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537A - 고양수, 고양수가 포함된 생물 호환성 구성물, 고양수의 제조방법 및 고양수의 용도 - Google Patents

고양수, 고양수가 포함된 생물 호환성 구성물, 고양수의 제조방법 및 고양수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537A
KR20170024537A KR1020160102261A KR20160102261A KR20170024537A KR 20170024537 A KR20170024537 A KR 20170024537A KR 1020160102261 A KR1020160102261 A KR 1020160102261A KR 20160102261 A KR20160102261 A KR 20160102261A KR 20170024537 A KR20170024537 A KR 2017002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xygen
oxygen content
ppm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탕밍
Original Assignee
옥시 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4127596A external-priority patent/TWI529139B/zh
Priority claimed from TW104128012A external-priority patent/TWI573593B/zh
Application filed by 옥시 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옥시 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2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5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0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04Homeopathy; Vitalisation; Resonance; Dynamisation, e.g. esoteric applications; Oxygenation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6Treating water for medical or cosme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가지의 물 및 산소가 포함된 고양수를 제공한다. 그 중에서 20 ppm 이상의 산소가 함유하고, 그리고 이 고양수 최초의 산소 함유량은 100%이다. 이를 30분 가만히 놓아 둔 후의 함유량 백분비(A)가 180분의 경우의 함유량 백분비(B)간의 차이(A-B)는 24%보다 적다. 그밖에 본 발명은 고양수의 생물 호환성 구성물, 고양수의 제조 방법 및 고양수가 의료 및 고요산혈증 예방에 적용된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양수, 고양수가 포함된 생물 호환성 구성물, 고양수의 제조방법 및 고양수의 용도{OXYGEN-ENRICHED WATER, A BIOCOMPATIBILITY COMPOSITION THEREOF, A MEOTHOD THEREOF, USE THEREOF}
본 발명은 한 가지의 고양수, 특히 산소 함유량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교질 입자가 비교적 작은 고양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앞에서 말한 고양수의 생물 호환성 구성물, 고양수의 제조방법 및 고양수가 의료 및 고요산혈증 예방에 적용된 용도를 제공하기도 한다. 교요산혈증, 통풍 및 기타의 요산 과도로 나는 질병이 포함된다.
고양수란 정화수에 활성산소를 첨가하는 음용수를 말한다. 지금까지 고양수의 산소 함유량에 대해서 일치한 규정이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산소 함유량이 20ppm이거나 20ppm보다 많은 물을 고양수라고 한다.
통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수백 개를 넘은 제조상이 고양수를 제조하거나 판매한다. 주로 인체 건강에 초점을 둔다. 사용자가 장기적으로 고양수를 마심함으로써 건강 관리의 효과에 얻기를 바란다.
그러나 기존의 시장에서 판매된 고양수는 모두 온정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자주 산소 함유량이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고양수의 DO(dissolved oxygen)는 몸에서 체기로 빠르게 방출하고 예상과 같은 효과를 받을 수 없다.
이에 어떤 연구는 산소를 미리 통한 후, 가압하여 만든 고양수의 산소 함유량은 기존의 연구와 비해 제조 면에서 어떻게 개량해야 하는지, 장기간 및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예를 들으면 30℃) 아래에서 온정성이 높은 고양수를 만들어야 하는지를 제기하지 못한다.
기존 기술에서 직면된 문제를 참고하고 본 발명은 한 가지의 고양수, 고양수의 생물 호환성 구성물 및 제조 방법을 밝힌다. 그 중에서 이 고양수의 산소 함유량은 시간의 변화량에 따라 작고 온정성이 높다. 그밖에 이 고양수는 좋지 않은 조건(고온의 경우) 아래에서도 비교적 높은 산소 함유량(20ppm보다 높거나 25ppm보다 높음)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간 후, 여전히 비교적 높은 산소 함유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료 및 고요산혈증 예방을 위한 약을 제조하는 고양수의 용도를 밝힌다. 그 중에서 이 고양수의 산소 함유량은 시간의 변화량에 따라 비교적 작고 온정성이 비교적 높다. 그밖에 이 고양수는 좋지 않은 조건(고온의 경우) 아래에서도 비교적 높은 산소 함유량(20ppm보다 높거나 25ppm보다 높음)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간 후, 여전히 비교적 높은 산소 함유량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본 발명은 물 및 산소가 포함된 고양수를 제공한다. 그중에서 이 고양수는 20ppm 이상의 산소가 함유하고, 그리고 이 고양수는 최초의 산소함유량은 100%이다. 이를 30분 가만히 놓아둔후의 함유량 백분비(A)가 180분의 경우의 함유량 백분비(B)간의 차이(A-B)는 24%보다 적다.
하나의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앞에서 말한 차이(A-B)는 20%보다 적다. 보다 좋은 결과는 15%보다 적다. 예를 들면 5%~20%이다.
하나의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고양수의 산소 함유량은 20ppm 이상 함유한다. 예를 들면 20ppm~50ppm이다. 혹은 25ppm~50ppm이다. 그밖에 다른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고양수를 180분 가만히 놓아둔 후, 산소 함유량은 25ppm이상 함유한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앞에서 말한 고양수는 17O 핵자기공명법(17ONMR)으로 측정된 높이의 반과 넓이는 40Hz~80Hz이다. 비교적 좋은 경우 50Hz~70Hz이다. 예를 들면 60Hz~70Hz이다.
본 발명은 앞에서 말한 고양수를 제안한다. 그 중에서 이 고양수의 산소 함유량은 0℃~40℃ 아래에서 측정된다. 예를 들면 산소 함유량은 0℃~12℃ 아래에서 측정된다면 비교적 좋은 산소 함유량은 4℃~8℃(예를 들면 6℃)아래에서 측정된다.
하나의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이 고양수가 10℃에서 40℃로 가열된 후, 산소 함유량의 변화치는 20% 이하이고 비교적 좋은 경우는 10% 이하이다.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이 고양수가 10℃에서 40℃로 가열된 후, 산소 함유량은 25 ppm 이상이고 비교적 좋은 경우 30 ppm 이상이다.
비교적 좋은 실시사례에서 이 고양수가 30℃~40℃ 아래에서 120분 유지한 후, 산소 함유량의 변화는 30% 이하이고 비교적 좋은 경우 25% 이하이다.
비교적 좋은 실시사례에서 이 고양수가 30℃~40℃ 아래에서 120분 유지한 후, 산소 함유량은 20 ppm 이상이고 비교적 좋은 경우 25 ppm 이상이다.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앞에서 말한 고양수는 30℃~40℃ 아래에서 적어도 60분 안에 높은 산소 함유량(예를 들면 20 ppm 이상, 25 ppm 이상이나 30 ppm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비교적 좋은 실시사례에서 앞에서 말한 고양수는 37℃ 아래에서 적어도 60분, 90분이나 120분 안에 높은 산소 함유량(예를 들면 20 ppm 이상, 25 ppm 이상이나 30 ppm이상)을 유지할수있다.
비교적 좋은 실시사례에서 앞에서 말한 고양수는 40℃ 아래에서 산소 함유량 25ppm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이 고양수가 5℃~10℃부터 40℃~50℃로 가열된 후, 산소 함유량의 변화는 20%보다 적다. 예를 들며 15%보다 적다.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이 고양수가 5℃~10℃부터 50℃로 가열된 동안, 산소 함유량은 25ppm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ppm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이 고양수는 물, 산소 및 비인위 추가성분만 함유한다.
본 발명은 한 가지의 생물 호환성 구성물도 제공하기도 한다. 이는 전술 고양수 및 적어도 한 가지 생물 호환성 성분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말하면 전술된 생물 호환성 구성물은 의약 구성물, 화장품 구성물 및 음료수 구성물이다. 그리고 이 생물 호환성 성분은 각각 정맥 영양소, 약, 화장품 첨가제 또한 식품 첨가제 등등이다.
실시례에서 고양수는 의약 구성물의 형식으로 존재된다. 또한 이 의약 구성물은 고요산혈증 환자를 위한 내복, 정맥 주사나 정맥 주사형 것이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전술된 의약 구성물은 적어도 한 가지의 고요산혈증을 치료하는 약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한 가지의 고양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도 한다.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절차가 포함된다. 그의 특징은 산소 공급 기간 안에 0℃~12℃ 조건에서 50 cc/min~1000 cc/min의 유량으로 지속적으로 30분 이상 물에 산소를 공급한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산소 공급 기간 안에 물은 4℃~8℃ 사이에 유지한다. 예를 들면 6℃이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전술된 물의 체적은 1킬로~15킬로이다. 혹은 산소 공급 시간은 180분 이상이다. 예를 들면 210분이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산소 공급 기간 안에 먼저 첫째 유량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물의 산소 함유량은 20ppm~25ppm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둘째 유량으로 산소 공급한다. 그 중에서 둘째 유량은 첫째 유량과 같거나 첫째 유량보다 적다. 예를 들어 말하면 첫째 유량은 50cc/min 이상이고 둘째 유량은 1000cc/min 이하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방법으로 제조된 고양수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분야의 대부분 보통 사람들이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를 알도록 아래에서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언급된 용어에 대해서 일반적인 설명과 정의를 한다. 예외적인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문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단어는 본 분야 기술자가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해하는 일반적인 의미이다. 서로 충돌된 경우는 본 설명서에서의 정의를 기준으로 한다.
본문에서 언급되고 공개된 이론은 정확 여부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면 안 된다. 본 발명이 밝히는 내용에 따르면 실현될 수 있으면 본 발명이 제기된 모든 이론이나 작용 기제를 고려하지 않는다.
우선 본문의 일부는 "하나","한 가지","한 개" 또한 이와 비슷한 용어로 본 발명이 말한 성분과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이 설명은 편하게 표현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일반적인 의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예외적으로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 설명은 하나 또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단수가 포함되는 동시에 복수도 포함된다.
본문의 용어 "포함","포괄","지님","함유"또한 기타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성의 포함물을 포괄하도록 모두 개방적 접속사(open-ended transitional phrase)이다. 예를 들어 말하면 복수 요소가 포함된 한 세트의 완성품 또한 제품은 본문에서 열거된 요소만 포함된 것이 아니다. 그밖에 반대된 명확한 설명이 있지 않으면 용어"혹은"은 일반적인 "혹은"을 말하고 배타적인 "혹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아래에서 모든 경우는 모두 조건 "A 혹은 B"를 만족한다. A는 진짜(존재됨)이고 B는 가짜(존재되지 않음)이다. A는 가짜(혹은 존재되지 않음)이고 B는 진짜(또한 존재됨)이다. A와 B는 모두 진짜(또한 존재됨)이다. 그밖에 본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포함","포괄","지님","함유"에 대한 해석은 이미 구체적으로 밝히고, 그리고 동시에 "…것으로 구성된다" 및 "실제적으로 …것으로 구성된다" 등 폐쇄적이거나 반폐쇄적인 접속사가 포함된다고 해야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온도, 유량, 수치, 수량 또한 여러 가지 성분의 농도, 함량 등 변수는 일반적으로 수치 범위 또한 백분비 범위의 형식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모든 수치 범위 또한 백분비 범위 형식 확정 특징 또한 조건은 간결하고 편하기만 위할 뿐이다. 따라서 수치 범위 또한 백분비 범위에 대한 서술은 이미 모든 가능한 이차적인 범위와 범위 내에 개별적인 수치 특히 정수 수치가 포함되고 밝힌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말하면 "1~8"의 범위 서술은 이미 1~7, 2~8, 2~6, 3~6, 4~8, 3~8 등 모든 이차적인 범위 특히 정수 수치로 확정된 이차적인 범위가 포함된다. 그리고 범위 내 예를 들면 1,2,3,4,5,6,7,8 등 개별적인 수치가 포함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로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술된 방법은 본 발명의 모든 내용에 적용된다.
수량, 농도 또한 기타 수치 또한 변수는 범위, 비교적 좋은 범위 또한 시리즈의 상한과 하한으로 나타나면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 범위는 특별히 게시 여부가 무엇이든 이 범위의 상한이나 최적치와 이 범위의 하한이나 최적치와 구성된 모든 범위를 특별히 밝혔다. 그밖에 본 상세한 설명에서 수치의 범위를 말할 때 따로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 범위는 시작점 및 범위 내의 모든 정수와 분수가 포함돼야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발명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전제에서 수치는 이 수치의 유효 자릿수의 정확도라고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말하면 숫자 40.0는 39.50~40.49의 범위가 포함돼야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Markush group 또한 선택 사항의 형식의 용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특징이나 실시예를 서술하는 경우는 본 분야의 기술자는 Markush group 또한 선택 항목 리스트에 모든 성원의 이차적인 그룹 또한 아무 개별 성원으로 본 발명을 서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하면 X는"X1,X2 및 X3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됨"으로 서술된다. 동시에 X는 X1의 주장, 그리고 ,X는 X1 및/또한 X2의 주장이라는 것을 완전히 서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Markush group 또한 선택항목 형식의 용어로 본 발명의 특징이나 실시예를 서술하는 것에 대해서 본 분야의 기술자는 Markush group 또한 선택 항목 리스트에 모든 성원의 이차적인 그룹 또한 아무 개별 성원으로 본 발명을 서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말하면 X는 "X1, X2 및 X3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됨"으로 서술되고, Y는 "Y1, Y2 및 Y3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면 X는 X1이나 X2나 X3, Y는 Y1이나 Y2나 Y3의 주장이라고 서술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물"은 H2O 를 말하고 주로 액체로 존재된다. 그러나 기타 물리 상태도 포함돨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체의 얼음이다. 그밖에 본 상세한 설명에서 말한 "물"은 상온, 상압 아래에서 주로 H2O 분자로 구성된 물질이고 일반적으로 액체 매개체이다. 그리고 기체 성분이나 구성 단원 예를 들면 산소, 미량 원소(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나트륨 이온, 염화물이온 등) 및/또한 잡질 등 포함된다. 그러나 여기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된 기타 성분이나 구성 단원은 대부분 물이 생성된 동안 자연 요인으로 존재되고 인위적으로 첨가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물"은 순수한 H2O 분자로 구성된 순물질, 복수 H2O 분주를 운반체나 매개체로 하고 기체 성분으로 구성물이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용어 "구성물"과 "조성물"은 적절히 사용될 수 있고 한 가지 또한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단원, 성분, 화합물이나 물질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구성물"은 인위적으로 제조된 산물이나 제품이다. 구성물에서 포함된 단원, 성분, 화합물이나 물질의 종류, 수량, 물리 형태는 일반적으로 인위적이 개입으로 제한, 선택이나 통제를 받는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고양"(oxygen-enriched oxygenated)은 형용사이고 명사(예를 들면 물)를 꾸며 주고, 인위적인 개입을 통해 산소 함유량, 산소 농도나 용존 산소치는 자연 상태나 인위적인 개입 전보다 높다.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용어 "고양수"와 "부양수"는 번갈아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산소함량, 산소 함유 농도 및 용존 산소치는 "산소포함도"(oxygen saturation)라고 통칭하여 부르고 산소는 한 매개체(예를 들면 물)에 수량의 다소 또한 상대 함량을 서술한다. 계산 방법은 같은 조건에서 한 매개체의 산소함량, 산소 함유 농도나 용존산소치는 이 매게체를 나누고 얻은 가장 높은 산소함량, 산소 함유 농도나 용존산소치이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용존산소", "용존산소치", "용존산소농도", "용존산소량", "산소 함량", 그리고 이와 비슷한 용어는 번갈아 사용될 수 있다. 킬로당 매개체(예를 들면 물)의 산소함량의 단위는 mg/L나 ppm이다. 용존산소수치의 측정은 화학 방법, 광학 방법, 비색법, 적정 방법 등 있다. 시장에서 많은 기계로 용존산소수치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보고에서 "고요산혈증"은 모은 한 가지의 혈청에서 요산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예를 들면 남성의 경우는 6.8 mg/dL보다 높고 여성의 경우는 6.0 mg/dL 보다 높음) 질병, 증상이나 상태을 말한다. 통풍, 통풍 관절염, 뇌중풍, 결혈성 심장병, 신장기능장애, 요독증, 요로결석, 요산염신장병, 만성신장병, 히포크산틴-구아닌포스포리보실전달효소(HGPRT) 결손, 고혈압 및 신장결석이 포함되지만 이 범위에 한제되지 않는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용어 "생물 호환성"은 생물체(예를 들면 인류)에 적용될 수 있고, 그리고 생물체에 지나친 불량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용어"생물 호환성 생물"은 본 발명자 고양수의 구성물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고양수는 주로 적어도 한 가지 생물 호환성 성분의 매개체나 운반체로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의약 구성물"은 본 발명자 고양수가 포함되고 이 고양수는 의약 용도에 적용되는 구성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한 가지의 생물 호환성 성분을 제공하고 의약 효과를 증강하거나 제공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정맥 영양소(parenteral nutrition)나 약이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화장품구성물"은 본 발명자 고양수가 포함되고 화장품 용도에 적용되는 구성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한 가지의 생물 호환성 성분이 포함되고 미용이나 수식 효과를 제공하거나 증강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연결포트, 활성제, 가루, 색료, 알코올, 점착제, 킬레이팅제, Polysilicon oxides, 항산화물질,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반사제, 증백제, 보습제, 향료, 항부제, 중화제 및 피에이치 조정제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이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용어 "음료 구성물"은 본 발명자 고양수가 포함되고 식용하거나 음용할 수 있는 구성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한 가지 생물 호환성 성분(즉 식용될 수 있는 성분, 예를 들면 첨가제)이 포함되고 판매에 이롭다. 예를 들면 방부제, 살균제, 항산화물질, 영양성첨가제, 증미제, 산미료, 착색제, 향료, 감미료, 점조제 및 유화제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이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물화 특성은 상압(약 1기압) 아래에서 측정된 것이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물화 특성은 실온 또한 상온(약 25℃~약 27℃) 아래에서 측정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정치"는 고양수가 인위적인 개입(휘젓음, 진동이나 흔들림)이 없는 조건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5분, 10분, 30분, 45분, 60분, 90분, 120분, 6시간, 한날, 몇일, 일주일이나 몇 주간이다. 고양수가 대략적 고정 온도 조건에서 정치되고 고양수의 온도가 대략적 고정시키고, 예를 들면 단열 조건에서 예를 들면 보온병이나 보냉병 안에 놓거나 고양수가 온도가 대략적 고정한 개방 환경에서 인위적인 열량으로 환경 온도를 통제하고 유지한다. 그밖에 고양수가 온도가 통제될 수 없는 환경에서 정치되고 예를 들면 상온 조건에서 이를 처음 온도(예를 들면, 0℃,2℃,4℃,6℃,8℃,10℃,12℃,15℃,20℃,30℃,40℃ 등)에서 점차적으로 상승하거나 상온으로 하강한다.
아래의 구체적 실시 방법은 본질적으로 실시예일 뿐이다. 그러나 본 발명 및 용도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밖에 본 상세한 설명은 전술된 기존 기술이나 발명 내용이나 아래 구체적 실시 방식이나 실시례에서 서술된 아무 이론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실시례: 고양수의 제조
본 발명자 고양수를 제조하려면 모든 물이 일정한 조건에서 산소 공급(또한 "산소섭취"라 함)을 하고 제조된다. 구체적 조건은 본 상세한 설명 뒤에서 서술된 바와 같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산소 공급 처리를 할 수 있는 물은 처리된 물이나 처리되지 않는 물이다. 시장에서 판매된 여러 가지의 병물, 수돗물, 생수, 정화수, 증류수, 자력수, 전해수, 이온수, 생태수, 역삼투수 등 모든 음용에 적용되는 물이 포함되지만 이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전술된 물의 범위는 주로 물이 주된 성분인 물이고 기체 성분이 포함되는 물이 포함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물은 주요 매개체의 물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음료수가 있다.
산소 공급의 원천의 산소 공급 수단, 예를 들면 출원인이 받은 중국 실용신안 제 CN202705029 호가 포함되고 이는 전문이고 본 상세한 설명의 참고로 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Xi 공기 압축기를 이용하여 공기가 압축되고 압축된 공기가 분자체를 통과하여 압축 공기 안에 질소를 흡수하고 순도 높은 산소를 출력한다.
본 발명자 고양수의 제조 방법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비교적 좋은 산소 공급 수단은 연속식 산소 공급 장치이고 연속적이고 지속적으로 산소 공급을 하도록 한다. 그밖에 산소 공급 수단은 고정공급량 산소저장 장치, 예를 들면, Xi의 고압산소봄베, 이는 필요한 유량을 지속적으로 적어도 일정 시간 예를 들면 30분, 60분, 120분, 180분, 210분 등 산소를 출력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체적 유량은 본 상세한 설명 뒤에서 전술된 바와 같다.
구제적으로 말하면 산소 공급 수단이 출력된 산소는 순산소이고 농도가 높은 산소이기도 한다. 예를 들면 농도가 80%, 85%, 90% 또한 95%보다 높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산소 섭취를 하는 동안 전술된 물은 저장 용기 안에 정치되고 산소 공급 장치로 지속적으로 물 아래 쪽부터 저장 용기 안에 물에 산소 공급한다. 그 밖에 물이 하나의 비교적 높은 위치의 큰 저장 용기 안에 두고 비교적 큰 저장 용기부터 이와 통하는 비교적 작은 저장 용기로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산소 공급 장치로 비교적 작은 저장 용기 안에 물에 지속적으로 산소 공급한다. 산소 섭취 기간에 물이 담은 저장 용기는 개방적 상태, 대략적 밀폐 상태나 완전 밀폐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 실시 양태로서 출원인이 이미 중국 실용신안 특허 제202820947호 및 제202932748호가 공개된 드링크 머신 구조를 참고할 수 있다. 모두 전문이고 본 상세한 설명의 참고로 하기도 한다.
사용자가 편하게 처리된 고양수를 사용하도록 산소 공급 장치 및 물 저장 용기가 정수기나 드링크 머신의 형식을 만들 수 있다. 그 중에서 첫째 물 저장 용기는 한 가지의 물 공급 장치일 수 있고 둘째 물 저장 용기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수기의 보냉담은 산소 공급 장치로 보냉담 안에 물에 산소 공급한다. 이에 본 발명이 서술된 고양수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만든 고양수는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례에서 전술된 드링크 머신은 본체 및 본체 안에 설치된 물 공급 장치 및 산소 제조 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보다 안에 용치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 밑부분에 서포트가 설치되고 본체 위쪽의 중앙 부분은 아래로 꺼져 저장 물통 도치 압입 개구가 설치된다.
물 공급 장치는 용치 공간에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 있다. 베이스 프레임 위에 저수조가 설치된다. 저장 공간 위에서 설치된 윗자리의 중앙에 관통하고 설치된 개구와 연결된 입수 경로가 설치된다. 입수 경로 중간에서 위로 저수통에 ?어 나가고 내부 음용수가 저장 공간으로 흐르는 추정두가 설치된다. 윗자리는 입수 통도 외측에서 위와 아래를 관통하는 천공이 설치되고 베이스 프레임 앞에서 하나의 저수조와 연결된 음용수를 출력하는 배출구가 설치된다.
본체의 용치 공간에서 산소 제조 장치가 설치된다. 산소 제조 장치는 서포트가 위에 있고 공기 압축기, 전자 밸브, 적어도 하나의 산소발생조 및 하나의 저장조가 설치된다. 전자 밸브는 공기 압축기 및 산소 발생조와 연결되고, 그리고 산소발생조는 저장조와 연결된다. 저장조는 위로 ?어 나가는 저주조 위에서 내부로 이르는 전송관과 연결되고, 그리고 전송관이 윗자리의 천공을 통과하여 저장공간으로 이르고 전송관 말단에서 폭기관이 설치된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전술된 드링크 머신은 하나의 살균이나 소독 장치 예를 들면 UV 등관, 저수조의 내벽이나 드링크 머신의 배추구 근처에서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무균의 안전한 고양수를 섭취하도록 한다. 고양수의 용도에 따라 살균이나 소독 장치의 종류와 수량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말하면 의약 용도로 하는 고양수는 일반적으로 등급이 비교적 놓은 살균 수요를 갖춘다.
Xi 기술이 이미 여러 가지의 고양수 및 제조 방법을 밝혔지만 본 발명은 의외로 어떤 변수를 적당히 통제하는 조건에서 온정성이 매우 좋은 고양수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한 가지의 고양수의 제조 방법을 밝힌다. 물에 산소 공급 절차가 포함된다. 그의 특징은 산소 공급 기간에 그 물이 0℃~12℃ 조건에서 유지하고 50cc/min~1000cc/min의 유량으로 적어도 30분 이상 산소 공급을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자이 의외로 통제 과정에서 물의 온도, 유량과 시간을 적당히 통제하면 고양수의 온정성을 형성하기에 이롭다. 이로 제조된 고양수의 산소 함량은 특정 조건에서 상대적 작은 변화량을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전술된 제조 방법 중에서 물의 체적은 제한을 받지 않는다. 대량적으로 제조된 조건에서 물의 체적은 수백 킬로, 수천 킬로 또한 보다 더 놓은 체적일 수 있다. 가용의 경우에서 드링크 머신의 혁식으로 전술된 제조 방법을 조작하거나 실시한다면 드링크 머신 장치의 체적 크기를 고려하고 일반적으로 물의 체적은 수십 밀리리터~몇 킬로 예를 들면 100밀리리터, 200밀리리터, 500밀리리터, 1킬로, 2킬로, 3킬로, 5킬로, 8킬로, 10킬로, 15킬로 등 일 수 있고 드링크의 저수조나 보냉담의 용량에 의해 정한다. 하나의 실시례에서 물의 체적은 1킬로~15킬로 이다.
전술된 제조 방법에서 온도 처리에 있어서 산소 공급 기간에 물이 0℃~12℃ 조건에서 유지하고 비교적 높은 가장 큰 용존산소지를 받을 수 있다. 특히 발명자이 의외로 온도가 4℃~8℃ 조건에서 유지하면 가장 좋은 용존 효과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높은 용존산소치는 약 60 ppm,55 ppm 또한 50 ppm이다. 하나의 비교적 좋은 실시례에서 산소 공급 기간에 물은 6℃로 유지해야 한다.
전술된 제조 방법에서 산소 공급 유량에 있어서 발명자이 의외로 과도한 산소 유량은 고양수의 온정성 제조에 도움이 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심지어 어떤 조건 아래에서 고양수의 온정성 제조에 방해가 된다. 반대로 전술된 제조 방법은 50 cc/min~1000cc/min의 유량으로 물에 산소 공급하고 비교적 높은 온정성의 고양수가 제조되도록 한다.
일반물의 산소함량이 약 3 ppm - 5ppm 정도라면, 발명자가 관찰을 통하여 전술한 제조방법으로 산소제공기간에 물의 산소함량이 약 20ppm - 25ppm에 달하기 전에 매분에 증가한 산소함량(ppm/min)이 제공산소유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물의산소함량이 20ppm - 25ppm에 달한 후에 매분에 증가한 산소함량은 산소공급유량의 영향을 현저히 받지 않으며 심지어 어떤 조건에서 지나치게 높은 유량(예: 1500 cc/min 이상)을 사용하여 산소를 공급하면 고양수의 안정성 향상에 도움이 안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50 cc/min-1000 cc/min의 유량으로 산소를 물에 제공한다. 이를 테면, 정기 혹은 전 시간에 모두 50cc/min, 100cc/min, 150 cc/min, 200cc/min, 250cc/min, 300cc/min, 400cc/min, 500cc/min, 1000cc/min 등(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된 적은 유량으로 산소를 공급한다. 이를 통하여본 발명의 전술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수의 산소함량은 적어도 일반물의 4배 혹은 5배 이상이다.
실시예 1에서 시간을 나누어 다른 유량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산소공급기간에 먼저 물의 산소 함량이 20 ppm - 25ppm에 달할 때까지 제1유량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이어 제2유량으로 산소를 공급하는데 제2유량은 제1유량과 같거나 제1유량보다 적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유량은 50cc/min 이상이고 제2유량은 1000cc/min 이하 이다.
전술한 제조방법에서 산소공급시간에 있어, 발명자가 기존기술로 단기간, 고유량, 고압의 방법으로 고양수를 제조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은 장기간의 지속적인 산소공급을 이용하여 고양수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외적으로 발견하였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산소공급시간이 30분이상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산소공급시간은 45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210분, 혹은 240분이 될수 있다. 실시예에서 산소공급시간은 60-240분까지다. 실시예에서 물이 매분에 증가한 산소함량이 0.01ppm/min보다 작고 물의 산소함량이 포화에 가까우면 이렇게 제조한 고양수는 바로 마시거나 병에 봉인후 나중에 마실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물온도, 산소공급유량, 산소공급시간 등을 통제함으로써 각종 체적의 물에 산소공급처리하여 아주 좋은 안정성을 지니는 고양수를 제조한다.
실시예: 고양수의성질분석
본 발명의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수의 물화성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정 체적의 물(예: 3.7리터, 즉 1갤런)을 전술한 드링크 모션의 냉수부분에 따르고 수냉식으로 물의 온도(예: 약 6℃)를 유지하면서 특정한 유량(예: 200 cc/min)으로 일정기간(예: 약 210분) 산소 첨가처리를 하여 산소 첨가 처리후 본 발명 실시예의 고양수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고양수에서 샘플 540㎕를 뽑아 60㎕ 용기에 따른 후 5mm의 NMR샘플셀에 따라 실험조로 한다. 그리고 전술방식을 참조하여 같은 물을 뽑아 산소첨가를 하지 않아 비교조로 한다.
측정 환경 온도는 대충 실내 온도이고 상대습도는 약 50%이다.
다음과 같은 조건에 충족시킨다. 11.74 Tesla NMR로 17O핵자 공명기법(17O NMR)으로 분석한다. 공진주파수 67.768 MHz, 샘플 추출시간 0.345초, 데이터점 4096, 도보너비 5940.4Hz, 4096번스캔, 플립각도(flip angle)~ 67˚, 지연시간 (relaxation delay) 0.2초, 25℃도 예비항온시간>20분, 항온기류속도>600리터/분, "17O"는 수소원자핵에 결합을 취소하지 않고 산소 원자핵을 측정하고(즉pulse-acquire펄스 절차) "17O수소결합취소"는 산소원자핵을 측정하면서 수소원자핵에 결합 취소를 한다.(즉, inverse-gated펄스 절차)
모든 NMR의 실험의 주요 데이터 처리파라미터는 모두 선폭증가(line broadening)혹은 원도우 함수(window function)파라미터, 데이터포인트 8192, 고속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지 않는다.
결과를 보면, 실험조 17O의 높이의 반과 너비는 64.16 Hz, 17O의 높이의 반과 너비는 56.5Hz이며 비교집단 17O의 높이의 반과 너비는 107.65 Hz이고 17O의 높이의 반과 너비는 65.42Hz이다.
수분자단이 작을 수록 핵자기 공명높이의 반과 너비의 값이 적다. 실험데이터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수는 비교적 작은 수분자단이 있어 인체내에 신속히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신속히 흡수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부드러운 입맛이있다.
이외에 이론적 한정없이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한 고양수에서약 5-6개의 수분자가 서로 수소결합을 통하여 분자단이 이루어지고 각 분자단의 수소결합수량이 약 5-10개이고 이를 통하여 6개의 수분자, 8개의 수소결합의 케이지 분자단이 이루어지거나 6개의 수분자, 9개의 수소 결합의 기둥식(prism) 분자단이 이루어져 산소를 분자단의 입체구조에 덮여 산소함량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효과를 거둔다.
실시예: 고양수의 최고 산소 함량 측정
시중에 판매되는 열씨병생수와 아주 좋은 병생수를 처리할 물1과 물2로 설정한다. 산소증가전의 원시 산소함량이 각각 3.7 ppm와 3.5 ppm이다. 일정체적(약 1갤런)의 전술한 물을 각각 전술한 실시예에서 말한 드링크모션의 냉수부에 따르고 수냉식으로 물의 온도(4℃-8℃)를 유지하고 일정한 유량(200 cc/min)으로 산소가입처리를 하고 처리기간에 정기적으로 물을 약 200ML 배출하여 용존 산소시험기인 WTW Oxi3210과 CellOx 325 전극으로 실내온도에서 산소함량을 측정한다. 실험을 통하여 처리될 물1은 산소 첨가처리 약 208분 후 최고산소함량인 38.5 ppm에 달하고 처리할 물2는 산소첨가 220분 후 최고 산소함량인 37.8ppm에 달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고양수의 안정성분석(I)
전술한 실시예에서 진술한 방식으로 처리될 물1과 물2에 산소첨가처리하여 고양수1과 고양수2를 제조하여 200ML정도 뽑고 실내온도에서 개방된 환경에 방치하여 정기적으로 고양수1과 고양수2의 산소함량이 시간의 지나감에 따른 변동 상태를 측정한다.
측정시간(hr) 고양수1산소함량(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고양수2산소함량(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0 37.9 100 38.6 100
0.5 30.3 79.95 31.0 80.31
1 28.9 76.25 29.2 75.65
1.5 27.3 72.03 27.8 72.02
2 26.9 70.98 26.4 68.39
2.5 26.7 70.45 25.7 66.58
3 25.7 67.81 25.0 64.77
3.5 23.8 62.80 24.2 62.69
4 21.6 56.99 21.9 56.74
4.5 21.3 56.20 20.7 53.63
5 21.0 55.41 20.1 52.07
5.5 20.7 54.62 19.7 51.04
6 20.5 54.09 19.2 49.74
6.5 20.2 53.30 19.0 49.22
7 20.2 53.30 18.9 48.96
7.5 20.1 53.03 18.7 48.45
8 20.1 53.03 18.6 48.19
8.5 20.0 52.77 18.5 47.93
9 19.9 52.51 18.4 47.67
9.5 19.8 52.24 18.3 47.41
10 19.7 51.98 18.2 47.15
10.5 19.7 51.98 18.1 46.89
11 19.6 51.72 18.0 46.63
11.5 19.6 51.72 18.0 46.63
12 19.5 51.45 17.9 46.37
12.5 19.5 51.45 17.9 46.37
13 19.4 51.19 17.8 46.11
13.5 19.4 51.19 17.7 45.85
14 19.3 50.92 17.7 45.85
14.5 19.3 50.92 17.6 45.60
15 19.2 50.66 17.6 45.60
15.5 19.2 50.66 17.5 45.34
16 19.1 50.40 17.5 45.34
16.5 19.1 50.40 17.4 45.08
17 19.0 50.13 17.4 45.08
17.5 19.0 50.13 17.3 44.82
18 18.9 49.87 17.4 45.08
18.5 18.9 49.87 17.3 44.82
19 18.9 49.87 17.2 44.56
19.5 18.8 49.60 17.2 44.56
20 18.8 49.60 17.1 44.30
20.5 18.8 49.60 17.1 44.30
21 18.7 49.34 17.0 44.04
21.5 18.7 49.34 17.0 44.04
22 18.7 49.34 16.9 43.78
22.5 18.6 49.08 16.9 43.78
23 18.6 49.08 16.9 43.78
23.5 18.6 49.08 16.8 43.52
24 18.5 48.81 16.8 43.52
위의 표의 데이터를 통하여 고양수가 제조 완료후 30분내 방치하면 산소함량의 감소폭이 비교적 큰데이터는 이 기간에 용존산소상태가 아직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일 것이며 그 후에 비교적 안정적이고 산소함량의 감소폭이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 그리고 개방환경과 실내온도에서라도 고양수1의 초기산소함량(37.9ppm)과 고양수2의 초기산소함량(38.6ppm)을 100%로 본다면, 고양수를 30분동안 방치후의 산소함량백분율(각각 79.95%와 80.31%)에서 고양수방치 180분후의 산소함량 백분율(각각 67.81%과 64.77%)을 빼서 차이가 각각 12.14%와 15.54%이고 방치 180분후 산소함량이 여전히 25ppm이거나 25ppm이상 이었다. 이는 본 발명자 고양수가 고도의 안정성을 갖추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고양수의안정성분석(II)
전술한 실시예의 방식으로 제조한 고양수1와 고양수2를 10℃, 15℃, 20℃, 25℃, 30℃, 40℃도 가열하여 산소함량을 측정한다.
온도(℃) 고양수1산소함량(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고양수2산소함량(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10 34.9 100 37.0 100
15 35.9 102.87 37.0 100
20 37.0 106.02 38.5 104.05
25 36.3 104.01 40.6 109.73
30 33.7 96.56 30.9 83.51
31 33.7 96.56 29.8 80.54
32 33.4 95.70 29.8 80.54
33 33.2 95.13 29.8 80.54
34 33.5 95.99 29.8 80.54
35 33.3 95.42 29.9 80.81
36 33.1 94.84 29.9 80.81
37 32.7 93.70 29.9 80.81
38 32.6 93.41 29.9 80.81
39 32.4 92.84 29.8 80.54
40 32.4 92.84 29.9 80.81
표2에서 보듯이 고양수 제조 완성초기부터 초기가열단계(15℃-25℃)에 산소함량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고양수 제조가 완료된지 얼마 안되고 아직 안정적이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안정 상태에 들어간 후 고양수의 산소함량의 변동이 안정적이게 된다. 고양수1은 10℃에서 40℃까지 가열될 때 산소함량의 변동이 10%이하이며 산소함량이 가열기간에 30ppm이상을 유지하였다. 고양수2는 10℃에서 40℃까지 가열후 산소함량변동이 20% 이하이며 산소함량이 모두 30ppm정도 유지하였다.
실시예: 고양수의 안정성분석(III)
전술한 실시예의 방식으로 고양수1과 고양수2를 제조하여 초기온도에서 37℃, 35℃, 3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를 대략 유지하고 30, 60, 90, 120분후 산소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3(37℃), 표 4(35℃), 그리고 표5(30℃)와 같다.
측정시간
(min)
온도(℃) 고양수1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
측정시간(min) 온도(℃) 고양수2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
제조완성 8.9 37.4 X 제조완성 5.7 34.9 X
0 37.0 33.8 100 0 37.0 32.7 100
30 37.2 31.6 93.49 30 37.2 30.4 92.97
60 37.1 29.8 88.17 60 37.1 28.9 88.38
90 37.0 27.7 81.95 90 37.3 27.6 84.40
120 37.1 26.4 78.11 120 36.8 25.8 78.90
측정시간
(min)
온도(℃) 고양수1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측정시간
(m)
온도(℃)in 고양수2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제조완성 8.9 37.1 X 제조완성 8.7 34.9 X
0 34.8 34.1 100 0 35.2 33.1 100
30 35.2 32.9 96.48 30 34.9 30.9 93.35
60 35.3 31.6 92.67 60 35.1 29.5 89.12
90 35.2 29.8 87.39 90 35.2 28.1 84.89
120 35.1 27.9 81.82 120 34.8 26.8 80.97
측정시간
(min)
온도(℃) 고양수1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측정시간
(min)
온도(℃) 고양수2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제조완성 8.9 37.4 X 제조완성 8.6 34.7 X
0 30.1 36.9 100 0 30.3 33.4 100
30 29.8 34.2 92.68 30 29.8 32.1 96.11
60 30.2 33.1 89.70 60 30.1 30.9 92.51
90 30.1 30.4 82.38 90 30.2 29.1 87.13
120 29.7 29.1 78.86 120 29.9 27.9 83.53
표3에서 표5까지의 데이터를 통하여 본 발명이 말한 고양수는 30℃-40℃에서 120분 유지후, 산소함량 변동이 모두 30% 이하이고 조금 좋은 경우는 25% 이하이며 더좋은 경우는 20% 이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말한 고양수가 30℃-40℃에서 120분 유지하는 동안 산소함량이 20ppm 이상이고 조금 좋은 경우 25ppm이상이었다. 또한 본 발명이 말한 고양수가 30℃-40℃에서 산소함량을 20ppm이상으로 유지하는 시간이 적어도 60분이 되고 더 좋은 경우 37℃ 정도에서 산소함량을 25ppm 이상으로 적어도 120분을 유지할 수 있다.
인간의 체온이 약 37℃이고 이상의 데이터로 본 발명자 고양수는 정상의 인간체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산소함량을 유지할 수 있고 37℃에서 산소함량을 25ppm이상으로 적어도 120분동안 유지할 수 있는데 이 시간에는 고양수가 인체 내에 장기간 순화해도 높은 산소함량을 유지하여 인체 각부위의 산소함량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이외에 시중에 판매되는 자연미보건 고양수와 화백 HOPPER O2 고양수를 각각 비교예1과 비교예2로 설정하고 초기온도에서 37℃, 35℃, 30℃까지 가열하고 대충이 온도로 유지하고 각각 30, 60, 90, 120분후 산소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6(37℃), 표7(35℃), 표8(30℃)와 같다.
측정시간
(min)
온도(℃) 비교예1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측정시간
(min)
온도(℃) 비교예2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개봉시 26.6 23.5 X 개봉시 25.4 17.2 X
0 37.0 21.1 100 0 37.0 13.3 100
30 37.3 19.4 91.94 30 37.2 11.1 83.46
60 37.1 16.5 78.20 60 37.3 10.2 76.69
90 36.9 14.9 70.62 90 36.9 8.9 66.92
120 37.3 12.1 57.35 120 37.2 7.8 58.65
측정시간
(min)
온도(℃) 비교예1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측정시간
(min)
온도(℃) 비교예2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개봉시 26.6 23.4 X 개봉시 25.4 17.1 X
0 35.1 21.3 100 0 35.1 13.2 100
30 34.8 19.1 89.67 30 34.8 11.2 84.85
60 34.9 16.9 79.34 60 34.9 10.3 78.03
90 35.3 15.1 70.89 90 35.3 9.3 70.45
120 35.2 13.2 61.97 120 35.2 8.2 62.12
측정시간
(min)
온도(℃) 비교예1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측정시간
(min)
온도(℃) 비교예2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개봉시 26.6 23.6 X 개봉시 25.4 17.3 X
0 30.3 21.9 100 0 29.8 13.4 100
30 29.8 19.7 89.95 30 30.1 11.6 86.57
60 30.1 17.6 80.37 60 30.2 10.5 78.36
90 30.2 16.5 75.34 90 29.9 9.6 71.64
120 29.7 14.3 65.30 120 30.1 8.7 64.93
표3-표5의 실시예와 표6-표8의 비교예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자 고양수가 상대적 고온(30℃이상)에서 120분후 비교적 높은 산소함량을 유지할 수 있고 산소함량변동이 좀 좋은 경우에 25%이하이고 더 좋은 경우에 20% 이하이며 120분후 산소함량이 여전히 20ppm이상 이고 더 좋은 경우는 25ppm 이상이다. 다른 한편으로 비교예의 고양수가 상대고온(30℃이상)에서 120분후 비교적 높은 산소함량을 유지하지 못하고 산소 함량이 35%-43%정도 감소되고 산소함량이 15ppm이하이다.
실시예: 고양수의안정성분석(IV)
전술실시예의 방식으로 고양수1과 고양수2를 제조하고 8℃의 초기온도에서 각각 50℃까지 가열하고 이 기간에 산소함량 변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한 결과는 표9와 같다.
온도(℃) 고양수1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고양수2산소함량
(ppm)
상대 산소함량백분율(%)
8.4 34.9 100 37.1 100
10 34.9 100 37.0 99.73
11 34.9 100 36.3 97.84
12 35.5 101.72 36.0 97.04
13 35.5 101.72 36.5 98.38
14 35.6 102.01 36.9 99.46
15 35.9 102.87 37.0 99.73
16 36.1 103.44 37.2 100.27
17 36.4 104.30 37.6 101.35
18 36.9 105.73 38.0 102.43
19 37.2 106.59 38.5 103.77
20 37.0 106.02 38.5 103.77
21 37.2 106.59 39.2 105.66
22 37.2 106.59 39.6 106.74
23 37.0 106.02 39.8 107.28
24 36.6 104.87 40.4 108.89
25 36.3 104.01 40.6 109.43
26 35.2 100.86 40.4 108.89
27 34.3 98.28 40.7 109.70
28 33.9 97.13 38.6 104.04
29 33.9 97.13 37.7 101.62
30 33.7 96.56 36.9 99.46
31 33.7 96.56 36.1 97.30
32 33.4 95.70 35.4 95.42
33 33.2 95.13 34.9 94.07
34 33.5 95.99 34.6 93.26
35 33.3 95.42 34.3 92.45
36 33.1 94.84 34.1 91.91
37 32.7 93.70 33.8 91.11
38 32.6 93.41 33.5 90.30
39 32.4 92.84 33.3 89.76
40 32.4 92.84 33.2 89.49
41 32.2 92.26 33.1 89.22
42 32.1 91.98 32.8 88.41
43 32.0 91.69 32.7 88.14
44 32.0 91.69 32.5 87.60
45 32.1 91.98 32.5 87.60
46 31.9 91.40 32.4 87.33
47 31.7 90.83 32.4 87.33
48 31.6 90.54 32.2 86.79
49 31.5 90.26 32.1 86.52
50 31.1 89.11 32.0 86.25
표9의 데이터를 통하여 본 발명이 제조된 고양수를 초기 온도에서 고온으로 가열한 후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산소함량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고양수를 5℃ -10℃의 초기온도에서 40℃ -50℃까지 가열한 후, 산소함량변동이 20% 이하이며 가열기간에 산소함량이 25ppm 이상이었다. 그리고 고양수를 5℃-10℃의 초기온도에서 40℃ -50℃까지 가열한 후 산소함량 변동이 15%이하 이고
가열기간에 산소함량이 모두 30ppm이상으로 유지하였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고양수는 비교적 좋은 안정성을 지니고 제조완성 후 상대적으로 높은 용존산소값을 가지며 시간의 지나감 혹은/또는 상대적 고온(예를들면체온 37℃) 조건에서 산소함량변동의 폭이 작고 산소함량값이 25ppm 이상으로 유지하므로 바로 마시거나 각종 구성물로 가공하여 점적주사(intravenous infusion), 정맥내주사(intravenous injection), 복용, 바름등 방법(이러한 방법에 만한 정하지 않음)으로 인체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술제조방법으로 얻어진 고양수를 생물호환성 구성물로 제조할 수 있고 이는 본발명의 고양수와 적어도 1가지의 생물호환성 성분이 포함된다.
실시예: 의약구성물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술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수를 의약구성물로 제조하고 이 생물호환성 성분은 정맥영양소 혹은/또는 의약이다.
이를테면, 각종 기지의 정맥영양소를 전술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수에 첨가하고 이런 정맥영양소는 아미노산, 지방, 탕류, 전해질, 비타민, 그리고 광물 질중에서 적어도 1 혹은 2나 그 이상의 조합이다. 예를 들어, 정맥영양소는 농도가 5%인 글루코오스(예: 포도당) 용액 혹은 농도가 0.9%의 염화나트륨액이고 이를 통하여 정맥내주사에 사용될 수 있는 의약구성물을 제공한다.
이외에, 예컨대, 적어도 1가지 각종기지 작은 분자 혹은 큰 분자약을 전술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수에 첨가하여 질병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의약구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전술약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수용액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작은 분자약은 고요산혈증을 치료하는 약으로서 잔틴산화효소억제제 혹은 요산배출제 등이 있다. 전술한 고요산혈증치료 약은 알로푸리놀(Allopurinol), Benzbromazone, 설핀피라존(Sulfinpyrazone), 프로베네시드(Probenecid), 콜히친(Colchicine) 혹은 그들의 조합에서 선정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고양수와 같이 사용되는 고요산혈증 치료의약은 고양수와 가성 혹은 종합효력이 발생하는 약을 가리킨다.
실시예: 화장품 구성물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술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수를 화장품 구성물로 제조하고 이 생물호환성 성분은 상용의 화장품첨가제이면 된다. 예를 들어, 이 화장품 첨가제는 인터페이스활성제, 가루, 색료, 알코올, 점착제, 킬레이팅제, 실리콘화합물, 항산화물질, 자외선흡수제, 자외선반사제, 미백제, 보습제, 향료, 방부제, 중화제, 그리고 pH값 조정제 중에서 적어도 1, 혹은 2나 그 이상의 조합을 선택하지만 이에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술화장품 구성물은 보통 외용으로 인체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 화장품 구성물을 필요한 인체부위에 바른다.
실시예: 음료구성물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술방법으로 제조하여 얻어진 고양수를 음료 구성물로 제조한다. 이 생물호환성 성분은 상용 의식품 첨가제이다. 이를테면, 이런 식품첨가제는 방부제, 살균제, 항산화제, 영양첨가제, 조미료, 산미료, 착색제, 향료, 감미료, 점조제, 유화제 중에서 적어도 1, 혹은 2나 그 이상의 조합을 선택하지만 이에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 에따라 본 발명의 고양수 전술한 음료 구성물을 병 혹은 캔으로 만들어 판매할 수 있다.
실시예: 고양수가 동물 요산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Wistar 계통의 웅성쥐를 실험 대상으로 하고 쥐의 나이는 7-8주이고 체중은 280-300g이며 체중 차이는 20% 내이다.
쥐를 구입 후 사육하면서 2주 동안 관찰하고 환경에 적응되고 정상적으로 자란후 실험을 실시한다. 실험기간에 동물 사육실 온도를 22±3℃로, 상대습도를 30~70%로 통제하고 기록하고 12시간 일조/암흑교체, 먹이를 정량으로 제공하나 물은 한정하지 않으며 약을 먹이는 전달 저녁에는 금식하고 약을 먹인 4시간 후에 다시 먹이를 먹인다.
본 실시예는 40마리의 건강한 웅성쥐(임의로 통제집단 8마리, 비교집단 8마리, 실험집단 A조 8마리, 실험 B조 8마리, 실험 C조 8마리)를 실험 대상으로 한다.
고요산혈증의 유발은 요산산화효소억제제 소르빈산칼륨(oxonic acid potassium salt, Sigma-Aldrich에서 구입, 0.6 g/kg/날)과 요산산화효소(uric acid,Sigma-Aldrich에서 구입,0.6 g/kg/날)를 고요산혈증을 유발하는 약으로 하고 이 약을 생리식염수(소르빈산칼륨과요산각 0.18g를 0.5mL의 생리식염수에 뜨게한다)에 뜨게 하고 복강주사로 약을 먹이고 정량으로 단번 주사(2차/주)로 4주로 유지한다.
본 실시예의 실험집단은 다음과 같다.
통제집단: 건강한 웅성쥐 8마리, 고요산혈증을 유발하지 않고 실험기간에 살균증류수를 먹인다.
비교집단: 고요산혈증을 유발한 우성쥐 8마리, 4주동안 지속적으로 고요산혈증 유발약을 복강 주사하고 실험기간에 살균증류수를 먹인다.
실험A조: 교요산혈증을 유발한 웅성쥐 8마리, 4주동안 지속적으로 고요산혈증 유발약을 복강주사하고 유발기간에 살균증류수를 먹이고 유발종지 후 1주에 본 발명의 고양수를 먹인다.
실험B조: 고요산혈증을 유발한 웅성쥐 8마리, 4주동안 지속적으로 고요산혈증 유발약을 복강주사하고 유발기간과 유발종지 후 1주에 본 발명의 고양수를 먹이고 고양수 제공기간은 총 5주이다.
실험C조: 고요산혈증을 유발한 웅성쥐 8마리, 4주동안 고요산혈증을 유발한 약을 복강주사하고 유발전 1주, 유발기간, 그리고 유발종지 후 1주에 본 발명의 고양수를 먹이고 고양수 제공기간은 총 6주이다.
실험기간에 본실시예 각집단의 쥐의 혈액을 뽑아 요산값을 측정한 결과 다음 표10과 같다. 그 중에서 값은 평균치±표준오차로 표시하고 *는 통제집단에 비하여 p<0.001을 표시하고 요산값의 단위는 mg/dL이다.
일수 통제팀 대조팀 실험A팀 실험B팀 실험C팀
유발전7일 0.93±0.19 - - - 0.99±0.22
유발제0일 0.93±0.19 1.09±0.19 1.1±0.19 1.01±0.18 1.13±0.18
유발제7일 0.93±0.26 3±0.32* 3.11±0.23* 2.29±0.2* 1.25±0.16
유발제14일 1±0.2 4.13±0.39* 4.39±0.42* 2±0.28* 1.5±0.23
유발제21일 0.7±0.2 5.5±0.5* 5.6±0.4* 2.9±0.4* 2.5±0.3*
유발제28일 0.8±0.16 6.93±0.69* 7.01±0.35* 3.35±0.32* 3.08±0.24*
표10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알수 있다. 1) 28일 유발기후 비교집단 요산값이 1.09mg/dL에서 6.93mg/dL까지 증가했고 실험A조의 요산값은 1.1mg/dL에서 7.01mg/dL까지 증가했으며 두집단이 유발제 7, 14, 21, 28날에 요산값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2) 28일 유발기후, 실험B조의 요산값은 1.01mg/dL에서 3.35mg/dL까지만 증가했고 비교집단보다 현저히 낮다. 3) 28일 유발기후, 실험C조의 요산값은 1.13mg/dL에서 3.08mg/dL까지만 증가했으며 비교집단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4) 실험C조는 유발제7일, 14일의 요산값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른 한편으로 표10의 결과에 따라 비교집단, 실험B조, 실험C조가 유발기간에 요산누계량(증가량)을 계산하고 비교집단이 실험B조와 실험C조의 요산누계량배수(비교집단 요산누계량을 실험B조의 요산누계량 혹은실험C조의 요산누계량으로 나눈다)를 계산한다. 결과는 표 11과 표12와 같다.
일수 대조팀 실험B팀 실험C팀
유발제7일 2.02±0.4 1.28±0.21 0.26±0.29
유발제14일 3.16±0.44 1.01±0.34 0.51±0.27
유발제21일 4.46±0.49 1.91±0.26 1.5±0.39
유발제28일 5.87±0.58 2.34±0.43 2.09±0.33
일수 대조팀누적량/실험B팀누적량 대조팀누적량/실험C팀누적량
유발제7일 1.58배 7.77배
유발제14일 3.13배 6.2배
유발제21일 2.34배 2.97배
유발제28일 2.51배 2.81배
전술한 결과는 본 발명의 고양수는 고요산혈증 예방뿐만 아니라 치료의 효과도 있다는 것을 증명 할 수있다.
각 실험 집단에게 4주동안 고요산혈증 유발완료 후 통제집단과 비교집단에게 살균증류수를 1주 동안 먹이고 실험A조, 실험B조, 그리고 실험C조에게 본 발명의 고양수 1주동안 먹이고 요산값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표13과 같다. 이중에서 유발제29일, 즉 유발종지후 제1일, 유발제31일, 즉유발종지후 제3일이다.
일수 통제팀 대조팀 실험A팀 실험B팀 실험C팀
유발제28일 0.8±0.16 6.93±0.69* 7.01±0.35* 3.35±0.32* 3.08±0.24*
유발제29일 0.9±0.2 6.2±0.4* 5.5±0.3* 2.1±0.1* 1.8±0.2*
유발제31일 1.1±0.2 5.4±0.3* 2.9±0.4* 1.3±0.2 1.1±0.2
유발제33일 0.9±0.3 3.95±0.2* 1.05±0.2 0.8±0.2 0.8±0.3
유발제35일 1.1±0.2 2.2±0.2* 0.96±0.2 0.9±0.2 1±0.2
이상의 데이터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 비교집단은 유발종지후 제7일에 요산값(2.2 mg/dL)이 여전히 통제집단보다 현저히 높다. 2) 모든 실험조는 유발종지후 제1, 3, 5, 7일의 요산값은 모두 비교집단보다 현저히 낮다. 3) 실험A조는 유발종지후 제5일의 요산값(1.05 mg/dL)이 정상범위에 돌아가 그 후에 정상범위에 유지하였다. 4) 실험B조와 실험C조는 유발종지후 제3일에 요산값(1.3 mg/dL, 1.1 mg/dL)이 정상범위에 돌아갔고 그 후에 정상범위에 유지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표13의 결과에 따라 비교집단과 실험A조가 유발종지후 쥐의 요산배출량(감소량)과 실험A조가 비교집단에 비한 배출(감소)배수를 계산한 결과는 표 14와 같다.
일수 대조팀감소량 실험A팀감소량 실험A팀감소량/대조팀감소량
유발제29일 -0.74±0.93 -1.56±0.43 2.11배
유발제31일 -1.56±0.6 -4.14±0.57 2.65배
유발제33일 -2.98±0.69 -5.86±0.31 2배
유발제35일 -4.73±0.63 -6.05±0.42 1.28배
전술결과는 본 발명의 고양수가 체내요산 배출을 촉진할 수 있어 고요산혈증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방식은 본질적으로 보조적 설명뿐이고 이를 신청표적의 실시예 혹은이러한 실시예의 응용과 용도에 사용되지 않는다. 본문에서의 용어 "예시성"은 "하나의실례, 범례혹은 설명으로서"의 의미를 표시한다. 특별한 설명없이 본문에서 모든 예시성의 실시양태는 다른 실시양태보다 좋거나 유리하다고 해석되지 않는다.
이외에 전술실시방식에서 적어도 하나의 예시성 실시예를 제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큰 변화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본문에서 서술한 실시예는 출원한 목적의 범위, 용도, 양태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도 알고 있어야 한다. 이에 반하여 전술한 실시방식은 본 분야에서 상식을 갖는자에게 간편한 안내를 제공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는 기지의 균등물과 본 특허출원 안에서 신청한 모든 예측 가능한 균등물이 포함된다.

Claims (15)

  1. 한 종류의 고양수는 물과 산소가 포함되어 이 중에서 산소의 함량이 20ppm 이상이며 상기 고양수의 초기 산소함량이 100%로 하면 30분에 방치 후의 산소함량 백분율(A)와 180분에 방치 후의 산소함량백분율(B)의 차이(A-B)가 24%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2. 제1항에 있어서, 180분에 방치후 산소함량이 25p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양수를 10℃에서 40℃까지 가열한 후 산소함량변동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양수를 10℃에서 40℃까지 가열후 산소함량이 25pp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5. 제1항에 있어서, 30℃-40℃에서 120분동안 유지후 산소함량 변동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6. 제1항에 있어서, 30℃-40℃에서 산소함량이 20ppm 이상을 적어도 60분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양수를 5℃-10℃에서 40℃-50℃까지 가열한 후, 산소함량 변동이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이어야한다.
  8. 제1항에 있어서, 5℃-10℃에서 50℃까지 가열하는 동안 산소함량이 30p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9. 제1항에 있어서, 17O핵 자기공명법으로 측정한 높이의 반과 너비는 40Hz-80Hz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
  10.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양수와 적어도 한가지의 생물호환성 성분이 포함된 생물호환성 구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호환성 구성물은 의약구성물이고 상기 생물 호환성 성분이 정맥영양소와 약으로 나뉘고 상기 정맥영양소는 아미노산, 지방, 탕류, 전해질, 비타민, 그리고 광물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약은 고요산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호환성 구성물.
  12. 물에 산소를 제공하는 절차를 포함하되,
    산소제공기간에 물을 0℃-12℃ 사이에 유지하고 50cc/min - 1000cc/min의 양으로 물에 산소를 제공하고 제공시간은 30분 이상이고 얻어진 고양수가 17O핵자 공명기법으로 측정한 높이의 반과 너비가 40Hz-8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산소제공기간에 먼저 제1유량으로 물의 산소함량이 20ppm-25ppm가될 때까지 산소를 제공하고 이어 제2유량으로 산소를 제공하며 제2유량은 제1유량과 같거나 제1유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수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기재된 고양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수.
  15.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양수에 의한 고요산혈증 치료약 또는 예방약을 제조하는 용도.
KR1020160102261A 2015-08-25 2016-08-11 고양수, 고양수가 포함된 생물 호환성 구성물, 고양수의 제조방법 및 고양수의 용도 KR20170024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127596 2015-08-25
TW104127596A TWI529139B (zh) 2015-08-25 2015-08-25 High oxygen water, biocompatible composition containing high oxygen water and preparation method of high oxygen water
TW104128012 2015-08-26
TW104128012A TWI573593B (zh) 2015-08-26 2015-08-26 High oxygen water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and / or prevention of hyperuricem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37A true KR20170024537A (ko) 2017-03-07

Family

ID=5668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261A KR20170024537A (ko) 2015-08-25 2016-08-11 고양수, 고양수가 포함된 생물 호환성 구성물, 고양수의 제조방법 및 고양수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70056439A1 (ko)
EP (1) EP3135120A1 (ko)
JP (1) JP2017043602A (ko)
KR (1) KR20170024537A (ko)
AU (1) AU2016208449A1 (ko)
CA (1) CA2937729A1 (ko)
NZ (1) NZ730267A (ko)
PH (1) PH12016000285A1 (ko)
RU (1) RU2016133355A (ko)
SG (2) SG10201900006X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3185A (zh) 2019-09-03 2022-04-08 索尼集团公司 控制装置、扬声器装置和声音输出方法
US20230007434A1 (en) 2019-12-19 2023-01-05 Sony Group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peak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17450B (hu) * 1994-04-27 2000-01-28 Life International Products, Inc. Eljárás és berendezés oxigénnel dúsított italok előállítására
US6913382B2 (en) * 2000-04-27 2005-07-05 Denis-Michel Ledoux Treatment of fluids
JP4080440B2 (ja) * 2004-03-05 2008-04-2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酸素ナノバブル水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43681A (ja) * 2004-06-30 2006-02-16 Seiwa Pro:Kk 機能水、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0060273043A1 (en) * 2005-06-03 2006-12-07 BAGLEY David Method for producing super-oxygenated and structured water
AU2007308840C1 (en) * 2006-10-25 2014-09-25 Revalesio Corporation Methods of therapeutic treatment of eyes and other human tissues using an oxygen-enriched solution
JP5207430B2 (ja) * 2006-10-30 2013-06-1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新規な酵素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WO2009077376A1 (de) * 2007-12-14 2009-06-2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FR2925480B1 (fr) * 2007-12-21 2011-07-01 Gervais Danone Sa Procede d'enrichissement d'une eau en oxygene par voie electrolytique, eau ou boisson enrichie en oxygene et utilisations
EP2566460A4 (en) * 2010-05-07 2015-12-23 Revalesio Corp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SPORTING PERFORMANCE AND REDUCED RECEPTION TIMES
JP2014014357A (ja) * 2012-06-14 2014-01-30 Takaaki Matsumoto 肝機能・腎機能改善飲料およびこの製造方法
CN202705029U (zh) 2012-06-19 2013-01-30 禾氧生技股份有限公司 氧气制造机
CN202820947U (zh) 2012-06-20 2013-03-27 禾氧生技股份有限公司 高溶氧饮水机
CN202932748U (zh) 2012-10-22 2013-05-15 禾氧生技股份有限公司 细分子高氧水饮水机
JP5948259B2 (ja) * 2013-01-24 2016-07-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収音装置及び再生装置
CN104045121A (zh) * 2013-03-15 2014-09-17 常州金赛肿瘤医药科技有限公司 小分子水制备及应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08449A1 (en) 2017-03-16
EP3135120A1 (en) 2017-03-01
CA2937729A1 (en) 2017-02-25
US20170056439A1 (en) 2017-03-02
SG10201900006XA (en) 2019-02-27
NZ730267A (en) 2017-10-27
JP2017043602A (ja) 2017-03-02
PH12016000285A1 (en) 2018-02-19
RU2016133355A (ru) 2018-02-16
NZ722757A (en) 2017-04-28
SG10201606557RA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9010A (zh) 复方氨基酸注射液18aa的药物组合物和用途
KR20170024537A (ko) 고양수, 고양수가 포함된 생물 호환성 구성물, 고양수의 제조방법 및 고양수의 용도
CN109953231A (zh) 左旋肉碱饮料及其制备方法
WO2008136420A1 (ja) ホエイタンパク質を高濃度で含む液状栄養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432333A (zh) 一种果味苏打水
CN105167074B (zh) 一种消除饥饿感及不良情绪的饮料及其制备方法
CN116268245A (zh) 一种透明质酸钠气泡水及其制作方法
CN109965166A (zh) 一种香菇多糖饮料的生产方法
CN104397799A (zh) 一种红糖枣汁饮料及其制备方法
US20060063839A1 (en) Inhibitors of decrease in body temperature
TWI573593B (zh) High oxygen water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and / or prevention of hyperuricemia
CN105362288B (zh) 高氧水在制备用于治疗和/或预防高尿酸血症的药物的用途
CN101234123A (zh) 一定浓度的盐酸水在治疗血管疾病中的应用
RU2357164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го льда
TWI555707B (zh) Preparation of high oxygen water
TWI529139B (zh) High oxygen water, biocompatible composition containing high oxygen water and preparation method of high oxygen water
CN107854428A (zh) 一种溴吡斯的明糖浆剂及其制备方法
IT201800006414A1 (it) PREPARATI PER LA CORREZIONE DEL pH E PRODUZIONE DI IDROGENO MOLECOLARE E LORO UTILIZZO NEGLI ALIMENTI E BEVANDE
RU2746279C2 (ru) Слабоалкогольный коктейль
CN104244741A (zh) 富锌饮用水的制造方法、组合物和包装水
CN105366792B (zh) 高氧水、含有高氧水的生物相容性组成物及高氧水的制备方法
KR20140019359A (ko) 과일향이 첨가된 섬유 및 비타민 강화 음료 제조 공정 및 이 공정으로부터 얻어진 음료
NZ722757B (en) Oxygen-Enriched Water Composition, Biocompati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CN106032504A (zh) 桂花葡萄酒饮料配方
JPH06172191A (ja) ブドウ糖加電解質輸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