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068B1 -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068B1
KR101499068B1 KR1020130070568A KR20130070568A KR101499068B1 KR 101499068 B1 KR101499068 B1 KR 101499068B1 KR 1020130070568 A KR1020130070568 A KR 1020130070568A KR 20130070568 A KR20130070568 A KR 20130070568A KR 101499068 B1 KR101499068 B1 KR 10149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application
service
terminal device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024A (ko
Inventor
김용진
허승혁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13007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068B1/ko
Priority to CN201480043603.8A priority patent/CN105453126A/zh
Priority to PCT/KR2014/002498 priority patent/WO2014204084A1/ko
Priority to US14/899,845 priority patent/US20160148217A1/en
Publication of KR2015000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06Q30/0185Product, service or business identity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단말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장치가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자신의 서비스 컨텐츠 제공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지 않거나, 이미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통해 정상적으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METHOD FOR JOINT APPLICATIONS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장치가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들은 대부분 자체적으로 기업용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이를 최대한 많이 배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폰 이용자의 경우 기업용 어플리케이션보다는 엔터테인먼트/커뮤니케이션 등과 같은 대중적인 목적으로 개발되어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다운받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용 어플리케이션이 배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업용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인 고객 응대(Customer Service) 및 정보 제공 등의 기업의 자체적인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장치가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자신의 서비스 컨텐츠 제공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지 않거나, 이미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통해 서비스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기업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전체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공유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어플리케이션만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 지정된 공유정책을 기초로 선택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공유정책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정책에는,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공유대상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공유대상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여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정책에는,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간 우선순위를 판별하기 위한 우선순위판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공유정책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판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동일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기업서비스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부에서, 상기 접속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중인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하여금 상기 접속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업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및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전체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공유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어플리케이션만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 지정된 공유정책을 기초로 선택되며,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공유정책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정책에는,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 가능하도록 지정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공유대상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공유대상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정책에는,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간 우선순위를 판별하기 위한 우선순위판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공유정책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판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동일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기업서비스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공단계에서, 상기 접속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중인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하여금 상기 접속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기업서비스장치 자체에서 자신의 서비스 컨텐츠 제공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지 않거나, 이미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통해 서비스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이용자 풀(Pool)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확산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플리케이션 확산의 궁극적 목표인 모바일 서비스 활성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정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업서비스장치(200), 및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기업서비스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실행 가능하며, 기업서비스장치(200)에 대한 음성 호 및 데이터 호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하고, 음성 호 및 데이터 호 접속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기업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자체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운용하는 서비스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고객 응대 및 정보 제공의 일환으로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서비스는,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음성 안내를 위한 서비스메뉴를 음성정보로 전달함과 아울러, 음성정보에 동기화된 서비스화면을 서비스 컨텐츠 형태로 단말장치(100)에 추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300)는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단말장치(100)가 접속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업서비스장치(20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단말장치(100)가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컨텐츠 접속의 경우,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배포한 기업용 어플리케이션을 단말장치(100)가 직접 실행함으로써,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기업용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엔터테인먼트/커뮤니케이션과 같은 대중적인 목적보다는, 고객 응대(Customer Service) 및 정보 제공 등의 기업의 자체적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목적으로 개발되어 배포되게 된다.
이렇듯, 기업용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기업의 자체적인 서비스 지원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배포됨에 따라, 대부부의 사용자들은 기업용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에 매우 인색한 실정이다.
만약, 기업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그 이용 빈도가 떨어지므로 사용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으며, 최근 단말기 교체 주기가 지속적으로 짧아짐에 따라 단말기의 교체와 함께 사라지는 상황도 고려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기업의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를 대상으로 기업의 자체적인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개발하여 배포한 어플리케이션을 기업 간에 공유하여 특정 기업의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다른 기업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기업의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장치(300)에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실시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해 개발된 공용 프로그램 모듈 형태로 개발된 서비스 모듈을 업데이트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게 되며, 이와 같은 탑재 사실을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로 하여금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해 지정된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기업서비스장치(200)에 접속(예: 음성 호)하여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면, 기업서비스장치(200)와 연동한 서비스장치(300)로부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기초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푸쉬 메시지의 경우,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서비스장치(300) 상에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다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시키기 위해 전송되게 된다.
서비스장치(300)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서비스 모듈을 탑재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등록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장치(30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요청(조회)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기업서비스장치(200)에 지정된 공유정책을 확인하고, 확인된 공유정책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정책에 적합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여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장치(30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어플리케이션 ID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질의하게 되고,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장치(300)는 단말장치(100)를 기업서비스장치(200)에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300)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초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서비스장치(300)는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320), 및 단말장치(100)가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업서비스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3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단말장치(100)에 대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부(310),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330), 및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제공부(3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등록부(310), 선택부(320), 판단부(330), 제어부(340), 및 판단부(250)를 포함하는 서비스장치(300)의 각 구성은 프로세서의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등록부(310)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서비스 모듈을 탑재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등록하게 된다.
이때, 등록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ID, 사용자 전화번호,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정보,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Wake- up)시키는 푸쉬 메시지 전달을 위한 메시지 ID를 함께 수신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신된 정보를 공유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로서 등록하게 된다.
선택부(32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부(3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요청(조회)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선택부(320)는 기업서비스장치(200)에 지정된 공유정책을 확인하고, 확인된 공유정책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정책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정책에는,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공유대상식별정보와,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간 우선순위를 판별하기 위한 우선순위판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택부(320)는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대상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여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선택부(320)는 상기 공유대상식별정보를 기초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설정한 공유 방식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모든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완전공유 방식(A),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사전에 설정한 일부 공유 어플리케이션만을 공유하거나, 예를 들어, 일부 경쟁 기업에서 개발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도록 제외하는 부분공유 방식(B)과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기업용 어플리케이션만을 사용해야 하는 비공유 방식(C)을 확인한다.
그리고, 선택부(320)는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설정한 공유 방식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각 공유 방식에 적합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게 되며, 선별된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인 경우, 해당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게 된다.
한편, 선택부(320)는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설정한 공유 방식에 따라 선별된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다수인 경우에는, 공유정책에 포함된 우선순위판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다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어플리케이션간 우선순위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즉, 제조사 또는 통신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사전 탑재되어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삭제 위험이 거의 없는 제1유형의 어플리케이션 그룹(1st Tier 그룹), 단말장치(100)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메신저 등의 커뮤니케이션 용도의 제2유형의 어플리케이션 그룹(2nd 어플리케이션 그룹), 그리고 이용 빈도는 적으나, 탑재의 필요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뉴스 등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제공 용도의 제3유형의 어플리케이션 그룹(3th Tier 그룹), 전술한 제1유형 내지 제3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어플리케이션인 제4유형의 어플리케이션 그룹(4th Tier 그룹)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선택부(320)는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복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판별된 복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단말장치(100)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것이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서 최근 실행된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한 로그정보를 추가 수집하여, 어플리케이션 ID를 식별하는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판단부(33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33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판단부(330)는 어플리케이션 ID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질의하게 되고,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판단부(33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의 질의에 대한 응답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주기에 따라 설정된 횟수(예: 3회)만큼 단말장치(100)에 반복하여 질의하게 되며, 설정된 횟수가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서 삭제된 것으로 간주하여 최종 이용불가 상태로 확정하게 된다.
물론, 이용불가상태로 확정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삭제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설정된 횟수가 모두 경과하기 이전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응답 미수신 횟수를 초기화함이 맞다 할 것이다.
제어부(340)는 단말장치(100)를 기업서비스장치(200)에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40)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공부(350)에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초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공부(350)는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확인하여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장치(100)가 기업서비스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기업서비스장치(200) 자체에서 자신의 서비스 컨텐츠 제공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지 않거나, 이미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통해 서비스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통해 이용자 풀(Pool)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확산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플리케이션 확산의 궁극적 목표인 모바일 서비스 활성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실시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해 개발된 공용 프로그램 모듈 형태로 개발된 서비스 모듈을 업데이트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게 되며, 이와 같은 탑재 사실을 서비스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로 하여금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해 지정된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하도록 한다(S110).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요청(조회)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S120-S160).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기업서비스장치(200)에 지정된 공유정책을 확인하고, 확인된 공유정책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공유정책에 적합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여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비스장치(30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게 된다(S170a-S190a).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어플리케이션 ID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질의하게 되고,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기업서비스장치(200)에 통지하게 된다.
나아가, 서비스장치(300)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초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190a-S220a).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것으로 판단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확인하여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서비스장치(300)는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받은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게 되나, 이러한 과정(S190a)은 생략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장치(3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기업서비스장치(200)에 통지하는 과정(S190a)에서, 기업서비스장치(200)로 하여금,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단말장치(100)에 직접 전달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단말장치(100)가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의 경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과정(S160)까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먼저, 서비스장치(30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기업서비스장치(200)에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하게 된다(S170b-S180b).
이처럼,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기 이전에 기업서비스장치(200)에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하는 것은, 유효성 질의 후 단말장치(100)로부터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기업서비스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채널을 유지함에 따른 부하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기 이전에 기업서비스장치(200)에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할 경우, 기업서비스장치(200)는 이용자에게 서비스 이용을 안내할 수 있고, 이때 서비스장치(300)가 유효성 검사를 함께 병행함으로써 유효성 판단에 따른 서비스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비스장치(300)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게 된다(S190b-S210b).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어플리케이션 ID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질의하게 되고,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해당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최종 확정하게 된다.
나아가, 서비스장치(300)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초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220b-S240b).
여기서, 서비스장치(300)는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받은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게 되나, 이러한 과정(S220b)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서비스장치(30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의 질의에 대한 응답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주기에 따라 설정된 횟수(예: 3회)만큼 단말장치(100)에 반복하여 질의하게 되며, 설정된 횟수가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서 삭제된 것으로 간주하여 최종 이용불가 상태로 확정하게 된다(S230b, S250b-S260b).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종 이용불가 상태가 확정되면, 공유 서비스가 불가함을 기업서비스장치(200)로 통지함으로써, 기업서비스장치(20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서비스 불가 안내 및 대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의 경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과정(S160)까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먼저, 서비스장치(30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기업서비스장치(200)에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한다(S170c).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300)는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에 따라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초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180c-S190c).
여기서, 서비스장치(300)는 공유 서비스가 가능함을 통지받은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게 되나, 이러한 과정(S180c)은 생략 가능하다.
그런 다음, 기업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가 설정시간 동안 접속하지 않을 경우,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접속 실패로 판단하여 이를 서비스장치(300)에 통지함으로써, 서비스장치(300)로 하여금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 판단을 진행하도록 한다(S200c-S220c).
이처럼, 서비스 접속 실패 발생 후에 유효성을 검사하는 것은, 유효성 질의 후 단말장치(100)로부터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기업서비스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채널을 유지함에 따른 부하 발생을 서비스 이용이 많지 않은 시점으로 옮겨 시스템 부하를 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기업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접속 실패임이 판단되면,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서비스 불가 안내 및 대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장치(200)는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서비스 접속 실패가 통지되면,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게 된다(S203c-S240c).
이때, 서비스장치(300)는 어플리케이션 ID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반복하여 질의하게 되고, 설정된 횟수가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서 삭제된 것으로 간주하여 최종 이용불가 상태로 확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등록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서비스 모듈을 탑재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등록한다(S310).
이때, 등록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ID, 사용자 전화번호,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정보,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Wake- up)시키는 푸쉬 메시지 전달을 위한 메시지 ID를 함께 수신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신된 정보를 공유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로서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선택부(3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기업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요청(조회)이 수신되면, 기업서비스장치(200)에 지정된 공유정책을 확인함으로써, 공유정책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여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게 된다(S320-S340).
이때, 선택부(320)는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설정한 공유 방식에 따라 선별된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다수인 경우에는, 공유정책에 포함된 우선순위판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다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게 된다(S350-S370, S390).
여기서, 선택부(320)는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복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판별된 복수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단말장치(100)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것이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S370-S390).
그리고 나서, 판단부(33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한다(S400).
이때, 판단부(330)는 어플리케이션 ID를 기초로 단말장치(100)에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지 않고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질의하게 되고,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판단부(330)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의 질의에 대한 응답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주기에 따라 설정된 횟수(예: 3회)만큼 단말장치(100)에 반복하여 질의하게 되며, 설정된 횟수가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장치(100)에서 삭제된 것으로 간주하여 최종 이용불가 상태로 확정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340)는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유효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공부(350)에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초로 기업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S410-S430).
한편, 제어부(340)는 판단부(330)에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종 이용불가 상태가 확정되면, 제공부(350)로 하여금 공유 서비스가 불가함을 기업서비스장치(200)로 통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업서비스장치(200)에서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서비스 불가 안내 및 대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S410, S44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기업서비스장치(200)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장치(100)가 기업서비스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기업서비스장치(200) 자체에서 자신의 서비스 컨텐츠 제공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지 않거나, 이미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통해 서비스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통해 이용자 풀(Pool)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확산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플리케이션 확산의 궁극적 목표인 모바일 서비스 활성화가 가능하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자신의 서비스 컨텐츠 제공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지 않거나, 이미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통해, 정상적으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200: 기업서비스장치
300: 서비스장치
310: 등록부 320: 선택부
330: 판단부 340: 제어부
350: 제공부

Claims (16)

  1. 기업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한 기업의 기업서비스장치 이외의 다른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전체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공유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어플리케이션만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 지정된 공유정책을 기초로 선택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공유정책에 관련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책에는,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공유대상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공유대상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여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책에는,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간 우선순위를 판별하기 위한 우선순위판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공유정책에 관련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판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우선순위가 동일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기업서비스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공부에서, 상기 접속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중인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하여금 상기 접속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9. 기업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등록된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및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한 기업의 기업서비스장치 이외의 다른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전체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공유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어플리케이션만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에 지정된 공유정책을 기초로 선택되며,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공유정책에 관련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책에는,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 가능하도록 지정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공유대상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전체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공유대상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정책에는,
    상기 기업서비스장치와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간 우선순위를 판별하기 위한 우선순위판별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공유정책에 관련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우선순위판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단계는,
    상기 우선순위가 동일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공유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가장 최근에 실행된 것으로 확인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기업서비스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공단계에서, 상기 접속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중인 상기 공유대상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하여금 상기 접속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컨텐츠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070568A 2013-06-19 2013-06-19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9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568A KR101499068B1 (ko) 2013-06-19 2013-06-19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201480043603.8A CN105453126A (zh) 2013-06-19 2014-03-25 应用程序共享服务方法和应用于该服务方法的装置
PCT/KR2014/002498 WO2014204084A1 (ko) 2013-06-19 2014-03-25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4/899,845 US20160148217A1 (en) 2013-06-19 2014-03-25 Application sha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568A KR101499068B1 (ko) 2013-06-19 2013-06-19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024A KR20150000024A (ko) 2015-01-02
KR101499068B1 true KR101499068B1 (ko) 2015-03-09

Family

ID=5210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568A KR101499068B1 (ko) 2013-06-19 2013-06-19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48217A1 (ko)
KR (1) KR101499068B1 (ko)
CN (1) CN105453126A (ko)
WO (1) WO20142040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87B1 (ko) 2019-11-05 2020-12-31 박재홍 지능형 ars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956B1 (ko) * 2013-10-11 2015-05-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처리를 위한 단말 장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160213264A1 (en) * 2015-01-27 2016-07-28 Huinno, Co., Ltd.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KR102433879B1 (ko) 2015-08-21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056408B (zh) * 2016-06-01 2020-10-02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一种追踪推广方的方法及装置
KR101868947B1 (ko) * 2017-01-13 2018-06-19 나이스정보통신 주식회사 직렬통신과 투웨이 무선 접속 기능을 구비한 중계장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102304185B1 (ko) * 2020-06-08 2021-09-23 주식회사 아이큐브온 음성전화의 자동응답을 통해 화면에 보이는 자동응답 서비스를 오토 팝업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제공을 위한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83B2 (ko) * 1988-10-17 1993-07-22 Hikoma Seisakusho Kk
JP5048683B2 (ja) 2006-12-18 2012-10-17 株式会社Access アプリケーション更新管理端末、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29950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0014B1 (en) * 1998-03-25 2001-01-02 Community Learning And Information Network Computer architecture for managing courseware in a shared use operating environment
US6976093B2 (en) * 1998-05-29 2005-12-13 Yahoo! Inc. Web server content replication
US7761899B2 (en) * 2001-01-23 2010-07-20 N2 Broad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distributing and managing assets in digital cable systems
US20020133398A1 (en) * 2001-01-31 2002-09-1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US20030046357A1 (en) * 2001-08-30 2003-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content placement in a distributed computing network
US7136875B2 (en) * 2002-09-24 2006-11-14 Google, Inc. Serving advertisements based on content
EP1508892B1 (en) * 2002-05-31 2017-07-12 Onkyo Corporation Network type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A2639010C (en) * 2002-09-26 2010-12-21 Video Furnace, Inc. Digital content delivery and viewing system and method
US8108939B2 (en) * 2003-05-29 2012-01-3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ecurity-enabled content caching
US20070282893A1 (en) * 2006-04-24 2007-12-06 Keith Smith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and advertising among multiple entities
US8190561B1 (en) * 2006-12-06 2012-05-29 At&T Mobility Ii Llc LDAP replication priority queuing mechanism
US20090204817A1 (en) * 2007-09-17 2009-08-13 Oci Mobile Llc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48699A1 (en) * 2009-03-31 2010-09-30 Dumais Paul Mark Joseph Remote application storage
US20110125902A1 (en) * 2009-11-24 2011-05-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US8719910B2 (en) * 2010-09-29 2014-05-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Video broadcasting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2624765A (zh) * 2011-01-28 2012-08-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共享服务调用系统和方法
KR20130057338A (ko) * 2011-11-23 2013-05-31 김용진 음성인식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2929703B (zh) * 2012-10-25 2015-08-1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应用软件管理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83B2 (ko) * 1988-10-17 1993-07-22 Hikoma Seisakusho Kk
JP5048683B2 (ja) 2006-12-18 2012-10-17 株式会社Access アプリケーション更新管理端末、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29950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87B1 (ko) 2019-11-05 2020-12-31 박재홍 지능형 ars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4084A1 (ko) 2014-12-24
CN105453126A (zh) 2016-03-30
US20160148217A1 (en) 2016-05-26
KR20150000024A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068B1 (ko)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821693B1 (ko) 로밍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10440561B2 (en) Mobile device activation
US9161325B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virtualization
US11917508B2 (en)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 management platform
US20120216292A1 (en) User Account Creation Involving a Mobile Device
KR101750455B1 (ko)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1159536B2 (en) Secure access with trusted proximity device
CN102255887A (zh) 对应多移动装置的线上服务的提供方法与系统
KR20150052059A (ko) 데이터 사용량을 감안한 장치 백업 및 업데이트 기법
US8825991B2 (en) FOTA based data update method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2710737A (zh) 跨平台服务通知
US11832349B2 (en) Nomination of a primary cell phone from a pool of cell phones
US8365250B2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portable communication identity services
US95779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 informational site using a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US10805427B1 (en) Backup and restore of customer devices
JP2021010164A (ja) 通知プリセットを利用した通知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771573B1 (ko) 단말 장치 간 자원 접근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US201301854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mulation Sessions
KR20130113788A (ko) Pc방의 서비스 등록 ip 판별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19559A1 (en) Enrollment of enrollee devices to a wireless network
US9680914B1 (en) Seamless service migration updates
KR20160144910A (ko) 앱 구동 방법
KR101782866B1 (ko) 단말 장치 간 자원 접근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CN117376120A (zh) 一种可配置通道的消息推送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