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578A -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578A
KR20170022578A KR1020150117722A KR20150117722A KR20170022578A KR 20170022578 A KR20170022578 A KR 20170022578A KR 1020150117722 A KR1020150117722 A KR 1020150117722A KR 20150117722 A KR20150117722 A KR 20150117722A KR 20170022578 A KR20170022578 A KR 20170022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eripheral device
wireless
authent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202B1 (ko
Inventor
정태욱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주)볼트마이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볼트마이크로 filed Critical (주)볼트마이크로
Priority to KR1020150117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2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2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topology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 및 사물 데이터,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 및 상기 주변 장치 간의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유선 케이블 세트를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HOST DEVICE, PERIPHERAL DEVICE, IOTFI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스트 장치와 주변 장치에는 USB 케이블과 연결되는 USB 단자가 포함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호스트 장치와 주변 장치를 USB 장치라고 일컫는다.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은 호스트 장치와 주변 장치를 접속하는데 사용되고, 장치 별 호환성이 우수하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호스트 장치로 인식되고, 프린터, 마우스, 키보드 및 웹 캠은 컴퓨터의 주변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USB OTG 또는 OTG(on-the-go)는 USB 장치들이 호스트 장치 또는 주변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USB OTG는 케이블 시작 부분(A 부분)과 끝 부분(B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케이블 A 부분에 접속되는 USB 장치들은 호스트 장치로 인식될 수 있으며, B 부분에 접속되는 USB 장치들은 주변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장치와 주변 장치 간에는 유선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고, 장치 별 활성화를 위해 루팅(rooting)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루팅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될 경우, USB 장치의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고,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악성코드가 유입될 수 있다.
최근에는 루팅된 상태에서 정보 유출의 위험을 감지하고, 감지된 유출의 위험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며, 감지된 유출의 위험을 차단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차단하는 보안차단 장치 기술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8558호(2012.02.20). "USB OTG 제어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2877호(2012.08.03).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유출을 차단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본 발명은 별도의 보안차단 장치의 사용 없이 호스트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유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무선 네트워크 인증을 사용하지 않고 신뢰가 있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 인증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물 데이터를 기타 주변 장치, 웹 페이지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정보의 공유, 이식성 및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 및 사물 데이터,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 및 상기 주변 장치 간의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유선 케이블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유선 설정부,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무선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 감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물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주변 장치의 사물 감지 센서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주변 장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연동부, 상기 원격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장치에 대한 원격 처리 모드를 제공하는 원격 처리부,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처리 모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분할 또는 통합하여 수신하는 사물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물 데이터의 해상도, 용량 및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물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사물 감지 센서에 대한 동작을 로컬 제어하기 위한 로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로컬 인터페이스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션에 대한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주변 장치의 원격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물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원격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장치로 획득된 사물 데이터를 분할 또는 통합하여 전송하는 사물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슬래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와의 상기 표준 열거를 통하여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고,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장치 또는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물 데이터를 단말 장치, 웹 페이지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유선 케이블 세트는 상기 호스트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타 주변 장치 간의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스위칭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 장치 또는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물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타 주변 장치와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유선 설정부,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무선 설정부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이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유선 설정부,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무선 설정부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를 사물 데이터,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단계,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단계,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은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모듈이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단계,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보안차단 장치의 사용 없이 호스트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유선 네트워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무선 네트워크 인증을 사용하지 않고 신뢰가 있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물 데이터를 기타 주변 장치, 웹 페이지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정보의 공유, 이식성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원격 처리 관점의 호스트 장치에 포함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로컬 처리 관점의 호스트 장치에 포함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 또는 주변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아이오티파이(IoTFi, Internet of Things Fidelity) 시스템은 호스트 장치(100), 주변 장치(500) 및 유선 케이블 세트(300)를 포함한다.
호스트 장치(100)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및 블루투스 마스터(Bluetooth master)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100a)과 연결된다.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는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곳에서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안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망일 수 있고,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USB 장치들(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 및 주변 장치(500) 등)이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모듈(100a)에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투투스 마스터는 호스트 장치(100)를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고, 마스터 모듈(100a)은 무선 랜(wireless lan)이 포함될 수 있다.
주변 장치(500)는 마스터 모듈(100a)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500a)과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장치(500)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슬레이브 모듈(500a)과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케이블 세트(300)는 사물 데이터,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고, 호스트 장치(100) 및 주변 장치(500) 간의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사물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100) 및 주변 장치(500)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사물 데이터는 촬상 데이터, 텔레메틱스 데이터 및 바이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데이터는 사물 감지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 등)에 의해 획득되는 사진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텔레메틱스 데이터는 사물 감지 센서(예를 들어, 블랙박스에 포함되는 카메라 센서, ECU 센서(자기 센서, 압력 센서, 유량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배기가스 센서, 매연감지 센서, 산소 센서, 수온 센서 및 온습도 센서 등), 위치 센서(자이로 센서, GPS 센서 등) 및 방송 수신 센서 등)에 의해 획득되는 촬상 데이터, ECU 데이터, 위치 데이터, 지도 데이터 및 방송 데이터(오디오 방송 데이터 및 비디오 방송 데이터 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텔레메틱스 데이터는 차량용 저장 매체(예를 들어, 내장용/외장용 저장 매체)에 저장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네비게이션 데이터 등)일 수 있다.
또한, 바이오 데이터는 사물 감지 센서(예를 들어, 사람 또는 동물 등 생물에 대한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농도 감지 센서, 체성분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진동 센서, 지문 센서, 광학 센서, 전기 감지 센서 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사물 감지 센서는 전술한 센서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센서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이오티파이(IoTFi, Internet of Things Fidelity)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와 같은 호스트 장치에서 USB 카메라, 웹캠과 같은 주변 장치의 영상을 루트권한(루팅) 없이 연결하여 상기 영상을 촬영 또는 미러링(mirroring) 하거나, 호스트 장치를 통하여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호스트 장치 및 주변 장치와의 유선 케이블(예를 들어, USB 케이블) 연결 시에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또는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칭하는 것으로 의미할 수 있다.
주변 장치가 카메라 기반의 디바이스인 경우,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은 '카메라 파이 시스템'으로, 주변 장치가 오디오 기반의 디바이스인 경우,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은 '오디오 파이 시스템'으로 사용 환경에 따라 달리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유선 네트워크 접속,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호 인증,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및 사물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우선 도 1b 내지 도 1e를 참조하여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USB 단자가 포함되는 휴대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TM,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및 웨어러블(wearabl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주변 장치(500)는 USB 단자가 포함되는 카메라(camera), 웹 캠(webcam), 망원경(telescope), 현미경(microscope), 확대경(magnifying glass), 내시경(endiscope), 구글 글라스(google glass), 웨어러블 카메라(wearable camera) 및 초음파 장치 등과 같은 광학 통신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주변 장치(500)는 USB 단자가 포함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장치, 영상 수집 장치(예를 들어, 블랙박스 등), 방송 수신 장치,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및 영상 재생 장치 등과 같은 차량내 전자 장치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카메라, 웹 캠, 망원경, 현미경, 확대경, 내시경, 구글 글라스 및 웨어러블 카메라 등과 같은 광학 통신 기기일 수 있고, ECU 장치, 영상 수집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및 영상 재생 장치 등과 같은 차량내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주변 장치(500)는 휴대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 ATM, 스마트 폰, IMT-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 단말기, 스마트 와치 및 웨어러블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케이블 세트(300)는 USB OTG 또는 OTG(on-the-go)를 포함할 수 있다. USB OTG 또는 OTG는 USB 장치들이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로 인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USB OTG는 케이블 시작 부분(A 부분)과 끝 부분(B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OTG 케이블 A 부분에 스마트 폰이 접속되면 스마트 폰 호스트 장치로 인식될 수 있고, 케이블 B 부분에 카메라가 접속되면 카메라 주변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반대로, USB OTG 케이블 A 부분에 카메라가 접속되면 카메라 호스트 장치로 인식될 수 있고, 케이블 B 부분에 스마트 폰이 접속되면 스마트 폰 주변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e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마스터 모듈(100a)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칩 또는 무선 랜 카드 형태로 구현되어 호스트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고, 유무선 공유기 형태로 구현되어 호스트 장치(100)와 유무선 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모듈(500a)도 마스터 모듈(100a)과 같이,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칩 또는 무선 랜 카드 형태로 구현되어 주변 장치(500)에 포함될 수 있고, 유무선 공유기 형태로 구현되어 주변 장치(500)와 유무선 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물 데이터를 단말 장치(미도시), 웹 페이지 서버(330) 및 클라우드 서버(35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전술한 스마트 폰 등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 광학 통신 기기 또는 차량내 전자 장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의 사용자와 연관성이 있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는 사물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E-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메신저(Messenger)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메신저의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사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는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스카이프(Skype), 토크온(Talkon) 및 네이트온(Nate on)와 같은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웹 페이지 서버(330)는 인터넷 상의 웹 문서들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웹 문서 속에 사물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의 사용자와 연관성이 있는 웹 페이지 상에 존재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 또는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의 사용자일 수 있다.
여기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트위터(twitter), 마이스페이스(myspace), 페이스북(facebook), 싸이월드(cyworld) 및 미투데이(me2day)와 같은 커뮤니티형 웹 페이지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50)는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를 다수 보유하여 운영하고 있는 사용자, 연구 기관 및 병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50)는 확대경을 사용하여 애견을 진단하는 애견샵 업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특정 물질을 규명하는 연구 기관 및 내시경을 사용하여 환자를 진단하는 병원 등의 서버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e를 참조하면, 유선 케이블 세트(300)는 호스트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타 주변 장치(500-1, 500-2, …, 500-N) 간의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스위칭 허브(300a)가 포함될 수 있고, 호스트 장치(100) 또는 주변 장치(5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물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타 주변 장치(500-1, 500-2, …, 500-N)와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타 주변 장치(500-1, 500-2, …, 500-N)는 애견삽, 연구 기관, 병원 및 차량내 다양한 전자기기들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물 데이터를 사용하는 장치이고, 공유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유선 네트워크 접속,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상호 인증, 무선 네트워크 설정 및 사물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획득부(110), 유선 설정부(120), 인증부(130), 무선 설정부(140) 및 사물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획득부(110)는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한다.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는 마스터 모듈을 식별하는 번호를 포함한 데이터일 수 있고, 마스터 모듈의 인증 데이터는 마스터 모듈의 무선 인터넷 접속의 사용 권한 또는 무선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유선 설정부(120)는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standard enumeration)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준 열거 과정은 유선 설정부(120)에서 주변 장치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정보(descriptor)를 주변 장치에게 요청하고, 주변 장치에서 요청된 고유의 정보를 유선 설정부(120)에게 전송하며, 유선 설정부(120)에서 고유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장치를 USB 장치로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100)와 주변 장치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물 데이터,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 또는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유선 설정부(120)는 호스트 장치(100) 및 주변 장치 간의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과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유선 케이블 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케이블 세트는 USB OTG 또는 OTG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30)는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부(130)는 주변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요청을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수락을 주변 장치로 전송하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주변 장치로 전송하고, 주변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설정부(140)는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무선 설정부(140)는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면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무선 신호 포착 과정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대기할 수 있다.
사물 데이터 처리부(150)는 주변 장치 및 호스트 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 감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사물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사물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는 스마트 폰 관점의 호스트 장치(100) 및 사물 데이터를 로컬 처리하는 사물 감지 센서 관점의 호스트 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원격 처리 관점의 호스트 장치에 포함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물 데이터 처리부(150-a)는 애플리케이션 연동부(151-a), 원격 처리부(152-a), 사물 데이터 수신부(153-a) 및 가공부(154-a)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연동부(151-a)는 주변 장치의 사물 감지 센서에 대한 동작을 원격 처리하기 위한 원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주변 장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연동부(151-a)는 주변 장치와의 원활한 원격 처리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kit)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주변 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호스트 장치에서도 설치될 수 있다.
원격 처리부(152-a)는 원격 제어에 기초하여 주변 장치에 대한 원격 처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는 원격 처리 모드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모드, 연속적인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모드, 동영상을 촬영하는 모드, 촬영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볼 수 있는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촬영된 동영상은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처리 모드는 텔레메틱스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는 모드 및 바이오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는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물 데이터 수신부(153-a)는 주변 장치로부터 원격 처리 모드를 통하여 획득되는 사물 데이터를 분할 또는 통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 데이터 수신부(153-a)는 주변 장치로부터 원격 처리 모드를 통하여 획득되는 사물 데이터의 용량을 고려하여 사물 데이터를 분할 또는 통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 데이터 수신부(153-a)는 정지 영상에 대한 사물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용량이 적을 수 있으므로 사물 데이터를 통합하여 수신할 수 있고, 연속적인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에 대한 사물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용량이 클 수 있으몰 사물 데이터를 분할하여 수신할 수 있다.
가공부(154-a)는 수신된 사물 데이터의 해상도, 용량 및 포맷(예를 들어, 정지 영상일 경우에는 JPEG, BMP 및 TIF 등의 포맷일 수 있고, 동영상일 경우에는 AVI, MP4 및 MKV 등의 포맷일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부(154-a)는 SD(640*480) 급, HD(1280*720) 급, Full HD(1920*1080) 급으로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부(154-a)는 원격 처리 모드와 연동하여 촬영 시 해상도, 용량 및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로컬 처리 관점의 호스트 장치에 포함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물 데이터 처리부(150-b)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151-b), 사물 데이터 획득부(152-b) 및 사물 데이터 전송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사물 감지 센서(카메라 센서, ECU 센서, 위치 센서, 방송 수신 센서 및 바이오 센서 등)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으나, 여기서 호스트 장치는 카메라 센서가 포함된 전자 장치(또는 광학 통신 기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카메라 센서가 구비되는 호스트 장치는 정밀도가 요구되는 웹 캠, 망원경, 현미경, 확대경, 내시경, 구글 글라스, 웨어러블 카메라 및 초음파 장치 등과 같은 광학 통신 기기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구동부(151-b)는 호스트 장치의 카메라 센서에 대한 동작을 로컬 처리하기 위한 로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로컬 인터페이스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션에 대한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다.
사물 데이터 획득부(152-b)는 주변 장치의 원격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사물 데이터 전송부(153-b)는 원격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장치로 획득된 사물 데이터를 분할 또는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명령은 도 3의 원격 처리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변 장치(500)는 획득부(510), 유선 설정부(520), 인증부, 무선 설정부(540) 및 사물 데이터 처리부(550)를 포함한다.
획득부(510)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한다.
유선 설정부(520)는 슬레이브 모듈이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인증부(530)는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부(530)는 호스트 장치에게 무선 네트워크 요청을 전송하고, 무선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설정부(540)는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모듈과 마스터 모듈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사물 데이터 처리부(540)는 주변 장치 및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사물 감지 센서를의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사물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은 단계 610에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를 사물 데이터,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은 단계 620에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힌다.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은 단계 630에서,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은 단계 640에서, 주변 장치 및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사물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 또는 주변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
도 7을 참조하면,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는 단계 710에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한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720에서,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730에서,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한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740에서,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750에서, 주변 장치 및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 감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사물 데이터를 처리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는 단계 750에서, 사물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는 관점의 호스트 장치 및 사물 데이터를 로컬 처리하는 관점의 호스트 장치로 구분하여 사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되는 이유는 표준 열거에 사용되는 USB OTG 케이블의 연결 부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사항은 전술한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기로 한다.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
도 7을 참조하면,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는 단계 710에서,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한다.
주변 장치는 단계 720에서, 슬레이브 모듈이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주변 장치는 단계 730에서,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장치는 단계 730에서, 호스트 장치에게 무선 네트워크 요청을 전송하고, 무선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수락을 수신하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단계 740에서,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주변 장치는 단계 750에서,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장치는 단계 750에서, 사물 데이터를 원격 처리하는 관점의 주변 장치 및 사물 데이터를 로컬 처리하는 관점의 주변 장치로 구분하여 사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되는 이유는 표준 열거에 사용되는 USB OTG 케이블의 연결 부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사항은 전술한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는 단계 810에서, 이전에 연결되었던 USB 장치에 대한 이력을 삭제하고, 새로운 USB 장치에 대한 연결을 준비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USB 장치는 주변 장치일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820에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830에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한 주변 장치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이 되지 않으면 재 검색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840에서,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는 단계 840에서, 주변 장치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정보(descriptor)를 주변 장치에게 요청하고, 주변 장치에서 요청된 고유의 정보를 수신하며, 고유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장치를 USB 장치로 등록하는 과정일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850에서, 주변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860에서,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850에서, 주변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요청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870에서, 교환된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상호 인증이 실패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880에서,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는 단계 880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면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무선 신호 포착 과정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대기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는 단계 890에서,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물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변 장치는 단계 910에서, 이전에 연결되었던 USB 장치에 대한 이력을 삭제하고, 새로운 USB 장치에 대한 연결을 준비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USB 장치는 호스트 장치일 수 있다.
주변 장치는 단계 920에서,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고유의 정보(descriptor)를 획득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단계 930에서, 슬레이브 모듈이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장치는 단계 930에서, 고유의 정보를 호스트 장치에게 전송하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USB 장치로 등록되었다는 통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단계 940에서, 호스트 장치에게 무선 네트워크 요청을 전송하고, 무선 네트워크 요청에 대한 수락을 확인할 수 있고, 수락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단계 950에서,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단계 960에서, 수신된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상호 인증이 실패하면 무선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단계 970에서,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모듈과 마스터 모듈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장치는 단계 970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면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무선 신호 포착 과정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대기할 수 있다.
주변 장치는 단계 980에서,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물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호스트 장치
100a: 마스터 모듈
300: 유선 케이블 세트
500: 주변 장치
500a: 슬레이브 모듈

Claims (15)

  1.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 및
    사물 데이터,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 및 상기 주변 장치 간의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유선 케이블 세트
    를 포함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유선 설정부;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무선 설정부
    를 포함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 감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주변 장치의 사물 감지 센서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주변 장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연동부;
    상기 원격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장치에 대한 원격 처리 모드를 제공하는 원격 처리부;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원격 처리 모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분할 또는 통합하여 수신하는 사물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물 데이터의 해상도, 용량 및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가공하는 가공부
    를 포함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사물 감지 센서에 대한 동작을 로컬 제어하기 위한 로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로컬 인터페이스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션에 대한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주변 장치의 원격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물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원격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장치로 획득된 사물 데이터를 분할 또는 통합하여 전송하는 사물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슬래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와의 상기 표준 열거를 통하여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고,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 또는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물 데이터를 단말 장치, 웹 페이지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케이블 세트는
    상기 호스트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타 주변 장치 간의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스위칭 허브
    를 포함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 또는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물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타 주변 장치와 공유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10.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유선 설정부;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무선 설정부;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
  11.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에 있어서,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이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유선 설정부;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무선 설정부;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물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주변 장치.
  12.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를 사물 데이터,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단계;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호스트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및 블루투스 마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슬레이브 모듈과 연결되는 주변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단계;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의 동작 방법.
  14. 아이오티파이 시스템의 주변 장치에 대한 동작 방법에 있어서,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비되는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모듈이 마스터 모듈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마스터 모듈과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의 표준 열거를 통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와, 상기 마스터 모듈의 무선 주소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호 인증하는 단계;
    상기 상호 인증에 기초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듈과 상기 마스터 모듈 간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사물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상기 사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변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17722A 2015-08-21 2015-08-21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722A KR101717202B1 (ko) 2015-08-21 2015-08-21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722A KR101717202B1 (ko) 2015-08-21 2015-08-21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78A true KR20170022578A (ko) 2017-03-02
KR101717202B1 KR101717202B1 (ko) 2017-03-17

Family

ID=5842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722A KR101717202B1 (ko) 2015-08-21 2015-08-21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687B1 (ko) * 2023-01-12 2023-11-10 이프렌드 주식회사 중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업사이클링 서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415A (ko) 2019-12-16 202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7938A (en) * 2003-11-07 2005-05-11 Toshiba Res Europ Ltd Set-up of wireless network using mains electrical circuit
KR101118558B1 (ko) 2004-11-30 2012-02-20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Usb otg 제어기
KR20120016501A (ko) * 2010-08-16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등록 요청 디바이스
KR101172877B1 (ko) 2011-10-19 2012-08-10 인포섹(주)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유출을 차단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7938A (en) * 2003-11-07 2005-05-11 Toshiba Res Europ Ltd Set-up of wireless network using mains electrical circuit
KR101118558B1 (ko) 2004-11-30 2012-02-20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Usb otg 제어기
KR20120016501A (ko) * 2010-08-16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등록 요청 디바이스
KR101172877B1 (ko) 2011-10-19 2012-08-10 인포섹(주)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유출을 차단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687B1 (ko) * 2023-01-12 2023-11-10 이프렌드 주식회사 중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업사이클링 서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202B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3050B2 (ja) センサー共有制御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0692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US20140068725A1 (en) Wireless Pair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ing Biometric Data
EP2548133A1 (en) Interacting with a device
JP7298945B2 (ja) 近接場情報認証方法、近接場情報認証装置、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20140325602A1 (en) Accessing system for vehicle networ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0704663B (zh) 车载装置以及车辆搜索系统
JP6277570B2 (ja) 撮像画像交換システム、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交換方法
JP6049452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システム、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64316A (ja) 車載カメラを用いた情報提供システム
CN113874828A (zh) 用于通过外部电子装置提供屏幕共享服务的电子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717202B1 (ko) 호스트 장치, 주변 장치, 아이오티파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4333404A (zh) 一种停车场寻车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KR101332816B1 (ko) 프라이빗 태그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장치 및 방법
JP6374666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2014292A5 (ko)
KR101843660B1 (ko) Hce 모바일 교통 카드 결제 방법
JP2013105467A (ja) 電子装置
TWI566208B (zh) 設定車載裝置的方法及其車載裝置
JP6306866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70009558A (ko) 차량간 블랙박스 영상을 공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
US10055976B2 (en) Using device data collected from other proximate devices
KR20140088822A (ko) 차량용 웹 기반 블랙박스 및 휴대 단말기와 차량용 웹 기반 블랙박스간 연동 방법
JP5905865B2 (ja) コンピュータの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432271B1 (ko) 지문을 이용한 파일 전송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