동력(parking force)을 얻게 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100)는 모터 구동부(150)를 통해 구동모터(4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모터회전각센서(140)를 통해 검출된 구동모터(45)의 회전각값이 미리 설정된 가압목표값에 도달하면, 스핀들(42)에 의한 가압부재(41)에 대한 가압동작을 완료하고 구동모터(45)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Apply) 상태에서 그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구동모터(45)를 정지시키기 전에 전자제어유닛(100)은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하도록 잠금유닛(90)에 공급된 전원을 차단시켜 잠금유닛(90)를 작동을 정지시킨다. 잠금유닛(90)에 공급된 전원이 차단되면 이동축(92)이 탄성부재(95)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복수의 잠금홀(80) 중 하나에 삽입되어 제1기어(71)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45)를 정지시키더라도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에 의해 가압부재(41)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시동이 꺼져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에 의해 가압부재(41)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제어유닛(100)는 차량 정차 중 운전자가 시동을 켜고 차량을 움직이기 위해 주차 스위치(110)를 오프 조작하면,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도록 잠금유닛(90)에 공급된 전원을 공급하여 잠금유닛(90)를 작동시킨다. 잠금유닛(90)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94)에 전류가 흐르고, 코일(94)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94)에서 자력이 발생되어 코일(94)과 영구자석(93) 사이에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동축(92)이 잠금홀(80)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된다.
그리고, 전자제어유닛(100)은 잠금유닛(90)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잠금유닛(90)이 정상이면, 전자제어유닛(100)은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 해제(Release)하기 위하여 모터 구동부(150)를 통해 구동모터(4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모터(45)의 반대방향 회전은 기어조립체(50)를 거치면서 감속되어 큰 힘으로 스핀들(42)을 반대방향 회전시킨다. 스핀들(42)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재(4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가해졌던 제동력이 해제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100)는 모터 구동부(150)를 통해 구동모터(4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모터회전각센서(140)를 통해 검출된 구동모터(45)의 회전각값이 미리 설정된 해제목표값에 도달하면, 구동모터(45)를 정지시킨다.
한편, 전자제어유닛(100)은 잠금유닛(90)의 고장여부를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판단한다. 전자제어유닛(100)은 구동모터(45)를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서서히 회전시킨 후 구동모터(45)의 회전각변화를 근거로 하여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었으면 잠금유닛(90)을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지 않았으면 잠금유닛(90)을 고장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전자제어유닛(100)은 잠금유닛(90)의 이동축(92)를 잠금홀(8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잠금유닛(90)을 작동시킨 후 모터 구동부(150)를 구동모터(45)를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회전속도인 미리 설정된 속도로 서서히 회전시키고, 회전 중인 모터의 회전각도변화를 감지하고, 이 모터의 회전각도변화를 근거로 하여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 해제여부를 판단하고, 이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 해제여부를 판단하고,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었으면 잠금유닛(90)을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지 않았으면 잠금유닛(90)을 고장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잠금유닛(90)의 작동에 따른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잠금유닛(90)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제품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이때, 잠금유닛(90)의 이동축(92)가 잠금홀(80)에 결합되어 제1기어(71)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정차 중 운전자가 시동을 켜면, 전자제어유닛(100)은 시동온검출부(110) 및 정차감지부(120)를 통해 차량의 시동 온 정보와 차량 정차 정보를 감지하고 차량의 시동이 온 되고 차량이 정차상태이면(200-204), 주차스위치(130)이 오프상태이면, 잠금유닛(90)을 작동시키기 위해 잠금유닛(90)에 전원을 공급한다(205). 잠금유닛(90)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94)에 전류가 흐르고, 코일(94)에 전류가 흐르면 이동축(92)이 잠금홀(80)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된다. 이때, 잠금유닛(90)이 고장이 아니고 정상상태라면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된다.
한편, 전자제어유닛(100)은 잠금유닛(90)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터 구동부(150)를 통해 구동모터(45)를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회전속도인 미리 설정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시킨다(206). 즉, 전자제어유닛(100)는 구동모터(45)를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 방향으로 시스템을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속도로 천천히 회전시킨다.
작동모드 206 다음의 작동모드 207에서 전자제어유닛(100)은 구동모터(45)를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 방향으로 시스템을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속도로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모터회전각센서(140)를 통해 모터회전각을 감지한다(207).
작동모드 207 다음의 작동모드 208에서 전자제어유닛(100)은 모터회전각센서(140)를 통해 감지된 모터회전각(A)과 미리 설정된 회전각(Aref)을 비교하여 감지된 모터회전각(A)과 미리 설정된 회전각(Aref)이상인지를 판단한다(208). 이때, 미리 설정된 회전각(Aref)는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회전속도인 미리 설정된 속도에 대응하는 각도값이다.
작동모드 208의 판단 결과 감지된 모터회전각(A)과 미리 설정된 회전각(Aref)이상이면, 잠금유닛(90)이 이동축(92)이 잠금홀(80)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되어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정상적으로 해제된 것이므로, 잠금유닛(90)을 정상으로 판단하고(209), 전기 기계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 제어를 수행한다(210). 즉, 전자제어유닛(100)은 잠금유닛(90)이 정상이면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 해제(Release)하기 위하여 모터 구동부(150)를 통해 구동모터(4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모터(45)의 반대방향 회전은 기어조립체(50)를 거치면서 감속되어 큰 힘으로 스핀들(42)을 반대방향 회전시킨다. 스핀들(42)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재(4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가해졌던 제동력이 해제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100)는 모터 구동부(150)를 통해 구동모터(4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모터회전각센서(140)를 통해 검출된 구동모터(45)의 회전각값이 미리 설정된 해제목표값에 도달하면, 구동모터(45)를 정지시킨다.
한편, 작동모드 208의 판단 결과 모터회전각(A)과 미리 설정된 회전각(Aref)미만이면, 잠금유닛(90)이 이동축(92)이 잠금홀(80)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되지 못해 제1기어(71)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지 않은 것이므로, 잠금유닛(90)을 고장으로 판단하고(211), 잠금유닛(90)을 고장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경고부(160)을 통해 잠금유닛(90)의 고장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212).
10 : 디스크 41 : 가압부재
42 : 스핀들 45 : 구동모터
50 : 기어조립체 72 : 제1기어
80 : 잠금홀 90 : 잠금유닛
92 : 이동축 93 : 영구자석
94 : 코일 95 : 탄성부재
100 : 전자제어유닛 110 : 시동온검출부
120 : 정차감지부 130 : 주차스위치
140 : 모터회전각센서 150 : 모터구동부
160 : 경고부

Claims (9)

  1.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
    운전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주차스위치;
    상기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이동축이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한 후 상기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각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주차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조립체, 스핀들 및 가압부재의 일련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Apply)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축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Apply)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값이 미리 설정된 가압목표값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킴과 함께 상기 이동축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는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회전속도인 것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5.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
    운전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주차스위치;
    상기 주차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어조립체, 스핀들, 가압부재의 일련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이동축을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고,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이동축을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이동축을 상기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 해제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된 경우 상기 잠금유닛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잠금유닛을 고장으로 판단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6.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이동축이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한 후 상기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 해제(Release)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각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잠금유닛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조립체, 스핀들 및 가압부재의 일련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작동(Apply)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축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속도는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회전속도인 것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9. 디스크의 가압을 위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들의 가압을 위해 상기 캐리어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패드 플레이트 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스핀들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들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잠금홀이 형성된 기어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이동축을 갖추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잠금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을 작동(Apply)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어조립체, 스핀들, 가압부재의 일련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이동축을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고,
    상기 디스크에 제공된 주차 브레이크 제동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주차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유닛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이동축을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이동축을 상기 결합된 잠금홀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속도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는 모터회전각센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각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구동모터의 회전각의 변화를 근거로 하여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 해제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된 경우 상기 잠금유닛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어조립체의 움직임 제한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잠금유닛을 고장으로 판단하는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30102208A 2013-08-28 2013-08-28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5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208A KR20150025067A (ko) 2013-08-28 2013-08-28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208A KR20150025067A (ko) 2013-08-28 2013-08-28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067A true KR20150025067A (ko) 2015-03-10

Family

ID=5302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208A KR20150025067A (ko) 2013-08-28 2013-08-28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50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987B1 (ko) * 2019-10-23 2020-08-19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EP3951208A4 (en) * 2019-03-28 2023-03-08 NTN Corporation ELECTRIC POWERED ACTUATOR AND ELECTRIC BRAK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1208A4 (en) * 2019-03-28 2023-03-08 NTN Corporation ELECTRIC POWERED ACTUATOR AND ELECTRIC BRAKE DEVICE
KR102145987B1 (ko) * 2019-10-23 2020-08-19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455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6850894B2 (ja) ブレーキモータ制御器、電気ブレーキモータを備えた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およびブレーキモータ制御器を起動させる方法
WO2014058015A1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6182311B2 (ja) ブレーキ装置
US7540571B2 (en) Motor-driven disk brake system
KR101817520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US10974711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968099B2 (ja) 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JP523426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101776496B1 (ko) 모터 특성 변화를 감지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KR102596596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631824A (zh) 电动式致动器和电动制动装置
WO2015146963A1 (ja) 電動式ブレーキシステム、電動式ブレーキシステムを搭載した車両、及び電動式ブレーキ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5137667A (ja) 電動ブレーキ装置
KR20150025067A (ko)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383484B (zh) 车辆中的电子驻车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49157B1 (ko) 전동 브레이크 차량의 제어 방법
US20220032894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0581B1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JP4495621B2 (ja) 車両用電動ブレーキ装置
JP4502749B2 (ja)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および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ブレーキパッドの実位置推定方法
KR20150117544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 제어방법
KR20220015343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5087814A (zh) 电动制动系统及其操作方法
JP4569762B2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