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67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679A
KR20170022679A KR1020150117973A KR20150117973A KR20170022679A KR 20170022679 A KR20170022679 A KR 20170022679A KR 1020150117973 A KR1020150117973 A KR 1020150117973A KR 20150117973 A KR20150117973 A KR 20150117973A KR 20170022679 A KR20170022679 A KR 2017002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area
source information
area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879B1 (ko
Inventor
김철주
이윤경
손영철
이상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879B1/ko
Priority to PCT/KR2016/008723 priority patent/WO2017034178A1/ko
Priority to CN201680048268.XA priority patent/CN107924296B/zh
Priority to EP16839467.4A priority patent/EP3316118A4/en
Priority to EP23153541.0A priority patent/EP4191398A1/en
Priority to US15/749,230 priority patent/US10684813B2/en
Publication of KR2017002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79A/ko
Priority to US15/931,423 priority patent/US113726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주변 디바이스로 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디바이스와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들어, 전자 디바이스 간의 인터렉션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들별 전자 디바이스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해어야 한다. 뿐만 아나라, 전자 디바이스별 설치된 운영체제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각 운영체제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관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운영체제별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별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종래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 간 멀티 UI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의 경우, 단순히, 메인 디바이스에서 기저장된 컨텐츠를 미러링(Mirroring) 방식을 통해 타겟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수준의 서비스에 불과하다. 나아가, 이 같은 종래의 멀티 UI 서비스 제공 방식은 해당 컨텐츠를 타겟 디바이스 전송하는 방식이기에 그 전송에 따른 데이터량이 증가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판단된 위치와 관련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영역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거나 혹은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받기 위한 영역이면, 상기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 중 기설정된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제1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면, 상기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 중 기설정된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제2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한 소스 정보와 관련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실행 화면 복귀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편집된 실행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으로 재편집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변경된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변경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된 실행 화면을 재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정보를 전송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 및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과 관련하여 기정의된 소스 정보 또는 상기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과 관련하여 기저장된 소스 정보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스 정보를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판단된 위치와 관련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스 정보를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영역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거나 혹은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받기 위한 영역이면, 상기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 중 기설정된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제1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면, 상기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 중 기설정된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제2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소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한 소스 정보와 관련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실행 화면 복귀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편집된 실행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으로 재편집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변경된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변경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된 실행 화면을 재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정보를 전송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 및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관련하여 기정의된 소스 정보 또는 상기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UI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2 예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예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예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2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3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4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4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1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2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UI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UI 서비스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로써, 스마트 TV, 스마트 폰, 테블릿 PC와 같은 단말 장치이거나 혹은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 기기 내에 탑재된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로 제공하는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주변 디바이스(200-1~200-3)가 될 수 있으며, 이 같은 제1 내지 제3 주변 디바이스(200-1~20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TV, 스마트 폰, 테블릿 PC와 같은 단말 장치이거나 혹은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 기기 내에 탑재된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제1 내지 제3 주변 디바이스(200-1~200-3)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실행 화면 혹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주변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TV, 스마트 폰, 테블릿 PC와 같은 단말 장치이거나 혹은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 기기 내에 탑재된 단말 장치가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센서부(140),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와 유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통신부(11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 및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111), 무선 랜 모듈(113)과,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tronics Engineers) 1394 등의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115)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블루투스(bluetooth)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통신부(110)는 상술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통신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15)는 USB 2.0, USB 3.0, HDMI, IEEE 1394 등 다양한 주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 같은 커넥터(115)는 제어부(143)의 제어 명령에 따라 커넥터(11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넥터(115)는 커넥터(115)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되어 제어부(13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입력부(150)가 터치 패드로 구현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패드인 입력부(150)와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과 관련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소스 정보 중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통신부(110)는 주변 디바이스(220)로 기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하거나 혹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실행 화면 혹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100)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센서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에 형성되거나 혹은 각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151) 및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151)는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부(153)는 디스플레이부(22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경우, 디스플레이부(220)와 상호 레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60)는 제어부(130)에 의해 처리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 컨텐츠 및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생성된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Turn On)되는 경우, 저장부(160)에서 읽혀지고, 컴파일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160)는 롬(ROM), 램(RAM)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착/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170), 신호 처리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IR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는 IR 신호, RF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설정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부(170)는 IR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설정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신부(170)는 방송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영상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를 통해 채널 선국 명령이 입력되면, 튜너부(미도시)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채널 선국 명령에 대응되는 채널를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80)는 수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 혹은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8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관련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신호 처리부(180)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며,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신호 처리부(180)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감지되거나, 혹은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변 디바이스(200)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 및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감지되거나 혹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하여 기정의된 소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감지되거나 혹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예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영역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은 각각의 영역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코드 및 각각의 실행 코드와 관련된 리소스가 계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4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하거나 혹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될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으로부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411)에 대응되는 실행 코드에 대한 정적/동적 분석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영역(411)에 대응되는 실행 코드와 관련된 리소스가 추출되면, 제1 영역(411), 제1 영역(411)에 대응되는 실행코드 및 그 실행 코드로부터 추출된 리소스 간의 의존 관계를 분석하여 제1 영역(411)과 관련된 소스 정보(411')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영역(411)에 대한 소스 정보(411')가 추출되면, 제어부(130)는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제1 영역(411)과 관련하여 추출된 소스 정보(411')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411')에 기초하여 제1 영역(411)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40)를 통해 주변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40)로부터 감지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디바이스(200)가 근접한 위치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200)가 근접한 위치와 관련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과 관련된 실행 화면 혹은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40)를 통해 주변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기기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획득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스펙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추출된 소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과 관련된 실행 화면 혹은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40)를 통해 주변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40)를 통해 감지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기기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획득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기기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스펙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추출된 소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과 관련된 실행 화면 혹은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주변 디바이스(200)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거나 혹은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 중 기설정된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를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은 사용자의 간단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거나 혹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 중 데이터 처리를 위한 스펙이 낮거나 혹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소형 단말의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를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가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제1 주변 디바이스(20-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과 관련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거나 혹은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이 컨테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 중 기설정된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를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은 정보량이 많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 중 데이터 처리를 위한 스펙이 높은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를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이,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가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로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제2 주변 디바이스(20-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영역과 관련된 컨텐츠 UI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대한 제1 사용자 명령과, 제1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사용자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제2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제1 영역과 관련하여 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제2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과 관련된 실행 화면 혹은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영역의 소스 정보가 추출된 후, 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할 주변 디바이스(200)에 대한 제2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입력부(150)는 제1 및 제2 사용자 명령을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면,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 소스 정보와 관련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편집하고, 편집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제1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및 제3 영역에 기초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을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실행 화면 복귀 명령이 입력되거나 혹은 소스 정보를 전송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근접하지 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편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초기 실행 화면으로 재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주변 디바이스(200)로 변경된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변경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편집된 실행 화면을 재편집하고,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재편집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으로 이동하여 근접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이, 주변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타 측면에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타 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위치와 관련된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편집된 실행 화면을 재편집하고,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재편집된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특정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제어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주변 디바이스(20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주변 디바이스(200)로 멀티 UI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영역을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을 구성하는 영역별 실행 코드 및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 영역을 실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은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각각에 대응되는 실행 코드 및 각각의 실행 코드와 관련된 리소스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을 실행하고, 실행된 제1 내지 제3 영역(511~513)에 대한 조합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으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주변 디바이스(2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에 근접할 수 있다.
이 같이, 일 측면에 주변 디바이스(200)가 근접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2 영역(513)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할 영역으로 결정된 제2 영역(513)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620)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주변 디바이스(200)로 제2 영역(513)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2 영역(51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제1 및 제3 영역(511,515)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편집하고, 편집된 실행 화면(6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영역(513)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620)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면에 위치하여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620)을 디스플레이하는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타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1 영역(511)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할 영역으로 결정된 제1 영역(511)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1 영역(511)과 관련된 UI 화면(720)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2 영역(13)을 제외한 제1 및 제3 영역(511,515)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10)을 디스플레이 중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로 제1 영역(511)과 관련된 소스 정보가 전송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1 영역(511)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및 제3 영역(513,515)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편집하고, 편집된 실행 화면(7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영역을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으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통신 가능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할 수 있으며,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에 근접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및 제2 주변 디바이스(200-1,200-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 및 좌측면에 근접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1 영역(511)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에서 실행할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513)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에 근접한 제2 주변 디바이스(200-2)에서 실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제1 및 제2 주변 디바이스(200-1,200-2) 각각에서 실행할 영역이 결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제1 및 제2 주변 디바이스(200-1,200-2)에서 실행할 영역으로 결정된 제1 및 제2 영역(511,513)의 소스 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에 근접한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로 제2 영역이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1 영역(511)과 관련된 UI 화면(820)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에 근접한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830)을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제1 및 제2 주변 디바이스(200-1,200-2) 각각에 제1 및 제2 영역(511,513)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511~515) 중 제1 및 제2 영역(511,51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제3 영역(515)의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편집하고, 편집된 실행 화면(8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511)과 관련된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에 근접한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8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511)과 관련된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화면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중인 UI 화면(820)을 화면 전환 이벤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UI 화면(820)을 로테이션하여 로테이션된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1 주변 디바이스(200-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중심축과 수직 방향(가로 방향)으로 위치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중심축과 수평 방향(세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가로 방향에 대응하여 생성된 UI 화면(820)을 세로 방향에 대응하는 UI 화면(820')으로 화면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에서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에 근접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511)과 관련된 UI 화면(8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에 근접한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8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830)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l Network Services : SNS)를 통해 메지시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UI 화면(830)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커뮤니티 UI 화면(840)으로 화면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830)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l Network Services : SNS)를 통해 메지시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UI 화면(830) 상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커뮤니티 UI 화면(840)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830)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l Network Services : SNS)를 통해 메지시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2 영역(513)과 관련된 UI 화면(830)을 디스플레이하면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카드 게임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9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위에는 제1 내지 제4 주변 디바이스(200-1~200-4)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드 게임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9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행 화면(910)에 포함된 각각의 오브젝트(911~917)에 대한 선택 명령 및 각각의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주변 디바이스(200-1~200-4)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드 게임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91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911~917) 중 제1 오브젝트(911) 및 제1 오브젝트(911)와 관련된 UI 서비스를 제공할 제1 주변 디바이스(200-1)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오브젝트(911)와 관련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오브젝트(913) 및 제2 오브젝트(913)와 관련된 UI 서비스를 제공할 제2 주변 디바이스(200-2)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2 오브젝트(913)와 관련된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3 오브젝트(915) 및 제3 오브젝트(915)와 관련된 UI 서비스를 제공할 제3 주변 디바이스(200-3)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3 오브젝트(915)와 관련된 제3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3 주변 디바이스(200-3)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제4 오브젝트(917) 및 제4 오브젝트(917)와 관련된 UI 서비스를 제공할 제4 주변 디바이스(200-4)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4 오브젝트(917)과 관련된 제4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제4 주변 디바이스(200-4)로 전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제1 내지 제4 주변 디바이스(200-1~100-4)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911~917) 중 제1 내지 제4 주변 디바이스(200-1~100-4)로 전송할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4 주변 디바이스(200-1,200-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근접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주변 디바이스(200-2,20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근접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주변 디바이스(200-1,200-2)의 근접 위치를 고려하여, 상측면 및 하측면에 근접한 제1 및 제4 주변 디바이스(200-1,200-4)로 제1 및 제4 오브젝트(911,917)와 관련된 제1 및 제4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측면 및 우측면에 근접한 제2 및 제3 주변 디바이스(200-2,200-3)로 제2 및 제3 오브젝트(913,917)와 관련된 제2 및 제3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주변 디바이스(200-1,20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오브젝트(911,913)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911',91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및 제4 주변 디바이스(200-3,200-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3 및 제4 오브젝트(915,917)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915',917')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주변 디바이스(200-1~200-4)로 제1 내지 제4 오브젝트(911~917) 각각에 대한 소스 정보를 전송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드 게임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910)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5 영역 중 제1 내지 제4 영역과 관련된 제1 내지 제4 오브젝트(911~917)를 제외한 나머지 제5 영역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910)을 편집하고, 편집된 실행 화면(9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오브젝트(911~917) 각각에 대응되는 UI 화면(911'~917)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내지 제4 주변 디바이스(200-1~200-4) 중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부터 디스플레이된 UI 화면(911')과 관련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실행 화면(920)을 재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 UI(101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컨텐츠 리스트 UI(101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통신 가능한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로 컨텐츠 리스트 UI(1010)에 포함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 관련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UI(1010)는 A 내지 H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TV,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및 노트북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UI(1010)로부터 A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1 주변 디바이스(200-1)인 스마트 TV에서 디스플레이되고, B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2 주변 디바이스(200-2)인 네비게이션에서 디스플레이되며, C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3 디바이스(200-3)인 노트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같은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리스트 UI(1010)에 포함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 중 A 썸네일 이미지와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전송하고, B 썸네일 이미지와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2 주변 디아비스(200-2)로 전송하며, C 썸네일 이미지와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3 주변 디바이스(200-3)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디바이스(200-1)인 스마트 TV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A 썸네일 이미지와 관련된 A 컨텐츠(1020)를 디스플레이하며, 제2 주변 디바이스(200-2)인 네비게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B 썸네일 이미지와 관련된 B 컨텐츠(10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주변 디바이스(200-2)인 노트북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C 썸네일 이미지와 관련된 C 컨텐츠(104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4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텝 뷰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텝 뷰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은 A 내지 C 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영역(1111~1115)과 A 내지 C 텝 중 선택된 텝과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4 영역(11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텝 뷰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1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 내지 C 텝 중 A 텝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A 텝과 관련된 a 컨텐츠를 제4 영역(1117)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텝 뷰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10)로부터 B 텝과 관련된 b 컨텐츠(1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제1 주변 디바이스(200-1)에서 디스플레이되고, C 텝과 관련된 c 컨텐츠(1130)가 제2 주변 디바이스(200-2)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같은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B 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영역(1113)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전송하고, C 텝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 영역(1115)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B 텝에 대한 선택 명령시 실행되는 b 컨텐츠(11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C 텝에 대한 선택 명령시 실행되는 c 컨텐츠(113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 간의 멀티 UI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4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TV(10), 스마트 냉장고(20) 및 스마트 에어컨(30)과 같은 가전 기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주변 디바이스(200)는 주변 디바이스(200)가 기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 관련 소스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TV(10)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가 기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스마트 TV(10)의 TV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TV(1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TV(10)의 TV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1210)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냉장고(20)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가 기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스마트 냉장고(20)의 냉장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냉장고(2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냉장고(20)의 냉장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1220)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에어컨(30)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가 기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스마트 에어컨(30)의 에어컨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정보를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에어컨(30)으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에어컨(30)의 에어컨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1230)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TV(10), 스마트 냉장고(20) 및 스마트 에어컨(30) 각각에 탑재되어 각 가전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같은 실행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주변 디바이스(20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스마트 TV(10), 스마트 냉장고(20) 및 스마트 에어컨(30) 중 적어도 하나와 기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로 근접하고, 해당 가전 기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하여 업데이트된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것으로 판단되면, 업데이트된 실행 프로그램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근접한 가전 기기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10), 스마트 냉장고(20) 및 스마트 에어컨(30)과 같은 가전 기기 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치된 실행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와 멀티 UI 서비스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1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310).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UI 화면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한다(S1320). 여기서, 소스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 및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소스 정보가 추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로 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S1330).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수신된 소스 정보와 관련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가 근접하면,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200)의 위치와 관련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가 근접하면,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주변 디바이스(200)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200)가 근접하면,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의 기기 정보 및 복수의 영역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에서 실행 가능한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소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거나 혹은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받기 위한 영역이면,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 중 기설정된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제1 주변 디바이스(200-1)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 중 기설정된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제2 주변 디바이스(200-2)로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영역의 소스 정보가 추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200)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변 디바이스(200)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한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40). 판단 결과, 소스 정보를 전송한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한다(S1350).
구체적으로,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특정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수신한 주변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일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제어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주변 디바이스(20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2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410). 이 같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한다(S1420). 소스 정보가 추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로 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한다(S1430).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수신된 소스 정보와 관련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1410 내지 S1430의 수행 동작은 전술한 도 13의 단계 S1310 내지 S1330의 수행 동작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계 S1410 내지 S1430의 수행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 S1430를 통해 기추출된 소스 정보가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한 소스 정보와 관련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편집하고, 편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440).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제1 내지 제3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제1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영역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및 제3 영역에 기초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을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실행 화면 복귀 명령이 입력되거나 혹은 소스 정보를 전송한 주변 디바이스(200)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편집된 실행 화면을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으로 재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디바이스(200)로 변경된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복수의 영역 중 변경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편집된 실행 화면을 재편집하고, 재편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통신부
111 : 근거리 통신 모듈 113 : 무선 랜 모듈
115 : 커넥터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제어부 140 : 센서부
150 : 입력부 151 : 조작부
153 : 터치 입력부 160 : 저장부
170 : 수신부 180 : 신호 처리부
190 : 오디오 출력부 200 : 주변 디바이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추출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판단된 위치와 관련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영역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거나 혹은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받기 위한 영역이면, 상기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 중 기설정된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제1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면, 상기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 중 기설정된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제2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한 소스 정보와 관련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실행 화면 복귀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편집된 실행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으로 재편집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변경된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변경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된 실행 화면을 재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정보를 전송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 및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과 관련하여 기정의된 소스 정보 또는 상기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통신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과 관련하여 기저장된 소스 정보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스 정보를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판단된 위치와 관련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소스 정보를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영역별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거나 혹은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받기 위한 영역이면, 상기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 중 기설정된 제1 조건에 대응되는 제1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면, 상기 근접한 주변 디바이스 중 기설정된 제2 조건에 대응되는 제2 주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영역의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영역의 소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소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한 소스 정보와 관련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 화면을 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 화면 복귀 명령이 입력되거나 상기 주변 디바이스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편집된 실행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으로 재편집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변경된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변경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된 실행 화면을 재편집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정보를 전송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 전송할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 및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과 관련하여 기정의된 소스 정보 또는 상기 제1 영역의 실행을 위한 실행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영역과 관련된 소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17973A 2015-08-21 2015-08-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73A KR102433879B1 (ko) 2015-08-21 2015-08-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6/008723 WO2017034178A1 (ko) 2015-08-21 2016-08-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1680048268.XA CN107924296B (zh) 2015-08-21 2016-08-09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EP16839467.4A EP3316118A4 (en) 2015-08-21 2016-08-09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3153541.0A EP4191398A1 (en) 2015-08-21 2016-08-09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5/749,230 US10684813B2 (en) 2015-08-21 2016-08-09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5/931,423 US11372612B2 (en) 2015-08-21 2020-05-13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73A KR102433879B1 (ko) 2015-08-21 2015-08-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79A true KR20170022679A (ko) 2017-03-02
KR102433879B1 KR102433879B1 (ko) 2022-08-18

Family

ID=5810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973A KR102433879B1 (ko) 2015-08-21 2015-08-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684813B2 (ko)
EP (2) EP4191398A1 (ko)
KR (1) KR102433879B1 (ko)
CN (1) CN107924296B (ko)
WO (1) WO20170341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1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출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879B1 (ko) * 2015-08-21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788441A (zh) * 2017-11-13 2019-05-21 北京小鸟听听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KR102633594B1 (ko) * 2019-10-04 202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16708645A (zh) * 2020-05-25 2023-09-05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及手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614A (ko) * 2011-08-23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30214995A1 (en) * 2012-02-21 2013-08-22 Research In Motion Tat Ab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20140104139A1 (en) * 2012-06-22 2014-04-17 Harborside Press, LLC Interactive synchronized multi-screen display
KR20140080224A (ko) * 2012-12-20 201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할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US20140232616A1 (en) * 2013-02-18 2014-08-21 Disney Enterprises, Inc. Proximity-based multi-display configuration
KR20150003625A (ko) * 2013-07-01 2015-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50032070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KR20150049900A (ko) * 2013-10-31 2015-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9933A1 (en) * 2000-12-19 2006-06-15 Sparkpoint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authoring and playback
US9268518B2 (en) * 2011-09-27 2016-02-23 Z124 Unified desktop docking rules
US20130024778A1 (en) 2011-07-13 2013-01-24 Z124 Dynamic cross-environment application configuration/orientation
BRPI0417656A (pt) * 2003-12-19 2007-04-03 Speechgear Inc método, meio legìvel por computador, e, sistema
JP4351599B2 (ja) 2004-09-03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
US8456381B2 (en) * 2008-03-31 2013-06-0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extended display with desired relative display orientation
WO2009143294A2 (en) * 2008-05-20 2009-11-26 Citrix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external display devices with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00053151A1 (en) *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line mediation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on a display device
JP4676014B2 (ja) * 2009-06-30 2011-04-2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キャプチャ画像の転送処理方法
KR101690232B1 (ko) 2010-05-28 201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719653B1 (ko) * 2010-09-16 2017-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전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5677034B2 (ja) 2010-11-04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9086839B2 (en) * 2010-12-15 2015-07-21 Userful Corporation Multiple user computing method and system for same
KR20120097210A (ko) 2011-02-24 2012-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의 리소스 공유 방법 및 장치
US9959008B2 (en) * 2011-04-13 2018-05-01 Razer (Asia-Pacific) Pte Ltd. Computer peripheral display and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an adjunct 3D user interface
US20130132848A1 (en) 2011-11-18 2013-05-23 Apple Inc. Application interaction via multiple user interfaces
US20130159565A1 (en) * 2011-12-14 2013-06-20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fer of touch screen events between devices
US20130219303A1 (en) * 2012-02-21 2013-08-22 Research In Motion Tat Ab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 shared user interface
US9967388B2 (en) 2012-02-21 2018-05-08 Qualcomm Incorporated Mirrored interface navigation of multiple user interfaces
KR101218293B1 (ko) * 2012-07-11 2013-01-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공유 방법
US20140188970A1 (en) 2012-12-29 2014-07-03 Cloudcar, Inc. System and method enabling service and application roaming
KR101499068B1 (ko) 2013-06-19 2015-03-09 김용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189679B1 (ko) 2013-07-12 2020-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휴대용 기기, 휴대용 기기에서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4426870B (zh) * 2013-08-29 2019-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远程无线屏幕共享方法、装置及系统
US9451043B2 (en) 2013-09-13 2016-09-20 Evie Labs, Inc. Remote virtualization of mobile apps
KR20150047325A (ko) * 2013-10-24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젼 및 그 제어방법
KR102107404B1 (ko) * 2013-10-30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6832B1 (ko) * 2014-01-28 2020-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4020972B (zh) * 2014-05-15 2017-07-1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背景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433879B1 (ko) * 2015-08-21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1614A (ko) * 2011-08-23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30214995A1 (en) * 2012-02-21 2013-08-22 Research In Motion Tat Ab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20140104139A1 (en) * 2012-06-22 2014-04-17 Harborside Press, LLC Interactive synchronized multi-screen display
KR20140080224A (ko) * 2012-12-20 201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분할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US20140232616A1 (en) * 2013-02-18 2014-08-21 Disney Enterprises, Inc. Proximity-based multi-display configuration
KR20150003625A (ko) * 2013-07-01 2015-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50032070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권 관리 방법, 그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기 및 그에 따른 마스터 기기
KR20150049900A (ko) * 2013-10-31 2015-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1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출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1398A1 (en) 2023-06-07
WO2017034178A1 (ko) 2017-03-02
US20200272403A1 (en) 2020-08-27
CN107924296A (zh) 2018-04-17
US20180225076A1 (en) 2018-08-09
KR102433879B1 (ko) 2022-08-18
US10684813B2 (en) 2020-06-16
CN107924296B (zh) 2022-04-29
EP3316118A4 (en) 2018-07-04
US11372612B2 (en) 2022-06-28
EP3316118A1 (en)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261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43271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15345B1 (ko) 노드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0019B1 (ko)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AU2013360531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KR20160003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2017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ui提供方法
US20140223321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ereof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98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852482B1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CN105373359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30019260A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CN111586463B (zh) 显示设备
KR201400832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메뉴 제공 방법
KR201601343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71262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930237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UI display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8170390B (zh) 遥控切换显示的交互方法和系统
KR201601393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7956213A (zh) 一种语音播报方法及显示设备
KR202300468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0892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