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833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833A
KR20170025833A KR1020150122850A KR20150122850A KR20170025833A KR 20170025833 A KR20170025833 A KR 20170025833A KR 1020150122850 A KR1020150122850 A KR 1020150122850A KR 20150122850 A KR20150122850 A KR 20150122850A KR 20170025833 A KR20170025833 A KR 2017002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lay
terminal
communica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364B1 (ko
Inventor
서석배
김광만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364B1/ko
Priority to US15/244,487 priority patent/US10344998B2/en
Priority to CN201610753006.5A priority patent/CN106482215B/zh
Priority to EP16186302.2A priority patent/EP3136006B1/en
Publication of KR2017002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3/1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24F11/0086
    • F24F1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24F11/87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by controlling outdo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24F2011/006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실내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1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와,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제1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와, 제1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를 구비하며, 실외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 제2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와, 제2 통신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와, 교류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 및 컨버터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와, 통신 전압 출력부와, 제2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실외기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 모드에서 실외기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모드에서 실외기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실내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1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와,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제1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와, 제1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를 구비하며, 실외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 제2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와, 제2 통신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와, 교류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 및 컨버터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와, 통신 전압 출력부와, 제2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실내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1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와,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제1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와, 제1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를 구비하며, 실외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 제2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와, 제2 교류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와, 제2 교류 전원 단자, 및 제2 릴레이의 일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 및 컨버터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와, 통신 전압 출력부와, 제2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실내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1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와,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제1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와, 제1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를 구비하며, 실외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 제2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와, 제2 통신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와, 교류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 및 컨버터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와, 통신 전압 출력부와, 제2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실외기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스타트 릴레이인, 제2 릴레이를 통해, 교류 전원이 공급되다가, 제2 릴레이 오프 후 제3 릴레이가 온되어, 제3 릴레이를 통해 교류 전원이 공급되므로, 대기 모드 종료 후, 플러그 연결시, 신속한, 교류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실내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1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와,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제1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와, 제1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를 구비하며, 실외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 제2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와, 제2 교류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와, 제2 교류 전원 단자, 및 제2 릴레이의 일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 및 컨버터와,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와, 통신 전압 출력부와, 제2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실외기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압축기 구동부의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5a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b는 도 4의 컨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은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연결을 위한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연결을 위한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연결을 위한 회로도를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1), 실내기(21)에 연결되는 실외기(3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1)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스탠드형 실내기(21)를 예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31)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기(31)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21)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31)는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21)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31)는, 연결된 실내기(310)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한다.
실내기(21)는, 실외기(3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1)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31) 및 실내기(21)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리모컨(미도시)는 실내기(21)에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21)와 실외기(31)로 구분된다.
실외기(31)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모터(250)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 또는 팽창 밸브(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 또는 사방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21)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9)와, 실내측 열교환기(109)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9)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외기(31) 내의 실외팬(105a)은, 모터(250)를 구동하는 실외 팬 구동부(2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외 팬 구동부(200)를 실외 팬 구동장치로 명명할 수도 있다.
한편, 실외기(31) 내의 압축기(102)는, 압축기 모터(미도시)를 구동하는 압축기 모터 구동부(도 3의 11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실외기(31) 내의 실내팬(109a)은, 실내 팬 모터(109b)를 구동하는 실내 팬 구동부(3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의 공기조화기(100)는, 압축기(102), 실외 팬(105a), 실내 팬(109a), 제어부(310), 히터(330), 제빙기(190), 아이스 뱅크(195), 토출 온도 감지부(118), 실외 온도 감지부(138), 실내 온도 감지부(158),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압축기 구동부(113), 실외 팬 구동부(200), 실내 팬 구동부(300), 절환 밸브(110), 팽창 밸브(106), 표시부(130), 및 입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2), 실외 팬(105a), 실내 팬(109a)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목표 온도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표시부(130)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공기조화기(100)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메모리(140)는, 외풍의 세기를 판별하기 위한, 상 전류 레벨 중 제1 레벨, 제2 레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토출 온도 감지부(118)는, 압축기(102)에서의 냉매 토출 온도(Tc)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냉매 토출 온도(Tc)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외 온도 감지부(138)는, 공기조화기(100)의 실외기(31) 주변의 온도인, 실외 온도(To)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실외 온도(To)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실내 온도 감지부(158)는, 공기조화기(100)의 실내기(21) 주변의 온도인, 실내 온도(Ti)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실내 온도(Ti)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감지된 냉매 토출 온도(Tc), 감지된 실외 온도(To), 감지된 실내 온도(Ti) 중 적어도 하나, 및 입력된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가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목표 과열도를 산출하여, 공기조화기(100)가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압축기(102), 실내팬(109a), 실외팬(105a)의 동작 제어를 위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압축기 구동부(113), 실외 팬 구동부(200), 실내 팬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압축기 구동부(113), 실외 팬 구동부(200), 또는 실내 팬 구동부(300)에,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각각 해당하는 속도 지령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속도 지령치 신호에 기초하여, 압축기 모터(미도시), 모터(250), 실내 팬 모터(109b)는, 각각, 목표 회전 속도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0)는, 압축기 구동부(113), 실외 팬 구동부(200), 또는 실내 팬 구동부(300)에 대한 제어 이외에, 공기조화기(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냉/난방 절환밸브 또는 사방밸브(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10)는, 팽창기구 또는 팽창 밸브(1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압축기 구동부의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축기 구동부(113)는, 압축기 모터(250)에 삼상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인버터(220)와, 인버터(220)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230)와, 인버터(22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210), 컨버터(210)를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부(215), 컨버터(210)와 인버터(220) 사이의 dc단 커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구동부(113)는, dc단 전압 검출부(B), 입력 전압 검출부(A), 입력 전류 검출부(D), 출력 전류 검출부(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구동장치(200)는, 계통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 변환하여, 모터(250)에 변환된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모터 구동장치(200)는, 전력변환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컨버터(210)는,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컨버터(210)는, 정류부(미도시)만을 구비하거나, 정류부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정류부(미도시)는, 단상 교류 전원(201)을 입력받아 정류하여 정류된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류부(미도시)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다이오드 소자 및 하암 다이오드 소자(D'a,D'b)가 한 쌍이 되며, 총 두 쌍의 상,하암 다이오드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브릿지 형태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2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예를 들어, 부스트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정류부(미도시)와 인버터(220) 사이에, 서로 직렬 접속되는 인덕터와 다이오드, 인덕터와 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컨버터 제어부(215)는, 컨버터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스위칭 소자의 턴 온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턴 온 타이밍을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cc)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버터 제어부(215)는, 입력 전압 검출부(A)와 입력 전류 검출부(D)로부터 각각, 입력 전압(Vs)과, 입력 전류(Is)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전압 검출부(A)는, 입력 교류 전원(201)으로부터의 입력 전압(Vs)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부(미도시)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전압 검출부(A)는, 전압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 OP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 전압(Vs)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cc)의 생성을 위해, 컨버터 제어부(215)에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전압 검출부(A)에 의해, 입력 전압의 제로 크로싱 지점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입력 전류 검출부(D)는, 입력 교류 전원(201)으로부터의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부(미도시)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D)는,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센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 전압(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cc)의 생성을 위해, 컨버터 제어부(215)에 인가될 수 있다.
dc 전압 검출부(B)는 dc 단 커패시터(C)의 직류 전압(Vdc)을 검출한다. 전원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 OP AM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된 dc 단 커패시터(C)의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2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dc 단 커패시터(C)의 직류 전압(Vdc)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검출되는 dc 전압은, 컨버터 제어부(215)에 인가되어,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가 생성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인버터(2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삼상 모터(2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220)는, 부하인 모터(250)로, 인버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의 인버터 전력은, 부하인 모터(250)에서 필요한 전력으로서, 필요한 목표 전력에 추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버터(22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230)는, 인버터(2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22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모터(250)에 흐르는 삼상 전류인 출력 전류(io) 및 dc단 커패시터 양단인 dc 단 전압(Vdc)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의 삼상의 출력 전류(io)는, 출력전류 검출부(E)로부터 검출될 수 있으며, dc 단 전압(Vdc)은 dc 단 전압 검출부(B)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모터(25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모터(25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220)와 모터(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2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2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도 5a는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230)는, 축변환부(310), 속도 연산부(320), 전류 지령 생성부(330), 전압 지령 생성부(340), 축변환부(3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변환부(3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삼상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한다.
한편, 축변환부(3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320)는, 축변환부(310)에서 축변화된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에 기초하여,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1
)와 연산된 속도(
Figure pat00002
)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3
)와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4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 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 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330)는, 전류 지령치(i*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3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 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 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 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3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350)에 입력된다.
축변환부(350)는, 속도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5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3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6
)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변환부(3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3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도 8a 또는 도 8b의 820a,820b 등)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도 5b는 도 4의 컨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컨버터 제어부(215)는, 전류 지령 생성부(410), 전압 지령 생성부(42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지령 생성부(410)는, 출력 전압 검출부(B), 즉 dc 단 전압 검출부(B)에서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과 dc 단 전압 지령치(V*dc)에 기초하여, PI 제어기 등을 통해 d,q축 전류 지령치(i* d,i* q)를 생성할 수 있다.
전압 지령 생성부(420)는 d,q축 전류 지령치(i* d,i* q)와, 입력 전류 검출부(A)에서 검출되는 입력 전류(is)에 기초하여 PI 제어기 등을 통해 d,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430)는 d,q축 전압 지령치(v* d,v* q)에 기초하여, 도 4의 컨버터(210) 내의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를 컨버터(21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내기(21)는, 실내 회로부(620)에 접속되는 실내 접속부(610)를 구비하며, 실외기(31)는, 실외 회로부(625)에 접속되는 실외 접속부(615)를 구비한다.
실내 접속부(610)는, 교류 전원 단자(L), 통신 단자(C), 뉴트럴 단자(N1)를 구비할 수 있다.
실외 접속부(615)는, 제1 교류 전원 단자(L1),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제1 뉴트럴 단자(N1), 제2 뉴트럴 단자(N2), 통신 단자(C)를 구비할 수 있다.
실외 접속부(615)의, 제2 교류 전원 단자(L2)와, 제2 뉴트럴 단자(N2), 통신 단자(C)는, 각각 실내 접속부(610)의, 교류 전원 단자(L)와, 뉴트럴 단자(N), 통신 단자(C)에 접속할 수 있다.
전원 플러그(605)가 접속부(615)에 접속되는, 실외 인입 결선 방식의 경우,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1 뉴트럴 단자(N1)를 통하여, 교류 전원이 인가되며, 실외 회로부(625)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또한, 제2 교류 전원 단자(L2)와, 제2 뉴트럴 단자(N2)에 접속되는, 교류 전원 단자(L)와, 뉴트럴 단자(N)를 통해, 실내 회로부(620)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 플러그(605)가 계통에 접속된 상태이나, 전원 버튼이 동작하지 않는, 대기 모드(standby mode)의 경우에, 실내 회로부(620), 및 실외 회로부(625)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대기 모드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실외 인입 결선 방식을 사용하여, 대기 모드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연결을 위한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21)는, 제1 교류 전원 단자(L1), 제1 통신 단자(C1), 제1 뉴트럴 단자(N1)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710)와,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1 통신 단자(C1)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Ry1)와, 제1 통신 단자(C1)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21)는, 제1 교류 전원 단자(L1)에 접속되는 정류부(7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31)는, 제1 교류 전원 단자(L1), 제1 통신 단자(C1), 제2 뉴트럴 단자(N2)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제2 통신 단자(C2), 제2 뉴트럴 단자(N2)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715)와, 제2 통신 단자(C2)에 일단(a)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Ry2)와, 교류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Ry3)와, 제2 릴레이(Ry2)의 타단(b) 및 제3 릴레이(Ry3)의 타단(b)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213) 및 컨버터(210)와, 제2 릴레이(Ry2)의 타단(b) 및 제3 릴레이(Ry3)의 타단(b)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717)와, 통신 전압 출력부(717)와, 제2 통신 단자(C2)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72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31)는, 전압 강압부(2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제어부(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플러그(7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원 라인(Li1)은,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사이에 접속된다.
한편, 전원 플러그(7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원 라인(Li2)은, 제1 뉴트럴 전원 단자(N1)와 제2 뉴트럴 단자(N2) 사이에 접속된다.
제어부(215)는, 실외기(31) 내의, 제2 릴레이(Ry2), 제3 릴레이(Ry3), 전압 강압부(213) 및 컨버터(210), 통신 전압 출력부(717), 제2 통신부(725)의, 온/ 오프 제어, 또는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15)는, 실내기(21) 내의, 제1 릴레이(Ry1), 제1 통신부(720)의, 온/ 오프 제어, 또는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3 릴레이(Ry3)는, 제어부(215)로부터의 직류 전원 또는 전압 강압부(213)로부터의 직류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dc 릴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해,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1 릴레이(Ry1)가 온 되는 경우,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한 교류 전원이, 제1 교류 전원 단자(L1)에서 제1 통신 단자(C1)를 경유하여, 제1 통신부(720)와 제2 통신 단자(C2)로 전달된다.
특히, 제1 교류 전원 단자(L1)에서 제1 통신 단자(C1)를 경유하여, 제1 통신부(720)로, 제1 전류 패쓰(Path1)가 형성된다.
한편,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해,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2 릴레이(Ry2)가 온 되는 경우, 제1 교류 전원 단자(L1), 제1 통신 단자(C1), 제2 통신 단자(C2)를 통한, 교류 전원이,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로 전달되어,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 동작한다.
이때, 제1 교류 전원 단자(L1), 제1 통신 단자(C1), 제2 통신 단자(C2), 제2 릴레이(Ry2)를 통해, 제2 전류 패쓰(Path2)가 형성된다.
제어부(250)는, 전압 강압부(213)로부터의 동작 전원 전달에 따라, 동작하며, 제2 릴레이(Ry2)가 오프되고 제3 릴레이(Ry3)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8b를 참조하면,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 동작 후, 제2 릴레이(Ry2)가 오프되고 제3 릴레이(Ry3)가 온 되는 경우,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한 교류 전원이,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제3 릴레이(Ry3)를 거쳐,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로 전달되며,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가 동작한다.
이때, 제1 전원 라인(Li1),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제3 릴레이(Ry3)를 통해, 제3 전류 패쓰(Path3)가 형성된다.
한편, 통신 전압 출력부(717)는,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의 동작에 따라, 통신 전압을 출력하며, 출력되는 통신 전압은, 제2 통신부(725), 제2 통신 단자(C2)와, 제1 통신 단자(C1)를 거쳐, 제1 통신부(720)로 전달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통신 전압 출력부(717), 제2 통신부(725), 제2 통신 단자(C2)와, 제1 통신 단자(C1)를 거쳐, 제1 통신부(720)로의, 제4 전류 패쓰(Path4)를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250)는, 전압 강압부(213)로부터의 동작 전원 전달에 따라, 제2 릴레이(Ry2)가 오프되고 제3 릴레이(Ry3)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한 교류 전원이, 제1 교류 전원 단자(L1)를 통해 정류부(712)로 전달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전원 라인(Li1), 정류부(712)를 통한, 제5 전류 패쓰(Path4)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실내기(21)와, 실외기(31)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대기 모드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대기 모드에서 실외기(31)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타트 릴레이인, 제2 릴레이(Ry2)를 통해, 교류 전원이 공급되다가, 제2 릴레이(Ry2) 오프 후 제3 릴레이(Ry3)가 온되어, 제3 릴레이(Ry3)를 통해 교류 전원이 공급되므로, 대기 모드 종료 후, 플러그 연결시, 신속한, 교류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연결을 위한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 9의 회로도, 도 8과 유사하나, 일부 결선 관계 등에서 차이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21)는, 제1 교류 전원 단자(L1), 제1 통신 단자(C1), 제1 뉴트럴 단자(N1)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710)와,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1 통신 단자(C1)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Ry1)와, 제1 통신 단자(C1)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720)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31)는, 제1 교류 전원 단자(L1), 제1 통신 단자(C1), 제2 뉴트럴 단자(N2)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제2 통신 단자(C2), 제2 뉴트럴 단자(N2)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715)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에 일단(a)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Ry2)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 및 제2 릴레이(Ry2)의 일단(a)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Ry3)와, 제2 릴레이(Ry2)의 타단(b) 및 제3 릴레이(Ry3)의 타단(b)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213) 및 컨버터(210)와, 제2 릴레이(Ry2)의 타단(b) 및 제3 릴레이(Ry3)의 타단(b)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717)와, 통신 전압 출력부(717)와, 제2 통신 단자(C2)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72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31)는, 전압 강압부(2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제어부(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플러그(7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원 라인(Li1)은,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사이에 접속된다.
한편, 전원 플러그(7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원 라인(Li2)은, 제1 뉴트럴 전원 단자(N1)와 제2 뉴트럴 단자(N2) 사이에 접속된다.
제어부(215)는, 실외기(31) 내의, 제2 릴레이(Ry2), 제3 릴레이(Ry3), 전압 강압부(213) 및 컨버터(210), 통신 전압 출력부(717), 제2 통신부(725)의, 온/ 오프 제어, 또는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15)는, 실내기(21) 내의, 제1 릴레이(Ry1), 제1 통신부(720)의, 온/ 오프 제어, 또는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3 릴레이(Ry3)는, 제어부(215)로부터의 직류 전원 또는 전압 강압부(213)로부터의 직류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dc 릴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해,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1 릴레이(Ry1)가 온 되는 경우,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한 교류 전원이, 제1 교류 전원 단자(L1)에서 제1 통신 단자(C1), 제1 릴레이(Ry1)를 거쳐, 제1 통신부(720)로 전달된다.
한편,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해,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2 릴레이(Ry2)가 온 되는 경우,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한 교류 전원이,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제2 릴레이(Ry2)를 통해해,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로 전달되어,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가 동작한다.
한편,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 동작 후, 제2 릴레이(Ry2)가 오프되고 제3 릴레이(Ry3)가 온 되는 경우,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한 교류 전원이,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제3 릴레이(Ry3)를 거쳐,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로 전달되며,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가 동작한다.
한편, 통신 전압 출력부(717)는,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의 동작에 따라, 통신 전압을 출력하며, 출력되는 통신 전압은, 제2 통신부(725), 제2 통신 단자(C2)와, 제1 통신 단자(C1)를 거쳐, 제1 통신부(72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압 강압부(213)와 컨버터(210) 동작 후, 제2 릴레이(Ry2)가 오프되고 제3 릴레이(Ry3)가 온 되는 경우,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한 교류 전원이, 제1 교류 전원 단자(L1)를 통해 정류부(712)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연결을 위한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도 9와 동일하나, 보조 전원 공급부(1000)가 실외기(31) 내에 더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보조 전원 공급부(1000)는, 제2 통신 단자(C2)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4 릴레이(Ry4)와, 제4 릴레이(Ry4)의 타단(b)에 접속되는 제2 전압 강압부(1013)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전원 공급부(1000)는, 제2 전압 강압부(1013)에서의 출력 전압을 레귤레이팅 하기 위한, 레귤레이터(10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교류 전원 단자(L1)와 제2 교류 전원 단자(L2)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해,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1 릴레이(Ry1)가 온 되는 경우, 제1 전원 라인(Li1)을 통한 교류 전원이, 제1 교류 전원 단자(L1)에서 제1 통신 단자(C1), 제2 통신 단자(C2)를 경유하여, 보조 전원 공급부(1000)로 전달될 수 있다.
보조 전원 공급부(1000)의 제4 릴레이(Ry4)가 온 되는 경우, 제2 전압 강압부(1013)가 강압된 전압을 출력하며, 레귤레이터(1015)가 레귤레이팅된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5V의 dc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레귤렐이팅된 전원은, 제어부(215)에 인가되어, 제어부(215)가 활성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릴레이(Ry2)가 온 되도록 한 후, 소정 시간 후에, 제2 릴레이(Ry2)가 오프되고 제3 릴레이(Ry3)가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은,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실내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1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상기 제1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
    상기 제1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 제2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
    상기 제2 통신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
    상기 교류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
    상기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상기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 및 컨버터;
    상기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상기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
    상기 통신 전압 출력부와, 상기 제2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교류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전원 라인을 통해,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라인을 통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에서 상기 제1 통신 단자를 경유하여,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 단자로 전달되며,
    상기 제2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자를 통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로 전달되어,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 동작 후, 상기 제2 릴레이가 오프되고 상기 제3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라인을 통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제2 교류 전원 단자, 상기 제3 릴레이를 거쳐,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로 전달되며,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전압 출력부는,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의 동작에 따라, 통신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통신 전압은, 상기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 단자와, 상기 제1 통신 단자를 거쳐, 상기 제1 통신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릴레이는 dc 릴레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정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 동작 후, 상기 제2 릴레이가 오프되고 상기 제3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라인을 통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를 통해 상기 정류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실내기는,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1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상기 제1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릴레이;
    상기 제1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제1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외기는,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 제1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2 교류 전원 단자, 제2 통신 단자, 제2 뉴트럴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
    상기 제2 교류 전원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릴레이;
    상기 제2 교류 전원 단자, 및 상기 제2 릴레이의 일단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3 릴레이;
    상기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상기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전압 강압부 및 컨버터;
    상기 제2 릴레이의 타단 및 상기 제3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며, 통신 전압을 출력하는 통신 전압 출력부;
    상기 통신 전압 출력부와, 상기 제2 통신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교류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전원 라인을 통해,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라인을 통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에서 상기 제1 통신 단자, 상기 제1 릴레이를 거쳐, 상기 제1 통신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2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라인을 통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제2 교류 전원 단자, 상기 제2 릴레이를 통해,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로 전달되어,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 동작 후, 상기 제2 릴레이가 오프되고 상기 제3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라인을 통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제2 교류 전원 단자, 상기 제3 릴레이를 거쳐,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로 전달되며,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전압 출력부는,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의 동작에 따라, 통신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통신 전압은, 상기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 단자와, 상기 제1 통신 단자를 거쳐, 상기 제1 통신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릴레이는 dc 릴레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정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압 강압부와 상기 컨버터 동작 후, 상기 제2 릴레이가 오프되고 상기 제3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라인을 통한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제1 교류 전원 단자를 통해 상기 정류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제2 통신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4 릴레이;
    상기 제4 릴레이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2 전압 강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50122850A 2015-08-31 2015-08-31 공기조화기 KR101737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50A KR101737364B1 (ko) 2015-08-31 2015-08-31 공기조화기
US15/244,487 US10344998B2 (en) 2015-08-31 2016-08-23 Air conditioner
CN201610753006.5A CN106482215B (zh) 2015-08-31 2016-08-29 空调机
EP16186302.2A EP3136006B1 (en) 2015-08-31 2016-08-30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50A KR101737364B1 (ko) 2015-08-31 2015-08-3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33A true KR20170025833A (ko) 2017-03-08
KR101737364B1 KR101737364B1 (ko) 2017-05-18

Family

ID=5684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850A KR101737364B1 (ko) 2015-08-31 2015-08-3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4998B2 (ko)
EP (1) EP3136006B1 (ko)
KR (1) KR101737364B1 (ko)
CN (1) CN10648221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683A (ko) * 2017-03-31 2018-10-1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KR101959499B1 (ko) * 2017-09-13 2019-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3971S1 (en) 2015-03-27 2017-08-08 Veeco Instruments Inc. Wafer carrier with a 14-pocket configuration
USD778247S1 (en) * 2015-04-16 2017-02-07 Veeco Instruments Inc. Wafer carrier with a multi-pocket configuration
KR101957168B1 (ko) * 2017-07-27 2019-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GB2567162B (en) * 2017-10-03 2019-10-16 Aspen Pumps Ltd A connection box for condensate pumps in air-conditioning units
CN108278731A (zh) * 2018-01-02 2018-07-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通讯电路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和处理器
US20210091698A1 (en) * 2018-02-19 2021-03-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aptive logic board for variable speed drive
JP7130426B2 (ja) * 2018-05-11 2022-09-05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CN108917097B (zh) * 2018-07-12 2020-11-06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低功耗待机电路及空气净化器
CN109764503B (zh) 2019-01-15 2021-04-16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供电控制电路及空调器
CN110486849A (zh) * 2019-09-29 2019-11-22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控盒以及空调器
CN110774995B (zh) * 2019-10-31 2022-10-2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车载空调的供电装置及车载空调
JP2023515103A (ja) * 2020-02-21 2023-04-12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タイコ・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ピー 可変速度駆動のためのロジック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603B2 (ja) * 2004-09-14 2010-08-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
JP3806882B2 (ja) * 2004-11-29 2006-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080035173A (ko) *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36821B1 (ko) 2007-02-16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전력 절감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1270907B (zh) 2008-05-15 2010-07-28 佛山市中格威电子有限公司 一种可以实现双节能的空调控制器
JP2010054065A (ja) * 2008-08-26 2010-03-1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EP2362531B1 (en) * 2008-09-01 2014-11-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verter circuit, and motor drive controller equipped with converter circuit,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and induction cooking heater
CN101388565A (zh) 2008-10-14 2009-03-18 哈尔滨工程大学 低功耗待机电路及待机控制方法
JP5241585B2 (ja) 2009-04-06 2013-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2287889A (zh) 2010-06-18 2011-12-21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空调待机调节装置
JP2012117704A (ja) 2010-11-29 201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CN201887660U (zh) 2010-12-24 2011-06-29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低功耗开关电源电路及具有所述电路的空调器
KR101858938B1 (ko) 2011-09-19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5403083B2 (ja) * 2012-02-10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984732B2 (ja) 2013-04-09 201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217393B2 (ja) 2013-12-30 2017-10-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6173231B2 (ja) * 2014-02-05 2017-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6184391B2 (ja) * 2014-11-07 2017-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683A (ko) * 2017-03-31 2018-10-1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동 압축기
KR101959499B1 (ko) * 2017-09-13 2019-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4998B2 (en) 2019-07-09
KR101737364B1 (ko) 2017-05-18
CN106482215B (zh) 2019-05-03
EP3136006B1 (en) 2020-10-07
US20170063249A1 (en) 2017-03-02
EP3136006A1 (en) 2017-03-01
CN106482215A (zh)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364B1 (ko) 공기조화기
KR101720496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EP2955455B1 (en)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P3093584B1 (en) Outdoor fan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P2955456B1 (en)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P2779406B1 (en) Power convert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759906B1 (ko)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10267526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2015006765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70001437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934095B1 (ko) 공기조화기
US10516331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KR2015007475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90130763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199378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9000564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366586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591884B1 (ko) 전동기 제어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957168B1 (ko) 공기조화기
KR101965180B1 (ko) 공기조화기
KR101990444B1 (ko) 모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811591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60038436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70018688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60019687A (ko) 역률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