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105B1 -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105B1
KR102636105B1 KR1020210153201A KR20210153201A KR102636105B1 KR 102636105 B1 KR102636105 B1 KR 102636105B1 KR 1020210153201 A KR1020210153201 A KR 1020210153201A KR 20210153201 A KR20210153201 A KR 20210153201A KR 102636105 B1 KR102636105 B1 KR 10263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anbyeongcho
cosmetic composition
ungeum
m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7282A (ko
Inventor
채정우
김정유
Original Assignee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21015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1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 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만병초 추출물, 운금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EXTRACT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OR EXTRACT OF RHODODENDRON FORTUNEI}
본 발명은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는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상록관목이다. 고산지대에서 자라며 높이가 1 m 내지 4 m인 식물로, 일본과 한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태백산, 울릉도, 지리산, 설악산, 백두산 등 해발 1,000 m가 넘는 고산지대에 천연 분포하고 있다.
한의학 문헌에 우피두견(牛皮杜鵑)이라 하여 이질, 설사, 요통, 항균 등에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민간에서는 고혈압, 당뇨병, 신경통, 양기부족 등에 쓰이기도 한다.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는 중국 원산의 만병초로 키가 크게 자라며 내한력이 강하며 꽃이 화려하고 향기가 강한 특징이 있다.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또는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는 한의학이나 민간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화장료로 사용되거나 연구 개발된 적은 없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또는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만병초 추출물, 상기 운금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만병초 추출물 또는 상기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의 용매 추출물; 또는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의 열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n-핵산, 디에틸에테르, 부틸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 추출물은, 1 ℃ 내지 40 ℃의 온도에서 4 내지 60 시간 동안 용매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열수 추출물은,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을 60 ℃ 내지 110 ℃의 온도에서 4 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미백용, 주름 개선용, 수렴용, 모공 수축용 또는 염증 억제용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병풀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만병초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1 : 10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 또는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 발현 억제, MMP-3(matrix metalloproteinase-3) 발현 억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저해 및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저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토너, 스킨, 로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세럼, 젤 및 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기초 화장료; 립스틱, 틴트, 립글로우, 립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마스카라, 아이쉐도우 및 아이라이너로부터 선택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피부각질 스크럽, 클렌징워터, 클렌징오일, 클렌징크림 및 폼클렌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세정용 화장료; 샴푸, 린스 및 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모발용 화장료; 및 바디스크럽, 바디로션, 바디크림, 및 바디워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바디용 화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미백, 주름 개선, 수렴 및 모공 수축 성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을 활용한 다양한 미용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지역 기업의 신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만병초(이하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7은,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섬유아세포인 CCD-986sk cell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의 MMP-1, MMP-2, MMP-3 단백질 발현 억제율 측정 결과이다.
도 9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MMP-1, MMP-2, MMP-3 단백질 발현 억제율 측정 결과이다.
도 10은,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의 MMP-1, MMP-2, MMP-3에 대한 mRNA 발현 억제율 측정 결과이다.
도 11은,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MMP-1, MMP-2, MMP-3에 대한 mRNA 발현 억제율 측정 결과이다.
도 12는,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안점막 자극지수 측정 결과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만병초 추출물, 운금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미백, 주름 개선, 수렴 및 모공 수축 성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천연 재료를 사용함에도 피부 자극이 나타나지 않아 기능성 천연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만병초 추출물 및 상기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만병초 또는 운금 만병초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분획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만병초 추출물, 상기 운금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 0.3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만병초 추출물, 상기 운금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수렴, 모공 수축 및 염증 억제와 같은 효능이 미미하게 나타날 수 있다.
반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피부 자극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비경제적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만병초 추출물 또는 상기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의 용매 추출물; 또는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의 열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n-핵산, 디에틸에테르, 부틸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서 에탄올은, 50 %(v/v) 내지 90 %(v/v)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v/v) 내지 80 %(v/v)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의 농도 범위는, 상기 만병초 잎 추출물 및 상기 운금 만병초 잎 추출물 내 활성성분의 추출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 추출물은, 1 ℃ 내지 40 ℃의 온도에서 4 내지 60 시간 동안 용매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30 ℃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추출물 내 활성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거나, 활성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은 1회 내지 5회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추출물 내 활성성분의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추출물은, 여과,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의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 파우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 추출물은, 만병초 추출물, 운금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 ℃ 내지 40 ℃ 온도로 4 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용매에 침지시킨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 추출물은, 만병초 추출물, 운금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20 ℃ 내지 30 ℃ 온도로 24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용매에 침지시킨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열수 추출물은,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을 60 ℃ 내지 110 ℃의 온도에서 4 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110 ℃의 온도에서 24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온도, 시간 및 압력 조건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 내 활성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거나 활성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열수 추출물은, 60 ℃ 내지 110 ℃ 온도 및 0.1 MPa 내지 0.2 MPa 압력에서 4 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열수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110 ℃ 온도 및 0.1 MPa 내지 0.2 MPa 압력에서 24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열수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미백용, 주름 개선용, 수렴용, 모공 수축용 또는 염증 억제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 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의 배합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총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3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병풀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성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미백, 항진균 효과 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으며,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내 포함되지 않은 다른 유효 성분들을 적정 수준으로 제공함으로써,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수렴, 모공수축, 항염증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아 시아틱산(Asiat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식애씨드(Madecassic acid)를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병풀 추출물은 항산화, 피부트러블 예방, 노화 예방, 피부 재생에 효과적이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의 집을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로 벌집 주위에 발라져 있는 황록색, 암갈색의 끈적끈적한 물질로,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항생, 항염, 항산화 효과를 갖는다.
어성초는 삼백초과의 식물로 약모밀이라도고 하며, 주요성분으로는 Flavonoid로서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etin, afzerin, rutin, Alkaloid로서 aristolactam A, AII, B, BII, piperolactam A, norcepharadione B, cepharadione B, splendidine 등이 있다.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미백, 피부 재생에 효과적이다.
녹차 잎은 레몬보다 5 ~ 8배 많은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어 기미나 주근깨를 억제하고 피부에 진정작용과 동시에 유해산소를 제거해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며, 녹차잎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수렴, 모공수축, 항염증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맥문동(Liriopeplatyphylla Wang et Tang)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기자란 구기자 나무(Lycium chinense)의 열매로, betaine, cholin, physalien, rutin, βzeazanthin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병풀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녹차잎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맥문동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및 구기자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 내 포함된 각 성분의 함량범위는, 각 추출물 내 유효 성분이 가진 기능을 최대화하면서, 각 성분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한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만병초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1 : 10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병초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1 : 5 내지 5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2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는, 만병초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추출물이 혼합됨에 따른 상호 성능 보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 또는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 발현 억제, MMP-3(matrix metalloproteinase-3) 발현 억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저해 및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저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멜라닌(melanin)은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 요인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되면 원하지 않는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색소침착, 광독성 반응 또는 다른 유사한 소형의 고정 색소성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멜라닌 생성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의 세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Melanin의 생합성 기전은 출발 물질인 티로신이 rate-limiting enzyme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DOPA (3,4-dihydroxyphenylalanin)과 DOPA 퀴논으로 변형되고, DOPA 크롬을 거쳐 중간체인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로 산화되어 유멜라닌(eumelanin)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피부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가 자극을 받으면 α-MSH (α-melanocyte sitmulating hormone), ACTH(adrenocorricotropic hormone) 등의 신호전달물질이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로 분비된다. 멜라노사이트의 MC1R(melanocortin type 1 receptor) 수용체에서는 이러한 자극을 받아들여 세포내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수준을 증가시키며, cAMP의 증가는 PKA(protein kinase A)의 활성화를 일으키고, 뒤이어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의 인산화를 증가시킨다. 인산화된 CREB는 멜라노사이트의 특정 전사인자인 MITF(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pition factor)의 MITF의 발현을 일으키게 된다. MITF의 발현은 결국 멜라닌 생성의 주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TRP-1, TRP-2의 프로모터와의 결합을 촉진해 멜라닌 생합성을 증가시킨다.
피부에 노출되는 자외선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단백질 분해효소 중에서 기질을 분해하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는 피부 광노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 진피 내 세포 외 기질단백질(extracellular matrix)은 피부의 구조와 탄력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중 80∼85 %가 type Ⅰ procollagen으로 이루어져 있다. Type Ⅰ procollagen은 전구체인 procollagen 형태로 합성된 후 세포 밖으로 배출되어 아미노 말단과 카복실말단이 잘려나간 후 완성된 collagen을 만들게 된다. 피부 진피 내 세포 외 기질 단백질의 재구성에는 여러 생체 반응이 관하며, 이중 특히 MMPs가 기질 단백질들을 분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intestitial collagenase (MMP-1), 72kD gelatinase (MMP-2), 92kD gelatinase (MMP-9), neutrophil collagenase (MMP-8), collagenase (MMP-13) 등 26가지 이상의 MMPs가 이미 알려져 있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는 MMPs의 발현이 증가되며, 증가된 MMPs가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collagen을 분해하여 기질 단백질의 결핍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피부노화와 주름의 발생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저해,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저해 성능을 가짐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 성능을 가짐으로써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및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을 억제하고 MMPs(MMP-1, MMP-2, MMP-3)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엘라스틴(elastin)과 콜라겐(collagen)의 분자 형태를 유지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토너, 스킨, 로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세럼, 젤 및 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기초 화장료; 립스틱, 틴트, 립글로우, 립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마스카라, 아이쉐도우 및 아이라이너로부터 선택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피부각질 스크럽, 클렌징워터, 클렌징오일, 클렌징크림 및 폼클렌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세정용 화장료; 샴푸, 린스 및 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모발용 화장료; 및 바디스크럽, 바디로션, 바디크림, 및 바디워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바디용 화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만병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 만병초 추출물의 제조
울릉도 만병초의 줄기와 잎 60 g을 채취하여 열풍 건조 또는 자연 음지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 분쇄하였다. 분쇄한 시료에 시료 중량의 10배 양의 에탄올 70 %(v/v)을 가하여 실온에서 약 24시간 침지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EYELA 증발기(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 후 동결 건조하였으며, 이 시료를 -20 ℃ 온도에서 보관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정제수, 에탄올, 글리세린 등을 포함하는 혼합 용제, 기타 첨가제와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운금 만병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제조
운금 만병초의 줄기와 잎 93 g을 채취하여 열풍 건조 또는 자연 음지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여 분쇄하였다. 분쇄한 시료에 시료 중량의 10배 양의 에탄올 70 %(v/v)을 가하여 실온에서 약 24시간 침지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EYELA 증발기(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 후 동결 건조하였으며, 이 시료를 -20 ℃ 온도에서 보관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정제수, 에탄올, 글리세린 등을 포함하는 혼합 용제, 기타 첨가제와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에 1> 항산화 효과 확인 :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1) 실험 방법
실시예에서 제조된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농축하지 않은 추출물 10 ㎕를 취하여 10 % sodium carbonate (Na2CO3) 200 ㎕와 1N Folin-ciocalteu reagent 10 ㎕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30분 반응 후 7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ga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한 표준 곡선을 통해 계산하였다.
2) 실험 결과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Phenolic content (mg/g GAE)
70 % ethanol extract
실시예 1
(울릉도 만병초, Rhododendron brachycarpum var. roseum)
189.41±1.05
실시예 2
(운금 만병초, Rhododendron fortune)
207.99±1.71
표 1을 참조하면,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폴리페놀 함량이 약 190 mg/g GAE 이였고,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폴리페놀 함량이 약 210 mg/g GAE이였으며, 운금 만병초 추출물이 만병초 추출물 보다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항산화 효과 확인 : 전자공여능 측정
1) 실험 방법
산화 활성 측정을 위해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on ability, EDA)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120 ㎕의 농도별 추출물과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용액 60 ㎕를 넣고 혼합한 후 실온의 암실 조건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microplate reader의 흡광도를 517 nm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x 100
2) 실험 결과
도 1은,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두 추출물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500 ㎕/ml의 농도에서 각각 85.8 %, 86.2 %의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산화 효과 확인 :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1) 실험 방법
항산화 활성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ABTS+ radical이 발색력을 잃는 원리를 이용한 ABTS+ radical decolorization assay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2.45 mM의 potassium persulfate와 7 mM의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용액을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의 암실에서 반응시켜 ABTS+ radical을 형성시켰다. ABTS+ 용액은 100 % ethanol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ABTS+ 100 ㎕에 동량의 시료용액을 넣어 1:1의 비율로 혼합해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소거능(%)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x 100
2) 실험 결과
도 2는,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울릉도 만병초 70 %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5 ug/ml에서 13.42 %, 50 ug/ml에서 76.01 %, 500 ug/ml에서 94.66 %이었으며, 운금 만병초 70 % 에탄올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5 ug/ml에서 32.96 %, 50 ug/ml에서 92.07 %, 100 ug/ml에서 93 % 이상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출물의 수용성 용액에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전자공여능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고, 두 추출물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항산화 효과 확인 : SOD 유사활성 측정
1) 실험 방법
농도별 시료용액 20 ul에 Tris-HCl 완충용액(50 mM Tris-HCl buffer, pH 8.5) 130 ㎕와 7.2 mM pyrogallol 20 ㎕를 가하여 혼합한 후, 37 ℃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산화된 pyrogallol 양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2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x 100
2) 실험 결과
도 3은,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울릉도 만병초 70 %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10 ug/ml에서 2.3 %, 100 ug/ml에서 3.81 %, 1000 ug/ml에서 9.63 %이었으며, 운금 만병초 70 %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10 ug/ml에서 3.46 %, 100 ug/ml에서 4.94 %, 1000 ug/ml에서 15.05 %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이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에 5> 미백 효과 확인 :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1) 실험 방법
멜라닌(melanin)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는 실험은 Yagi 등의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농도별 시료용액 40 ㎕에 67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80 ㎕과 10 mM의 3,4-dihydroxy-L-phenylalanine (L-DOPA)를 녹인 40 ㎕의 기질액을 첨가한 혼합액에 200 U/ml tyrosinase from mushroom 40 ㎕를 첨가하여 37 ℃ 조건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을 492 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율(%)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x 100
2) 실험 결과
도 4는,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해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000 μg/ml에서 울릉도 만병초는 32.6 %, 운금 만병초는 39.3 %로 40 %에 가까운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에 6> 주름 개선 효과 확인 : Elastase 저해활성 측정
1) 실험 방법
피부 주름 생성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elastase의 저해 활성을 Cannell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일정 농도가 되도록 각 시험용액을 희석한 후 40 ㎕ 씩 96-well plate에 취하고, 50 mM의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2.5 U/ml elastase from porcine pancreas 용액 40 ㎕을 가한 후 37 ℃에서 2 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50 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N-succinyl-L-ala-ala-ala-p-nitroanilide (0.5 mg/ml) 기질 액 80 ㎕을 첨가하여 동일한 온도에서 30 분간 반응시켜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양을 445 nm에서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율(%)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x 100
2) 실험 결과
도 5는,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lastase 저해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은 최고 농도인 1,000 μg/ml에서 30 %에 가까운 저해능을 보였으며,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같은 농도에서 36.2 %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보다 높은 elastase 저해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에 7> 주름 개선 효과 확인 :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1) 실험 방법
피부의 교원섬유로 섬유성 단백질인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인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은 W
Figure 112021129136874-pat00001
nsch E와 Heindrich HG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농도별 시험용액 50 ㎕와 0.1 M tris-HCl buffer (pH 7.5)에 4 mM calcium chloride (CaCl2)를 첨가하여 Pz-Pro-Leu-Gly-Pro-D-Arg-OH trifluoroacetate salt (0.3 mg/ml)를 녹인 기질 액 125 ㎕의 혼합액을 반응구로 설정하여 실온에서 20 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 정지 시약으로 6 % citric acid 250 ㎕를 넣고 1.5 ml의 ethyl acetate를 첨가하여 UV/VIS spectroscopy를 이용해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저해율(%)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x 100
2) 실험 결과
도 6은,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능이 증가하였고 낮은 농도에서도 50% 에 가까운 저해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고 농도인 1,000 μg/ml에서 울릉도와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각각 77.7%, 80.2%의 collagenase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운금 만병초 추출물이 보다 높은 collagenase 억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에 8> 주름 개선 효과 확인 : Fibroblast cell (CCD-986sk)의 세포 생존율 측정
1) 실험 방법
가. 세포주 및 세포 배양
본 실험에서 사용된 섬유아세포인 CCD-986sk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 (100 U/ml)을 첨가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의 온도와 5 % CO2 조건의 incubator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나.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시험용액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측정은 Carmichael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96-well plate에 CCD-986sk cell 1×106 cells/well이 되도록 200 ㎕씩 분주하여 37 ℃, 5 %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고,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용액을 20 ㎕씩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MTT 용액을 2.5 mg/ml의 농도로 제조하여 40 ㎕씩 첨가하여 3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형성된 formazan에 DMSO 100 ㎕씩 각 well에 가하여 실온 조건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를 이용해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은 시료용액의 첨가구과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x 100
2) 실험 결과
도 7은,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섬유아세포인 CCD-986sk cell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a는 울릉도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섬유아세포인 CCD-986sk cell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고, 도 7b는 운금 만병초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섬유아세포인 CCD-986sk cell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추출물을 5 μg/ml, 10 μg/ml, 50 μg/ml, 100 μg/ml, 500 μg/ml, 1,0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은 모든 농도구간에서 90 % 이상,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80 %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하의 실험에서는 추출물이 세포 증식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아 생존율이 100 %에 가까운 농도인 25 μg/ml, 50 μg/ml, 100 μg/ml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에 9> 주름 개선 효과 확인 :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 측정
1) 실험 방법
주름 생성과 관련된 MMPs (MMP-1, MMP-2, MMP-3)의 항주름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 정도를 알아보았다. 섬유아세포인 CCD-986sk cell을 100 mm tissue culture dish에 seeding한 후 37 ℃, 5 %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지를 제거한 후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로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척하여 다음 과정을 진행하였다. Complete mini 1 tab을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RIPA) buffer 10 ml에 가한 용액 80 ㎕를 각 dish에 분주하여 세포를 lysis한 후 centrifuge를 이용해 4℃, 13,200 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그 후 BCA protein assay kit를 사용해 상층액을 정량하였으며, 20 ㎕ 단백질을 10 % SDS-PAGE 상에서 전기 영동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mbrane에 transfer한 후 blocking buffer (5 % skim milk in TBST)에 1 시간 동안 blocking을 진행하였다. Primary antibody를 1:500의 비율로 3 % skim milk in TBST에 희석하여 4 ℃에서 over night한 후, 10분 간격으로 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 (TBST)로 3회 세척하였다. Secondary antibody는 1:2,0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90분간 반응시켰으며 다시 TBST로 10 분씩 3회 세척하여 Davinch-Chemi™ Imager CAS-400SM system을 이용하여 밴드를 확인하였다.
2) 실험 결과
피부노화 및 주름 개선을 위해서는 collagen, elastin, fibronectin, laminin 등으로 이루어진 세포외기질 구조를 파괴하는 MMPs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울릉도와 운금 만병초 추출물이 MMPs 관련 인자인 MMP-1, MMP-2, MMP-3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이 때, 세포의 다양한 조건에서도 그 발현 정도의 차이가 미비한 house keeping gene인 β-actin을 positive control로 사용하였다.
도 8은,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의 MMP-1, MMP-2, MMP-3 단백질 발현 억제율 측정 결과이다.
도 9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MMP-1, MMP-2, MMP-3 단백질 발현 억제율 측정 결과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두 가지 추출물을 25 μg/ml, 50 μg/ml,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모든 인자에 대해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은 MMP-2 인자에 대해 86.4 %의 우수한 단백질 발현 억제를 보였으며, MMP-3는 대조군과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MMP-1과 MMP-2는 대조군인 EGCG와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MMP-3는 대조군에 비해 높은 단백질 발현 억제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10> 주름 개선 효과 확인 : Reverse transcription-PCR을 통한 mRNA 발현 측정
1) 실험 방법
가. RNA 추출 및 cDNA 합성
섬유아세포인 CCD-986sk는 100 mm tissue culture dish에 1×106 cells/well로 seeding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 상등액을 제거하여 trizol lysis buffer를 dish에 1 ml씩 분주하여 각각의 세포를 lysis한 후 lysate를 e-tube에 옮겨주었다. 수거한 lysate에 chloroform을 200 ㎕씩 첨가한 후 30 초간 inverting 하였으며 centrifuge를 이용해 4 ℃에서 13,200 rpm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 400 ㎕를 새로운 e-tube에 옮겨 isopropanol 400 ㎕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inverting한 뒤 -20 ℃에서 보관하여 over night한 후 앞의 과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여 tube 바닥에 precipitation된 RNA pellet을 획득하였다. 75 % EtOH-diethylpyrocarbonate (DEPC) water를 각 tube에 1 ml씩 분주하여 세척한 후 동일 조건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따라내고 실온에서 모두 증발시킨 뒤 DEPC를 처리한 water를 50 ㎕씩 분주하여 RNA pellet을 녹여주었다. A260/A280의 비율을 사용하여 1.8∼2.0 순도의 total RNA를 추출하였으며 microvolume spectrometer를 이용해 total RNA 값을 측정하였다.
나. Reverse transcription-PCR
항주름 관련 인자인 MMP-1, MMP-2, MMP-3의 mRNA 발현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reverse transcription-plo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primer의 sequences는 표 2와 같다. PCR tube에 합성한 cDNA와 primer, 5x green buffer, MgCl2, 10 mM PCR nucleotide mix, GoTaq®DNA polymerase, nuclease free water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PCR을 진행하였다.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는 96 ℃에서 10초, 64 ℃에서 30초, 72 ℃에서 60초로 총 30 cycles, MMP-1은 96 ℃에서 10초, 58 ℃에서 30초, 72℃에서 60초로 총 40 cycles, MMP-2는 96℃에서 10초, 63℃에서 30초, 72℃에서 60초로 총 40 cycles, MMP-3는 96 ℃에서 10초, 55 ℃에서 30초, 72 ℃에서 60초로 총 40 cycles로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PCR로 합성시킨 후 0.002 % ethidium bromide (EtBr)을 첨가한 1.5 % agarose gel에 10 ㎕씩 100 V에서 30분간 전기영동 후 UV transilluminator를 이용해 밴드를 확인하여 분석 정량하였다.
Gene Forward Reverse
GAPDH ACCACAGTCCATGCCATCAC TCCACCACCCTGTTGCTGTA
MMP-1 AGCGTGTGACAGTAAGCTAA GTTTTCCTCAGAAAGAGCAGCAT
MMP-2 TTGCCATCCTTCTCAAAGTTGTAGG CACTGTCCACCCCTCAGAGC
MMP-3 TTGTTCTTTGATGCAGTCAGC GATTTGCGCCAAAAGTGC
2) 실험 결과울릉도 만병초 추출물과 운금 만병초 추출물이 주름개선 관련 인자인 MMPs (MMP-1, MMP-2, MMP-3)에 대한 mRNA 발현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everse transcription-PCR을 진행하였다. 섬유아세포인 CCD-986sk에 울릉도와 운금 만병초 추출물 25 μg/ml, 50 μg/ml,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positive control로 GAPDH를 사용하였다.
도 10은,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의 MMP-1, MMP-2, MMP-3에 대한 mRNA 발현 억제율 측정 결과이다.
도 11은,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MMP-1, MMP-2, MMP-3에 대한 mRNA 발현 억제율 측정 결과이다.
도 10및 도 11을 참조하면, 두 가지 추출물을 25 μg/ml, 50 μg/ml,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MMP-1, MMP-2, MMP-3의 mRNA 발현양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에 대해 MMP-2가 100 μg/ml에서 50 %의 mRNA 억제율을 보여 가장 우수한 발현 억제를 나타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MMP-1과 MMP-3가 각각 100 μg/ml에서 61.9 %, 42.6 %의 mRNA를 억제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발현 억제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에 11> 피부 자극 안정성 확인 : 안점막 자극 시험(BCOP)
1) 실험 방법
안점막 자극 평가를 위해 진행한 bovine corneal opacity and permeability (BCOP) test는 기존의 Draize 방법을 대체하는 in vitro 시험법으로 OECD test guideline 437에 따라 진행하였다. 경산지역의 도축장에서 당일 도축된 소에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시간에 적출한 안구를 받아 사용하였으며, 안구의 변질이나 외부 물질로부터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PS (penicillin 100,000 U/ml와 streptomycin 100,000 ㎕/ml)이 첨가된 4℃의 HBSS 용액에 넣어 운반하였다.
2 ∼ 3 mm 정도의 공막을 포함한 상태로 절개하여 안구에서 각막을 분리하며, 이 과정에서 기구에 의해 각막에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분리된 각막은 4 ℃의 HBSS 용액으로 헹구어 각막의 상피가 상단 chamber를 향하도록 하여 각막 홀더에 고정시켰다. 초기 혼탁도(initial opacity)를 측정하기 위해 32 ℃의 MEM 배지(without phenol red)를 하단 chamber부터 채운 후 32℃ incubator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양쪽 chamber의 기존 MEM을 제거하고 새로운 MEM으로 교환한 뒤 opacitometer를 이용해 initial opacity를 측정하였으며 혼탁도가 7 이상인 각막은 사용되지 않았다. Initial opacity 측정 후, 상단 chamber의 MEM을 제거하고 시료용액을 750 ㎕ 가하여 각막 상피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였다. 10 분간 시료용액을 처리한 후 MEM 배지(with phenol red)로 3회 이상 세척하고 MEM 배지(without phenol red)로 1회 세척하였다. 시료용액을 제거한 후 MEM 배지(without phenol red)를 양쪽 chamber에 채워 32 ℃, 5 % CO2 incubator에서 2 시간 배양한 뒤, 최종 혼탁도(final opacity) 측정을 위해 양쪽 chamber의 배지를 새로 교체하여 opacitometer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투과도(permeability) 측정을 위해 chamber에 채워진 MEM을 모두 제거한 후 하단의 chamber에는 새로운 MEM을 채우고 상단에는 1 ml의 fluorescein sodium solution을 도포하여 32 ℃ incubator에서 90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하단 chamber에서 MEM 배지를 완전히 수거하여 균일하게 섞은 뒤 96 well plate에 각 시료 당 360 ㎕씩 분주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49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통해 permeability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 자극 분류는 안점막 자극지수(In Vitro Irritation Score, IVIS) 산출식을 통해 계산하며, 자극지수는 표 3과 같이 OECD test guideline 437의 기준에 의거하여 55.1 이상이 나왔을 경우 자극 물질로 판정하였다.
IVIS = Opacity average + (15 × Permeability average)
IVIS UN GHS
≤ 3 Not classified
> 3, ≤ 55 No prediction can be made
> 55 Category 1
* UN GHS: United Nations Globally Harmonized System.
2) 실험 결과
도 12는,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안점막 자극지수 측정 결과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음성대조군인 D.I water는 0.9로 UN GHS 기준으로 IVIS가 3.0 이하로서 no category로 판정되었으며, 양성대조군인 ethanol은 55.5로 category 1인 심한 안자극 물질로 판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화장품에 첨가되는 추출물의 최고 농도인 1 %의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 적용군에서 IVIS값이 평균 0.9로 산출되었으며, 동일 농도의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적용한 군에서는 IVIS 값이 평균 1.1로 산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N GHS 기준으로 IVIS 값이 3.0 이하로서 두 추출물 모두 무자극인 no category에 해당하여 안자극에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만병초 추출물 또는 상기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의 용매 추출물; 또는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의 열수 추출물;인 것이고,
    상기 열수 추출물은,
    만병초 잎 또는 운금 만병초 잎을 60 ℃ 내지 110 ℃의 온도 및 0.1 MPa 내지 0.2 MPa 압력에서 4 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것이고,
    항산화용, 미백용, 주름 개선용, 수렴용, 모공 수축용 또는 염증 억제용인 것이고,
    병풀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성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 운금 만병초(Rhododendron fortune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혼합물은,
    만병초 추출물 및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1 : 10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병초 추출물 또는 상기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n-핵산, 디에틸에테르, 부틸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물은,
    1 ℃ 내지 40 ℃의 온도에서 4 내지 60 시간 동안 용매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폰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 또는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 MMP-2(matrix metalloproteinase-2) 발현 억제, MMP-3(matrix metalloproteinase-3) 발현 억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저해 및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저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토너, 스킨, 로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세럼, 젤 및 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기초 화장료; 립스틱, 틴트, 립글로우, 립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마스카라, 아이쉐도우 및 아이라이너로부터 선택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피부각질 스크럽, 클렌징워터, 클렌징오일, 클렌징크림 및 폼클렌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세정용 화장료;
    샴푸, 린스 및 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모발용 화장료; 및
    바디스크럽, 바디로션, 바디크림, 및 바디워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바디용 화장료;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53201A 2021-11-09 2021-11-09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6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201A KR102636105B1 (ko) 2021-11-09 2021-11-09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201A KR102636105B1 (ko) 2021-11-09 2021-11-09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282A KR20230067282A (ko) 2023-05-16
KR102636105B1 true KR102636105B1 (ko) 2024-02-14

Family

ID=8654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201A KR102636105B1 (ko) 2021-11-09 2021-11-09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1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835A (ja) 2001-09-28 2003-04-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67B1 (ko) * 2007-07-18 2008-03-2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상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0316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만병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8366B1 (ko) * 2012-02-01 2014-07-15 정도희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835A (ja) 2001-09-28 2003-04-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정옥. 만병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노화 활성과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정밀화학과 공학석사 학위논문, 2011년2월*
염현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주름개선 활성에 관한 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282A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93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KR20110108687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6454B1 (ko) 감국 추출물을 이용한 멜라닌 저색소증 개선제 조성물
KR101908077B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2022030507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runus persica extract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1074A (ko)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20210091430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6105B1 (ko) 만병초 추출물 또는 운금 만병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70133721A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306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243220B1 (ko) 삼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54132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30023267A (ko)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31685B1 (ko)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230009017A (ko)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8130B1 (ko) 큰옥매듭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