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516A -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516A
KR20170024516A KR1020150170443A KR20150170443A KR20170024516A KR 20170024516 A KR20170024516 A KR 20170024516A KR 1020150170443 A KR1020150170443 A KR 1020150170443A KR 20150170443 A KR20150170443 A KR 20150170443A KR 20170024516 A KR20170024516 A KR 20170024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upled
toilet
sewage pip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781B1 (ko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송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광 filed Critical 송태광
Publication of KR2017002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트랩에 장착된 수용부재에 편심소켓을 결합하여 편심소켓의 회전반경만큼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의 간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편심소켓의 하단부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만곡된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편심소켓이 오수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심소켓의 홈 내면에 돌기를 돌출시켜 홈으로 결합되는 패킹이 눌려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사 별로 1~2mm의 직경이 다른 오수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Flange structure for toilet}
본 발명은 양변기 플랜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트랩에 장착된 수용부재에 편심소켓을 결합하여 편심소켓의 회전반경만큼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의 간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편심소켓의 하단부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만곡된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편심소켓이 오수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함은 물론 편심소켓의 홈 내면에 돌기를 돌출시켜 홈으로 결합되는 패킹이 눌려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사 별로 1~2mm의 직경이 다른 오수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어 탱크에 저장된 물 및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보올(Bowl)로 배수시킴과 동시에 보올에 위치한 용변과 함께 트랩과 플랜지 및 오수관을 경유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면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보올에 설치된 트랩과 오수관을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상단부는 트랩과 결합하고, 하단부는 오수관에 결합되어 용변의 이동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오수관이 각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지 않아 양변기의 트랩과 수직선상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변기에 고정되어 오수관에 결합되는 플랜지의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2071호에 양변기용 오수관 연결구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통공이 편심된 연결캡부가 상부통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양변기와 연결함으로써, 연결캡부의 통공에 상부통체부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하부통체부의 회전반경만큼 화장실 벽체와 오수관의 간격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연결캡부가 양변기의 배출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양변기의 용변을 세척할 경우, 양변기의 배출구 직경보다 연결캡부의 통공의 직경이 작아 통공으로 배출되는 용변이 연결캡부 상면에 위치하여 용변의 세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통체부가 결합되는 오수관은 VG2 KS제품으로 이를 제조하는 제조사별로 1~2mm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하부통체부에 결합된 패킹의 외경이 오수관의 내경보다 작을 경우, 패킹의 외경과 오수관 내경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패킹의 외경이 오수관의 내경보다 클 경우, 패킹의 외경이 오수관 내경에 밀착되어 이동하므로 마찰력에 의해 패킹이 회전하면서 하부통체부의 홈에서 이탈하므로 견고한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변기의 트랩에 장착된 수용부재에 편심소켓을 결합하여 편심소켓의 회전반경만큼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의 간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심소켓의 하단부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만곡된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편심소켓이 오수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함은 물론 편심소켓의 홈으로 결합된 패킹이 오수관 내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심소켓의 홈 내면에 돌기를 돌출시켜 패킹이 돌기에 눌리도록 하여 홈으로 결합되는 패킹의 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조사 별로 1~2mm의 직경이 다른 오수관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홈에 결합되는 패킹의 뒤집히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는,
양변기 저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안착되면서 양변기의 트랩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공이 관통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통공에 소켓리브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소켓몸체를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 사이의 간격 및 오수관의 위치에 따라 회전시켜 설치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소켓몸체의 하단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리브가 오수관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소켓몸체가 오수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편심소켓과;
상기 수용부재와 양변기를 고정하도록 수용부재의 체결안내공과 양변기의 체결안내공으로 체결고정하는 볼트/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변기의 트랩에 장착된 수용부재에 편심소켓을 결합하여 편심소켓의 회전반경만큼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의 간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 향상 및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심소켓의 하단부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만곡된 리브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편심소켓이 오수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편심소켓의 홈으로 결합된 패킹이 오수관 내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심소켓의 홈 내면에 돌기를 돌출시켜 패킹이 돌기에 눌리도록 하여 홈으로 결합되는 패킹의 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조사 별로 1~2mm의 직경이 다른 오수관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홈에 결합되는 패킹의 뒤집히는 변형을 방지하면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100)는, 양변기(10) 저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안착되면서 양변기(10)의 트랩(12)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공간(112)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공(113)이 관통된 수용부재(110)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재(110)의 통공(113)에 소켓리브(12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소켓몸체(121)를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20)의 간격 및 오수관(20)의 위치에 따라 회전시켜 설치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소켓몸체(121)의 하단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리브(126)가 오수관(2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소켓몸체(121)가 오수관(2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편심소켓(120)이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재(110)와 양변기(10)를 고정하도록 수용부재(110)의 체결안내공(114)과 양변기(10)의 체결안내공(11)으로 체결고정하는 볼트(130)/너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용부재(110)는, 안착공간(112)이 상면에 형성되는 수용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몸체(111) 내부에 편심소켓(120)의 소켓리브(122)가 결합되도록 관통된 통공(113)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몸체(111) 외주면에 볼트(130)가 결합되도록 대향되게 형성된 체결안내공(11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통공(113) 내주면에 형성되어 C-링(123)이 걸려 고정되는 단턱(115)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체결안내공(114) 하부의 수용몸체(111) 저면에 볼트(130)의 머리부분이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돌기(11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체결안내공(114) 내주면에 돌출되어 볼트(130)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볼트(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117)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편심소켓(120)은, 외주면에 링홈(122')이 요입된 소켓리브(122)가 내부가 관통되면서 편심되게 형성되는 소켓몸체(121)이 구비되고, 상기 링홈(122')에 장착되어 소켓리브(122)가 수용부재(110)의 통공(113)에 결합될 때, 상기 통공(1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115)에 걸리도록 하는 C-링(123)이 구비되며, 상기 소켓몸체(121) 외주면에 요입되어 패킹(125)이 결합되는 홈(124)이 구비되고, 상기 홈(124)에 결합되어 오수관(20) 내면에 밀착되는 패킹(125)이 구비되며, 상기 소켓몸체(121) 하단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오수관(20) 내면에 밀착되는 리브(126)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홈(124)으로 결합되는 패킹(125)이 눌러져 패킹(125)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도록 홈(124)의 내면에 돌출되는 돌기(124')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리브(126) 하단부는 오수관(20)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126) 단부는 소켓몸체(121)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몸체(121) 상면에 돌출되어 수용부재(110)를 지지하는 지지구(127)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재(110)와 편심소켓(12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부(150)는, 상기 수용부재(110) 저면에 방사상으로 요입된 회전방지홈(15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방지홈(151) 중 어느 하나의 회전방지홈(151)에 결합되도록 편심소켓(120) 상면에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15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152)는 90°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거나 180°간격으로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소켓(120)의 C-링(123)을 소켓리브(122) 외주면에 요입된 링홈(122')에 결합하고, 상기 소켓리브(122)가 편심되게 형성된 소켓몸체(121) 외주면의 홈(124)에 패킹(125)을 결합하는데, 상기 C-링(123)의 내주면 직경이 링홈(122')의 내면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C-링(123)의 내주면이 링홈(122')의 외주면에 밀착되지 않음으로, C-링(123)과 링홈(122')의 간격만큼 C-링(123)이 압축 및 복원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패킹(125)은 홈(124)에 결합되면서 홈(124) 외주면에 돌출된 돌기(124') 단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C-링(123)과 패킹(125)이 링홈(122') 및 홈(124)에 각각 결합되는 편심소켓(120)이 형성되면, 상기 편심소켓(120)의 소켓리브(122) 상부에 수용부재(110)의 통공(113)을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110)를 하향 이동시켜 수용부재(110)의 통공(113)을 편심소켓(120)의 소켓리브(122)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재(110)의 통공(113)이 편심소켓(120)의 소켓리브(122)에 결합되면서 통공(113)이 형성된 수용몸체(111) 하단부가 C-링(123)을 가압하는데, 상기 C-링(123)의 상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몸체(111)의 가압력으로 C-링(123)이 압축되면서 C-링(123)의 외주면이 통공(113)의 내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C-링(123)의 외주면이 통공(11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용몸체(111)는 하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한다.
상기 수용몸체(111)가 일정거리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통공(1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115) 즉, 상기 통공(1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부분이 C-링(123)과 수평선상에 위치하면, 상기 C-링(123)은 자체 복원력으로 복원되면서 C-링(123)의 하단부가 단턱(115)에 밀착됨과 동시에 수용부재(110)의 저면에 요입된 회전방지부(150)의 회전방지홈(151)이 편심소켓(120)의 상면에 돌출된 회전방지돌기(152)에 결합되면서 수용부재(110)와 편심소켓(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돌기(152)는 적어도 1개 이상 돌출되나, 90°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거나 180°간격으로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방지홈(151)이 회전방지돌기(152)에 결합되므로 수용부재(110) 또는 편심소켓(1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C-링(123)은 링홈(122')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단부를 절단한 것일 뿐, 통공(113)과 소켓리브(122) 사이를 밀폐시키거나 상기 통공(113)과 소켓리브(122) 사이를 별도의 패킹(P)으로 밀폐시켜 용변자의 용변 및 용변을 세척한 오수가 누수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편심소켓(120)에 수용부재(110)가 결합되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110)의 안착공간(112)에 실링부재(140)를 장착한 상태에서 트랩(12) 단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한 양변기(10)의 저면에 수용부재(110)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140)는 양변기(10)의 저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수용부재(110)의 안착공간(112)이 트랩(12)의 단부에 결합되어 트랩(12)과 소켓리브(122)이 연통되도록 한 후, 상기 수용부재(110)의 체결안내공(114)과 양변기(10)의 체결안내공(11)으로 볼트(130)를 결합한다.
상기 볼트(130)의 일단부는 체결안내공(114) 내주면에 돌출된 이탈방지편(117)을 가압하여 결합되면서 체결안내공(11)으로 돌출되고, 상기 볼트(130)의 타단부 즉, 볼트(130) 머리부분은 수용몸체(111) 저면에 대향하게 돌출된 지지돌기(116)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안내공(11)으로 돌출된 볼트(130)에 너트(130')를 체결하여 수용부재(110)와 양변기(10)를 고정하는데, 상기 볼트(130) 머리부분이 지지돌기(116)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너트(130')를 볼트(130)에 체결할 때, 볼트(130)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너트(13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안내공(114)으로 볼트(130)가 결합될 때, 볼트(130)의 나사산에 이탈방지편(117)이 걸리므로 트랩(12)이 하부로 향하도록 양변기(10)가 위치한 상태에서는 체결안내공(114)으로부터 볼트(13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볼트(130)의 결합 및 너트(130')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수용부재(110)가 양변기(10) 저면에 볼트(130)/너트(130')로 고정된 상태에서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20) 사이의 간격 및 오수관(20)의 위치에 따라 편심소켓(12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편심소켓(120)은, 수용부재(110)의 통공(113)에 결합된 소켓리브(122)를 중심으로 소켓몸체(121)가 회전하고, 회전하는 소켓몸체(121)의 직경에 따른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20) 사이의 간격 및 오수관(20)의 위치에 따라 소켓몸체(121)의 회전반경만큼 편심소켓(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편심소켓(120)의 위치가 조절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10)를 들어 회전시켜 편심소켓(120)과 오수관(20)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양변기(10)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편심소켓(120)이 오수관(2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오수관(20)에 결합되는 편심소켓(120)은, 소켓몸체(121)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면서 하단부가 만곡된 리브(126)가 오수관(20) 내면을 따라 접혀지면서 내면에 밀착되고, 오수관(20) 내면에 리브(126)가 밀착된 상태에서도 편심소켓(120)이 오수관(20) 내부로 일정길이 결합된다.
상기 오수관(20) 내부로 편심소켓(120)이 일정길이 결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몸체(121)의 외주면에 요입된 홈(124)에 결합된 패킹(125)이 오수관(20)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홈(124) 내부로 이동하는데, 상기 패킹(125)은 홈(124) 내부에 일측은 넓고 타측은 뾰족하게 돌출된 돌기(124')에 눌려짐에 따라 홈(124)으로 이동하는 패킹(125)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오수관(20) 제조사 별로 1~2mm의 직경이 다른 오수관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홈(124)에 결합되는 패킹(125)의 뒤집히는 변형을 방지하여 견고한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패킹(125)이 오수관(20) 내면에 밀착되도록 편심소켓(120)이 오수관(20)에 결합되면서 양변기(10)의 저면이 화장실의 바닥면에 밀착되는데, 상기 수용부재(110)의 저면에 편심소켓(120)의 지지구(127)가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부재(110)를 지지구(127)가 지지할 수 있으며, 양변기(10) 하단부와 화장실 바닥면을 실링재로 실링하면서 본 발명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플랜지 구조 110: 수용부재
120: 편심소켓 130,130': 볼트,너트
140: 실링부재 150: 회전방지부

Claims (13)

  1. 양변기 저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안착되면서 양변기의 트랩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공이 관통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의 통공에 소켓리브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소켓몸체를 화장실의 벽체와 오수관 사이의 간격 및 오수관의 위치에 따라 회전시켜 설치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소켓몸체의 하단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리브가 오수관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소켓몸체가 오수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편심소켓과;
    상기 수용부재와 양변기를 고정하도록 수용부재의 체결안내공과 양변기의 체결안내공으로 체결고정하는 볼트/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안착공간이 상면에 형성되는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 내부에 편심소켓의 소켓리브가 결합되도록 관통된 통공과;
    상기 수용몸체 외주면에 볼트가 결합되도록 대향되게 형성된 체결안내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공 내주면에 형성되어 C-링이 걸려 고정되는 단턱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안내공 하부의 수용몸체 저면에 볼트의 머리부분이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안내공 내주면에 돌출되어 볼트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심소켓은,
    외주면에 링홈이 요입된 소켓리브가 내부가 관통되면서 편심되게 형성되는 소켓몸체와;
    상기 링홈에 장착되어 소켓리브가 수용부재의 통공에 결합될 때,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도록 하는 C-링과;
    상기 소켓몸체 외주면에 요입되어 패킹이 결합되는 홈과;
    상기 홈에 결합되어 오수관 내면에 밀착되는 패킹과;
    상기 소켓몸체 하단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오수관 내면에 밀착되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홈으로 결합되는 패킹이 눌러져 패킹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도록 홈의 내면에 돌출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브 하단부는 오수관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9. 청구항 6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리브 단부는 소켓몸체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켓몸체 상면에 돌출되어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플랜지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와 편심소켓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플랜지 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재 저면에 방사상으로 요입된 회전방지홈과;
    상기 회전방지홈 중 어느 하나의 회전방지홈에 결합되도록 편심소켓 상면에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플랜지 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90°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거나 180°간격으로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플랜지 구조.
KR1020150170443A 2015-08-25 2015-12-02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KR101726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64 2015-08-25
KR20150119264 201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16A true KR20170024516A (ko) 2017-03-07
KR101726781B1 KR101726781B1 (ko) 2017-04-13

Family

ID=5820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443A KR101726781B1 (ko) 2015-08-25 2015-12-02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58480B2 (ko)
KR (1) KR101726781B1 (ko)
CN (1) CN1064809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417A (ko) * 2019-08-08 2021-02-17 김인란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3336A (zh) * 2018-12-03 2019-04-19 宁夏浩迪科技有限公司 雨水收集器
CN116497912A (zh) * 2020-05-25 2023-07-28 浙江禹疏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马桶出水口连接管
CN113662464A (zh) * 2021-08-24 2021-11-19 江苏昊钧华科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整体卫浴底盘排水偏心调节装置
KR20230154338A (ko) 2022-04-29 2023-11-08 이수인 (주) 양변기용 바닥 플랜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284U (ja) * 1995-05-17 1995-11-14 大輔 松原 電算機遠隔操作端末機
KR0116052Y1 (ko) * 1995-02-16 1998-04-22 오주훈 양변기용 배수구
KR200358237Y1 (ko) * 2004-05-25 2004-08-05 김정호 양변기용 고정틀조립체
KR101521568B1 (ko) * 2013-12-03 2015-05-20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플랜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07Y2 (ja) * 1989-07-05 1994-05-11 株式会社ミヤコ製作所 便器用継手部の構造
JP3275533B2 (ja) * 1993-09-28 2002-04-15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の据付構造
EP0836249B1 (en) * 1996-10-12 2002-03-2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grounding shroud
JP2008002157A (ja) * 2006-06-22 2008-01-10 Toto Ltd 便器給水装置および便器装置
CN201034220Y (zh) * 2007-02-13 2008-03-12 鸿基不锈钢有限公司 管道接合系统以及管道接头配件
JP5242097B2 (ja) * 2007-08-17 2013-07-24 小島 ▲徳▼厚 ソケット及び排水管設備の更新方法
KR101202071B1 (ko) * 2010-07-15 2012-11-15 김옥현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052Y1 (ko) * 1995-02-16 1998-04-22 오주훈 양변기용 배수구
JP3018284U (ja) * 1995-05-17 1995-11-14 大輔 松原 電算機遠隔操作端末機
KR200358237Y1 (ko) * 2004-05-25 2004-08-05 김정호 양변기용 고정틀조립체
KR101521568B1 (ko) * 2013-12-03 2015-05-20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플랜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417A (ko) * 2019-08-08 2021-02-17 김인란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80960A (zh) 2017-03-08
CN106480960B (zh) 2019-03-19
JP2017044059A (ja) 2017-03-02
JP6358480B2 (ja) 2018-07-18
KR101726781B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781B1 (ko)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JP3955495B2 (ja) ワンタッチ取付形水栓
CN107142676B (zh) 壁挂式洗衣机
KR200461753Y1 (ko)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KR101521568B1 (ko) 양변기용 플랜지
JP4861763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868413B1 (ko) 양변기의 트랩과 플랜지의 결합구조
KR101971165B1 (ko) 양변기 트랩의 설치구조
KR101407071B1 (ko) 양변기의 보올과 트랩의 설치구조
JP6029130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639117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KR101677666B1 (ko) 세면대용 수도전 설치장치 및 방법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100572064B1 (ko) 배수관 연결구조
JP2004244981A (ja) 排水トラップ
JPH11100880A (ja) 排水装置
KR101885708B1 (ko) 양변기 시트 고정장치
KR101932092B1 (ko) 변기 시트/커버 고정장치 및 방법
KR102182877B1 (ko) 변기용 스퍼드 결합장치
JP4120547B2 (ja) 壁排水便器と排水管との接続構造
KR20110028191A (ko) 단 패킹구조의 싱크대 배수장치
CN105064471A (zh) 面盆落水头的止漏装置
KR0127589Y1 (ko) 좌변기 배수관의 편심연결장치
CN211816715U (zh) 一种预置型排污管连接结构及自动清洁型坐便器
KR20160002616A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