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279A -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279A
KR20170023279A KR1020150116949A KR20150116949A KR20170023279A KR 20170023279 A KR20170023279 A KR 20170023279A KR 1020150116949 A KR1020150116949 A KR 1020150116949A KR 20150116949 A KR20150116949 A KR 20150116949A KR 20170023279 A KR20170023279 A KR 2017002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ot melt
upper layer
mesh
mesh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태진
Original Assignee
남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진 filed Critical 남태진
Priority to KR102015011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3279A/ko
Publication of KR2017002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06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protect the underlying surface, e.g. temporary covers, disposable carpets, absorbent pads, wheelchair pads, hearth r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쿠션매트(2)를 제조함에 있어서,
직물지(20)의 하부면에 접착액으로 그물형 핫멜트지(30)를 가접합하는 과정,
상기 그물형 핫멜트지(30)가 가접된 직물지(20)를 건조시키는 과정,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과 직물지(20)의 하부면에 가접된 그물형 핫멜트지(30)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히팅롤러를 통과시켜 직물지(20)가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에 열융착으로 결합되게 하여 제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결합 상태가 견고하고, 다양한 형상의 직물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3D CUSION MAT AND A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D 구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다양한 직물지를 적용할 수 있는 3D 구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3D 매쉬원단은 망사 형태로 편직되는 상층과 하층의 이격된 공간 사이를 모노필라멘트사를 세로로 편직하여 일체로 연결되게 결합시킨 3층 구조의 원단으로서 입체 망사원단이라고 불린다.
이런 3D 메쉬원단은 통풍성이 좋고 항균기능이 뛰어나며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어린이집의 바닥 매트로 사용하거나 쿠션방석 등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3D 메쉬원단은 그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된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도 많은 개선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3D 메쉬원단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틈새 사이로 이물질이 낄 수 있고 장시간 사용 후에는 망사 형태에 준하여 신체에 자국이 남게 되는 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D 메쉬원단의 상층 또는 하층에 대하여 커버를 씌우거나 퀼팅하는 방법 및 부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3D 메쉬원단의 상층 또는 하층에 대하여 커버를 부착하는 방법에 대한 그 일 예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4-0146031호“표면기공전체를 직물로 접착시킨 입체망사원단의 가공방법”(선행문헌)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기술된 내용은 입체망사원단(3D 메쉬원단)의 표면과 배면에 직물을 합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직물의 일면에 용융수지를 분사장치를 통해 살포한 후 시간 하를 두어 롤러압착으로 부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지를 용융시켜야 하며 분사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생산단가의 상승을 불러 일으킨다.
또한 직물의 일면에 대하여 분사방식으로 수지를 살포함에 따라 망사형 직물에 대하여 적용하기는 어렵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4-0146031호“표면기공전체를 직물로 접착시킨 입체망사원단의 가공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다양한 직물지를 적용할 수 있는 3D 구션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D 쿠션매트(2)를 제조함에 있어서,
직물지(20)의 하부면에 접착액으로 그물형 핫멜트지(30)를 가접합하는 과정,
상기 그물형 핫멜트지(30)가 가접된 직물지(20)를 건조시키는 과정,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과 직물지(20)의 하부면에 가접된 그물형 핫멜트지(30)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히팅롤러를 통과시켜 직물지(20)가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에 열융착으로 결합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물형 핫멜트지가 가접합된 직물지를 열융착으로 3D 메쉬원단에 결합시킴에 제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결합 상태가 견고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직물지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망사형 직물을 사용할 경우 통기성이 우수하면서도 표면이 부드러우며 미감이 좋은 3D 구션매트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3D 메쉬원단의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3D 쿠션매트의 사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3D 쿠션매트의 제조과정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직물지에 그물형 핫멜트지가 결합된 상태의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3D 쿠션매트의 제조과정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쿠션매트(2)는 망사 형태로 편직되는 상층(12)과 하층(16) 및 상·하층(12)(14)의 이격된 공간 사이를 모노필라멘트사(16)로 세로로 연결되게 결합시킨 3층 구조의 3D 메쉬원단(10)을 구비하며, 상기 구비된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에 직물지(20)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3D 쿠션매트(2)는 직물지를 결합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3D 쿠션매트(2)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먼저 직물지(20)를 3D 메쉬원단(10) 상층(12) 상부면에 접착시키기 전에 직물지(20)의 하부면에 그물형 핫멜팅지(30)를 가접합시킨다.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롤 형태로 감긴 직물지(20)의 하부면에 접착액이 도포되게 하고 하부에 위치하며 롤 형태로 감긴 그물형 핫멜팅지(30)를 함께 압착롤러를 통과시킴으로써 가접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착액으로는 그물형 핫멜트지(30)의 성분과 유사한 액상 핫멜트 사용하면 가접착이 잘 이루어지며, 차후 히팅롤러(42) 통과에 따른 열융착 효율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도 4는 직물지(20)의 하부면에 그물형 핫멜트지(3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도로서 (a)는 직물지(20)의 상부면을 찍은 사진이고, (b)는 하부면을 찍은 사진이다.
특히 도 2의 제조완료된 3D 메쉬원단(2) 및 도 4의 직물지(2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직물지(20)를 사용함에 있어서 망사형 직물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 것으로서 일반적인 직물지 외에도 망사형 직물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직물지(20)의 하부면에 그물형 핫멜트지(30)의 가접합이 이루어지면 후방에 위치하는 건조기(40) 내부를 통과시킨다. 건조기(40)는 내부는 열과 바람이 발생되게 하여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건조기(40)를 통과시킴에 따라 접착액이 건조되며 그에 따라 그물형 핫멜트지(30)는 직물지(20)의 하부면에 가접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는 차후 열융착시 그물형 핫멜트지(30)가 직물지(30) 하부의 최초 접착된 위치에서 밀려나거나 절단이 되는 등의 사태를 방지하여 견고한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건조기를 통과한 직물지(20)는 후방에 위치하는 히팅롤러(44)를 통과시키는데, 이때 직물지(20) 하부에서 공급되는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이 직물지(20)의 하부면에 가접착된 그물형 핫멜트지(30)와 면접촉되게 한 상태로 히팅롤러(42)를 통과시킨다.
직물지(20) 하부면에 가접합된 그물형 핫멜트(30)지의 융점은 90∼125℃로서 히팅롤러(42)의 표면온도는 120∼150℃로 가열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히팅롤러(42)에 의하여 열압착되는 시간은 6∼12초 정도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에 직물지(20)가 열융착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히팅롤러(42) 후방에는 냉각롤러(44)를 통과시켜 열융착에 따른 고열상태를 신속히 냉각시켜 줌으로써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도록 하며 또한 곧바로 권취를 진행할 수 있어 전체적인 제조시간이 단축되게 한다.
냉각롤러(44)는 롤러의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게 하는바 냉각수의 온도는 7∼10℃ 정도가 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의 임계적 온도보다 낮을 경우 급격한 냉각으로 인하여 오히려 견고한 결합상태를 방해할 수 있으며, 반대로 임계적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냉각수에 의한 효과가 미비하게 되어 미열이 남은 상태에서 권취시 불량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냉각이 완료된 3D 쿠션매트(2)는 후방의 권취롤에 의해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3D 쿠션매트(2a)의 제조과정의 개략도로서,
직물지(20)를 3D 메쉬원단(10) 상층(12) 상부면에 접착시키기 전에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에 액상 핫멜트(32)를 함침시키는 과정을 먼저 한다.
그리고 액상 핫멜트(32)의 함침 이루어진 상태의 3D 메쉬원단(10)을 후방에 위치하는 건조기(40) 내부를 통과시킨다.
건조기를 통과한 3D 메쉬원단(10)은 후방에 위치하는 히팅롤러(44)를 통과시키게 되는데, 이때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에는 공급되는 직물지(20)의 하부면이 서로 면접촉되게 한 상태로 히팅롤러(42)를 통과시키게 된다.
그 후 후방에 위치하는 냉각롤러(44)를 통과시키게 되는데 상기 히팅롤러(42)부터 냉각롤러(44) 및 제조완료된 3D 쿠션매트(2a)의 권취에 이르는 과정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과정에 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3D 쿠션매트(2)(2a)를 제조함에 있어서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에만 직물지(20)를 결합하였으나 하층(14)에도 직물지(20)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쿠션매트(2)(2a)는 그물형 핫멜트지(30)가 가접하된 직물지(30)를 열융착으로 3D 메쉬원단(10)에 결합시킴에 제조과정이 간단하면서도 결합 상태가 견고하다. 그리고 다양한 형상의 직물지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망사형 직물을 사용할 경우 통기성이 우수하면서도 표면이 부드러우며 미감이 좋은 3D 구션매트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3D 쿠션매트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2)(2a)--3D 쿠션매트
(10)--3D 메쉬원단 (12)--상층
(14)--하층 (16)--모노필라멘트
(20)--직물지 (30)--그물형 핫멜트지
(32)--액상 핫멜트 (40)--건조기
(42)--히팅롤러 (44)--냉각롤러

Claims (4)

  1. 망사 형태로 편직되는 상층(12)과 하층(16) 및 상·하층(12)(14)의 이격된 공간 사이를 모노필라멘트사(16)로 세로로 연결되게 결합시킨 3층 구조의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과,
    직물지(20)의 하부면이 그물형 핫멜트지(30) 또는 액상 핫멜트(3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열융착으로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쿠션매트.
  2. 직물지(20)의 하부면에 접착액으로 그물형 핫멜트지(30)를 가접합하는 과정,
    상기 그물형 핫멜트지(30)가 가접된 직물지(20)를 건조시키는 과정,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과 직물지(20)의 하부면에 가접된 그물형 핫멜트지(30)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히팅롤러를 통과시켜 직물지(20)가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에 열융착으로 결합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3D 쿠션매트의 제조방법.
  3. 망사 형태로 편직되는 상층(12)과 하층(14) 및 상·하층(12)(14)의 이격된 공간 사이를 모노필라멘트사(16)로 세로로 편직하여 일체로 연결되게 결합시킨 3층 구조의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에 액상 핫멜트(32)를 함침시키는 과정,
    상기 3D 메쉬원단(10)을 건조시키는 과정,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과 직물지(20)의 하부면이 서로 면접촉 한 상태로 접하도록 하여 히팅롤러를 통과시켜 직물지(20)가 3D 메쉬원단(10)의 상층(12) 상부면에 열융착으로 결합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3D 쿠션매트의 제조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팅롤러(42) 후방에는 냉각롤러(44)를 구성하여 열융착 된 3D 쿠션매트에 대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속한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냉각롤러(44)의 내부에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7∼10℃가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쿠션매트의 제조방법.
KR1020150116949A 2015-08-19 2015-08-19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3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949A KR20170023279A (ko) 2015-08-19 2015-08-19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949A KR20170023279A (ko) 2015-08-19 2015-08-19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79A true KR20170023279A (ko) 2017-03-03

Family

ID=5841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949A KR20170023279A (ko) 2015-08-19 2015-08-19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32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9896A (zh) * 2017-08-22 2017-11-07 苏州群力防滑材料有限公司 一种易清洗的塑料防滑垫
KR102134917B1 (ko) * 2019-09-30 2020-08-26 양수원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베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031A (ko) 2014-12-01 2014-12-24 정진욱 표면기공전체를 직물로 접착시킨 입체망사원단의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031A (ko) 2014-12-01 2014-12-24 정진욱 표면기공전체를 직물로 접착시킨 입체망사원단의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9896A (zh) * 2017-08-22 2017-11-07 苏州群力防滑材料有限公司 一种易清洗的塑料防滑垫
KR102134917B1 (ko) * 2019-09-30 2020-08-26 양수원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65061A5 (ko)
JP6021025B2 (ja) 水蒸気透過性及び防水性を有する積層物の製造方法
US9758928B2 (en) Simplified method for making an impermeable joining on three-layer or bi-layer fabric materials, either with or without a complex construction on a joining side thereof and being preliminarily joined by a stitching or ultrasound joining arrangement
JP2016519722A (ja) 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及び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部分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TR201815361T4 (tr) Bir kompozit döküm parçanın üretiminde bir yarı mamulün üretimi için yöntem.
KR20170023279A (ko) 3d 쿠션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42046B1 (ko) 자동차용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0659B1 (ko) 붙임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10104A (ko) 닥나무를 이용한 매트재의 제조방법
JP2019000645A5 (ko)
TWI672406B (zh) 具自黏透氣不織布製程及其成品
JP2019214296A (ja) シート
KR101399659B1 (ko) 단열, 보온, 통풍 및 투습 기능을 구비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6310414B2 (ja) 粒状綿シート
CN203236797U (zh) 一种高透湿生物降解多层复合材料
JP2018111407A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908916B2 (ja) 自動車用内装基材
JP4842048B2 (ja) 複合シート及びシートパッド補強材
KR100926508B1 (ko) 활성탄 부직포를 내재한 신발 안창 및 그 제조방법
JP6317962B2 (ja) 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29735B1 (ko) 열융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 부착 방법
JP2015232419A (ja) 面状採暖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M558805U (zh) 具自黏透氣不織布成品
JP5764078B2 (ja) 車両用内装材
KR102430015B1 (ko) 방한의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