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766A -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 - Google Patents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766A
KR20170026766A KR1020150121035A KR20150121035A KR20170026766A KR 20170026766 A KR20170026766 A KR 20170026766A KR 1020150121035 A KR1020150121035 A KR 1020150121035A KR 20150121035 A KR20150121035 A KR 20150121035A KR 20170026766 A KR20170026766 A KR 2017002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hin film
paper tube
metal thi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650B1 (ko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6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콘크리트 벽체 또는 바닥에 배관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종이관 슬리브가 개시된다. 개시된 종이관 슬리브는, 종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종이관 부재와, 종이관 부재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되, 종이관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내화성과 신축성을 가진 내화 충진재와, 종이관 부재의 외주면과 내화 충진재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종이관 부재와 내화 충진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금속박막과, 금속박막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배관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Paper-sleeve embedded with fireproof filling material}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에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종이관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도록 내화 충진재가 내장되어 있는 종이관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물 시공 시 또는 보수 공사시, 벽체 또는 바닥에는 여러 가지 용도로 관통공을 형성시킨다. 예를 들어, 에어컨 배관 등의 시공, 전기배선, 배수, 통기 등을 목적으로 벽체 혹은 바닥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관통공을 형성하게 된다.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에 이러한 관통공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원통형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며, 이를 '슬리브'라고 한다. 즉, 벽체나 바닥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 시, 슬리브를 거푸집에 고정 설치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벽체나 바닥에 전기배선, 배수, 통기 등을 위한 전선 및 관 등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슬리브의 재질은 강재 또는 합성수지재인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강재 또는 합성수지재인 종래의 슬리브는 가격이 비교적 고가일 뿐만 아니라, 폐자재의 발생으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벽체나 바닥의 두께에 맞춰 슬리브를 절단해야 하는데, 슬리브가 강재 또는 합성수지재인 경우 절단이 비교적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공은 그 내부에 배관이나 배선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배관이나 배선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가 관통공의 내주면과 배관 사이의 틈을 통해 다른 곳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슬리브에 의해 형성된 관통공에 배관 등을 삽입 설치한 후에, 관통공의 내주면과 배관 사이의 틈을 내화 충진재로 채우고, 관통공의 양단부를 링 형상의 합성수지재 마개로 막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슬리브를 사용한 관통공의 형성 작업과 배관의 설치 작업 외에도 관통공 내부에 내화 충진재를 채우는 작업과 관통공의 양단을 막는 작업으로 인해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9734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10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내화 충진재가 내장되어 있어서 시공이 간편한 종이관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는,
콘크리트 벽체 또는 바닥에 배관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종이관 슬리브에 있어서,
종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종이관 부재;
상기 종이관 부재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종이관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내화성과 신축성을 가진 내화 충진재;
상기 종이관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내화 충진재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종이관 부재와 내화 충진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금속박막; 및
상기 금속박막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상기 배관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이관 부재는 소정의 폭을 가진 합지를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권취함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화 충진재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및 세라믹 섬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박막은, 상기 종이관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종이관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외측 금속박막과, 상기 내화 충진재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내화 충진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내측 금속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금속박막의 양단부와 내측 금속박막의 양단부는 서로 봉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박막은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휘거나 접어서 상기 종이관 슬리브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금속박막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접착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는, 기본 소재가 종이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종래의 강재 또는 합성수지재 슬리브에 비해 가격이 저가이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되며 절단 가공이 쉬워서 벽체 또는 바닥의 두께에 적합한 길이로 가공이 쉽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는, 종이관 부재의 내부에 내장된 내화 충진재와, 종이관 부재와 내화 충진재를 둘러싸며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배관에 부착되는 금속박막을 구비하고 있어서, 슬리브의 내부에 배관을 삽입 설치한 후 별도로 슬리브의 내부에 내화 충진재를 채우는 작업과 슬리브의 양단부를 막는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종이관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B-B'선을 따른 종이관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이관 슬리브가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종이관 슬리브 내부에 배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종이관 슬리브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표시된 B-B'선을 따른 종이관 슬리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이관 슬리브가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된 종이관 슬리브 내부에 배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100)는, 콘크리트 벽체(10) 또는 바닥에 배관(20)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종이관 부재(110)와, 상기 종이관 부재(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화 충진재(120)와, 상기 종이관 부재(110)와 내화 충진재(120)를 감싸는 금속박막(130)과, 상기 금속박막(13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배관(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이관 부재(110)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의 관이다. 그리고, 상기 종이관 부재(110)는 종이관 슬리브(100)가 설치될 콘크리트 벽체(10) 또는 바닥의 두께보다 약간 길거나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종이관 부재(110)는 종래의 강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슬리브에 비하여 가격이 저가이므로 제작비용이 경감되고, 무게가 가벼워 수송이나 하적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에 시공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이관 부재(110)는 종래의 강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슬리브에 비하여 절단 가공이 용이하므로, 벽체 또는 바닥의 두께에 적합한 길이로 가공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이관 부재(110)는 버려지는 종이를 재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이관 부재(110)는 소정의 폭을 가진 합지를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권취함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합지는 속지와, 파라핀이 코팅처리된 내지와, 필름이 코팅처리된 겉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속지와 내지와 겉지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때, 상기 속지와 내지와 겉지는 각각 한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이관 부재(110)는 우수한 강도를 가지므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시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내화 충진재(120)는 상기 종이관 부재(110)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내화 충진재(120)는 상기 종이관 부재(11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내화 충진재(120)는 상기 종이관 부재(110)의 내주면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내화 충진재(120)의 길이는 상기 종이관 부재(11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내화 충진재(120)는 상기 종이관 슬리브(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20)과 종이관 부재(110) 사이의 틈을 채워서 화재 발생시 고온의 유독가스가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화 충진재(120)는 내화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또한 내화성 뿐만 아니라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화 충진재(120)는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또는 세라믹 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박막(130)은 상기 종이관 부재(110)와 내화 충진재(120)를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고온의 유독가스에 견딜 수 있는 내화성과, 콘크리트로부터의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방수성과, 자유롭게 휘거나 접을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상기 금속박막(130)으로서, 예컨대 은박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박막(130)은, 상기 종이관 부재(1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종이관 부재(11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외측 금속박막(131)과, 상기 내화 충진재(120)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내화 충진재(12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내측 금속박막(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금속박막(131)과 내측 금속박막(132)은 각각 얇은 두께를 가진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금속박막(131)의 양단부와 내측 금속박막(132)의 양단부는 서로 봉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금속박막(13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상기 종이관 슬리브(100)의 내부에 삽입된 배관(2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금속박막(13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배관(20)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접착부재(140),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금속박막(130)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배관(20)에 묶기 위한 타이밴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박막(130)의 양단부가 배관(2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므로,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가 종이관 슬리브(100)와 배관(20)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종이관 슬리브(1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져서 내부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이 배관(20)이 삽입되는 관통공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관 슬리브(100)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체(10)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에 설치된다. 상기 종이관 슬리브(100)의 금속박막(130)은 은박지와 같이 유연성을 가지므로 쉽게 휘거나 접을 수 있으므로, 거푸집에 설치할 때 금속박막(130)의 양단부를 휘거나 접어서 상기 종이관 슬리브(100)의 내부로 밀어 넣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벽체(10)를 형성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벽체(10) 내부에 상기 종이관 슬리브(100)가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벽체(10)가 형성된 후, 상기 종이관 슬리브(100)의 금속박막(130)의 양단부를 외부로 꺼내면, 종이관 슬리브(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배관(20)을 상기 금속박막(130)의 일단부를 통해 종이관 슬리브(1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내화 충진재(120)가 신축성을 갖고 있으므로, 배관(20)이 종이관 슬리브(1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내화 충진재(120)의 내주면을 감싸는 내측 금속박막(132)이 배관(2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배관(20)과 종이관 슬리브(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금속박막(130)의 양단부에 마련된 접착부재(140)를 사용하여 금속박막(130)의 양단부를 배관(2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배관(20)의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100)는, 종이관 부재(110)의 내부에 내장된 내화 충진재(120)와, 종이관 부재(110)와 내화 충진재(120)를 둘러싸며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배관(20)에 부착되는 금속박막(130)을 구비하고 있어서, 종이관 슬리브(100)의 내부에 배관(20)을 삽입 설치한 후 별도로 종이관 슬리브(100)의 내부에 내화 충진재를 채우는 작업과 종이관 슬리브(100)의 양단부를 막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종이관 슬리브(100)에 의하면, 보다 짧은 시간에 보다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종이관 슬리브 110...종이관 부재
120...내화 충진재 130...금속박막
131...외측 금속박막 132...내측 금속박막
140...접착부재

Claims (6)

  1. 콘크리트 벽체 또는 바닥에 배관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종이관 슬리브에 있어서,
    종이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종이관 부재;
    상기 종이관 부재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기 종이관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내화성과 신축성을 가진 내화 충진재;
    상기 종이관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내화 충진재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종이관 부재와 내화 충진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금속박막; 및
    상기 금속박막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상기 배관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슬리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관 부재는 소정의 폭을 가진 합지를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권취함으로써 원통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슬리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충진재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및 세라믹 섬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슬리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은, 상기 종이관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종이관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외측 금속박막과, 상기 내화 충진재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상기 내화 충진재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내측 금속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금속박막의 양단부와 내측 금속박막의 양단부는 서로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슬리브.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은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휘거나 접어서 상기 종이관 슬리브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슬리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금속박막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접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관 슬리브.
KR1020150121035A 2015-08-27 2015-08-27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 KR101723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035A KR101723650B1 (ko) 2015-08-27 2015-08-27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035A KR101723650B1 (ko) 2015-08-27 2015-08-27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766A true KR20170026766A (ko) 2017-03-09
KR101723650B1 KR101723650B1 (ko) 2017-04-07

Family

ID=5840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035A KR101723650B1 (ko) 2015-08-27 2015-08-27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6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34B1 (ko) 2007-09-10 2009-01-20 (주) 통일화학 배관용 슬리브
KR101031038B1 (ko) 2008-11-11 2011-04-25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슬리브
KR20110071695A (ko) * 2009-12-21 2011-06-29 이피아이주식회사 규격표시 방법이 향상된 지관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수직 관통구멍 설치방법
KR20130039469A (ko) * 2011-10-12 2013-04-22 (주)세이프코리아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와 그 시공방법
KR101525601B1 (ko) * 2014-11-10 2015-06-05 이피아이주식회사 제거가 용이한 종이 슬리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34B1 (ko) 2007-09-10 2009-01-20 (주) 통일화학 배관용 슬리브
KR101031038B1 (ko) 2008-11-11 2011-04-25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슬리브
KR20110071695A (ko) * 2009-12-21 2011-06-29 이피아이주식회사 규격표시 방법이 향상된 지관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수직 관통구멍 설치방법
KR20130039469A (ko) * 2011-10-12 2013-04-22 (주)세이프코리아 건축물의 파이프 관통부용 내화충전재와 그 시공방법
KR101525601B1 (ko) * 2014-11-10 2015-06-05 이피아이주식회사 제거가 용이한 종이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650B1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804B2 (en) Wall leadthrough for leading a line through a building wall
CA2616059C (en) A composite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EA200870511A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относящиеся к шлангу
RU2010130359A (ru) Трубопровод, секц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DK1299669T3 (da) Fleksibel rörledning med armeringslag i form af stålbånd
BR0016428B1 (pt) conduto tubular flexìvel submarino.
DK202200081U1 (da) Beklædt rør eller røkombination
CN101939887A (zh) 外部套管
KR101723650B1 (ko) 내화 충진재가 내장된 종이관 슬리브
JP2007032631A (ja) 貫通孔閉塞構造
JP2009156278A (ja) 内管の滑落を防止した耐火複合管
JP2008292024A (ja) 不燃性断熱ダクト
JP4970110B2 (ja) 耐火二層管の製造方法
JPH09256504A (ja) 区画貫通部の防火措置体及び防火措置体を用いる区画貫通部の防火措置工法
RU2745550C2 (ru) Гибкая магистраль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азличных сред и труба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5782097B2 (ja) 円管の内壁への被覆部材の取付方法
US20210324623A1 (en) Device for preventing sound transmission through an aperture or a production-related duct in a wall, and a method for soundtight closure of an aperture or a production-related duct in a wall
IE20150434A1 (en) Fire protective sleeve
JP2659908B2 (ja) 耐火二層管の防火区画体貫通部の防火措置工法
JP2012031961A (ja) 耐火二層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11460144B2 (en) High-temperature insulation for thermally insulating pipes
RU62198U1 (ru) Труб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 балластным покрытием в оболочке
JP5926093B2 (ja) 遮音耐火管継手
WO2014148921A2 (en) Improvements in control joints
JP5662096B2 (ja) 防音継手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