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955A -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955A
KR20170025955A KR1020150123109A KR20150123109A KR20170025955A KR 20170025955 A KR20170025955 A KR 20170025955A KR 1020150123109 A KR1020150123109 A KR 1020150123109A KR 20150123109 A KR20150123109 A KR 20150123109A KR 20170025955 A KR20170025955 A KR 2017002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state information
vehicle
data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유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누리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누리티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누리티엔
Priority to KR102015012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955A/ko
Publication of KR2017002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차량 관제 시스템은,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통합 데이터 포맷,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및 통합 프로토콜의 스키마를 저장하는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운행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포맷 중 하나인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인코딩하여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생성된 개별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통합 플랫폼 처리부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전송부; 전송된 개별 상태 정보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하며, 변환된 통합 상태 정보를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변환부; 및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상기 통합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 및 운행에 대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서 수집되는 정보와 차량 관제 서버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이 통일화되어 관리될 수 있으므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포맷이 통일화되기 때문에 관제 서버의 동작을 단순화하고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차량 관제 시스템의 확장 가능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management method using unified platform}
본 발명은 차량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합 데이터 포맷 및 통합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양한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공학의 발전에 힘입어 방대한 량의 물류를 효과적으로 수송하고 관리하기 위한 차량 관제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산업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사람과 재화의 이동을 관리하는 운송과 물류의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관제의 중요성도 증대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운송 회사의 경우 각각의 차량의 운행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비용에 직결되며, 신속하고 확실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도 필수적으로 차량 관제 시스템이 채택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IT 강국으로서 지능형 수송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형 수송 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승객의 운송과 물류의 배달 시간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차량 간의 연계가 가능해지고,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최적화된 방식으로 다량의 승객 또는 물류의 운송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을 추적하기 위해서 디지털 운행 기록기(digital tachograph, DTG)가 사용된다. 디지털 운행 기록기는 차량의 운행에 대한 정보를 누적하여 기록하며, 누적된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관제 서버로 송신한다. 운행에 관한 정보에는 위치 및 속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운행 기록기를 사용하면, 여러 대의 차량의 현재 운행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운행 기록기는 관제 시스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장치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 10-2014-0065665 호를 참조하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운행 기록기에 저장되는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디지털 운행 기록기에 저장된 정보를 가공하여 차량운행자의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하며, 차량 운행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단말기를 통하여 차량 관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이 개시된다.
우리나라는 2000년 초반부터 교통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된 정보 제공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 ITS 기술표준화 사업을 시작하여 ITS 정보 관련 데이터 사전, 메시지 집합에 대한 국가차원의 표준화 연구개발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의 성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와 같이, 지능형 수송 시스템이 아직 널리 보급되지 않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정부 주도로서 사업이 진행되기 이전에 많은 민간 사업자들을 통해 사업이 먼저 추진되다보니, 각 사업자별로 기술의 통일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각 지자체, 공공 기관, 민관 기업별로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 및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주체가 다른 센터와 센터간, 그리고 센터와 장비간의 통신이 서로 연계되어 있지 못하다. 이러한 사실은 ITS를 보급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필요한 운송 및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의 통일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플랫폼이 통일화되지 못하면 차량 관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 막대한 연구비가 투입되고, 개발 기간도 길어지며, 시스템에 새로운 구성 요소가 추가될 경우, 즉 시스템 환경의 변화시에 개별 장치별로 변경 사항에 대해 새로 프로그래밍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개발 환경이 열악해진다. 물론, 서로 완벽히 호환되지 않는 장치 와 센터 간의 통신에 기인하여 통신 오류가 발생할 염려도 커진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할 경우 관제 시스템의 효율이 낮아지고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최악의 경우 잘못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 ITS 산업에는 전국 단위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센터와 센터간, 센터와 장비간 정보 교환 인터페이스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센터와 센터간, 센터와 장비간 데이터 포맷과 통신 프로토콜을 표준화 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 10-2014-0065665 호, "디지털운행기록기정보를 활용하여 통신망을 통한 차량 운행 정보와 관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서 수집되는 정보와 차량 관제 서버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은 물론,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포맷을 통일화함으로써, 다양한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운용 가능한 많은 통신프로그램이나 프로토콜과 호환될 수 있도록 데이터 포맷과 통신 프로토콜을 통합시킴으로써 수요자의 요구에 즉시 대응하고 공급자의 장비를 통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량 관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관제 시스템은,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통합 데이터 포맷,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및 통합 프로토콜의 스키마를 저장하는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운행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포맷 중 하나인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인코딩하여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생성된 개별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통합 플랫폼 처리부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전송부; 전송된 개별 상태 정보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하며, 변환된 통합 상태 정보를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변환부; 및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상기 통합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 및 운행에 대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센서는, 디지털 운행 기록기(digital tachograph),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충돌 센서, 및 차량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상기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개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의 패턴을 상기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분석하여 상기 개별 데이터 포맷을 식별하며,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를 식별된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복원하고, 복원된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통합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상기 차량측 또는 상기 관제 서버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포맷 및 통신 프로토콜이 갱신 및 추가되는 것에 상응하여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관제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궤적 데이터, 속도, 가속도, 운행 기록 데이터, 진단 데이터, 연비 데이터, 및 긴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궤적 제공 서비스, 운전 습관 분석 서비스,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 경제 운전 유도 서비스, 준법 운전 유도 서비스,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관제 방법은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통합 데이터 포맷,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및 통합 프로토콜의 스키마를 플랫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플랫폼 관리 단계;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운행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중 하나인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인코딩하여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 단계; 생성된 개별 상태 정보를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통합 플랫폼 처리부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전송 단계; 전송된 개별 상태 정보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하며, 변환된 통합 상태 정보를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변환 단계; 및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 및 운행에 대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상태 정보 생성 단계는, 디지털 운행 기록기, GPS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충돌 센서, 및 차량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 프로토콜 변환 단계는, 상기 개별 상태 정보를 상기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의 패턴을 상기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분석하여 상기 개별 데이터 포맷을 식별하는 단계;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를 식별된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복원된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통합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랫폼 관리 단계는 데이터 포맷 및 통신 프로토콜이 갱신 및 추가되는 것에 상응하여 상기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관제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궤적 데이터, 속도, 가속도, 운행 기록 데이터, 진단 데이터, 연비 데이터, 및 긴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관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궤적 제공 서비스, 운전 습관 분석 서비스,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 경제 운전 유도 서비스, 준법 운전 유도 서비스,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서 수집되는 정보와 차량 관제 서버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이 통일화되어 관리될 수 있으므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포맷이 통일화되기 때문에 관제 서버의 동작을 단순화하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일된 플랫폼에서 관제 서버가 동작하기 때문에, 현재 운용 가능한 많은 통신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과 호환될 수 있도록 데이터 포맷과 통신 프로토콜을 용이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고, 차량 관제 시스템을 상황에 따라 탄력적이고 용이하게 수정함으로써 차량 관제 시스템의 확장 가능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사용되었던 센서와 장치들을 그대로 사용하여 통일화된 차량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의 초기 구축비가 최소화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차량 관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 의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가 차량측 및 관제 서버측에 위치되는 경우를 각각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도 1 의 관제 서버(180)에 의하여 제공되는 관제 서비스를 각각 예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차량 관제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차량 관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관제 시스템(100)은 센서(110, 120, 130), 상태 정보 생성부(140), 상태 정보 전송부(150),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 플랫폼 데이터베이스(170), 관제 서버(180), 및 서비스 이력 데이터베이스(190)을 포함한다.
우선, 센서(110, 120, 130)는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110, 120, 130)의 예를 몇 가지 들면, 디지털 운행 기록기(digital tachograph),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충돌 센서, 및 차량용 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차량의 다양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모든 센서들이 센서(110, 120, 130)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디지털 운행 기록기는 자동차 운행에 관련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기로서, 차량 운행에 관련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운행 이력만 저장하였으나, 현재 운행 이력 이외의 다양한 정보도 디지털 운행 기록기에 의하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운행 기록기는 과속, 엔진 과회전, 긴 시간 과속, 급가속, 급제동 같은 운전 자료를 얻기 위해서도 역시 이용될 수 있다. 현재, 대형 상용차에는 디지털 운행 기록기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디지털 운행 기록기의 출력을 분석하여 얻어지는 정보 외에 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속도 정보, 가속도 정보, 및 차량의 회전에 관련된 정보를 반드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디지털 운행 기록기의 출력을 분석해서 얻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디지털 운행 기록기의 출력으로부터 분석된 값보다 별개의 센서를 사용할 경우 더 정밀하게 원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 센서는 브레이크 페달이 밟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브레이크 페달 센서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급발진 사고의 원인 규명에 필요한 센서이다. 충돌 센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돌을 감지한다. 감지된 충돌에 기초해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이벤트가 기록될 수 있고, 에어백 등을 전개시켜야 하는지가 판단될 수 있다. 이 외에 차량용 카메라가 포함되어 차량의 운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센서(110, 120, 130)에 의하여 다양한 센서 신호가 생성되면, 상태 정보 생성부(140)는 생성된 센서 신호에 기초해서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태 정보 생성부(140)는 센서(110, 120, 130)의 출력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및 운행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 정보를 데이터 포맷 중 하나인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태 정보 생성부(140)는 획득된 상태 정보를 플랫폼 데이터베이스(170)를 참조하여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한다. 플랫폼 데이터베이스(170)는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통합 데이터 포맷,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및 통합 프로토콜의 스키마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명세서에서 "플랫폼"이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이 동작하는 동작 환경을 가리킨다. 플랫폼에는 데이터 포맷 및 통신 프로토콜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 포맷"이란 측정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식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어떠한 정보를 어떠한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전송할 것인지 수신측에서 알고 있어야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해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통신 프로토콜"이란 장치간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사전 약속된 규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태 정보 생성부(140)에 의하여 개별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개별 상태 정보는 상태 정보 전송부(150)에 의하여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로 전송된다. 그런데, 개별 상태 정보는 차량에 설치된 센서가 채택하는 다양한 데이터 포맷 중 하나의 포맷을 사용하여 인코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개별 상태 정보로부터 유효한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에서 해당 데이터 포맷을 통합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통합 상태 정보는 통합 프로토콜을 통해서 관제 서버(180)로 전송된다. 통합 프로토콜이 통일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인코딩되기 때문에, 관제 서버(180)는 수신된 통합 상태 정보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유효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관제 서버(180)는 추출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차량 관제 서비스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가 개별 상태 정보로부터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상태 정보 수신 : 우선,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상태 정보 전송부(150)에 의하여 전송된 개별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상태 정보 생성부(140)는 개별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개별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개별 프로토콜에 대한 스키마는 플랫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므로, 상태 정보 전송부(150)는 플랫폼 데이터베이스(170)를 참조하여 선택된 개별 프로토콜의 스키마에 따라 개별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 개별 상태 정보 패턴 분석 : 개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의 패턴을 플랫폼 데이터베이스(170)를 참조하여 분석해서 개별 데이터 포맷을 식별한다.
상태 정보를 인코딩하여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개별 데이터 포맷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 또는 하드웨어적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수신된 데이터의 헤더, 필드, 길이 등을 플랫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데이터 포맷들과 비교하여 사용된 개별 데이터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패킷의 헤더의 속성, 페이로드의 길이, 필드의 속성 등이 데이터 포맷을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즉,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추출된 속성에 맞는 데이터 포맷을 플랫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포맷 중에서 검색함으로써 사용된 개별 데이터 포맷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개별 데이터 포맷을 사전 약속된 물리적 채널을 통해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에 사용된 물리적 채널을 식별함으로써 사용된 개별 데이터 포맷을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 별로 상이한 포트 번호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다면,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서 사용된 포트 번호를 알게 되면 해당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개별 데이터 포맷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 개별 상태 정보 디코딩 : 이와 같이,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된 개별 데이터 포맷이 식별되면,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를 식별된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상태 정보를 복원한다. 디코딩을 통해서 데이터 패킷의 오류를 감지할 수도 있고, 오류가 없는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유효한 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상태 정보 생성부(140)에 의하여 생성된 상태 정보가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에 의하여 복원되는 것이다.
- 통합 상태 정보 인코딩 : 그러면,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복원된 상태 정보에 통합 데이터 포맷을 적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통합 데이터 포맷은 모든 관제 서버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이기 때문에, 차량측의 센서(110, 120, 130)가 어떠한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상태 정보를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하였는지와 무관하게 관제 서버는 오직 통합 데이터 포맷만을 이해하면 된다. 따라서, 관제 서비스를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다.
- 통합 상태 정보 전송 : 통합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생성된 정보를 통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관제 서버(18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으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구매자 식별 정보로부터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유효 정보 추출 모듈 및 상기 유효 정보 추출 모듈에서 추출한 정보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 포맷 형식으로 조합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통합 데이터 포맷 조합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유효 정보 추출 모듈은 각기 다른 신호 형식을 가진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각 장치의 신호들을 입력받아 각 신호들에서 헤더 및 예약 문자 등의 불필요한 정보들을 제외하고 필요한 정보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합 데이터 포맷 조합 모듈은 상기 유효 정보 추출 모듈에서 추출한 정보 데이터들을 기 설계된 통합 데이터 포맷 형식으로 조합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PC에서 통신을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의 표준으로 사용 중인 RS-232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여 각 장치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병렬 통신은 직렬 통신과 비교하여 구현이 어렵고 고가이며, 통신 거리의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통일성은 장치 및 관제 서버 간의 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서 헤더 종류를 확인한다. 각 신호들은 헤더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 데이터 추출을 위하여 헤더 종류별로 신호를 분류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신호의 문자열 길이를 파악한 후, 콤마와 아스테리스크(*)와 같은 불필요한 예약 문자들을 분류한다. 여기서, 예약 문자란 표준 문장의 경우 시작과 끝, 그리고 각 필드들을 구분하기 위해 정의된 문자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예약 문자들은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입력 신호 분리 과정에서 별도로 분류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자 카운터 값의 비교를 통하여 유효 데이터 여부를 판단하여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예약 문자 카운터를 문자 카운터와 비교하여 예약 문자 카운터의 값이 문자 카운터의 값과 같으면, 해당 문자열을 유효 데이터로 판단하지 않고 변수를 NULL로 설정하며, 예약 문자 카운터의 값이 문자 카운터의 값보다 크면, 해당 문자열을 유효 데이터로 판단한다.
위의 과정이 끝나면, 문자 카운터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 후, 증가된 문자 카운터의 값을 다시 비교하여 신호가 종료되었으면 정보 데이터 추출을 마치고, 신호가 아직 끝나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가 끝날 때까지 위와 같은 예약 문자 분류 및 정보 데이터 추출과정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 경우 장치가 복수 개라면 멀티 쓰레딩 방식을 적용하여 각각의 장치마다 하나의 쓰레드를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복수개의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이 동시에 처리되어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유효 데이터가 추출되면,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서 인코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관제 서버(180)와는 별개의 장치인 것처럼 도시되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는 관제 서버(180)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 의 통합 플랫폼 변환부(160)가 차량측 및 관제 서버측에 위치되는 경우를 각각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 에 도시된 차량 관제 시스템(200)은, 상태 정보 생성부(240), 상태 정보 전송부(250),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70), 관제 서버(280), 서비스 이력 데이터베이스(290)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 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그러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반복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도 2a 를 보면, 상태 정보 생성부(240), 상태 정보 전송부(250),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 및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70)가 차량측(A)에, 그리고 관제 서버(280) 및 서비스 이력 데이터베이스(290)가 관제 서버측(B)에 위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 및 관제 서버(280) 사이의 통신은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a 를 보면, 상태 정보 생성부(240), 상태 정보 전송부(250)과 함께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와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70)가 차량측에 구현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상태 정보는 차량측(A)에서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되어 서버측(B)으로 전송된다. 이 때,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는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들을 통합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모뎀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a 에서와 같이, 차량측(A)에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가 구현되면 서버측(B)에서는 통합 데이터 포맷만 이해하고 있으면 되므로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70)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차량측(A)에 어떠한 장치들이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되더라도, 서버측(B)에서는 추가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편리해진다.
또한, 서버측(B)에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서버측(B)에서는 서비스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한 뒤,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와 통신하면 족하다. 그러면,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는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코딩한 후, 복원된 서비스 데이터를 각각의 장치에 맞는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서 인코딩하여 제공한다.
이제, 도 2b 를 보면, 상태 정보 생성부(240), 상태 정보 전송부(250), 및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70)가 차량측(A)에, 그리고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70), 관제 서버(280) 및 서비스 이력 데이터베이스(290)가 관제 서버측(B)에 위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정보 전송부(250) 및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 사이의 통신은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b 를 보면,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가 상태 정보 생성부(240) 및 상태 정보 전송부(250)와 달리 서버측(D)에 구현된다. 즉, 다양한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상태 정보는 차량측(C)에서 개별 상태 정보로 변환되어 서버측(D)으로 전송된다. 이 때,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는 관제 서버(280)에 내장되어 개별 상태 정보를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하는 플랫폼 통합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b 에서와 같이 서버측(D)에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가 구현되면 차량측(A)에서는 다양한 센서들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각 센서의 제조사가 정한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서 자유롭게 인코딩한 후 상태 정보 전송부(250)를 통해서 전송하면 족하다. 즉, 도 2b 에 도시된 차량 관제 시스템(200)은 차량 측에 센서와 상태 정보 전송부(250) 외에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를 구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모든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2b에서,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가 서버측(D)에 구현되기 때문에,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가 참조하기 위해서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70) 역시 서버측(D)에 구현될 필요가 있다. 비록 서버측(D)에서 다양한 개별 데이터 포맷으로 인코딩된 개별 상태 정보를 수신하지만,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는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에 의하여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되어 처리된다. 따라서, 차량측(A)에 어떠한 장치들이 새로 추가되거나 변경되더라도, 관제 서버(280)는 여전히 추가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 필요가 없다.
서버측(D)에서 차량측(C)으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서버측(D)에서는 서비스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한 뒤,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로 전송하면 족하다. 그러면, 통합 플랫폼 변환부(260)는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코딩한 후, 복원된 서비스 데이터를 각각의 장치에 맞는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서 인코딩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다양한 센서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통일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 뒤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관제 시스템이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도 1 의 관제 서버(180)에 의하여 제공되는 관제 서비스를 각각 예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관제 서버는 통합 플랫폼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통합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다양한 서비스는 서비스 이력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되어 추후 이용될 수도 있다. 서비스 이력 데이터베이스(290)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로는, 디지털 운행 기록기 데이터, 실시간 위치 데이터, 공회전 데이터, 경제 운전 데이터, 차량 상태 데이터, 공통 플랫폼 데이터(통합 계정 관리, 인증, 보안, 백업, 저장 등), 온습도 데이터, 물류 에너지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관제 서버가 제공할 수 있는 관제 서비스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궤적 제공 서비스
궤적이란 차량이 운행한 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궤적 제공 서비스는 단순히 특정 차량의 운행 궤적만이 아니라 여러 대의 차량들의 시간대별 운행 궤적을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는 차량 운행 현황 제공 서비스를 예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를 참조하면, 여러 대의 차량들의 시간대별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관제 서버에서는 물류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경제 운전 유도 서비스
경제 운전이란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운전 습관을 의미한다. 차량 운행 거리가 짧은 개인과 달리, 많은 차량들이 장거리를 운행하는 경우 경제 운전의 필요성은 더욱 커진다. 일반적으로 경제 운전을 위해서는 차량별 최고 연비 rpm을 알 필요가 있고, 정체 정도와 더불어 오르막 및 내리막과 같은 운행 도로의 현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제 서버는 차량들의 현재 위치와 운행 궤적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특정 차량이 앞으로 어떠한 거리를 주행할 것인지를 파악하여 경제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b 는 경제 운전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를 보면, 공회전 시간, 정지 상태에서의 가속기 페달 사용 시간, 고rpm 운전 시간, 급가속 및 급제동 횟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운행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된 결과는 다른 운전자와 비교하여 제공되므로, 개선에 대한 동기 부여가 가능하다.
-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란 운행중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사태에 대응하고, 사고를 최소화하도록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3c 는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c 를 참조하면, 과속 시간, 장기 과속 횟수, 급감속 횟수, 급제동 횟수, 급정지 횟수, 급가속 횟수, 급출발 횟수, 앞지르기 횟수, 불법 진로변경 횟수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이 모니터링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된 정보는 다른 운전자와 역시 비교된다.
- 운전 습관 분석 서비스
운전 습관 분석 서비스란,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급감속 유형, 과속 유형, 급회전 유형, 급진로변경 유형, 급가속 유형 등으로 세분화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 습관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도록 하여 습관 개선을 유도하는 서비스이다. 도 3d 는 운전 습관 분석 서비스를 각각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운전 습관 유형들이 간단한 그래프로 표시되고, 이러한 유형들은 회사의 평균과 함께 비교되므로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 습관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는 각종 오일 점검 주기, 휠 얼라인먼트 상태, 타이어 마모 상태, 타이어 공기압 상태, 배터리 충전량,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 정도 등 다양한 차량 상태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는 오일, 냉각수, 에어필터 등 소모품의 교체 주기도 역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준법 운전 유도 서비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관제 시스템은 차량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궤적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구간에 대한 속도 상한 및 하한, 스쿨존 여부, 교통 신호 체계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가 준법 운전을 잘 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쿨존에 진입할 경우 속도를 시속 30킬로 이하로 감속할 것으로 경고한 후, 스쿨존 통과시의 평균 속도가 30킬로미터 이상이라면 법규를 준수하지 않았다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준법 운전을 유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법규 위반으로 인한 과태료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사고 처리 서비스
차량에 충격 센서와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관제 서버는 사고 위치와 피해 정도를 즉시 관련 기관에게 통지하고, 보험사를 호출하는 등 신속하게 사고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과 차량의 사고 직전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 처리가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는 낙석 등 사고가 많은 구간을 조심해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등, 차량 운행의 안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관제 서버는 통합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제 서비스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으며, 위의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차량 관제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플랫폼 데이터베이스에서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통합 데이터 포맷,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및 통합 프로토콜의 스키마를 관리한다(S410). 플랫폼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데이터 포맷과 통합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때문에, 특정 데이터 포맷이나 통합 프로토콜이 갱신되더라도 플랫폼 데이터베이스에만 해당 내용을 반영하면 족하다. 따라서, 차량 관제 시스템에 다양한 장치들을 용이하게 추가하고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관제 시스템이 용이하게 갱신될 수 있다.
차량이 운행하면,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태 정보가 생성된다(S430). 이 때 생성되는 상태 정보는 개별 상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차량의 운행 도중 차량의 위치 및 운행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중 하나인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태 정보를 인코딩하여 개별 상태 정보가 생성된다.
개별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개별 상태 정보를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통합 플랫폼 처리부로 전송한다(S450).
그러면,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전송된 개별 상태 정보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한다(S470). 또한,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변환된 통합 상태 정보를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관제 서버로 제공한다. 통합 플랫폼 변환부가 차량측에 있을 경우,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를 사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통합 플랫폼 변환부가 서버측에 내장될 경우,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를 사용하여 관제 서버로 통합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상태 정보가 제공되면, 관제 서버는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의 상태 및 운행에 대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한다(S490). 관제 서버가 제공하는 관제 서비스에는 궤적 제공 서비스, 운전 습관 분석 서비스,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 경제 운전 유도 서비스, 준법 운전 유도 서비스,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관제 방법에 따르면, 표준 디지털 운행 기록계 및 GPS 전용 단말 등 다양한 단말기를 지원할 수 있고, 온도 기록 장치, 유량 측정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물류에너지 차량 관제, 운행 분석, 보고서 생성, 자료 저장 및 제출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플랫폼(PC, 모바일 플랫폼)에서 용이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기술과 고객의 니즈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서비스를 개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경제 운전 유도 서비스는 연료 소모량 기반의 연비 관리 서비스, 주유량 기반의 연비 관리 서비스, 그리고 온실 가스 배출량 관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는 차량의 온도, 습도 정보 관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온도, 습도 관리 서비스는 특히 냉동 차량의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차량 관제 서비스에는 영업 차량에 대한 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서비스가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관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100, 200 : 차량 관제 시스템
110, 120, 130 : 센서
140, 240 : 상태 정보 생성부
150, 250 : 상태 정보 전송부
160, 260 : 통합 플랫폼 변환부
170, 270 :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180, 280 : 관제 서버
290 : 서비스 이력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으로서,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통합 데이터 포맷,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및 통합 프로토콜의 스키마를 저장하는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운행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포맷 중 하나인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인코딩하여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생성된 개별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통합 플랫폼 처리부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전송부;
    전송된 개별 상태 정보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하며, 변환된 통합 상태 정보를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변환부; 및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상기 통합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 및 운행에 대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디지털 운행 기록기(digital tachograph),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충돌 센서, 및 차량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상기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개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의 패턴을 상기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분석하여 상기 개별 데이터 포맷을 식별하며,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를 식별된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복원하고, 복원된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통합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플랫폼 변환부는 상기 차량측 또는 상기 관제 서버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포맷 및 통신 프로토콜이 갱신 및 추가되는 것에 상응하여 업데이트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궤적 데이터, 속도, 가속도, 운행 기록 데이터, 진단 데이터, 연비 데이터, 및 긴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궤적 제공 서비스, 운전 습관 분석 서비스,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 경제 운전 유도 서비스, 준법 운전 유도 서비스,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6.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통합 데이터 포맷,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및 통합 프로토콜의 스키마를 플랫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플랫폼 관리 단계;
    차량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운행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 개의 데이터 포맷 중 하나인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인코딩하여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 단계;
    생성된 개별 상태 정보를 복수 개의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통합 플랫폼 처리부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전송 단계;
    전송된 개별 상태 정보를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통합 상태 정보로 변환하며, 변환된 통합 상태 정보를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변환 단계; 및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 및 운행에 대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 서비스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생성 단계는,
    디지털 운행 기록기, GPS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충돌 센서, 및 차량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개별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프로토콜 변환 단계는,
    상기 개별 상태 정보를 상기 개별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의 패턴을 상기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분석하여 상기 개별 데이터 포맷을 식별하는 단계;
    수신된 개별 상태 정보를 식별된 개별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
    복원된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통합 상태 정보를 상기 통합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관제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관리 단계는;
    데이터 포맷 및 통신 프로토콜이 갱신 및 추가되는 것에 상응하여 상기 플랫폼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비스 제공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의 궤적 데이터, 속도, 가속도, 운행 기록 데이터, 진단 데이터, 연비 데이터, 및 긴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관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궤적 제공 서비스, 운전 습관 분석 서비스, 차량 상태 진단 서비스, 경제 운전 유도 서비스, 준법 운전 유도 서비스, 사고 처리 서비스, 및 안전 운전 유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방법.








KR1020150123109A 2015-08-31 2015-08-31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5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09A KR20170025955A (ko) 2015-08-31 2015-08-31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09A KR20170025955A (ko) 2015-08-31 2015-08-31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55A true KR20170025955A (ko) 2017-03-08

Family

ID=5840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09A KR20170025955A (ko) 2015-08-31 2015-08-31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95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80B1 (ko) * 2017-11-20 2018-07-0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을 검출하고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259300A (zh) * 2020-02-11 2021-08-13 耀鸿(嘉兴)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面板控制系统与智能面板装置
WO2023097158A1 (en) * 2021-11-29 2023-06-01 Amazon Technologies, Inc. Fleet data collection using a unified model to collect data from heterogenous vehicles
US11887411B2 (en) 2021-01-27 2024-01-30 Amazon Technologies, Inc. Vehicle data extraction service
US11902374B2 (en) 2021-11-29 2024-02-13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vehicle data extraction ser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665A (ko) 2012-11-19 2014-05-30 김주영 디지털운행기록계정보를 활용하여 통신망을 통한 차량 운행정보와 관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665A (ko) 2012-11-19 2014-05-30 김주영 디지털운행기록계정보를 활용하여 통신망을 통한 차량 운행정보와 관제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80B1 (ko) * 2017-11-20 2018-07-0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을 검출하고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259300A (zh) * 2020-02-11 2021-08-13 耀鸿(嘉兴)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面板控制系统与智能面板装置
CN113259300B (zh) * 2020-02-11 2022-09-27 耀鸿(嘉兴)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面板控制系统与智能面板装置
US11887411B2 (en) 2021-01-27 2024-01-30 Amazon Technologies, Inc. Vehicle data extraction service
WO2023097158A1 (en) * 2021-11-29 2023-06-01 Amazon Technologies, Inc. Fleet data collection using a unified model to collect data from heterogenous vehicles
US11902374B2 (en) 2021-11-29 2024-02-13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vehicle data extraction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0795B2 (en) Driving service active sensing system and method in internet of vehicles environment
US11176815B2 (en) Aggregated analytics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CN108860165B (zh) 车辆辅助驾驶方法和系统
US8160764B2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20170025955A (ko) 통합 플랫폼을 사용한 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07614353B (zh) 建立和管理列车编组的系统和方法
US20190354838A1 (en) Automobile Accident Detection Using Machine Learned Model
CN103890730B (zh) 用于传感器驱动的车辆遥测应用和服务的开发和部署的计算平台
US20210201666A1 (en) Scalable and distributed detection of road anomaly events
JP3657835B2 (ja)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N111369798A (zh) 一种车辆违章监督的方法、车机及车辆
CN103870927A (zh) 基于智能手机和obd设备的车辆事故报险系统及方法
CN110264718A (zh) 一种非机动车的违章识别方法、装置及系统
US20160148447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abnormal state of vehicle
US20220366336A1 (en) Fleet operational assessment based on extrapolation of geolocation data
CN106898157A (zh) 用于传输、接收和处理数据值的方法以及传输与接收设备
CN106740580A (zh) 一种评估系统及评估总系统
CN105988460B (zh) 车辆跑道动态检测方法、装置和系统
Badawy et al. An iot based school bus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WO20080696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lematics service
CN111047835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公路客运超速预警系统
CN108665711A (zh) 一种智能车辆交互系统及方法
US20220324467A1 (en) Driving safety systems
CN103226895A (zh) 用于为导航装置提供速度警告信息的方法和数据处理装置
KR102246432B1 (ko) IoT 기반 LNG 건설기계 차량용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