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502A -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502A
KR20170019502A KR1020150110023A KR20150110023A KR20170019502A KR 20170019502 A KR20170019502 A KR 20170019502A KR 1020150110023 A KR1020150110023 A KR 1020150110023A KR 20150110023 A KR20150110023 A KR 20150110023A KR 20170019502 A KR20170019502 A KR 20170019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red mud
catalyst
aluminum
glyc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우
박찬이
푸 후이 웬
변경현
김동명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유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유케미칼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9502A/ko
Publication of KR2017001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zinc, cadmium or merc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2Boron or 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32/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 알루미늄 및 레드머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드머드를 담체로 포함하여 아연 및 알루미늄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연 및 알루미늄만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촉매활성이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버려지는 폐자원인 레드머드를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제조된 촉매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친환경적인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atalysts carried by Redmud and comprising Zinc and Aluminium for synthesizing glycerol carbo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글리세롤 및 요소가 반응하여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를 합성하는 경로 및 상기 경로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암모니아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를 합성하는 경로에 사용될 수 있는 촉매에 관한 것으로, 레드머드를 담체로 포함하고 있다.
환경 문제의 대두로 인하여 세계 각국은 신재생 에너지 지원 정책을 발표하며 차세대 에너지원 개발에 주력하고 있고, 국내의 경우도 저탄소 녹색 성장이라는 기본정책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사업의 미래 국가 성장 사업으로 육성한다는 로드맵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원의 일종인 바이오 디젤의 보급 확대에 따라 이의 부산물인 글리세롤의 활용방안도 주목받고 있는데, 현재 바이오디젤은 디젤자동차의 경유에 혼합해서 사용하거나, 100% 순수 연료로 사용되고 있고, 미국 및 유럽연합 등에서는 이미 품질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 시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글리세롤의 경우 생산량 급증에 따른 새로운 용도 마련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바이오 디젤 보급량은 2009년도 약 270천㎘로 지식경제부의 바이오 디젤 보급 정책에 따라 2013년까지 매년 0.5%씩 증가시킨다는 로드맵으로 운영되어 왔다. 이처럼 국내 바이오 디젤 보급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산물인 글리세롤 생성 추정량도 2009년도 24천 톤 규모에서 매년 8천 톤씩의 성장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국내 글리세롤 정제 설비의 생산능력은 약 15천 톤 규모로 부산물을 정제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정제 글리세롤 시장에서의 수익성 창출이 글리세롤 시장의 한계성과 바이오 디젤 사업성장에 따른 공급 과잉으로 불가해짐에 따라 관련기업들이 설비 증설을 기피하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글리세롤은 의약품, 인체용품, 식품, 페인트, 담배, 폭약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데(2002.05 Novaol), 한국에서의 글리세롤 주요 소비처는 2007년 기준 석유화학(130억),생활용품/화장품(20억), 기타(90억)이다. 가장 시장점유율이 큰 LG생활건강에서는 31% 정도의 시장점유율로 연간 6000 ton 규모, 60억 시장을 가지고 있고, 주요 판매 분야는 식품, 화장품 분야(98%, 1600₩/K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99.5%, 1100 원/Kg), 페인트(94%, 900 ₩/Kg)이며, 사료, 담배 등에도 저가의 글리세롤 판매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Proctor & Gamble (P&G) 사는 글리세롤과 글리세롤 유도체 물질의 생산량 증가로 아시아 글리세롤 시장의 급신장을 예견하고 Malaysia joint venture, Felda Palm Industries를 통해 35000 ton/년 규모의 글리세롤 정제 공장의 가동을 시작하였다.
글리세롤 카보네이트(Glycerol Carbonate, 4-hydoxy methyl-1,3-di-oxolan-2-one)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물질로 화학공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물질로 가스 분리 막의 주요성분, 다양한 종류의 물질들에 대한 용매, 그리고 이 물질의 고체표면에 부착되어 산화를 막는 특성으로 인한 바이오 윤활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물질은 글리세롤과 메틸카보네이트를 지방분해효소에 의한 효소촉매반응으로 고수율로 직접 합성되기도 한다. 또한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는 색소, 유약, 풀, 화장품, 의약품 제조를 위한 고부가 공정의 용매로 주로 사용되며, 최근 새로운 형태의 고분자합성용 단량체 혹은 추출 매개체로 관심이 높아지는 글리세롤 유도체이며, 기존 글리세롤 보다 7배 이상의 고부가가치의 화합물이다. 현재는 도료와 외장 분야에서만 전체의 41% 이용률을 차지하며, (주)KCC에서도 이를 이용한 고기능성 도료 합성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에피클로로하이드린(Epichlorohydrin; ECH) 생산업체인 한화의 경우 글리세롤을 활용한 ECH의 제조기술 개발을 완료하여 상업화에 따른 경제성 분석중이다. 또한 2013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폐 글리세롤을 활용해 고부가가치 물질인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는데, 기존의 미생물 촉매 대신에 금속산화물 촉매를 사용하고 반응물로 요소를 활용한 공정 시스템이다. 요소와 글리세롤을 반응해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를 만들 때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다시 요소를 제조하도록 하였으며, 윤활유 생산업체 제우스 유화 공업이 참여하였다. 이 기술은 공정이 단순하고 원료의 조달에서 경쟁력이 있으나, 주 공정에서 반응기 내 암모니아가 발생하여 진공펌프로 압력을 낮추어야 하고 유독성이고 가연성가스인 암모니아를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와 분리하고 취급하여야 하는 단점과 10시간의 긴 반응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는 JC케미칼과 함께 글리세롤을 디알킬 카보네이트(dialkyl carbonate)와 반응시켜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제조 전 에틸렌 옥사이드를 에틸렌 카보네이트로 전환 시키고(Ethylene Oxide + CO2 -> Ethylene Carbonate),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다시 디알킬 카보네이트로 전환하는(Ethylene Carbonate + 2ROH -> Dialkyl Carbonate + Ethylene Glycol) 2단계의 공정이 더 필요하고 원료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독일계 Huntsman 사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를 상업생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를 활용한 다양한 용도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반응도 개발하고 있다.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의 하이드록실(hydroxyl)기가 무수물(anhydrides)과 반응하여 에스테르를 생성하고,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의 하이드록실기가 아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s)와 반응하여 우레탄을 생성하며, 폴리머릭 이소포론 디아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isophorone diisocyanate)같은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다기능성 알킬렌 카보네이트(alkylene carbonates)를 생성한다. 알킬렌 카보네이트를 만드는 다른 방법은 알킬렌 옥사이드(alkylene oxides)에 이산화탄소 삽입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데 알킬렌 옥사이드의 가격이 비싸서 최종용도의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을 제한한다. 알킬렌 옥사이드는 디아민과 반응하여 목재와 금속의 코팅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버려지는 폐자원 중 하나인 레드머드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인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제조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자 실험을 거듭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일본공개특허 JP 2009-067689 A 일본공개특허 JP 2008-285457 A
따라서 본 발명은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의 합성 과정에서 레드머드를 담체로 포함함으로써 적은 촉매의 사용으로도 높은 촉매활성을 나타내는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연, 알루미늄 및 레드머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드머드는 알루미늄 제련에 있어서 보크사이트로부터 알루미나를 채취한 잔사로, 산화철, 규산 등의 철의 산화물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적갈색을 나타내는 폐기물이다. 알루미늄 제련 과정에서 다량으로 생기는데, 대부분 폐자원으로 버려진다. 본 발명에서는 레드머드를 촉매의 담체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아연 및 알루미늄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연 및 알루미늄만을 포함하는 촉매보다 촉매활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었다(실시예 2 및 표 2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연과 알루미늄은 6:4-8:2의 몰 비(molar ration)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7:3의 몰 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드머드는 촉매담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담체(catalyst carrier, catalyst support)는 촉매 기능을 지닌 물질을 분산시켜서, 안정하게 담아 유지하는 고체를 나타낸다. 촉매 기능 물질의 노출 표면적이 커지도록 고도로 분산시켜 담지(擔持)하기 위해서, 보통 다공성이나 면적이 큰 물질을 사용한다. 또한, 담체는 기계적,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하며, 실리카, 알루미나 및 그 외 여러 가지 금속산화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드머드는 활성화된 레드머드(Activated Red Mud; AR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레드머드는 추가 처리된 레드머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산 처리 또는 하소(calcination)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레드머드의 활성화는 하소 온도, 하소 시간, 처리 산의 농도, 산의 활성 온도 및 산의 활성 시간에 영향을 받는다(Huynh Ky Phuong Ha et al., ASEAN Engineering Journal Vol. 1 No. 4, 2011.12 p66-7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드머드는 전체 촉매 조성물에 대하여 30-85 질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0-75질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드머드를 촉매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서 레드머드를 포함하지 않은 촉매보다 수율, 전환율 및 선택도 등 전체적으로 촉매활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2 및 표 2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 조성물은 글리세롤 카보네이트(glycerol carbonate) 합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환경 친화적인 제조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화학식 1 및 2 참조), 상기 이산화탄소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우선, 글리세롤로부터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제조하는 반응에서 이산화탄소가 반응물로 직접 이용될 수 있고 또한, 글리세롤과 요소를 반응시켜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 때, 생성된 암모니아 부산물을 다시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반응물인 요소로 전환할 수 있다(도 1 참조).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또한, 본 발명은 a) 아연(Zn)을 포함하는 전구체 및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전구체의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 수용액에 레드머드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레드머드가 첨가된 혼합 수용액을 교반한 후 건조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건조된 혼합물을 하소(calcinati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촉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아연을 포함하는 전구체는 아연 나이트레이트 수화물(Zinc nitrate hydrate; Zn(NO3)2 xH2O)이고, 상기 a) 단계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구체는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 수화물(aluminium nitrate hydrate; Al(NO3)3 xH2O)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의 아연을 포함하는 전구체는 아연 나이트레이트 육수화물(Zinc nitrate hexahydrate; Zn(NO3)2ㆍ6H2O)이고, 상기 a) 단계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구체는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 구수화물(aluminium nitrate nonahydrate; Al(NO3)3ㆍ9H2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혼합 수용액은 아연을 포함하는 전구체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구체가 6:4-8:2의 몰 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7:3의 몰 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레드머드는 전체 혼합 수용액에 대하여 30-85 질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0-75 질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교반은 60-100℃의 온도에서 수분이 증발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c) 단계의 건조는 교반 후 100-120℃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하소는 430-47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드머드를 담체로 포함하여 아연 및 알루미늄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연 및 알루미늄만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촉매활성이 향상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버려지는 폐자원인 레드머드를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제조된 촉매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친환경적인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가 사용될 수 있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촉매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촉매의 XRD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를 사용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을 위한 반응기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촉매의 제조
1. Zn x /Al y 촉매의 제조
물에 담지 시키는 금속염 Zn(NO3)2 6H2O(Aldrich sigma, 98.0%)와 Al(NO3)3 9H2O(JUNSEI, 98.0%)를 첨가하여 금속 혼합 수용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조한 금속 혼합 수용액을 50ml의 물에 첨가하고 NaOH(DC Chemical, 98.0%)수용액과 NaNO3(Aldrich sigma, 99.0%)수용액을 첨가시키며 pH를 5.8에서 6으로 맞춰주며 교반시킨다. 이후 18시간동안 60℃에서 숙성시킨다. 숙성된 용액을 여과시킨 후 세척 및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450℃에서 6시간동안 소성시켜 Znx/Aly 촉매를 제조한다.
2. Zn x /Al y -ARM 촉매의 제조
물에 담지 시키는 금속염 Zn(NO3)2 6H2O(Aldrich sigma, 98.0%)와 Al(NO3)3 9H2O(JUNSEI, 98.0%)를 첨가하여 금속 혼합 수용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활성화된 레드머드를 상기 금속 혼합 수용액에 첨가하고 80 ℃에서 수분이 증발할 때까지 교반시킨다. 교반된 혼합물을 110 ℃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킨 후 450 ℃에서 6시간동안 하소시킨다.
<실시예 1> 촉매의 특성 분석
1.1 질소 흡탈착 실험
촉매의 조직 특성(txtural properties)은 Micromeritics ASAP 2020 apparatus (USA) 및 액화 질소(N2)를 사용하여 -196℃에서 수행된 질소흡착 분석을 통하여 측정되었다. 소성된 촉매 0.2 g을 장착한 후 12 h 동안 300 ℃, 진공 상태에서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액체질소 온도 하(??196℃)에서 흡착기체로 N2를 이용하여 질소 흡착 등온선을 구했으며, 이를 이용하여 비표면적 및 세공부피를 계산하였다.
구분 BET Surface Area (m2/g) 평균기공크기 (nm) 기공부피
(cm 3 /g)
no catalyst - - -
ARM 135.5712 (m2/g) 0.245487 63.924
5% Zn 7 /Al 3 -ARM 84.4493 (m2/g) 0.148074 75.662
15% Zn 7 /Al 3 -ARM 50.1207 (m2/g) 0.084043 58.297
25% Zn 7 /Al 3 -ARM 91.1965 (m2/g) 0.130449 48.178
40% Zn 7 / Al 3 -ARM 95.4234 (m2/g) 0.147394 52.946
50% Zn 7 /Al 3 -ARM 71.9795 (m2/g) 0.144704 63.863
60% Zn 7 /Al 3 -ARM 55.8609 (m2/g) 0.110044 66.273
Zn 7 /Al 3 46.22 (m2/g) 0.1641 115.606
50% Zn 6 /Al 4 -ARM 71.8917 (m2/g) 0.12769 55.971
50% Zn 8 /Al 2 -ARM 65.9022 (m2/g) 0.164763 80.136
50% Zn 9 /Al 1 -ARM 47.5907 (m2/g) 0.135416 91.465
1.2 XRD 분석
X-선 회절(X-ray diffraction;XRD) 패턴은 35 kV 및 20 mA에서 작동되고, Cu Ka 방사(l = 1.5418 Å), 2° (2θ)/min의 스캔 속도(scan rate)로 Rigaku RAD-3C 회절계(diffractometer, Japan)를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촉매 활성 측정
2.1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의 합성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제조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암모니아 제거를 위해 진공 펌프가 장착된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기에 글리세롤, 요소 및 촉매를 넣고 교반 하에 140℃, 30 mbar에서 진공상태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글리세롤과 요소는 각각 0.2 M씩 들어가며 반응 몰 비는 1:1로 하였다. 사용된 촉매량은 글리세롤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로 하였다. 반응 부산물로 생성되는 암모니아는 반응기와 연결된 암모니아 트랩으로 포집되고 글리세롤 카보네이트는 반응기 플라스크 안에 생성된다.
2.2 촉매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2.1에 따라 생성된 글리세롤 카보네이트의 수율 및 글리세롤의 전환율을 계산하기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Younglin, ACME 6000 GC)의 불꽃 이온화 검출기(FID:Flame Ionization Detector)를 사용하여 반응 잔류물 및 생성물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컬럼(column)은 DB-Wax Capillary GC Column (30 m X 0.250 mm X 0.25 μm)을 사용하고, 시료 주입부(injection)와 검출기(detector)의 온도는 각각 250 ℃와 300 ℃로 설정하였다. 오븐 온도는 40 ℃에서 240 ℃까지 10 ℃/min로 상승시키고, 이후 240 ℃에서 15분간 유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시료는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시킨 생성물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희석시킨 후 내부 표준 용액(internal standard solution)으로 사용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tetraethylene glycol; TEG)을 넣어 제조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고 아연과 알루미늄 및 레드머드의 함량에 따른 수율 그래프는 도 5와 같다.
구분 수율 (%) 전환율 (%) 선택도 (%)
no catalyst 33.6 43.8 76.7
ARM 30.9 51.4 60.1
5% Zn 7 /Al 3 -ARM 32.5 48.9 66.6
15% Zn 7 /Al 3 -ARM 41.1 55.1 74.5
25% Zn 7 /Al 3 -ARM 50.7 62.0 81.8
40% Zn 7 /Al 3 -ARM 57.6 63.6 90.5
50% Zn 7 /Al 3 -ARM 58.2 69.1 84.2
60% Zn 7 /Al 3 -ARM 55.1 68.3 80.7
Zn 7 /Al 3 49.6 62.8 78.9
Zn 6 /Al 4 40.9 58.4 70.0
Zn 8 /Al 2 44.4 61.3 72.5
Zn 9 /Al 1 42.7 59.5 71.7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아연, 알루미늄 및 레드머드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과 알루미늄은 6:4-8:2의 몰 비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머드는 촉매담체로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머드는 활성화된 레드머드(Activated Red Mud; AR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머드는 전체 촉매 조성물에 대하여 30-85 질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조성물은 글리세롤 카보네이트(glyceerol carbonate) 합성에 사용되는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조성물.
  7.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촉매의 제조방법:
    a) 아연(Zn)을 포함하는 전구체 및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전구체의 혼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혼합 수용액에 레드머드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레드머드가 첨가된 혼합 수용액을 교반한 후 건조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건조된 혼합물을 하소(calcination) 시키는 단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아연을 포함하는 전구체는 아연 나이트레이트 수화물(Zinc nitrate hydrate; Zn(NO3)2 xH2O)이고, 상기 a) 단계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구체는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 수화물(aluminium nitrate hydrate; Al(NO3)3ㆍxH2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혼합 수용액은 아연을 포함하는 전구체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구체가 6:4-8:2의 몰 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레드머드는 전체 혼합 수용액에 대하여 30-85 질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50110023A 2015-08-04 2015-08-04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9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23A KR20170019502A (ko) 2015-08-04 2015-08-04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23A KR20170019502A (ko) 2015-08-04 2015-08-04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502A true KR20170019502A (ko) 2017-02-22

Family

ID=5831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023A KR20170019502A (ko) 2015-08-04 2015-08-04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9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2978A (zh) * 2023-05-05 2023-07-28 陕西科技大学 Zn2+改性工业废料赤泥的ZAS/GRM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5457A (ja) 2007-05-21 2008-11-27 Kao Corp グリセリ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JP2009067689A (ja) 2007-09-11 2009-04-02 Kao Corp グリセリ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5457A (ja) 2007-05-21 2008-11-27 Kao Corp グリセリ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JP2009067689A (ja) 2007-09-11 2009-04-02 Kao Corp グリセリ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2978A (zh) * 2023-05-05 2023-07-28 陕西科技大学 Zn2+改性工业废料赤泥的ZAS/GRM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492978B (zh) * 2023-05-05 2024-02-09 陕西科技大学 Zn2+改性工业废料赤泥的ZAS/GRM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5803B (zh) 一种催化剂及制备方法及在四氯化碳加氢脱氯的用途
Liu et al. Squaramide-derived framework modified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A robust bifunctional platform for CO2 adsorption and cooperative conversion
Peng et al. Recent progress in phosgene-free methods for synthesis of dimethyl carbonate
Leino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eria-supported catalysts for carbon dioxide transformation to diethyl carbonate
JP2017520511A (ja) アルケノ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1,3−ブタジエンの製造のためのその使用
CN102302934B (zh) 一种新型助剂改性的二氧化碳催化加氢制甲醇的催化剂及制备方法
CN106311242B (zh) 一种二氧化碳甲烷化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2000578A (zh) 一种二氧化碳催化加氢制甲醇的催化剂及制备方法
CN104646049A (zh) 一种由合成气直接合成二甲醚催化剂的制备方法
Rasal et al. Solventless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by direct utilization of CO2 using nanocrystalline lithium promoted magnesia
Xiao et al. One-pot synthesis of LaFeO3@ C composites for catalytic transfer hydrogenation reactions: Effects of carbon precursors
CN101983765B (zh) 一种助剂改性的二氧化碳催化加氢制甲醇的催化剂及制备方法
Abdelkader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soporous γ-Al 2 O 3 recovered from aluminum cans waste and its use in the dehydration of methanol to dimethyl ether
CN105153058A (zh) 一种苯并三唑类化合物的合成方法
CN104582839A (zh) 多元醇氢解用催化剂,以及使用该催化剂制造1,3-丙二醇的方法
Pattanaik et al. Continuous synthesis of glycerol carbonate by transesterification of glycerol with dimethyl carbonate over Fe–La mixed oxide catalysts
CN111330582A (zh) 一种铜基催化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Sato et al. Vapor-phase dehydration of 1, 5-pentanediol into 4-penten-1-ol
Dibenedetto et al. Synthesis of diethylcarbonate by ethanolysis of urea: A study on the recoverability and recyclability of new Zn-based heterogeneous catalysts
CN106955690B (zh) 一种催化乙醇制备丁醇的固体碱性催化剂及制备方法
CN111545239B (zh) 一种用于甘油氧化的固体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3813855A (zh) 醇和醚在三元混合氧化物上的催化脱水
Ishihara et al. Hydrothermal gasification of phenol water on novel carbon-supported Ni catalysts prepared by the sol–gel method using tartaric acid and alminum tri-sec-butoxide
KR20170019502A (ko) 아연과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레드머드를 담체로 하는 글리세롤 카보네이트 합성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Li et al. Effect of zinc incorporation manner on a Cu–ZnO/Al 2 O 3 glycerol hydrogenation cataly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