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574A -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574A
KR20170021574A KR1020150116132A KR20150116132A KR20170021574A KR 20170021574 A KR20170021574 A KR 20170021574A KR 1020150116132 A KR1020150116132 A KR 1020150116132A KR 20150116132 A KR20150116132 A KR 20150116132A KR 20170021574 A KR20170021574 A KR 20170021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barrier
skin
fraction
express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111B1 (ko
Inventor
신흥묵
이동웅
양인준
유학인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1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각질형성세포에 처리 시 피부장벽 구성 펩타이드인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인 HAS-1의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보습인자인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피부장벽 기능과 피부보습을 강화함으로써 나아가 피부장벽 손상에 의한 아토피피부염, 건선, 및 접촉성 피부염 등과 같은 만성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Th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from fruits of Foeniculum vulgare for enhancing function of skin barrier}
본 발명은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향(Foeniculum vulgare, fennel)은 높이가 1.5-2 m인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식물로, 줄기는 곧게 자라며 속은 비어있고 잎은 긴 칼집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깃털처럼 3∼4 갈래로 가늘게 갈라진 형태를 가진다. 가지 끝에 노란색의 작은 꽃이 우산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회향 열매는 분열과이며 달콤한 맛과 향기가 난다.
회향은 트랜스-아네톨(Trans-Anethole), 펜콘(fenchone), 메틸 카비콜(methylchavicol), 에스트라골(estragole), 리모넨(limonene)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며, 항염, 진통, 진경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이 우수한 천연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각종 여성병의 치료에 효과가 높고, 차로 마시면 갱년기 증상이 줄어들고 산모의 모유량이 많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식욕을 돋우고 소화가 잘되게 하며 스트레스 해소와 숙면에도 효과가 있다. 이뇨작용도 있어 체중감량과 비만 방지를 위해 이용되기 때문에 다이어트 허브라고도 불린다.
한편,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인 피부계는 바깥쪽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는 외부의 유해한 자극에 대한 장벽 역할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 체내 수분과 전해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며, 체온조절, 촉각, 압각, 통각, 및 온도 자극 등에 대한 감각기능 수행, 면역기능 수행, 비타민 D 합성, 및 내부 장기의 이상을 표현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피부층 중 가장 바깥층을 이루는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의 각질형성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표피층 아래에 위치한 진피층은 콜라겐 섬유와 탄력섬유와 같은 기질 단백질로 이루어져있으며 혈관, 신경, 땀샘 등이 분포되어 있다.
표피의 상부층으로 각질형성세포로 이루어진 각질층 즉, 피부장벽은 벽돌을 쌓아놓은 형태이며, 포스포리피드,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 등으로 구성된 이중막의 지질이 피부장벽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장벽은 독성물질이나 미생물, 기계적 자극, 자외선에 대해 가장 중요한 일차방어선이며, 피부를 통한 전해질이나 수분손실을 억제하여 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피부장벽이 손상되면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어지며 유해환경에 쉽게 노출되므로 공격적인 화학물질과 미생물들이 피부 속으로 쉽게 침투하여 문제성 피부 예컨대, 아토피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노인성 건조피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장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피부장벽 강화는 화장제, 스킨케어의 새로운 컨셉으로 주목받아 왔으며,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치료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장벽 보호 및 기능 강화에 대해 회향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장벽 기능 강화 효과를 갖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회향 열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피부장벽 기능 강화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세포수준에서 각질형성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피부장벽 펩타이드인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laggrin)의 발현이 증가하고 피부보습 인자인 히알루론산의 생성이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건조와 피부염증유발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및 바디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a)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을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에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볼루크린 또는 필라그린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시험물질을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장벽 기능 강화제의 제조를 위한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각질형성세포에 처리 시 피부장벽 구성 펩타이드인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인 HAS-1의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보습인자인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피부장벽 기능과 피부보습을 강화함으로써 나아가 피부장벽 손상에 의한 아토피피부염, 건선, 및 접촉성 피부염 등과 같은 만성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세포독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후 XTT assay를 수행한 결과이다.
도 2a는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하고 24시간 후 RT-PCR을 통해 피부장벽 구성 펩타이드(involucrin, loricrin, filaggrin) mRNA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b는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하고 24시간 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피부장벽 구성 펩타이드(involucrin, loricrin, filaggrin) 단백질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a는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하고 24시간 후 ELISA를 통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b는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하고 24시간 후 RT-PCR을 통해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AS-1, HAS-2, HAS-3) mRNA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하고 24시간 후 RT-PCR을 통해 항균펩타이드인 human β-defeinsin(HBD-1, HBD-2, HBD-3)과 cathelicidin(LL-37) mRNA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각질형성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피부장벽 펩타이드인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laggrin)의 발현이 증가하고 피부보습 인자인 히알루론산의 생성이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장벽”이란 피부 가장 바깥층인 표피의 상부층으로 각질형성세포로 이루어진 각질층을 의미한다. 독성물질이나 미생물, 기계적 자극, 자외선에 대해 가장 중요한 일차방어선이며, 피부를 통한 전해질이나 수분손실을 억제하여 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장벽 기능 강화”란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인볼루크린(involucrin) 및/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장벽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회향 열매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회향 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회향 열매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부탄올,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분획 시 온도는 4℃ 내지 1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분획물과 반응하여 피부보호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틸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 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틸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틸헥실디메틸파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및 아미노벤조산(파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3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 중량%이다. 상기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흡수 효과가 크게 감소되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을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세포에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볼루크린 또는 필라그린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시험물질을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험물질은 미생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 천연물 추출물, 핵산, 및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물 추출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향 열매 추출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세포는 상기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는 세포라면 그 종류에 제한 없이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각질형성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피부장벽 구성 펩타이드의 발현 증가 및 피부 보습 인자의 생성 증가를 통해 피부장벽 기능 및 피부보습 강화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XTT assay를 통해 각질형성세포주에서 회향 열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세포독성 여부를 평가한 뒤(실시예 2 참조),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의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각질형성세포주에 처리한 후 피부장벽 구성 펩타이드들의 발현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각질형성세포주에 처리한 결과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1; HAS-1)의 발현 증가에 따라 히알루론산의 생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장벽 기능 및 피부보습 강화를 통해 피부건조와 피부염증유발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회향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건조된 회향 열매 분말 1.0 kg에 80% 메탄올(methanol) 900 ㎖를 가하여 3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한 후 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92.5 g의 추출물(M)을 얻었다. 상기 회향 열매로부터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M)은 극성 차를 이용해 n-헥산(n-hexane; H),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MC),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 n-부탄올(n-butanol; B) 용매를 첨가하여 각 단계별로 2회씩 분획하였다. 메탄올 추출물 중 90 g을 물에 현탁한 후 동일양의 n-헥산과 혼합하여 분획하고, 물 층은 다시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고, 다시 물 층은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후, 남은 물 층은 마지막으로 n-부탄올로 분획한 다음 수득한 각 분획 층을 여과, 농축, 동결건조 하여 분획물 H는 47.8 g, MC는 1.4 g, E는 1.6 g, B는 5.5 g을 얻었다. 동결건조 후 얻은 시료는 -78℃의 deep freezer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회향 열매 추출물의 세포독성여부 평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회향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세포독성 유발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인 HaCaT 세포에 회향추출물 또는 이의 다양한 분획물을 0, 10, 50, 또는 100 ㎍/㎖의 농도로 처리한 후 X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향 열매 추출물(M)과 모든 분획물에서 50 ㎍/㎖의 농도까지는 95%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그러나 100 ㎍/㎖의 농도에서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99%, 분획물 H는 87%, 분획물 MC는 28%, 분획물 E는 77%, 및 분획물 B는 84%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메탄올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의 경우 세포독성을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든 처리군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50 ㎍/㎖의 농도로 결정하여 다음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3. 피부장벽 기능에 대한 회향 열매 추출물의 영향 확인
피부장벽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말기과정에서 분비되는 분화 촉진인자들에 의해 각질세포 외막을 형성함으로써 물리적 장벽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회향 열매가 피부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향 열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각질형성세포주에 처리한 후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시 분비되는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각각 50 ㎍/㎖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과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을 통해 involucrin, loricrin, 및 filaggrin의 mRNA와 단백질의 발현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에 관여하는 생체인자로써 피부장벽 기능 강화에 관여하는 칼슘(calcium)을 사용하였다.
RT-PCR 수행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involucrin 유전자의 경우 회향 열매 추출물(M) 및 분획물(H, MC, E, B)을 처리한 경우에서 모두 mRNA의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M, H, E, 및 B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oricrin과 filaggrin 유전자의 경우 회향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 처리에 의해 mRNA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에 더하여 웨스턴 블롯팅을 통한 단백질 발현변화 관찰 결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involucrin 유전자의 경우 회향 열매 추출물(M) 및 분획물(H, MC, E, B)을 처리한 경우에서 모두 단백질 발현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며, 특히 분획물 B를 처리한 경우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ilaggrin의 경우 역시 회향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한 경우 모두에서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분획물 B를 처리한 경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loricin의 경우에는 모든 처리군에서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보습효과에 대한 회향 열매 추출물의 영향 확인
실시예 3에서 회향 열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피부장벽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므로, 피부보습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각각 50 ㎍/㎖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ELISA kit를 이용해 세포에서 분비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RT-PCR을 수행하여 세포 내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HAS)인 HAS-1, HAS-2, 및 HAS-3 mRNA의 발현변화를 관찰하였다.
히알루론산 생성량 측정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한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히알루론산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분획물 E 및 B를 처리한 경우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발현변화 관찰 결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S-1의 경우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한 경우 모두 mRNA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분획물 B의 처리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HAS-2의 경우에는 분획물 H를 처리한 경우에서만 mRNA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HAS-3은 모든 처리군에서 mRNA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화학적 피부장벽 기능에 대한 회향 열매 추출물의 영향 확인
마지막으로 회향 열매가 화학적 피부장벽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 유래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 회향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을 각각 50 ㎍/㎖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RT-PCR을 통해 항균 펩타이드인 human β-defeinsin(HBD-1, HBD-2, HBD-3)과 cathelicidin(LL-37) mRNA의 발현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BD-1의 경우 회향 열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처리한 모든 경우에서 mRNA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반면, HBD-2의 경우에는 분획물 M을 처리한 경우에만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HBD-3의 경우에는 분획물 H를 제외한 처리군에서 모두 mRNA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L-37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 mRNA의 발현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기 항균펩타이드 모두 회향 열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mRNA의 발현이 증가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회향 열매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항균펩타이드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은 것으로 보아 화학적인 피부장벽 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회향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건조와 피부염증유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및 바디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a) 인볼루크린(involucrin) 또는 필라그린(filaggrin)을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에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볼루크린 또는 필라그린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시험물질을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물질로 선정하는 단계.
KR1020150116132A 2015-08-18 2015-08-18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78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32A KR101780111B1 (ko) 2015-08-18 2015-08-18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32A KR101780111B1 (ko) 2015-08-18 2015-08-18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574A true KR20170021574A (ko) 2017-02-28
KR101780111B1 KR101780111B1 (ko) 2017-09-19

Family

ID=5854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132A KR101780111B1 (ko) 2015-08-18 2015-08-18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7513A (zh) * 2020-09-07 2020-12-22 中山大学·深圳 一种抗敏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453B1 (ko) 2017-09-28 2019-12-26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0646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및/또는 세포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장벽 강화 내지 기능 개선 용도
KR102347212B1 (ko) 2020-01-21 2022-01-03 김윤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729694B (zh) * 2020-02-07 2021-06-01 弘光科技大學 防曬精油組成物
KR102504487B1 (ko) 2020-12-29 2023-02-27 오철현 피부장벽 보호 기능이 있는 금전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2300B2 (ja) * 2002-02-15 2010-09-0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ヒアルロン酸蓄積促進剤
KR100964433B1 (ko) * 2008-11-07 2010-06-1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기능 향상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7513A (zh) * 2020-09-07 2020-12-22 中山大学·深圳 一种抗敏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111B1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111B1 (ko)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US9198945B2 (en) Cosmetic compositoin containing a rubus coreanus extract for diminishing skin wrinkles
US20170007654A1 (en) Use of veronia extract
KR102009676B1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2245A (ko) 전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9766B1 (ko)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4517B1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7084A (ko)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 및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072516A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20190048564A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3945B1 (ko) 갯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5432A (ko) 멍게의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5984B1 (ko) 슈도알터로모나스 카라기노보라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137540A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342047B1 (ko) 질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과 탄력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34436B1 (ko)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2486B1 (ko) 쇠뿔석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조성물
KR102628237B1 (ko) 천연 발효물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102229902B1 (ko) 페놀성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69246B1 (ko)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36105B1 (ko)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9921B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