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521A -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521A
KR20170022521A KR1020150117624A KR20150117624A KR20170022521A KR 20170022521 A KR20170022521 A KR 20170022521A KR 1020150117624 A KR1020150117624 A KR 1020150117624A KR 20150117624 A KR20150117624 A KR 20150117624A KR 20170022521 A KR20170022521 A KR 2017002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riving
vehicle
parking
opera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1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521A/ko
Publication of KR2017002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또는 주차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분석하고, 안전 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 맞는 안전 유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METHOD FOR ANALYSING A DRIVING PATTER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또는 주차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분석하고, 안전 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에 맞는 안전 유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증가와 함께 운전자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해마다 교통사고의 발생상황이 증가되고 있으며, 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교육 시간도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운전자가 운전면허를 취득한 후, 실제 차량을 운전하더라도 자신이 적절한 주행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 습관 또는 주차 수행과 관련된 객관적인 실력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 기록을 확인하고, 기준이되는 모범 운전 동작과의 비교를 통해서 운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도 없는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에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 기록을 통해서 객관적인 운전실력을 확인하고, 보다 안전한 운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차량 내의 센서를 통해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석하고,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해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 패턴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잘못된 운전 습관을 고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본 발명은 차량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주행정보 및 주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거동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거동정보 수신부와 차량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와 운전 패턴정보 및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 및 모드 선택신호 및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거나, 운전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주행정보 및 주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거동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거동정보 수신단계와 차량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단계와 운전 패턴정보 및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유도 정보 생성단계 및 모드 선택신호 및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거나, 운전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 기록을 통해서 객관적인 운전실력을 확인하고, 보다 안전한 운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차량 내의 센서를 통해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석하고,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 패턴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잘못된 운전 습관을 고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패턴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이격거리를 이용한 운전 유도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거동정보에 포함되는 옆 차선 차량과의 거리 정보 및 주행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이격거리를 이용한 운전 유도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선택 신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유도 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패턴 분석 장치 와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패턴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패턴 분석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주행정보 및 주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거동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거동정보 수신부(110)와 차량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와 운전 패턴정보 및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 및 모드 선택신호 및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거나, 운전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센서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주변 환경 또는 차량의 내부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카메라 센서,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차량의 내부 주행정보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 조향각 센서, 차속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센서는 주변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와 차량 내부의 각 구성을 센싱하는 센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차량 거동정보 수신부(110)는 전술한 센서로부터 차량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정보와 차량이 주차를 수행하면서 생성되는 주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주행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속정보, 주행 중의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 주변 차량의 차속 정보, 조향각 정보, 제동정보 및 급가속/급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행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변 차량의 정보 또는 위험상황 발생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정보는 차량이 평행주차, 전방주차 또는 후방주차와 같은 주차 종류 정보와 주차 시 속도 정보, 주차 시 가속 또는 감속 정보 및 주차 소요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주차정보는 차량이 주차를 수행하는 경우의 주변 차량과의 근접 정보와 위험 상황 발생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로, 운전 패턴정보는 운전자가 운전하면서 급가속 또는 급감속을 수행한 횟수 정보, 차선 변경 횟수 정보, 전방 또는 후방차량과의 평균 이격거리 정보, 옆 차선 차량과의 평균 이격거리 정보, 차선 내에서 차량의 주행위치 정보, 전술한 주차정보 또는 차선 변경 시 진입 차선 내 차량과의 거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량의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주행 습관과 관련된 정보 및 주차 습관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량의 거동정보를 일반적인 주행정보, 차선변경정보, 곡선 주행정보 및 주차정보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각각의 세부정보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평균 차속정보, 평균 급출발 또는 급감속 시간정보, 평균 주차소요시간 정보 등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운전 패턴정보 및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운전 패턴정보와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 운전 정보는 차량의 재원정보 및 실험 등을 통해서 도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 운전 정보는 주행 속도 별 안전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 패턴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주행 속도 별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와 주행 속도 별 안전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가 안전 운전 정보 내에서 차량을 주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거리 정보는 일정 범위로 지정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안전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각 주행 속도 별로 안전 거리 범위 내에서 차량이 주행되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운전 유도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가 안전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운전 유도 정보는 이격 거리가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안전 운전 정보는 급출발 또는 급감속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주차 종류 별 기준 주차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각 주차 종류 별 기준 주차 경로와 운전 패턴정보의 주차 경로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 유도 정보의 생성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한다.
또한,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모드 선택신호 및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거나, 운전 유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운전자의 입력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른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운전 유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운전 유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단말기 또는 차량 내의 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는 자신의 운전 패턴정보와 안전 운전을 위한 운전 유도 정보를 단말기 또는 차량 내 표시장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운전 패턴 분석 장치(100)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운전 패턴 분석 장치(100)가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각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분석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각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이격거리를 이용한 운전 유도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차량 거동정보는 차량과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 옆 차선 차량과의 거리 정보, 주행 차선 내에서 주행 위치 정보, 주차 거동 정보 및 차선 변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운전자의 졸음 운전 빈도 또는 운전자의 휴대 단말기 사용 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속 정보 및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속도 별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주행 속도 별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와 미리 설정된 주행 속도 별 안전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종방향 이격 거리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전 패턴 분석 장치(100)는 차량 내의 센서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0).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정보는 차량의 차속정보 및 초음파 센서 등으로 측정되는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수신된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행 중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의 이격거리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10). 즉,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종방향이라 할 때, 종방향으로 동일 차선 내에 위치한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 차량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차속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산출된 이격 거리 정보를 차속에 따라 평균하여, 운전자가 각 차속에 따라 종방향 이격 거리를 얼마나 유지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주행 속도 별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와 미리 설정된 주행 속도 별 안전 거리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각 주행 속도에 따른 안전 거리 확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운전자가 80km/h의 차속에서는 30m의 종방향 이격 거리를 평균적으로 유지하고, 미리 설정된 안전 거리 정보가 80km/h에서는 50~70m인 경우에 운전 패턴정보가 안전 운전 정보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종방향 이격 거리가 안전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20~40m의 종방향 이격거리 조정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230). 만약, 차속 별 종방향 이격거리 정보가 안전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종방향 이격거리 조정정보를 산출하지 않고 해당 운전 패턴정보가 안전 운전 정보를 만족한다는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 거동정보 중 종방향 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거동정보에 포함되는 옆 차선 차량과의 거리 정보 및 주행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거동정보는 차량과 옆 차선 내의 차량과의 거리 정보 또는 주행 차선 내에서 차량이 주행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를 이용한 안전 운전 유도 방법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거동정보 수신부(110)는 차량(300)이 차선 내에서 주행 중인 경우에 옆 차선 차량(301)과의 이격 거리에 대한 정보(320)를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차량 거동정보 수신부(110)는 차량(300)이 차선 내에서 위치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량(300)과 차선과의 이격 거리(310)를 카메라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310)는 좌우 차선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차선에 대해서만 산출될 수 있다.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선 폭(330)정보와 이격 거리(310) 정보 및 차량의 재원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차선 내에서 어느 위치에서 주행하고 있는지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속 별 또는 차량의 주행로의 곡률에 따라 차량의 차선 내 주행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차량이 어느 쪽 차선으로 치우쳐서 주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차량이 어느 방향으로 주행해야하는지를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옆 차선의 차량과의 이격 거리(320)를 통해서도 차량의 주행 위험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이격거리를 이용한 운전 유도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거동정보 수신부(110)는 옆 차선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 또는 차선 내 차량의 주행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00). 차선 내 차량의 주행 위치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차량 내 센서 또는 전자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수신된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중 횡방향 이격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410). 횡방향 이격 거리 정보는 차선과의 거리가 될 수도 있고, 옆 차선의 차량과의 이격 거리가 될 수도 있다.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량의 차속 별 또는 도로의 곡률 별로 횡방향 이격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횡방향 이격 거리와 미리 설정된 안전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주행 위치가 안전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20). 만약, 차량의 횡방향 이격 거리가 안전 거리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는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만약, 차량의 횡방향 이격 거리가 안전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횡방향 이격 거리 조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30). 이를 통해서, 차량이 직선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또는 곡선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어느 쪽으로 치우쳐서 주행되는지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차량의 주행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한편,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전술하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 및 횡방향 이격 거리 정보 외에도 미리 설정된 패턴 생성 기준에 따라 다양한 운전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종류, 주차 시간 또는 주차 경로 등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을 위한 차선 변경 소요 시간정보, 차선 변경 시 평균 차속 정보 및 변경하고자하는 차선 내의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미리 설정된 패턴 생성 기준에 따라 다양한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패턴 생성 기준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도 전술한 패턴 생성 기준에 따라 다양한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주차 거동 정보와 미리 설정된 주차 종류 별 기준 주차 거동 정보를 비교하여 주차 보조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 거동 정보는 차량의 주차 소요 시간 정보, 주차 종류 정보 및 주차를 위한 조타 횟수 정보, 주차 경로 정보 및 주차 시 차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전술한 주차 거동 정보와 안전 운전 정보에 포함되는 주차 종류 별 기준 주차 거동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가 적절한 주차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평행주차를 수행하는 경우, 기준 주차 경로와 운전자가 실제 수행한 주차 경로를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차 동작이 적절한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의 주차 경로 또는 주차 속도 또는 주차 소요 시간 등이 기준 주차 경로, 속도 또는 소요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기준 주차 거동정보와 일치시키기 위한 주차 보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특정 시점에서의 진입 속도 감소 또는 특정 시점에서의 조타각 조정 또는 보정 주차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는 자신의 주차 패턴을 확인하고, 기준 주차 방법과의 비교를 이용하여 주차 수행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차선 변경의 경우에도 전술한 주차패턴에 따른 운전 유도 정보 생성 방법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차량의 차선 변경 정보와 미리 설정된 차선 변경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차선 변경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선 변경 정보는 차량의 차선 변경 소요시간 정보, 차선 변경 속도 정보, 차선 변경 경로 정보 및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차선 변경 정보와 미리 설정된 차선 변경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의 차선 변경 동작이 적절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운전자의 차선 변경 동작이 차선 변경 기준 정보의 범위 내로 진입되도록 차선 변경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수정하여 안전한 차선 변경 동작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량의 거동정보 및 미리 저장되는 사고 패턴정보를 비교하여 위험상황 발생 지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120)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차량과 너무 가깝게 주행하거나, 전방 차량에 너무 가깝게 붙어 주행하는 경우와 같이 미리 설정된 사고 패턴정보와 유사한 동작을 보이는 경우 이를 기준으로 위험상황 발생 지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고 패턴정보는 서버로부터 다운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직선 주행, 곡선 주행 또는 주차와 같이 다양한 상황에 따른 사고 발생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패턴정보는 사고 발생 패턴에 저장된 경로와 차량이 유사하게 주행하는 경우 위험상황 발생 지수를 높게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위험상황 발생 지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의 경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는 이를 통해서 자신의 운전 패턴이 어느 정도의 위험상황 발생을 초래할 수 있는지 인식할 수 있고, 학습을 통해서 안전한 운전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선택 신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운전 유도 정보를 차량의 제어에 적용하거나, 단말 또는 출력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전술한 방법을 통해서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00). 이후,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모드 선택신호가 제 1 모드 선택을 지시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510). 각 모드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두 가지 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설정에 따라 더 추가될 수 있다.
만약, 제 1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차량의 거동을 보조 제어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운전 유도 정보에 포함된 주차 경로 정보를 차량이 주차 중일 경우, 적용하여 조향, 제동 또는 차속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위치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 차선에 붙어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차선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130)는 제 2 모드 선택을 지시하는 신호가 모드 선택신호로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530). 만약, 제 2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운전 패턴정보, 운전 유도 정보 및 각 운전패턴에 따른 안전 운전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기기 또는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550). 안전 운전 영상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각 운전 패턴에 맞는 안전 운전 영상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S540). 안전 운전 영상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S54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운전 패턴정보는 차량의 주행 및 주차 상황을 녹화한 영상 정보를 포함하며, 안전 운전 영상 정보는 차량의 주행 및 주차 상황 별 기준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곡선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곡선 도로 주행 상황을 녹화한 영상이 운전 패턴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운전 영상 정보는 곡선 도로를 주행하는 모범 주행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운전 영상 정보는 전술한 안전 운전 정보 각각에 대응되어 서버 등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유도 정보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전술한 운전 패턴정보, 운전 유도 정보 및 안전 운전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미리 지정된 단말기(620)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630) 또는 서버(6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차량(610) 내 출력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미리 등록한 단말기(620)로 전술한 정보를 전송하고, 운전자는 단말기(620)를 통해서 자신의 운전 패턴 정보 및 안전 운전을 위한 운전 유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운전자가 미리 디스플레이 기기(630)를 등록하고,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630)로 전술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기기(630)를 통해서 자신의 운전 패턴 정보와 운전 유도 정보를 확인하여 운전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서버(640)로 전술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서버(640)에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버(640)는 운전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운전자는 서버(640) 접속을 위해 가입자 승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140)는 전술한 정보를 차량 내의 출력기기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전 패턴정보, 운전 유도 정보 및 운전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운전 중 또는 운전이 종료되는 시점에 전송될 수 있다. 운전 중 전송되는 경우, 운전자는 차량(610) 내 출력 기기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운전 패턴과 운전 유도 정보를 확인하여 바로 반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 기록을 통해서 객관적인 운전실력을 확인하고, 보다 안전한 운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차량 내의 센서를 통해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석하고,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 패턴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잘못된 운전 습관을 고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운전 패턴 분석 장치의 동작을 모두 수행하는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은 차량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주행정보 및 주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거동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거동정보 수신 단계와 차량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단계와 운전 패턴정보 및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유도 정보 생성단계 및 모드 선택신호 및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거나, 운전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은 전술한 센서로부터 차량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정보와 차량이 주차를 수행하면서 생성되는 주차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거동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00). 일 예로, 주행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속정보, 주행 중의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 주변 차량의 차속 정보, 조향각 정보, 제동정보 및 급가속/급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행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변 차량의 정보 또는 위험상황 발생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정보는 차량이 평행주차, 전방주차 또는 후방주차와 같은 주차 종류 정보와 주차 시 속도 정보, 주차 시 가속 또는 감속 정보 및 주차 소요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주차정보는 차량이 주차를 수행하는 경우의 주변 차량과의 근접 정보와 위험 상황 발생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은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02). 일 예로, 운전 패턴정보는 운전자가 운전하면서 급가속 또는 급감속을 수행한 횟수 정보, 차선 변경 횟수 정보, 전방 또는 후방차량과의 평균 이격거리 정보, 옆 차선 차량과의 평균 이격거리 정보, 차선 내에서 차량의 주행위치 정보, 전술한 주차정보 또는 차선 변경 시 진입 차선 내 차량과의 거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 패턴정보 생성단계는 차량의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주행 습관과 관련된 정보 및 주차 습관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 패턴정보 생성단계는 차량의 거동정보를 일반적인 주행정보, 차선변경정보, 곡선 주행정보 및 주차정보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각각의 세부정보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패턴정보 생성단계는 평균 차속정보, 평균 급출발 또는 급감속 시간정보, 평균 주차소요시간 정보 등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은 운전 패턴정보 및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유도 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04). 예를 들어, 운전 유도 정보 생성단계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운전 패턴정보와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 운전 정보는 차량의 재원정보 및 실험 등을 통해서 도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 운전 정보는 주행 속도 별 안전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 패턴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주행 속도 별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와 주행 속도 별 안전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가 안전 운전 정보 내에서 차량을 주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거리 정보는 일정 범위로 지정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안전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단계는 각 주행 속도 별로 안전 거리 범위 내에서 차량이 주행되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운전 유도 정보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가 안전 거리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운전 유도 정보는 이격 거리가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안전 운전 정보는 급출발 또는 급감속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주차 종류 별 기준 주차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단계는 각 주차 종류 별 기준 주차 경로와 운전 패턴정보의 주차 경로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 유도 정보의 생성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방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은 모드 선택신호 및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거나, 운전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06). 운전 유도 정보 처리단계는 운전자의 입력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른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운전 유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단계는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운전 유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단말기 또는 차량 내의 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는 자신의 운전 패턴정보와 안전 운전을 위한 운전 유도 정보를 단말기 또는 차량 내 표시장치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운전 패턴 분석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운전 패턴 분석 장치의 동작을 필요에 따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순서가 바뀌거나 추가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차량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주행정보 및 주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거동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거동정보 수신부;
    상기 차량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
    상기 운전 패턴정보 및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 및
    모드 선택신호 및 상기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어하거나, 상기 운전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거동정보는,
    상기 차량과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 옆 차선 차량과의 거리 정보, 주행 차선 내에서 주행 위치 정보, 주차 거동 정보 및 차선 변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는,
    차속 정보 및 전방 또는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별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행 속도 별 종방향 이격 거리 정보와 미리 설정된 주행 속도 별 안전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종방향 이격 거리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안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는,
    상기 차량과 옆 차선 차량과의 거리 정보 또는 주행 차선 내에서의 주행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횡방향 이격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는,
    상기 횡방향 이격 거리 정보와 안전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횡방향 이격 거리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패턴정보 생성부는,
    상기 차량 거동정보 및 미리 저장되는 사고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발생 지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는,
    주차 거동 정보와 미리 설정된 주차 종류 별 기준 주차 거동 정보를 비교하여 주차 보조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주차 거동 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차 소요 시간 정보, 주차 종류 정보 및 주차를 위한 조타 횟수 정보 및 주차 시 차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유도 정보 생성부는,
    차선 변경 정보와 미리 설정된 차선 변경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차선 변경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차선 변경 정보는 상기 차량의 차선 변경 소요 시간 정보, 차선 변경 속도 정보 및 후방 차량과의 이격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는,
    제 1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거동을 보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유도 정보 처리부는,
    제 2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운전 패턴정보, 상기 운전 유도 정보 및 각 운전패턴에 따른 안전 운전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기기 또는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패턴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주차 상황을 녹화한 영상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운전 영상 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주차 상황 별 기준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패턴 분석 장치.
  13. 차량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주행정보 및 주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거동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거동정보 수신단계;
    상기 차량 거동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패턴정보 생성단계;
    상기 운전 패턴정보 및 미리 설정된 안전 운전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 유도 정보 생성단계; 및
    모드 선택신호 및 상기 운전 유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을 제어하거나, 상기 운전 유도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 유도 정보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운전 패턴 분석 방법.
KR1020150117624A 2015-08-21 2015-08-21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22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24A KR20170022521A (ko) 2015-08-21 2015-08-21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24A KR20170022521A (ko) 2015-08-21 2015-08-21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21A true KR20170022521A (ko) 2017-03-02

Family

ID=5842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624A KR20170022521A (ko) 2015-08-21 2015-08-21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5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219A (ko) * 2017-05-17 2018-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 가이드 방법 및 그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200037845A (ko) * 2017-09-08 2020-04-09 코너트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훈련된 궤적에 따른 현재 차량의 자율 주차 방법
US11492002B2 (en) 2018-01-09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219A (ko) * 2017-05-17 2018-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 가이드 방법 및 그를 제공하는 시스템
CN108944939A (zh) * 2017-05-17 2018-12-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提供驾驶指导的方法和系统
CN108944939B (zh) * 2017-05-17 2023-03-2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提供驾驶指导的方法和系统
KR20200037845A (ko) * 2017-09-08 2020-04-09 코너트 일렉트로닉스 리미티드 훈련된 궤적에 따른 현재 차량의 자율 주차 방법
US11492002B2 (en) 2018-01-09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3816B2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JP5979259B2 (ja) 衝突回避制御装置
JP5987922B2 (ja) ドライバ感情に基づく運転支援装置
KR101927155B1 (ko) 도로 갓길의 공간 인지 방법 및 시스템
EP3306271A1 (en) Vehicle stop position setting device and method
WO2016194960A1 (ja) 運転支援装置
KR101417522B1 (ko) 고속도로 자율주행 시스템 및 방법
JP6654923B2 (ja) 地図情報出力装置
RU272050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мех, способ помощи при парковке, способ помощи при отъезде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помех
JP2017146730A (ja) 経路決定装置
JP6090340B2 (ja) ドライバ感情推定装置
JP6920984B2 (ja) 運転支援装置
JP5987923B2 (ja) ドライバ感情に基づく運転支援装置
CN106846906A (zh) 用于提高骑行者安全性的动态车道定位
KR20160029456A (ko) 운전 보조 영상 표시 방법
JP5134448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KR20140061180A (ko) 차량간 통신을 통한 차로 위치 결정 장치
KR102011663B1 (ko)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JP6307853B2 (ja) 車線変更支援装置
KR20170022521A (ko) 운전 패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JP6149842B2 (ja) ドライバ感情推定装置及び方法
KR20150044134A (ko) 추월차로에서의 차선변경 유도장치 및 방법
KR20200092462A (ko) 주행상황 정보융합 기반 주행경로 가변화 방법 및 시스템
JP2010039718A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処理プログラム
KR20180006635A (ko) 교차로 충돌 회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