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060A -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060A
KR20170023060A KR1020170024226A KR20170024226A KR20170023060A KR 20170023060 A KR20170023060 A KR 20170023060A KR 1020170024226 A KR1020170024226 A KR 1020170024226A KR 20170024226 A KR20170024226 A KR 20170024226A KR 20170023060 A KR20170023060 A KR 20170023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arts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031B1 (ko
Inventor
허준혁
주은경
박용운
이현정
임영호
박채규
강화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7002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0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증제의 조합을 고농도의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묽어지지 않고 점도 안정성이 유지되고, 화장료 조성물을 여러 번 도포하지 않아도 원하는 효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점증제 조합을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d Ginseng Extract and Viscosity Controlling Agents}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홍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껍질, 씨 등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의약품 및 건강식품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홍삼의 주성분인 사포닌은 화학적으로 배당체라 부르는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사포닌 함유 식물은 예로부터 세정, 거담, 진해를 목적으로 의약품에 활용되었고, 최근에는 소염, 해열, 건위, 배농, 항종양, 이뇨, 강장 등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홍삼에 포함된 성분은 피부 기능을 개선시키고, 피부 탄력, 노화 방지, 보습 작용, 피부 트러블 해결, 지친 피부 개선,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 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홍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산삼 및 장뇌삼 등이 화장료 조성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홍삼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할 때, 홍삼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을 비롯한 다양한 염과 무기물이 화장품에서 제형의 안정화에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와 상호간섭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화장품의 안정도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또는 점증제를 추가로 배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효 성분인 홍삼 추출물 외에 안정성을 목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으로 인해서 사용에 거부감을 주는 끈적임이나 색조화장품 사용시 밀림 현상이 발생해서 색조 화장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염 등에 대하여 점도 안정화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에 관련하여,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크레로글루칸 및 로커스트빈검과 같은 점증제를 염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첨가하였을 때 점도 저하가 없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안정도를 유지하는 다른 방안으로는 홍삼 성분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있으나, 홍삼 성분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원하는 효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수 회 도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1일 2회 도포하기 때문에 원하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품 내 홍삼 추출물의 함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농도의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면서도 안정도가 유지되는 조성물의 조건을 연구하였고, 특정 점증제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고농도의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면서도 안정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3-0138551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2-00538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일컫는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일컫는 "농축액"은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홍삼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 건조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또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홍삼 추출물을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때에는 물,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알코올 이외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에 사용될 수 있는 홍삼 추출물로서, 홍삼 응축수, 조사포닌, 홍삼농축액 또는 Rg3 강화 농축액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조사포닌은 홍삼에서 사포닌을 분리 정제한 것으로 고체 분말 형태이다. 상기 조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 Rg1 + Rb1이 50mg/g 내지 250.0mg/g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Rg1 + Rb1이 80mg/g 내지 220.0mg/g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g1 + Rb1이 110mg/g 내지 190.0mg/g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g1 + Rb1이 130mg/g 이상으로 포함된 조사포닌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홍삼농축액(물 추출, 알코올 추출)은 홍삼을 각각 물 또는 알코올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홍삼농축액은 진세노사이드 Rg1 + Rb1이 0.1mg/g 내지 20.0mg/g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Rg1 + Rb1이 1mg/g 내지 15.0mg/g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g1 + Rb1이 3mg/g 내지 10.0mg/g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g1 + Rb1이 5mg/g 이상으로 포함된 홍삼농축액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삼 농축액은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99%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5%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홍삼 농축액의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99% 범위 밖일 경우, 본 발명의 점증제 조합을 적용하더라도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20,000cp 내지 70,000cp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크림 제형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Rg3 강화 농축액은 홍삼농축액을 가수분해시켜서 얻은 것이고, 상기 Rg3 강화 농축액은 Rg3를 0.1mg/g 내지 30.0mg/g으로 포함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Rg3를 1mg/g 내지 25.0mg/g으로 포함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g3를 5mg/g 내지 20.0mg/g으로 포함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g3를 10mg/g 이상으로 포함하는 농축액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홍삼 추출물은 50브릭스 이상의 농축액 기준으로 0.1중량부 내지 7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내지 6.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내지 6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농축되지 않은 일반 홍삼 추출물 또는 홍삼수 기준으로는 0.1중량부 내지 99.9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홍삼 추출물이 50브릭스 이상 농축액 기준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거나, 농축되지 않은 일반 홍삼 추출물 또는 홍삼수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피부 탄력, 노화 방지, 보습 작용, 피부 트러블 완화와 같은 홍삼 사포닌의 피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홍삼 추출물이 50브릭스 이상 농축액 기준 7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거나, 농축되지 않은 일반 홍삼 추출물 또는 홍삼수 기준으로 99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점도 안정성 유지를 위하여 점증제를 비롯한 다른 성분들을 첨가하더라도 홍삼 추출물에 포함된 사포닌과 염, 무기물에 의해 점도가 유지되기 어려워거나 기타 화장품에 필요한 다른 효능 성분을 포함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점증제는 구아검, 잔탄검, 타라검 및 세피맥스 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의 점증제는 개별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0.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0.05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05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0.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05중량부 내지 1.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0.3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증제가 구아검 및 잔탄검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구아검은 0.05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잔탄검은 0.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내지 1.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범위 밖으로 포함될 경우, 즉 상기 구아검과 잔탄검이 각각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이 유지되지 않아서 제형이 묽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아검과 잔탄검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되면 화장료 조성물 사용시에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아검의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단독으로 1중량부 이상 사용시 백탁이 생기거나, 사용감이 극도로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증제가 구아검 및 타라검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구아검은 0.05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타라검은 0.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내지 1.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범위 밖으로 포함될 경우, 즉 상기 구아검과 타라검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이 유지되지 않아서 제형이 묽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아검과 타라검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때에 끈적임이 증가해서 사용감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증제가 세피맥스 젠 및 잔탄검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세피맥스 젠은 0.01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아울러, 상기 잔탄검은 0.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0.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범위 밖으로 포함될 경우, 즉 상기 세피맥스 젠과 잔탄검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이 유지되지 않아서 제형이 묽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세피맥스 젠 및 잔탄검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때에 끈적임이 증가하고,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증제가 세피맥스 젠 및 타라검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세피맥스 젠은 0.01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아울러, 상기 타라검은 0.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0.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범위 밖으로 포함될 경우, 즉 상기 세피맥스 젠과 타라검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이 유지되지 않아서 제형이 묽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세피맥스 젠 및 타라검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때에 끈적임이 증가하여 사용감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증제가 세피맥스 젠 및 구아검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세피맥스 젠은 0.01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아울러, 상기 구아검은 0.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0.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범위 밖으로 포함될 경우, 즉 상기 세피맥스 젠과 구아검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이 유지되지 않아서 제형이 묽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세피맥스 젠 및 구아검이 상한값을 초과하여 포함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때에 끈적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20,000cp 내지 70,000cp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00cp 내지 65,000cp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00cp 내지 45,000c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점도가 20,000cp 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 크림 제형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점도가 70,000cp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이 너무 단단하여 잘 떠지지 않고, 피부에 도포할 때 발림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팩, 바디 오일 또는 파우더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증제 조합이 적용될 수 있는 화장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제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및 왁스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팩, 바디 오일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 외에 보습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유화 제형일 경우, 상기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 이외에 스쿠알렌, 미네랄오일, 카프릴릭/카프릴트리글리세라이드, 디메티콘과 같은 오일류 및 밀납 등의 왁스 성분을 함유할 수 있고,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 다가알코올, 보습제,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맛사지 크림일 경우,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팩은 폴리비닐알코올을 함유하는 필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 유화형 화장료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제형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하여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증제의 조합을 고농도의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묽어지지 않고 점도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화장료 조성물을 여러 번 도포하지 않아도 원하는 효능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점증제 종류 및 첨가량에 따른 홍삼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점도 특성 변화
점증제 사용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점도가 변화하는지 확인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정제수를 사용하였고, 홍삼 추출물로 홍삼수(한국인삼공사), 홍삼농축액(한국인삼공사)을 사용하였다. 상기 홍삼농축액은 Rg1 + Rb1을 5.0mg/g 이상 함유하고, 고형분 함량이 66% 이상이다.
점증제로는 카르보폴 980 폴리머(carbopol 980 polymer), 카르보폴 981 폴리머(carbopol 981 polymer), 세피맥스 젠(sepimax zen), 잔탄검, 구아검 또는 타라검을 사용하였다. 각 점증제 사용량은 화장품 제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을 기준으로 적용하여 카르보폴 980과 981은 0.2%씩 사용하였고, 세피맥스 젠, 잔탄검, 구아검 또는 타라검은 1.0%씩 사용하였다. 카르보폴 사용시에는 중화제로 트리에탄올아민을 0.2%씩 사용하였다. 점증제 및 중화제 외에는 정제수, 홍삼수만을 사용하였고 홍삼농축액 시험군은 농축액 5% 외에 나머지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표 2 참조). 각 점증제의 처리량, 정제수, 홍삼 응축수 및 홍삼농축액의 처리량을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 및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한 시료의 점도는 점도계(LVDV-E, Brookfiel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점도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정제수 및 홍삼수 시험군>
원료 카르보폴 980 0.2% 카르보폴 981 0.2% 세피맥스젠
1.0%
잔탄검
1.0%
구아검
1.0%
타라검
1.0%
정제수 또는 홍삼수 99.6 99.6 99.0 99.0 99.0 99.0
카르보폴 980 또는 981 0.2 0.2 - - - -
세피맥스젠 또는 잔탄검 또는 구아검 또는 타라검 - - 1.0 1.0 1.0 1.0
트리에탄올아민 0.2 0.2 - - - -
<홍삼농축액 시험군>
원료 카르보폴 980 0.2% 카르보폴 981 0.2% 세피맥스젠
1.0%
잔탄검
1.0%
구아검
1.0%
타라검
1.0%
홍삼농축액 5.0 5.0 5.0 5.0 5.0 5.0
정제수 94.6 94.6 94.0 94.0 94.0 94.0
카르보폴 980 또는 981 0.2 0.2 - - - -
세피맥스젠 또는 잔탄검 또는 구아검 또는 타라검 - - 1.0 1.0 1.0 1.0
트리에탄올아민 0.2 0.2 - - - -
점증제 종류 점증제 처리 후 점도(단위: cp)
정제수
99.0%
홍삼수
99.0%
홍삼농축액
5.0%
카르보폴 980 폴리머 0.2%
(제조사: Lubrizol)
56,590 7,300 0
카르보폴 981 폴리머 0.2%
(제조사: Lubrizol)
6,700 3,300 0
세피맥스 젠 1.0%
(제조사: seppic)
19,000 19,600 5,300
잔탄검 1.0% 4,500 7,300 15,700
구아검 1.0% 8,800 8,400 11,300
타라검 1.0% 14,300 13,400 3,40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홍삼수, 홍삼농축액이 포함된 크림 제형의 조성물의 점도를 평가한 결과, 잔탄검, 구아검을 처리할 경우, 홍삼수, 홍삼농축액의 점도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화장품에서 널리 사용되는 카르보폴류의 점증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홍삼수, 홍삼농축액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잔탄검의 경우 0.5%, 구아검의 경우 1% 이상 사용시 백탁이 생기거나, 사용감이 극도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크림 제형의 점도는 30,000cp 이상이 적합하고, 20,000cp 이상도 사용가능하나, 20,000cp 보다 더 낮은 경우 유동성이 크기 때문에 크림 제형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점증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크림 등의 제조에 적합한 점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 실시예 2> 점증제의 조합 및 첨가량에 따른 홍삼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점도 특성 변화
상기 실시예 1의 결과와 같이, 점증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크림 제형에 적합한 정도의 점도가 얻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각 점증제를 조합하였을 때, 크림 제형에 적합한 점도를 얻을 수 있는지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점증제인 세피맥스 젠과 천연 점증제인 구아검을 점도 안정성이 높았던 잔탄검, 타라검과 각각 조합하고, 홍삼농축액(5% 첨가)을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아검을 0.5% 또는 1%로 처리하고, 구아검과 함께 잔탄검, 타라검 또는 세피맥스 젠을 각각 0.3%~1.0% 농도로 병용 처리한 후, 점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세피맥스 젠을 0.5% 또는 1%로 처리하고, 잔탄검, 타라검 또는 구아검을 0.3% 또는 0.5% 농도로 병용 처리한 후 점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병용 처리되는 점증제의 함량 및 처리 후의 점도는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냈다. 상기한 점증제 및 홍삼농축액 외에는 별도의 다른 성분을 첨가하지 않았다.
잔탄검 0.5% 잔탄검 0.3% 타라검 0.5% 타라검 0.3% 세피맥스 젠
1.0%
세피맥스 젠
0.5%
구아검
1.0%
52,690 39,490 33,390 16,500 60,090 37,250
구아검
0.5%
18,700 10,700 6,300 1,000 23,790 17,320
잔탄검 0.5% 잔탄검 0.3% 타라검 0.5% 타라검 0.3% 구아검 0.5% 구아검 0.3%
세피맥스 젠
1.0%
24,730 17,320 32,290 14,500 23,790 11,700
세피맥스 젠
0.5%
13,300 8,700 7,300 3,200 17,320 2,100
그 결과, 표 4 및 표 5에 진하게 표시된 점도(크림 제형에 적합한 점도 범위)와 같이, 구아검 0.5% 또는 1.0%와 잔탄검 또는 타라검을 0.3% 또는 0.5%로 사용하거나, 세피맥스 젠 1.0%에 잔탄검, 타라검, 구아검을 0.5% 또는 1.0%로 사용할 경우 고농도의 홍삼농축액을 사용해도 점도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3> 점증제 조합 간 점도 안정성 비교
화장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증제 조합(카르보폴 + 잔탄검)을 신규 점증제 조합과 비교하였다. 홍삼 성분이 전혀 첨가되지 않고 정제수와 점증제만으로 구성된 대조군(이하, "홍삼 미함유 대조군"으로 기재함)과 대조군에 화장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홍삼 함유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점도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험군으로는 홍삼 응축수, 조사포닌, Rg3 강화 농축액, 홍삼농축액(물 추출), 홍삼농축액(알코올 추출)을 사용하였다. 실험군에 사용되는 홍삼 성분은 한국인삼공사에서 제조된 제품을 사용하였다. 홍삼 응축수는 홍삼을 찔 때 나오는 물로서, 한국인삼공사에서 제조된 제품을 사용하였고 아래 표 6과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조사포닌(한국인삼공사)은 홍삼에서 사포닌을 분리 정제한 것으로 Rg1 + Rb1을 130.0mg/g 이상 함유하는 고체 파우더이다. Rg3 강화 농축액(한국인삼공사)은 홍삼농축액을 가수분해시켜 Rg3가 10.0mg/g 이상으로 함유되도록 한 제품이다. 홍삼농축액(물 추출, 알코올 추출)(한국인삼공사)은 홍삼을 각각 물 또는 알코올로 추출한 것이고, Rg1 + Rb1을 5.0mg/g 이상 함유하며 고형분 함량이 66% 이상이다.
화학명 함량(%)
1 2-푸릴메틸케톤 0.570
2 2,3-메틸에틸피라진 0.070
3 D-리모넨 0.020
4 3-에틸-2,5-디메틸피라진 0.090
5 2-에틸-3,5-디메틸피라진 0.020
6 메틸헵틸케톤 0.020
7 말톨 0.150
8 α-테르피네올 7.920
9 바라몰 0.620
10 테르피넨-4-올 0.040
11 BHT 4.970
12 β-마알리엔 5.640
13 (+) 스파튜레놀 7.810
14 헤디온 0.200
각 군의 점도를 측정하고, 점도 안정성을 하기 식으로 도출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점도 안정성(%) = {홍삼 함유 시험군 점도/홍삼 미함유 대조군 점도} × 100
점증제
조합
점도 및
점도 안정성

대조군
응축수
95% 이상
조사포닌
0.5%
Rg3 강화
농축액
5.0%
홍삼농축액
(물 추출)
5.0%
홍삼농축액
(알코올 추출)
5.0%
구아검 1.0%
잔탄검 0.3%
점도 75,000 50,190 64,490 24,490 37,390 39,490
점도 안정성 - 66.9% 86.0% 32.7% 49.9% 52.7%
세피맥스 젠 1.0%
타라검 0.5%
점도 89,990 70,190 97,350 95,680 53,690 32,290
점도 안정성 - 78.0% 108.2% 106.3% 59.7% 35.9%
카르보폴 980 0.4%
잔탄검 0.3%
점도 87,350 11,260 69,475 12,875 7,750 -
점도 안정성 - 12.9% 79.5% 14.7% 8.9% 0.0%
화장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증제 조합(카르보폴 + 잔탄검)을 신규 점증제 조합과 비교한 결과, 기존 점증제는 조사포닌을 제외하면 15% 미만의 저조한 점도 안정성을 보여준 반면 신규 점증제는 30% 이상의 높은 점도 안정성을 보였다.
점증제 조합 간 안정도를 비교하면 조사포닌을 제외하고 최소 2.2배 최대 7.2배의 점도 안정성을 보여 신규 발굴된 점증제 조합이 고농도의 홍삼 소재에 적합한 조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제조예 1> 홍삼농축액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1> 에센스의 제조
홍삼농축액과 점증제(구아검 및 잔탄검)를 함유하는 에센스를 하기 표 8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부)
홍삼농축액 5.0
트리에탄올아민 0.25
구아검 1.0
잔탄검 0.3
글리세린 4
부틸렌글리콜 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밀납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스쿠알렌 4
정제수 적량
<1-2> 영양 크림의 제조
홍삼농축액과 점증제(세피맥스 젠 및 타라검)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하기 표 9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홍삼농축액 5.0
1,3-부틸렌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세피맥스 젠 1.0
타라검 0.5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렌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1-3> 로션의 제조
홍삼농축액과 점증제(구아검 및 타라검)을 함유하는 로션을 하기 표 10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중량부 )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PEG-100 스테아레이트 2.6
스쿠알렌 4.8
마카다미아오일 2
구아검 1.0
타라검 0.5
호호바오일 2
초산토코페롤 0.4
메틸폴리실록산 0.2
에틸파라벤 0.1
1,3-부틸렌글리콜 4
글리세린 4
d-판데놀 0.15
알란토인 0.1
홍삼농축액 5.0
트리에탄올아민 0.15
에탄올 3
정제수 적량

Claims (4)

  1.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점증제는 구아검, 잔탄검, 타라검 및 세피맥스 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제형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20,000cp 내지 70,000cp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① 상기 잔탄검은 0.3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구아검은 1.0 중량부로 포함되거나, ② 상기 세피맥스젠은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구아검은 1.0 중량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③ 상기 잔탄검, 타라검 또는 구아검은 0.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세피맥스 젠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홍삼 추출물은 0.1중량부 내지 7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99%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24226A 2017-02-23 2017-02-23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5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26A KR101725031B1 (ko) 2017-02-23 2017-02-23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26A KR101725031B1 (ko) 2017-02-23 2017-02-23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474A Division KR20160009928A (ko) 2014-07-17 2014-07-17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060A true KR20170023060A (ko) 2017-03-02
KR101725031B1 KR101725031B1 (ko) 2017-04-07

Family

ID=5842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226A KR101725031B1 (ko) 2017-02-23 2017-02-23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0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884A (ko) * 2005-09-30 2007-04-04 (주)케피로스 헤어 컨디셔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3874A (ko) 2010-11-18 2012-05-29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증제, 에멀젼 안정화제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30907A (ko) * 2011-09-20 2013-03-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30138551A (ko) 2012-06-11 2013-12-19 한국콜마주식회사 점도 안정화 특성을 갖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884A (ko) * 2005-09-30 2007-04-04 (주)케피로스 헤어 컨디셔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3874A (ko) 2010-11-18 2012-05-29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증제, 에멀젼 안정화제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30907A (ko) * 2011-09-20 2013-03-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Panax ginseng) 및 산사(Crataegis fruc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30138551A (ko) 2012-06-11 2013-12-19 한국콜마주식회사 점도 안정화 특성을 갖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031B1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13128A (ja) 皮膚外用剤及び口腔用組成物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4149A (ko) 청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EP2253305A2 (de) Hautbehandlung zur Porenverfeinerung
KR101687353B1 (ko) 오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US20040033246A1 (en) Cosmetic for prevention of skin aging and agent for prevention of skin aging
KR101781466B1 (ko)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48485B1 (ko)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9928A (ko)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354579A (ja) 抗炎症化粧料
KR101833018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1803416A (zh)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抗衰老面霜及其制备方法
KR101725031B1 (ko)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1098655A (ja) 皮膚外用組成物
JP2012246324A (ja) 皮膚外用剤
KR101882657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0380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EP2072038A2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Anisfruchtextrakt und einem oder mehreren 2,3-Dibenzylbutyrolactonen
KR101797286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602023B2 (ja) 皮膚外用剤
KR20200064599A (ko) EGF 및 hGH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046646A (ja) 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80057858A (ko) 천연 식물 추출물과 pha를 함유한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2862B1 (ko) 산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