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966A -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966A
KR20170022966A KR1020167006422A KR20167006422A KR20170022966A KR 20170022966 A KR20170022966 A KR 20170022966A KR 1020167006422 A KR1020167006422 A KR 1020167006422A KR 20167006422 A KR20167006422 A KR 20167006422A KR 20170022966 A KR20170022966 A KR 2017002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oving picture
updated
mov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233B1 (ko
Inventor
지에 리우
웨이싱 리우
샤오용 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2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58Change logging, detection, and no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04L65/406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9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provid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updates, e.g. updating software modules, stored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8Content descriptor database or directory service for end-use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컴퓨터 기술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고,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면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적 해결 수단을 통해 구현된다.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동영상 관람 행위를 지능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동영상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정보 푸시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람 취향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PUSH}
본 발명은 출원번호: 201510441244.8, 출원일자: 2015년 7월 24일인 중국특허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전부 내용을 본 발명에 인용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는 모두 시즌별 방송 방식을 이용한다. 드라마 회차의 업데이트 리마인드에 대해, 현재는 한개의 시즌에서 정기적으로 1회씩 업데이트하는 정보를 제시한다. 다만, 두개 시즌 사이의 공백기에는 비교적 긴 시간동안 적절한 처리를 하지 않아 사용자가 오랫동안 대기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그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단말기에 이용되는 정보 푸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행위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 또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인 경우,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동영상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행위를 기반으로,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횟수를 집계하는 단계;
동영상에 대한 검색 횟수가 기 설정된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인 경우,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가 기 설정된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알림 바에 리마인드를 추가하여,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사용자가 동영상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동영상 소프트웨어 화면에서 팝업창으로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연락 계정으로 푸시하여 리마인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른 단말기에 이용되는 정보 푸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도록 마련된 메시지 기록 모듈;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정보 판단 모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도록 마련된 정보 추적 모듈;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도록 마련된 메시지 리마인드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동영상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1 판단 서브 모듈;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행위를 기반으로,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횟수를 집계하도록 마련된 정보 통계 서브 모듈;
동영상에 대한 검색 횟수가 기 설정된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2 판단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인 경우,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3 판단 서브 모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가 기 설정된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4 판단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리마인드 모듈은,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알림바에 리마인드를 추가하여,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1 리마인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사용자가 동영상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동영상 소프트웨어 화면에서 팝업창으로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2 리마인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연락 계정으로 푸시하여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3 리마인드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른 정보 푸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고;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며;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고,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고,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기술적 해결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동영상 관람 행위를 지능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동영상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정보 푸시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람 취향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에서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장치의 블록도,
도 3a는 도 3의 실시예에 나타낸 정보 판단 모듈의 블록도,
도 3b는 도 3의 실시예에 나타낸 정보 판단 모듈의 블록도,
도 3c는 도 3의 실시예에 나타낸 메시지 리마인드 모듈의 블록도,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장치의 블록도.
상기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명확한 실시예를 나타냈으며, 아래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면과 문자상 설명은 그 어떤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특정 실시예를 참고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하며, 그 예시는 도면에 나타냈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이 언급될 때,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이들은 단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정보 푸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 TV, 태블릿 PC,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다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는 단계(101)와,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102)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는 단계(103)와,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단계(104)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방법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고,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고,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기술적 해결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동영상 관람 행위를 지능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동영상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정보 푸시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람 취향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스마트 TV, 태블릿 PC,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다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는 단계(201)를 수행하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행위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 또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202)를 수행하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면 단계(203)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아니함을 확인하면 단계(201)로 리턴하여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인 경우,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검색한 동영상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를 기반으로,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횟수를 집계하는 단계;
동영상에 대한 검색 횟수가 기 설정된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제1 역치는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의 동영상을 검색한 횟수가 3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하고자 하는 의사가 매우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역치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고,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인 경우,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가 기 설정된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제2 역치는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8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나의 동영상을 관람한 회차가 8회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드라마를 연속 관람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역치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고,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단계(203)에서,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마킹하여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상태를 추적한다.
단계(204)에서,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동영상의 업데이트 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푸시하여 알린다.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알림바에 리마인드를 추가하여,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사용자가 동영상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동영상 소프트웨어 화면에서 팝업창으로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연락 계정으로 푸시하여 리마인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업데이트 동영상의 사이트, 업데이트 동영상의 명칭, 업데이트 동영상의 줄거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방법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고,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고,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기술적 해결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동영상 관람 행위를 지능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동영상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정보 푸시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람 취향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와 결합하여 상기 기술적 해결 수단을 설명하도록 한다.
시나리오 1. 사용자 A가 단말기에 설치된 어느 한 동영상 사이트를 통해 동영상 A를 관람하고자 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검색 당시 상기 동영상 사이트에는 상기 동영상 A가 올려져 있지 않았을 때, 상기 동영상 사이트는 동영상 A에 대한 상기 사용자 A의 검색 행위를 기록하며, 기록상 동영상 A에 대한 사용자 A의 검색 행위가 2회 보다 많음을 발견하면, 동영상 A에 대한 상기 사용자 A의 관람 의사가 매우 강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 사이트는 상기 동영상 A를 마킹하여 추적하다가, 상기 동영상 사이트에 상기 동영상 A가 올려지면, 곧바로 상기 동영상 A의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 A에게 푸시하여 알린다. 이로써, 사용자 A는 상기 동영상 A의 업데이트 정보를 능동적으로 시시각각 살펴보지 않아도 되며, 동영상 사이트는 사용자 A의 검색 행위를 기반으로 사용자 A가 관람하고자 하는 동영상 정보를 지능적으로 기록하여 즉시 업데이트하고 푸시한다.
시나리오 2. 사용자 B가 단말기에 설치된 어느 한 동영상 사이트를 통해 시즌 드라마 B를 관람하고자 한다. 상기 시즌 드라마 B는 아직 종영되지 않았고 업데이트 중이다. 상기 동영상 사이트는 상기 시즌 드라마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기록하며, 기록상 사용자 B가 상기 시즌 드라마 B를 관람한 회차가 6회를 초과하거나 하나의 시즌을 모두 관람하였음을 발견하면, 상기 사용자 B가 당해 드라마를 챙겨 봄을 확인하고, 상기 동영상 사이트는 상기 시즌 드라마 B를 마킹하여 추적하다가, 상기 동영상 사이트에 상기 시즌 드라마 B의 새로운 시즌 또는 당해 시즌의 새로운 회가 올려지면 곧바로 상기 시즌 드라마 B의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 B에게 푸시하여 알린다. 이로써, 사용자 B는 시즌 드라마의 업데이트 시간을 일부러 기억하지 않아도 되며, 동영상 사이트는 사용자 B의 관람 행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지능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관람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즉시 정확하게 추천한다.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 수행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실시예에서 개시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를 참고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상기 정보 푸시 장치(30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일부 또는 전체로 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 TV, 태블릿 PC,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상기 정보 푸시 장치(300)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도록 마련된 메시지 기록 모듈(310);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정보 판단 모듈(320);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도록 마련된 정보 추적 모듈(330);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푸시하도록 마련된 메시지 리마인드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a는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판단 모듈(320)의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판단 모듈(320)은,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동영상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1 판단 서브 모듈(320a);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행위를 기반으로,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횟수를 집계하도록 마련된 정보 통계 서브 모듈(320b);
동영상에 대한 검색 횟수가 기 설정된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2 판단 서브 모듈(320c)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b는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정보 판단 모듈(320)의 블록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판단 모듈(320)은,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인 경우,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3 판단 서브 모듈(320d);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가 기 설정된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4 판단 서브 모듈(320e)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c는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메시지 리마인드 모듈(340)의 블록도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리마인드 모듈(340)은,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알림바에 리마인드를 추가하여,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1 리마인드 서브 모듈(340a);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사용자가 동영상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동영상 소프트웨어 화면에서 팝업창으로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2 리마인드 서브 모듈(340b);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연락 계정으로 푸시하여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3 리마인드 서브 모듈(34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푸시 장치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고,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고,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기술적 해결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동영상 관람 행위를 지능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동영상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정보 푸시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람 취향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관련하여, 그중 각 모듈이 조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상기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푸시 장치를 추가 제공하며, 상기 푸시 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되,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고;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고;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정보 푸시를 위한 장치(400)의 블록도를 나타냈다. 예를 들면, 장치(400)는 이동전화, 컴퓨터, 디지털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컨트롤러, 패널장치, 의료장치, 헬스장치,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등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402), 메모리(404), 전원 어셈블리(4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408), 오디오 어셈블리(4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412), 센서 어셈블리(414) 및 통신 어셈블리(416)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402)는 일반적으로 장치(4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고,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되는 조작을 말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4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420)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싱 어셈블리(4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어 프로세싱 어셈블리(4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상호작용을 편리하게 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어셈블리(4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4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402) 사이의 상호작용을 편리하게 한다.
메모리(4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400)에서의 조작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데이터의 예시로는, 장치(400)에서 조작되는 모든 응용 또는 방법에 이용되는 명령, 연락자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4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이다.
전원 어셈블리(406)는 장치(4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406)는 전원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및 장치(400)의 전력 생성, 관리 및 분배와 관련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408)는, 장치(400)와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 및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터치패널은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과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408)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적 주밍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며, 장치(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4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416)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어셈블리(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4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4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휠, 버튼 등일 수 있다. 버튼은 홈버튼, 음량조절버튼, 시작버튼 및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장치(400)에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의 열기/닫기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 포지셔닝, 예를 들어 어셈블리가 장치(4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임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어셈블리(414)는 장치(400) 또는 장치(400)중 하나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400)의 접촉 여부, 장치(400)의 위치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4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 어셈블리(414)는,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경우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접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어셈블리(414)는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센서와 같이 이미징 응용에 이용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414)는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어셈블리(416)는 장치(400)와 기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마련된다. 장치(400)는 통신표준 기반의 무선네트워크, 예를 들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어셈블리(416)는 방송채널에 의해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어셈블리(4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전파식별(RFID) 기술, 국제적외선데이터통신협회 (IrDA) 기술, 초광대역(UWB)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4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정보 푸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을 포함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Non tempora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4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장치(400)의 프로세서(4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ROM, 램(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기억장치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저장매체 중의 명령이 장치(4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400)가 정보 푸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명세서 및 상기에서 공개한 발명을 고려한 후, 본 발명에 따른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는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고 본 발명에 공개되지 않은 해당 분야의 공지의 지식 또는 관용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0)

  1. 단말기에 사용되는 정보 푸시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푸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행위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 또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포함하는 정보 푸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인 경우,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동영상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행위를 기반으로,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횟수를 집계하는 단계;
    동영상에 대한 검색 횟수가 기 설정된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푸시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인 경우,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가 기 설정된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푸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알림바에 리마인드를 추가하여,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사용자가 동영상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동영상 소프트웨어 화면에서 팝업창으로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연락 계정으로 푸시하여 리마인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푸시 방법.
  6. 단말기에 사용되는 정보 푸시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도록 마련된 메시지 기록 모듈;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정보 판단 모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도록 마련된 정보 추적 모듈;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도록 마련된 메시지 리마인드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푸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검색 행위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검색한 동영상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1 판단 서브 모듈;
    상기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동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행위를 기반으로,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검색 횟수를 집계하도록 마련된 정보 통계 서브 모듈;
    동영상에 대한 검색 횟수가 기 설정된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2 판단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푸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단 모듈은,
    상기 조작 행위가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람 기록인 경우, 동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관람 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를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3 판단 서브 모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한 횟수가 기 설정된 제2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으로 확인하도록 마련된 제4 판단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푸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리마인드 모듈은,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알림바에 리마인드를 추가하여,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1 리마인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사용자가 동영상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 되었음을 동영상 소프트웨어 화면에서 팝업창으로 사용자에게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2 리마인드 서브 모듈; 또는,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연락 계정으로 푸시하여 리마인드하도록 마련된 제3 리마인드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푸시 장치.
  10.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동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행위를 기록하고;
    상기 조작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자 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을 추적하며;
    상기 동영상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푸시하도록 마련되는 정보 푸시 장치.
KR1020167006422A 2015-07-24 2015-11-23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1877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41244.8 2015-07-24
CN201510441244.8A CN105227972B (zh) 2015-07-24 2015-07-24 信息推送方法及装置
PCT/CN2015/095289 WO2017016108A1 (zh) 2015-07-24 2015-11-23 信息推送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966A true KR20170022966A (ko) 2017-03-02
KR101877233B1 KR101877233B1 (ko) 2018-07-11

Family

ID=5499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422A KR101877233B1 (ko) 2015-07-24 2015-11-23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24471A1 (ko)
EP (1) EP3122058A1 (ko)
JP (1) JP6306269B2 (ko)
KR (1) KR101877233B1 (ko)
CN (1) CN105227972B (ko)
MX (1) MX359126B (ko)
RU (1) RU2656574C2 (ko)
WO (1) WO2017016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4815B2 (en) * 2015-12-31 2021-02-16 Idomoo Lt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pdating video news edition
CN105847892A (zh) * 2016-03-14 2016-08-10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视频更新推送方法以及客户端
CN105847346A (zh) * 2016-03-21 2016-08-10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下载方法及装置
CN106302128A (zh) * 2016-08-23 2017-01-04 天津火炬鑫茂创业服务有限公司 一种信息推广统计系统
WO2018053052A1 (en) 2016-09-13 2018-03-22 Rasna Research Inc. Dactinomyci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yelodysplastic syndrome and acute myeloid leukemia
CN106850951B (zh) * 2016-12-19 2020-04-28 北京五八信息技术有限公司 用户兴趣模块展示方法及装置
US10349143B2 (en) 2017-11-16 2019-07-09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inge-watching pause position recommendations
CN108259672A (zh) * 2018-01-30 2018-07-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内容的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9697246A (zh) * 2018-12-06 2019-04-30 深圳市子瑜杰恩科技有限公司 短视频的关注人视频推荐方法及相关产品
CN110798701B (zh) * 2019-08-01 2022-09-23 花瓣云科技有限公司 视频更新的推送方法及终端
CN110971973A (zh) * 2019-12-03 2020-04-07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推送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412759A (zh) * 2022-09-14 2022-11-29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产品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496A1 (en) * 1997-09-18 2002-02-28 Franklin E. Boyer Electronic-mail reminder for an internet television program guide
US20050204388A1 (en) * 1998-06-11 2005-09-15 Knudson Edward B. Series reminders and series recording from a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JP2002290886A (ja) * 2001-03-23 2002-10-04 Sony Corp コンテンツ記録再生制御装置、コンテンツ記録再生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US8712218B1 (en) * 2002-12-17 2014-04-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gram recommendations through multimedia searching based on established viewer preferences
JP2005107888A (ja) * 2003-09-30 2005-04-21 Fujitsu Ltd 情報登録方法
KR20070007837A (ko) * 2004-03-23 2007-01-16 라이프라인 뉴트러세티컬스 코포레이션 포유류에서 염증과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방법
JP4777859B2 (ja) * 2004-04-08 2011-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ビス受信装置、サービス提供装置、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60085441A1 (en) * 2004-10-18 2006-04-20 Funk Jam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 and storage of content
JP4588531B2 (ja) * 2005-05-23 2010-12-0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検索装置、プログラム、及び検索方法
ITTO20070579A1 (it) * 2007-08-02 2009-02-03 Giuseppe Stefano Quintarelli Sistema e metodo per fruire di un oggetto mediale su un dispositivo di fruizione
JP5125401B2 (ja) * 2007-10-22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検索制御方法及び検索制御プログラム
JP2009140051A (ja) * 2007-12-04 2009-06-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推薦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10002944A (ja) * 2008-06-18 2010-01-07 Hitachi Ltd コンテンツ推薦装置とその方法
JP2010056595A (ja) * 2008-08-26 2010-03-11 Canon Inc 放送受信装置、シリーズ番組の配信通知方法
JP2010124407A (ja) * 2008-11-21 2010-06-03 Chukyo Tv Broadcasting Co Ltd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JP5237849B2 (ja) * 2009-02-05 2013-07-17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番組推薦装置
JP2011130279A (ja) * 2009-12-18 2011-06-30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CN101957857B (zh) * 2010-09-30 2013-03-2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信息主动推送方法及服务器
TWI416497B (zh) * 2010-12-28 2013-11-2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裝置之驅動方法及其相關裝置
JP2013026649A (ja) * 2011-07-15 2013-02-04 Sharp Corp 放送受信機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96152A1 (en) * 2012-09-28 2014-04-03 Ron Ferens Timing advertisement breaks based on viewer attention level
CN103873934B (zh) * 2014-03-13 2017-01-04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追剧的实时提醒方法及系统
CN104270677A (zh) * 2014-09-19 2015-01-0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的直播节目预约和提醒的方法及其系统
CN104780448A (zh) * 2015-03-18 2015-07-15 福建新大陆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时间段的追剧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2668A (es) 2017-04-27
CN105227972A (zh) 2016-01-06
US20170024471A1 (en) 2017-01-26
MX359126B (es) 2018-09-13
KR101877233B1 (ko) 2018-07-11
EP3122058A1 (en) 2017-01-25
CN105227972B (zh) 2019-04-16
JP6306269B2 (ja) 2018-04-04
JP2017529638A (ja) 2017-10-05
RU2656574C2 (ru) 2018-06-05
WO2017016108A1 (zh)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233B1 (ko)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106496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capture processing
US10141025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djusting video playing progress
US1053083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cquiring image
EP31635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 device by voice, control device and smart device
US105095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message
EP3173970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100784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a list
CN107102772B (zh) 触控方法及装置
EP3176709A1 (en) Video catego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5188588A1 (zh) 应用程序的删除提示方法和装置
US11545188B2 (en) Video processing method, video playing method, devices and storage medium
CN106919629B (zh) 在群聊中实现信息筛选的方法及装置
CN106409317B (zh) 梦话提取方法、装置及用于提取梦话的装置
US201700526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target object
KR20200012699A (ko) 상품 표시 방법 및 장치
US96289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message
US201700549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panorama
CN106331328B (zh) 信息提示的方法及装置
US201603499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message
CN109145151B (zh) 一种视频的情感分类获取方法及装置
CN105635573A (zh) 摄像头视角调整方法和装置
CN104793847B (zh) 图片展示方法及装置
CN106446858A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