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641A -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641A
KR20170024641A KR1020150119634A KR20150119634A KR20170024641A KR 20170024641 A KR20170024641 A KR 20170024641A KR 1020150119634 A KR1020150119634 A KR 1020150119634A KR 20150119634 A KR20150119634 A KR 20150119634A KR 20170024641 A KR20170024641 A KR 20170024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sible light
crosswalk
visually impaired
g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훈
송현석
김대웅
홍종기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4641A/ko
Publication of KR2017002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 횡단보도 보행진행 신호 및 보행정지 신호를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알리고 횡단보도 보행 시 방향을 유도하여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하도록 보행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등; 상기 신호등과 연동되어 상기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시광 발생부; 및 상기 횡단보도를 따라 자력체를 설치하여 이 자력체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횡단보도 자력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Crosswalk walking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for blind, and safety crosswalk system and cross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 횡단보도 보행진행 신호 및 보행정지 신호를 가시광 통신을 통하여 알리고 횡단보도 보행 시 방향을 유도하여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은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기둥에 설치된 특정 버튼을 누를 경우 스피커를 통해 횡단의 여부를 안내음성으로 알려주고 있다. 즉 시각장애인이 버튼을 누른 경우, 청색 신호등이 점등되었을 때 스피커를 통해 횡단하라는 안내음성을 발생시키고, 청색신호등이 점등된 후 일정시간 경과 후 또는 적색 신호등이 점등되었을 때에는 다음 신호를 기다리라는 안내음성을 발생시켜 시각장애인들이 그 안내음성을 듣고 횡단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기존의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은 신호등의 기둥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눌렀을 때에만 횡단 가부에 대한 안내음성이 출력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신호등 기둥에 부착된 버튼을 찾아 누르는 것이 쉽지 않았다. 아울러, 일부 잘못된 안내 시스템의 경우 청색 신호들이 점등되고 나서 불과 몇 초 만에 다음 신호를 기다리라는 안내음성이 출력되어 시각장애인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버튼이 파손되거나 어린이들이 장난삼아 누르는 경우도 있어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횡단 여부 안내음성을 확인하는데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였다.
KR-2004-0024511U JP-05220007A KR-2009-0059343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교차로와 같은 이용이 잦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정확한 신호등의 신호 전달과 횡단보도 이탈을 막아 사고예방을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안전하고 편리한 횡단보도 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하도록 보행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등; 상기 신호등과 연동되어 상기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시광 발생부; 및 상기 횡단보도를 따라 자력체를 설치하여 이 자력체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횡단보도 자력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는 가시광의 깜빡임(온-오프) 속도로 대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시광 발생부는 LED 보도블럭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하도록 보행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가시광 수신부;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대응하여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횡단 시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력체의 자성에 의해 시각장애인의 횡단 라인을 유도하는 횡단 유도부; 상기 가시광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의 자성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지원하는 음성지원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시각장애인의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을 위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시광 수신부는 포토 다이오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단 유도부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성감지센서; 및 상기 자성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자성에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지원부는, 상기 가시광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의 자성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가시광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의 자성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음성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으로 청구항 1 내지 7에 기재된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신호 발생장치 및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횡단보도 횡단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7에 기재된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신호 발생장치 및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a) 시각장애인이 상기 보행신호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보행신호 수신 장치의 도움을 받아 보행을 시도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이후, 상기 시각장애인이 보행신호 발생장치가 구비된 LED 보도블럭에 상기 보행신호 수신 장치를 접근시켰을 경우, 상기 보행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또는 보행 정지신호를 상기 보행신호 수신장치가 가시광 신호로 전송받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전송받은 가시광 신호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상기 시각장애인이 안내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c) 이후,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횡단 시,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력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기 보행신호 수신장치가 검출하여 진동 및 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안내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의 안내는 상기 보행신호 수신장치를 통해서 안내받거나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해서 전달받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차로와 같은 이용이 잦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신호의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고 횡단보도의 방향을 유도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횡단보도 이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한 횡단보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한 횡단보도 횡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한 횡단보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한 횡단보도 시스템(10)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100)와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 장치(200)로 구성된다.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100)는 교차로와 같이 이용이 잦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보행 진행신호(청색 신호) 및 정지신호(적색 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등(110)과, 이 신호등(110)과 연동되어 신호등(110)의 보행 진행신호 및 정지신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시광 송신부(120)와, 횡단보도를 따라 자력체를 설치하여 이 자력체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횡단보도 자력체부(130)를 포함한다.
신호등(110)은 차량등, 보행등 및 차량 보조등으로 구분하며, 이중 차량등과 차량 보조등을 차량 신호등이라고 한다. 차량등은 배열, 렌즈개수 및 용도에 따라 횡형이색등, 횡형삼색등, 횡형사색등, 종형이색등, 종형삼색등, 종형사색등, 가변형 가변등, 경보형 경보등이 있다. 버스신호등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는 구간에 설치한다. 한편 중국, 대한민국, 일본 등 동양 국가들은 초록색과 파란색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푸르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중국, 대한민국 등에서의 청색, 즉 '푸른 색'은 청, 녹, 남, 벽 등 넓은 의미의 색상을 모두 포함한다.
가시광 송신부(120)는 신호등(110)과 연동되어 신호등(110)으로부터 보행자에게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를 발생한다. 가시광 송신부(120)는 LED 보도블럭으로 인도(人道) 상의 횡단보도 진입선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을 위한 돌기패턴을 제공하는 점자보도블럭으로서, 신호등(110)과 연동하여 소정의 발광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이란 인도(人道)를 따라 설치되어 보행자를 위한 바닥면을 제공하는 블럭 형태의 건축자재를 총칭하며, 이의 한 종류인 점자 보도블럭은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돌기패턴이 부여되어 위치 및 방향의 표시기능이 추가된 경우를 특정 한다. 다시 말해, 시각장애인 보도블럭이라 불리기도 하는 점자 보도블럭은 시각장애인의 보행 시(侍)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위치 및 방향을 알 수 있도록 그 표면에 소정의 돌기패턴이 부여된 특수목적의 보도블럭으로서, 엄밀하게는 위치표시를 위한 점자 돌기와 방향표시를 위한 선형 돌기를 구분하지만 통상적으로 돌기패턴이라 지칭되며, 이 같은 점자보도블럭은 주로 횡단보도의 진입선에 설치해서 보행분기점, 대기점, 시발점, 종료지점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점자보도블럭의 돌기패턴이라 하면 점자 돌기와 선형 돌기를 포함한다. 한편, 점자 보도블럭의 규격과 재질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지만 보통 30cm(가로)×30cm(세로)×6cm(높이)의 육면체형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그 재질로는 콘크리트, 자기, 석재 등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콘크리트의 표면에 고강도 플라스틱을 감싼 제품(이른바 플라콘)이나 금속재의 본체 표면에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돌기패턴을 부착한 종류 등이 소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보도블럭에 소정의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신호등(110)의 케이블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대응하기 위한 빛을 발하는 광원이 내장되고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투과되는 돌기패턴이 일면을 따라 형성되어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바닥에 설치된다.
가시광 송신부(120)에 내장된 LED(Light Emitting Diode)는 고속으로 점멸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 가시광선 소자는 사람의 눈에는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고속으로 점멸시켜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가 있다. LED는 반도체의 일종으로 발광다이오드라 하는데,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며, 이하에서 설명할 가시광 수신부(210)의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로 바꿔준다. 이런 원리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고, 전기신호를 빛으로 바꾸고, 그 빛을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빛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LED의 조명과 통신의 융합원리는 LED의 깜박임(온-오프 스위칭)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보통 사람들은 빛이 초당 100번 이상 깜박이면 깜박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켜진 것으로 인식한다. 통신에 의한 깜박임이 있지만 계속적으로 켜진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조명의 기능도 유지한다. 가시광 통신은 380nm~780nm에 속하는 가시광을 반송파를 사용하여 빠른 속도로 깜박임을 제어하여 송수신기의 정보교환을 이루도록 한다.
횡단보도 자력체부(130)는 횡단보도의 좌·우 끝단에 설치하며 횡단보도를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라인이다.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이용 시 횡단보도의 이탈을 막아 방향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장치(200)는 신호등(110)의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가시광 수신부(210)와,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대응하여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횡단 시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력체의 자성에 의해 시각장애인의 횡단 라인을 유도하는 횡단 유도부(230)와, 가시광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230)의 자성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지원하는 음성지원부(240)와,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시각장애인의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을 위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220)로 구성되며,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장치(200)는 지팡이 모양의 긴 막대 모양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시각장애인이 소지하는 어떠한 형태로의 안내수단 일 수 있다.
가시광 수신부(210)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가시광 송신부(120)로부터 송신되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빛을 통해 가시광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횡단 유도부(23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성감지센서(231)와 자성감지센서(231)로부터 감지된 자성에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모터(232)를 포함한다. 자성감지센서(231)는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건널 시에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석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안내수단의 끝단에 설치되며, 진동 모터(232)는 자성감지센서(231)로부터 감지된 자성에 따라 진동을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함으로서 시각장애인의 횡단보도 이용 시 이탈을 방지하고 방향을 유도한다.
음성 지원부(240)는 가시광 수신부(210)가 수신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230)의 자성을 제어부(220)가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여 기 설정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242)와, 가시광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230)의 자성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음성 무선 송신기(241)를 포함한다. 음성 무선 송신기(241)는 블루투스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장착한 이어폰으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한 횡단보도 횡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각장애인이 도 1에 도시된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장치(200)를 구비하고, 구비된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 장치(200)의 도움을 받아 보행을 시도한다(S100).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 장치(200)는 지팡이 모양의 긴 막대 모양으로 시각장애인이 소지하며, 시각장애인의 안내수단이다.
단계(S100) 이후,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장치(100)가 구비된 LED 보도블럭에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 장치(200)를 접근 시킨다(S110).
단계(S110)에서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장치(200)를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장치(100)의 가시광 송신부(120)에 접근시키면, 횡당보도 보행신호 발생장치(100)가 시각장애인이 구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장치(200)로 신호등(110)의 보행 진행신호 또는 보행 정지신호를 가시광 신호로 전송한다(S120). 이때 가시광 송신부(120)는 신호등(110)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고, 전기신호를 빛으로 바꾸고,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장치(200)의 가시광 수신부(210)는 빛을 수신하여 빛을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를 데이터로 전환한다.
단계(S120) 이후, 전송받은 가시광 신호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안내 메시지를 시각 장애인에게 출력한다(S130), 이때 출력은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장치(200)에 포함되는 스피커(242)를 통해서 출력되거나, 주변의 소음으로 인하여 스피커(242)의 음성안내 메시지가 들리지 않을 경우 음성 무선 송신부(241)의 블루투스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이어폰으로 출력된다. 또한, 보행 진행신호일 때 시각 장애인의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청색불의 2/3시간이 지난 상태이면 보행 정지신호를 전송하게 하여 횡단보도의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가시광 송신부(120)에는 각 횡단보도의 위치데이터도 포함되어 안내수단(200)에 부착된 버튼(미도시)을 사용하면 현재 위치의 위치정보를 음성지원 받을 수 있다.
이후,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횡단 시,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력체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보행신호 수신장치가 검출한다(S140).
단계(S140)에서 횡단보도에서 자기장이 검출되면, 검출된 자기장 신호에 따른 진동 및 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S1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시각 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100: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장치
110: 신호등
120: 가시광 송신부
130: 횡단보도 자력체부
200: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장치
210: 가시광 수신부
220: 제어부
230: 횡단 유도부
231: 자성감지센서
232: 진동모터
240: 음성지원부
241: 음성 무선 송신기
242: 스피커

Claims (11)

  1.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하도록 보행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등;
    상기 신호등과 연동되어 상기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시광 발생부; 및
    상기 횡단보도를 따라 자력체를 설치하여 이 자력체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횡단보도 자력체부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는 가시광의 깜빡임(온-오프) 속도로 대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발생부는 LED 보도블럭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4.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하도록 보행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및 보행 정지신호에 대응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가시광 수신부;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대응하여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횡단 시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력체의 자성에 의해 시각장애인의 횡단 라인을 유도하는 횡단 유도부;
    상기 가시광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의 자성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지원하는 음성지원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시각장애인의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을 위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수신부는 포토 다이오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횡단 유도부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성감지센서; 및
    상기 자성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자성에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수신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음성지원부는,
    상기 가시광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의 자성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가시광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가시광 신호 및 횡단 유도부의 자성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음성 무선 송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신호 수신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에 기재된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신호 발생장치 및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횡단보도 횡단을 위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7에 기재된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신호 발생장치 및 수신장치를 이용한 안전 횡단 방법은,
    (a) 시각장애인이 상기 보행신호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보행신호 수신 장치의 도움을 받아 보행을 시도하는 단계;
    (b) 단계(a)에서 이후, 상기 시각장애인이 보행신호 발생장치가 구비된 LED 보도블럭에 상기 보행신호 수신 장치를 접근시켰을 경우, 상기 보행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신호등의 보행 진행신호 또는 보행 정지신호를 상기 보행신호 수신장치가 가시광 신호로 전송받는 단계; 및
    (c) 단계(b)에서 전송받은 가시광 신호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상기 시각장애인이 안내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계(c) 이후,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횡단 시,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자력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기 보행신호 수신장치가 검출하여 진동 및 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 안내 메시지를 안내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 메시지의 안내는 상기 보행신호 수신장치를 통해서 안내받거나 블루투스 이어폰을 통해서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전 횡단 방법.

KR1020150119634A 2015-08-25 2015-08-25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 KR20170024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34A KR20170024641A (ko) 2015-08-25 2015-08-25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34A KR20170024641A (ko) 2015-08-25 2015-08-25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641A true KR20170024641A (ko) 2017-03-08

Family

ID=5840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634A KR20170024641A (ko) 2015-08-25 2015-08-25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46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81A (ko) * 2017-11-16 2019-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기반 시각장애인용 실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00141611A (ko) 2019-06-11 2020-12-21 박종서 보행 안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0007A (ja) 1992-02-14 1993-08-31 Kodama Denshi:Kk 視覚障害者用送信機、視覚障害者用受信機、および視覚障害者誘導装置
KR200368241Y1 (ko) 2004-08-27 2004-11-18 김희득 시각장애인용 통행유도장치
KR20090059343A (ko) 2007-12-06 2009-06-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지능형가로등이 포함된 가시광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0007A (ja) 1992-02-14 1993-08-31 Kodama Denshi:Kk 視覚障害者用送信機、視覚障害者用受信機、および視覚障害者誘導装置
KR200368241Y1 (ko) 2004-08-27 2004-11-18 김희득 시각장애인용 통행유도장치
KR20090059343A (ko) 2007-12-06 2009-06-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지능형가로등이 포함된 가시광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81A (ko) * 2017-11-16 2019-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기반 시각장애인용 실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00141611A (ko) 2019-06-11 2020-12-21 박종서 보행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572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0556385C (zh) 一种盲人交通引导系统
KR101679304B1 (ko)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1587010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발광 보도블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12173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1988002B1 (ko)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KR101115280B1 (ko) 도로용 안전램프 제어 시스템
KR20170024641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횡단보도 보행신호 발생 장치 및 수신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전 횡단보도 시스템 및 횡단 방법
KR101036849B1 (ko) 가시광 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EP2706519A2 (en) A signaling column to improve safety of a pedestrian crossing
KR101772209B1 (ko)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KR20160104474A (ko) 외부 전원공급 독립형 횡단보행자 감지 무선통보 보도블럭 시스템
KR101661964B1 (ko) 차량 신호전용 경보 점멸등을 활용한 횡단보도 신호등
US11189165B2 (en) Wheelchair traffic signal system
KR100984747B1 (ko) 교통신호등의 보행자 신호조작장치
TWI352147B (ko)
KR100773146B1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KR101379229B1 (ko) 전자파 감지센서를 사용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420993Y1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KR200414368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신호음 송수신시스템
KR102250262B1 (ko) 차량 감지 및 경고 시스템
JP3205287U (ja) 道路横断表示装置
KR100907954B1 (ko) 시각장애인 안내장치
KR100794935B1 (ko) 시각장애인 보행안내장치
JP4031458B2 (ja) 交通安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