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993A -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993A
KR20170018993A KR1020150112313A KR20150112313A KR20170018993A KR 20170018993 A KR20170018993 A KR 20170018993A KR 1020150112313 A KR1020150112313 A KR 1020150112313A KR 20150112313 A KR20150112313 A KR 20150112313A KR 20170018993 A KR20170018993 A KR 20170018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arbon atoms
group
compound
carboxylate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430B1 (ko
Inventor
김현진
김수정
이대원
지우만
허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30B1/ko
Priority to US15/082,564 priority patent/US9989683B2/en
Publication of KR2017001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9/00Sulfu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9Over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8Wire-grid 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4Materials and properties dy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발명은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는,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필터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청록색(cyan) 색소를 포함한다:
< 식 (1) >
Figure pat00070

상기 식 (1)에서, A1은 600 nm 이상 내지 7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이고, A2는 450 nm 이상 내지 5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다.

Description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COLOR FILT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발명은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와 같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컬러필터는 화소 단위로 적색, 녹색, 청색의 3가지 색을 추출하여 표시 장치의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광학부품으로서, 황색 색소와 청록색(cyan) 색소를 혼합하여 녹색을 구현할 수 있다.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청록색(cyan) 색소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는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필터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청록색(cyan) 색소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1
< 식 (1) >
상기 식 (1)에서, A1은 600 nm 이상 내지 7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이고, A2는 450 nm 이상 내지 5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투광성 기판, 제2 투광성 기판; 및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필터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청록색(cyan) 색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2 투광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2
< 식 (1) >
상기 식 (1)에서, A1은 600 nm 이상 내지 7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이고, A2는 450 nm 이상 내지 5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다.
상기 녹색 필터는 황색 색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록색 색소에 대한 상기 황색 색소의 비율은 0.9 이상 내지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청록색(cyan) 색소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I) 또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3
< 화학식 (I) >
Figure pat00004
< 화학식 (II) >
상기 화학식 (I)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옥시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아릴기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II)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옥시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릴옥소알킬 페닐기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1) 내지 (I-8)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05
< 화학식 (I-1) >
Figure pat00006
< 화학식 (I-2) >
Figure pat00007
< 화학식 (I-3) >
Figure pat00008
< 화학식 (I-4) >
Figure pat00009
< 화학식 (I-5) >
Figure pat00010
< 화학식 (I-6) >
Figure pat00011
< 화학식 (I-7) >
Figure pat00012
< 화학식 (I-8) >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II-1) 내지 (II-6)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Figure pat00013
< 화학식 (II-1) >
Figure pat00014
< 화학식 (II-2) >
Figure pat00015
< 화학식 (II-3) >
Figure pat00016
< 화학식 (II-4) >
Figure pat00017
< 화학식 (II-5) >
Figure pat00018
< 화학식 (II-6) >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청록색 색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록색 색소 화합물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4는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록색 색소 화합물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5는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청록색 색소 화합물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6은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청록색 색소 화합물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7은 도 1의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표시 장치(10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000)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표시 장치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표시 장치(1000)가 액정 표시 장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000)는 제1 표시 기판(100), 액정층(200), 제2 표시 기판(300), 백라이트 유닛(BLU) 및 흡수형 편광판(PO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300)은 씰런트(sealant) 등으로 이루어진 씰 라인(미도시)에 의해 합착될 수 있고, 씰 라인(미도시)은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300)의 주변부로서 비표시 영역(미도시)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층(200)은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300)의 사이에 개재되고, 액정 분자(LC)를 포함한다. 액정 분자(LC)는, 예를 들어, 음의 유전율 이방성의 액정 분자(LC)일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00)은 제1 투광성 기판(US), 컬러필터층(CF), 블랙매트릭스(BM), 오버코트층(OC) 및 공통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층(CF)과 블랙 매트릭스(BM)는 제1 투광성 기판(US)과 공통 전극(CE)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OC)은 컬러필터층(CF)과 공통 전극(CE)의 사이 및 블랙 매트릭스(BM)와 공통 전극(CE)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기판(200)은 제2 투광성 기판(LS), 제1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1), 절연막(WI),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층(TFTA), 화소 전극(P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1)은 상호 이격 배치된 전도성 격벽들(CW)의 사이에 공기층(AG)이 배치된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WG)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WG)은 제2 투광성 기판(LS)과 절연막(WI)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막(WI)은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WG)과 화소 전극(PE)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층(TFTA)은 화소 전극(PE)과 절연막(WI)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러필터층(CF)은 적색 컬러필터들(R), 녹색 컬러필터들(G) 및 청색 컬러필터들(B)을 포함한다.
적색 컬러필터들(R)은, 공지된 적색 색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색소로는, 예를 들면, C.I. 피그먼트 레드 7, 14, 41, 48:2, 48:3, 48:4, 81:1, 81:2, 81:3, 81:4, 146, 168, 177, 178, 179, 184, 185, 187, 200, 202, 208, 210, 246, 254, 255, 264, 270, 272, 279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적색 컬러필터들(R)은 황색 색소 또는 오렌지색 색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황색 색소로는, 예를 들어, C.I. 피그먼트 옐로우 1, 2, 3, 4, 5, 6, 10, 12, 13, 14, 15, 16, 17, 18, 24, 31, 32, 34, 35, 35:1, 36, 36:1, 37, 37:1, 40, 42, 43, 53, 55, 60, 61, 62, 63, 65, 73, 74, 77, 81, 83, 93, 94, 95, 97, 98, 100, 101, 104, 106, 108, 109, 110,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3, 126, 127, 128, 129, 147, 151, 152, 153, 154, 155, 156, 161, 162, 164,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9, 180, 181, 182, 187, 188, 193, 194, 199, 198, 213, 21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렌지색 색소로는, 예를 들어, C.I. 피그먼트 오렌지 36, 43, 51, 55, 59, 61, 71, 7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녹색 컬러필터들(G)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청록색(cyan) 색소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19
< 식 (1) >
상기 식 (1)에서, A1은 600 nm 이상 내지 7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이고, A2는 450 nm 이상 내지 5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다.
상기 청록색(cyan) 색소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I) 또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20
< 화학식 (I) >
Figure pat00021
< 화학식 (II) >
상기 화학식 (I)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옥시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아릴기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담지하는 담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비닐옥시기 또는 비닐 카볼실레이트 에스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1) 내지 (I-8)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22
< 화학식 (I-1) >
Figure pat00023
< 화학식 (I-2) >
Figure pat00024
< 화학식 (I-3) >
Figure pat00025
< 화학식 (I-4) >
Figure pat00026
< 화학식 (I-5) >
Figure pat00027
< 화학식 (I-6) >
Figure pat00028
< 화학식 (I-7) >
Figure pat00029
< 화학식 (I-8) >
예를 들어, 화학식 (I-1) 내지 화학식 (I-8)의 화합물들(bis-Cu 옥타피린(bis-Cu octaphyrin))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화학식 (I-1)의 화합물
무수 건조된 톨루엔에 피롤(Pyrrole) 1.0 당량과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0.2 당량을 넣고 이들의 혼합물을 5 분간 교반한 후 촉매로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을 상온에서 소정의 촉매량만큼 첨가하고, 반응종결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한 디피로메탄(dipyrromethane)을 무수 건조된 톨루엔에 넣고 BF3-OET2(Boron trifluoride diethyl etherate) 1.0 당량과 DDQ(2,3-Dichloro-5,6-dicyano-1,4-benzoquinone) 1.0 당량을 넣고 48 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한 옥타피린(octaphyrin)을 아세트산 나트륨(NaOAc) 5.0 당량과 아세트산 구리(Cu(OAc)2) 10.0 당량이 녹아있는 무수 건조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에 넣고 메탄올을 촉매량만큼 넣은 후 0 ℃에서 24 시간 동안 어두운 상태에서 교반시켰다.
교반 결과물 용액에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수용액을 넣어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층을 황산 나트륨(Na2SO4)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화학식(I-1)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제조예 2: 화학식 (I-2)의 화합물
제조예 1에서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대신에 파라-알릴옥시벤즈알데하이드(p-allyloxybenzaldehy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 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I-2)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화학식 (I-3)의 화합물
제조예 1에서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대신에 오르쏘-네오펜틸벤즈알데하이드(o-neopentylbenzaldehy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I-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화학식 (I-4)의 화합물
제조예 1에서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대신에 파라-알릴옥시-디네오펜틸벤즈알데하이드(para-allyloxy-dineopentylbenzaldehy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I-4)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화학식 (I-5)의 화합물
제조예 1에서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대신에 비닐 파라-포르밀벤조에이트(vinylpara-formylbenzo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I-5)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화학식 (I-6)의 화합물
제조예 1에서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대신에 프로피온알데하이드(propionaldehy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제조방법으로 화학식(I-6)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화학식 (I-7)의 화합물
제조예 1에서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대신에 알릴포르메이트(allylform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제조방법으로 화학식(I-7)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화학식 (I-8)의 화합물
제조예 1에서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대신에 에틸 포르메이트(ethyl format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제조방법으로 화학식(I-8)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도 3은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I-1)의 청록색 색소 화합물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4는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I-4)의 청록색 색소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6은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I-5)의 청록색 색소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3 내지 도 5의 흡광도 스펙트럼은 가시광선 분광법(UV-VIS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화학식 (I-1)의 청록색 색소 화합물, 상기 화학식 (I-4)의 청록색 색소 화합물, 상기 화학식 (I-5)의 청록색 색소 화합물은, 모두 600 nm 이상 내지 7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인 A1에 대한 450 nm 이상 내지 5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인 A2의 비가 0(zero)이다. 이는, 리간드(ligand)와 배위결합된 구리(Cu)에 의해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간의 에너지 갭(energy gap)이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화학식(II)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옥시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릴옥소페닐기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담지하는 담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비닐옥시기 또는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릴옥소알킬 페닐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II-1) 내지 (II-6)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30
< 화학식 (II-1) >
Figure pat00031
< 화학식 (II-2) >
Figure pat00032
< 화학식 (II-3) >
Figure pat00033
< 화학식 (II-4) >
Figure pat00034
< 화학식 (II-5) >
Figure pat00035
< 화학식 (II-6) >
제조예 9: 화학식 (II-1)의 화합물
저온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비티오펜(bithiophene) 2.0 당량, TMEDA(tetramethylethylenediamine) 1.0 당량과, n-부틸리튬(n-BuLi) 2.0 당량을 각각 넣고 이들의 혼합물을 10 분동안 교반시킨 후 상온에서 1시간 더 교반시킨 다음, 저온에서 THF에 녹아있는 메틸 옥소부타날(methyl oxobutanal) 2.0 당량을 서서히 가했다.
혼합물을 상온에서 3 시간 더 교반 한 후,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로 비티오펜 디올(bithiophene diol)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한 것을 피롤(pyrrole) 2.5 당량에 녹였다. 0.1 당량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를 넣고 1시간 교반하여 TLC로 피란(pyran)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피란과 비티오펜 디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각각 1.0 당량씩 동일하게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에 녹인 다음 질소(N2) 기체를 충진하고 어두운 상태에서 1 시간 동안 반응 후, 클로라닐(chloranil)을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생성된 옥타피린(octaphyrin)을 염기성 알루미나 컬럼크로마토그래피(basic alumina column chromatography)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과 헥산(hexane) 1 : 1 조건에서 분리 정제하였다.
제조예 10: 화학식 (II-2)의 화합물
제조예 9에서 메틸 옥소부타날 대신에 프로피온산알데하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 (II-2)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화학식 (II-3)의 화합물
제조예 9에서 메틸 옥소부타날 대신에 메틸포르메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 (II-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화학식 (II-4)의 화합물
제조예 9에서 메틸 옥소부타날 대신에 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 (II-4)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화학식 (II-5)의 화합물
제조예 9에서 메틸 옥소부타날 대신에 p-알릴옥시-벤즈알데히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 (II-5)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화학식 (II-6)의 화합물
제조예 9에서 메틸 옥소부타날 대신에 2-메틸-3-옥소부틸 벤즈알데히드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의 제조방법으로 화학식 (II-6)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도 6은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학식 (II-1)의 청록색 색소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6의 흡광도 스펙트럼은 가시광선 분광법(UV-VIS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6을 참고하면, 600 nm 이상 내지 7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인 A1에 대한 450 nm 이상 내지 5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인 A2의 비가 0(zero)이다.
상기 녹색 필터는 공지된 황색 색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황색 색소로는, 예를 들어, C.I. 피그먼트 옐로우 1, 2, 3, 4, 5, 6, 10, 12, 13, 14, 15, 16, 17, 18, 24, 31, 32, 34, 35, 35:1, 36, 36:1, 37, 37:1, 40, 42, 43, 53, 55, 60, 61, 62, 63, 65, 73, 74, 77, 81, 83, 93, 94, 95, 97, 98, 100, 101, 104, 106, 108, 109, 110,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3, 126, 127, 128, 129, 147, 151, 152, 153, 154, 155, 156, 161, 162, 164,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9, 180, 181, 182, 187, 188, 193, 194, 199, 198, 213, 214 등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청록색 색소에 대한 상기 황색 색소의 비율은 0.9 이상 내지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청색 컬러필터들(B)은 공지된 청색 색소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 색소로는, 예를 들면, C.I. 피그먼트 블루 15, 15:1, 15:2, 15:3, 15:4, 15:6, 16, 22, 60, 6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청색 컬러필터들(B)은 보라색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라색 색소로는, 예를 들면,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 19, 23, 27, 29, 30, 32, 37, 40, 42, 5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컬러필터들(R, G, B)은, 상술한 색소들, 상술한 색소들을 담지하기 위한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및 감광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 광중합 개시제, 색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색소 분산제와 계면 활성제, 제1 투광성 기판(US)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란 커플링제 등을 포함하는 색소 조성물을 제1 투광성 기판(US)상에 인쇄법 또는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 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부티랄 수지,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고무계 수지, 환화 고무계 수지, 셀룰로오스류, 폴리부타디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로진 변성 말레산 수지, 로진 변성 푸마르산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등의 반응성의 치환기를 갖는 선상 고분자에 이소시아네이트기, 알데히드기, 에폭시기 등의 반응성 치환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화합물이나 신남산을 반응시켜, (메트)아크릴로일기, 스티릴기 등의 광 가교성기를 상기 선상 고분자에 도입한 수지 또는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물이나 α-올레핀-무수 말레산 공중합물 등의 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선상 고분자를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화합물에 의해 하프 에스테르화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디에톡시아세토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의 아세토페논계 광 중합 개시제,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디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계 광 중합 개시제,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아크릴화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피드 등의 벤조페논계 광 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광 중합 개시제, 2,4,6-트리클로로-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톨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피페로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스티릴-s-트리아진, 2-(나프토-1-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나프토-1-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페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광 중합 개시제, 보레이트계 광 중합 개시제, 카르바졸계 광 중합 개시제, 이미다졸계 광 중합 개시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색소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카르복실산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복실산, 폴리카르복실산(부분)아민염, 폴리카르복실산암모늄염, 폴리카르복실산알킬아민염, 폴리실록산, (메트)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수지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에스테르계, 에틸렌옥시드/프로필렌옥시드 부가 화합물, 인산에스테르계 등이 이용되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암모늄, 스테아르산모노에탄올아민, 스테아르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 4급 암모늄염이나 이들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등의 카오틴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의 알킬베타인, 알킬이미다졸린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예를 들어,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류,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실란류,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에폭시실란류,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아미노실란류, γ-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티오실란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투광성 기판(US)은 가시광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은 용도 또는 공정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 투광성 기판(US)으로는, 예를 들어, 유리, 석영(Quartz),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or 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의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컬러필터층(CF)과 블랙 매트릭스(BM)는 제1 투광성 기판(U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BM)는 제1 투광성 기판(US) 상에서 각 컬러필터들(R, G, B)간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OC)은 컬러필터층(CF)과 블랙 매트릭스(B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OC)은 컬러 필터층(CF)과 블랙 매트릭스(BM)를 형성한 후 이들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 상호 교번 형성된 컬러필터층(CF) 및 블랙 매트릭스(BM)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OC)은 예를 들어, 산화 규소, 질화 규소 등의 무기물로 구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오버코트층(O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화소 전극(PE)과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액정층(200)에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아연 산화물, 주석 산화물, 갈륨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알루미늄, 은, 백금, 크롬, 몰리브덴, 탄탈륨, 니오븀, 아연, 마그네슘, 이들의 합금이나 이들의 적층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투광성 기판(LS)은 가시광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은 용도 또는 공정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2 투광성 기판(LS)으로는, 예를 들어, 유리, 석영(Quartz),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or 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의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도 1의 제1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고하면,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WG)은 제2 투광성 기판(LS)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호 이격 배치된 전도성 격벽들(CW)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격벽들(CW)의 사이에는 공기층(AG)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격벽들(CW)은, 선폭(W)이 대략 100 nm 이하일 수 있고, 두께가 대략 150 nm 이상일 수 있으며, 이격 간격(T)이 대략 100 nm 이하일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WG)은 나노 임프린트법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WG)에 입사되는 광(Li)은 전도성 격벽들(CW)에 의해 편광된다.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전도성 격벽들(CW)은 입사되는 광(Li) 중 제1 편광된 광은 투과시키며, 상기 제1 편광에 수직인 제2 편광된 광은 반사시킨다. 구체적으로, 입사되는 광(Li) 중 전도성 격벽들(CW)의 연장 방향(즉, 제1 방향(D1))과 평행한 편광 성분인 S 파는 전도성 격벽들(CW)에 의해 반사되고, 전도성 격벽들(CW)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제2 방향(D2))과 평행한 편광 성분인 P 파는 유효 굴절 매질로 인식되어 투과된다.
전도성 격벽들(CW)은 제1 층(WG1)과 제2 층(WG2)의 적층 구조일 수 있고, 제1 층(WG1)은 제1 전이 금속, 제1 전이후 금속 및 이들의 합금 중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WG1)은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은(Ag), 구리(Cu),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 중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층(WG2)은 제1 층(WG1)상에 배치되고, 제1 층(WG1)과의 접합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힐록(hillock)을 방지하기 위한 캡핑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층(WG2)은 제1 층(WG1)에 비해 식각 선택비가 큰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WG2)은 상기 제1 전이금속과 상이한 제2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전이금속은 예를 들어, 티타늄(Ti), 코발트(Co), 몰리브덴(Mo) 및 이들의 합금 중 하나일 수 있다.
절연막(WI)은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WG)과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층(TFTA)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절연막(WI)은 질화 규소, 산화 규소 등과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층(TFTA)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유기 패시베이션막(OPL)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절연막(WI) 상에 게이트 전극(G)이 배치되고, 게이트 전극(G)상에 게이트 절연막(GI)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게이트 전극(G)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는 영역에 반도체층(ACT)이 위치하고, 반도체층(ACT) 상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오믹 콘택층(OL)이 배치되며, 오믹 콘택층(OL) 상에는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이 각각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GI), 소스 전극(S), 반도체층(ACT) 및 드레인 전극(D) 상에는 무기 패시베이션 막(IPL)이 위치하고, 유기 패시베이션막(OPL)은 무기 패시베이션 막(IPL) 상에 배치된다.
화소 전극(PE)은 전기장 생성 전극으로서, 유기 패시베이션막(O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 패시베이션막(OPL)에는 콘택홀(TH)이 형성되어, 화소 전극(PE)은 콘택홀(TH)을 통해 드레인 전극(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흡수형 편광판(POL)은 제1 투광성 기판(US)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광성 기판(US)은 흡수형 편광판(POL)과 컬러필터층(CF)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흡수형 편광판(POL)은 요오드가 염착된 폴리비닐알코올(PVA) 편광필름, 폴리비닐알코올(PVA) 편광필름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제2 표시 기판(300)의 하부에 백라이트 유닛(BLU)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BLU)은, 예를 들어 도광판(미도시), 광원(미도시), 반사부재(미도시), 광학시트(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을 제1 표시 기판(100)을 통과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상이 제1 투광성 기판(US)을 통과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1은 하부 편광판으로 제1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1)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하부 편광판으로 흡수형 편광판(POL)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흡수형 편광판(POL)은 제2 투광성 기판(LS)과 백라이트 유닛(BLU)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절연막(WI)과 제1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1)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표시 장치(1000-1)는 제2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2)을 포함하는 점에서 표시 장치(1000)와 상이하다. 제2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2)은 제1 방향(D1)에 평행한 S파와 제1 방향(D2)에 평행한 P파를 모두 반사시키는 반사 패턴(RF)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1)과 상이하다. 즉, 반사 패턴(RF)은 반사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뿐이고, 편광 기능을 갖지 못한다.
반사 패턴(RF)은 전도성 격벽들(CW)에 비해 넓은 선폭을 가질 수 있고, 반사 패턴(RF)들의 사이에는 제2 방향(D2)에 평행한 P파를 투과시키고, 제1 방향(D1)에 평행한 S파를 반사시키는 전도성 격벽들(CW)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 격벽들(CW)은 제1 층(WG1)과 제2 층(WG2)의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반사패턴(RF) 또한, 제1 층과 제2 층의 적층 구조일 수 있다. 제1 층은 제1 전이 금속, 제1 전이후 금속 및 이들의 합금 중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WG1)은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은(Ag), 구리(Cu),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 중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층은 제1 층상에 배치되고, 제1 층과의 접합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힐록(hillock)을 방지하기 위한 캡핑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층은 제1 층에 비해 식각 선택비가 큰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은 상기 제1 전이금속과 상이한 제2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전이금속은 예를 들어, 티타늄(Ti), 코발트(Co), 몰리브덴(Mo) 및 이들의 합금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하부 편광판으로 제2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2) 대신에 흡수형 편광판(POL)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흡수형 편광판(POL)은 제2 투광성 기판(LS)과 백라이트 유닛(BLU)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절연막(WI)과 제2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2)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2)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표시 장치(1000-2)는 제1 표시 기판(100)이 컬러필터층(CF)을 포함하지 않고, 제2 표시 기판(300)이 컬러필터층(CF)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온 어레이층(COA)를 포함하는 점에서 표시 장치(1000)와 상이하다.
표시 장치(1000-2)는 제1 투광성 기판(US)과 공통전극(CE)의 사이에 컬러필터층(CF)이 존재하지 않고, 제1 투광성 기판(US)과 공통전극(CE)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BM)와 오버코트층(OC)이 존재한다. 오버코트층(OC)은 블랙 매트릭스(BM)와 제1 투광성 기판(US) 상에 배치된다.
컬러필터 온 어레이층(COA)은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유기 패시베이션막(OPL)의 사이에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점에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층(도 1의 TFTA)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컬러필터 온 어레이층(COA)은 무기 패시베이션막(IPL) 상에 배치된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하고, 컬러필터층은 무기 패시베이션막(IPL)과 유기 패시베이션막(OPL)의 사이에 배치되며, 적색 컬러필터(R), 백색 컬러필터(W), 녹색 컬러필터(G), 백색 컬러필터(W)가 교대로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하부 편광판으로 제1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WGP1) 대신에 흡수형 편광판(POL)을 사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액정 표시 장치
100: 제1 표시 기판 200: 액정층
300: 제2 표시 기판 WGP: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
WG: 전도성 와이어 그리드 패턴 CW: 전도성 격벽
RF: 반사패턴
POL: 흡수형 편광판

Claims (14)

  1.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필터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시안(cyan)계 색소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Figure pat00036
    < 식 (1) >
    상기 식 (1)에서,
    A1은 600 nm 이상 내지 7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이고,
    A2는 450 nm 이상 내지 5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이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필터는 황색 색소를 더 포함하는 컬러필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청록색 색소에 대한 상기 황색 색소의 비율은 0.9 이상 내지 1 인 컬러필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청록색(cyan) 색소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Figure pat00037
    < 화학식 (I) >
    상기 화학식 (I) 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옥시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아릴기 중 하나이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1) 내지 (I-8)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인 컬러필터:
    Figure pat00038
    < 화학식 (I-1) >
    Figure pat00039
    < 화학식 (I-2) >
    Figure pat00040
    < 화학식 (I-3) >
    Figure pat00041
    < 화학식 (I-4) >
    Figure pat00042
    < 화학식 (I-5) >
    Figure pat00043
    < 화학식 (I-6) >
    Figure pat00044
    < 화학식 (I-7) >
    Figure pat00045
    < 화학식 (I-8) >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청록색 색소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Figure pat00046
    < 화학식 (II) >
    상기 화학식 (II)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옥시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릴옥소알킬 페닐기 중 하나이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1) 내지 (II-6)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인 컬러필터:
    Figure pat00047
    < 화학식 (II-1) >
    Figure pat00048
    < 화학식 (II-2) >
    Figure pat00049
    < 화학식 (II-3) >
    Figure pat00050
    < 화학식 (II-4) >
    Figure pat00051
    < 화학식 (II-5) >
    Figure pat00052
    < 화학식 (II-6) >
  8. 제1 투광성 기판;
    제2 투광성 기판; 및
    적색 필터, 녹색 필터, 청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필터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청록색(cyan) 색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투광성 기판과 상기 제2 투광성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컬러필터;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igure pat00053
    < 식 (1) >
    상기 식 (1)에서,
    A1은 600 nm 이상 내지 7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Absorbance)이고,
    A2는 450 nm 이상 내지 500 nm 이하의 파장대에서의 흡광도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필터는 황색 색소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청록색 색소에 대한 상기 황색 색소의 비율은 0.9 이상 내지 1 인 표시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청록색 색소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Figure pat00054
    < 화학식 (I) >
    상기 화학식 (I) 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 R21, R2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옥시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아릴기 중 하나이다.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1) 내지 (I-8)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인 표시장치:
    Figure pat00055
    < 화학식 (I-1) >
    Figure pat00056
    < 화학식 (I-2) >
    Figure pat00057
    < 화학식 (I-3) >
    Figure pat00058
    < 화학식 (I-4) >
    Figure pat00059
    < 화학식 (I-5) >
    Figure pat00060
    < 화학식 (I-6) >
    Figure pat00061
    < 화학식 (I-7) >
    Figure pat00062
    < 화학식 (I-8) >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청록색 색소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Figure pat00063
    < 화학식 (II) >
    상기 화학식 (II)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 탄소수 6 내지 14의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옥시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4의 비닐 카복실레이트 에스터 아릴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릴옥소알킬 페닐기 중 하나이다.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1) 내지 (II-6)의 화합물들 중 하나 이상인 표시장치:
    Figure pat00064
    < 화학식 (II-1) >
    Figure pat00065
    < 화학식 (II-2) >
    Figure pat00066
    < 화학식 (II-3) >
    Figure pat00067
    < 화학식 (II-4) >
    Figure pat00068
    < 화학식 (II-5) >
    Figure pat00069
    < 화학식 (II-6) >
KR1020150112313A 2015-08-10 2015-08-10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2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313A KR102423430B1 (ko) 2015-08-10 2015-08-10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5/082,564 US9989683B2 (en) 2015-08-10 2016-03-28 Color filt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313A KR102423430B1 (ko) 2015-08-10 2015-08-10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993A true KR20170018993A (ko) 2017-02-21
KR102423430B1 KR102423430B1 (ko) 2022-07-21

Family

ID=5799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313A KR102423430B1 (ko) 2015-08-10 2015-08-10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89683B2 (ko)
KR (1) KR102423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645818U (zh) * 2016-05-18 2016-10-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1775A (en) * 1980-10-06 1982-01-19 Eastman Kodak Company Novel phthalocyanine pigments and electrophotographic uses thereof
US20080112068A1 (en) * 2006-11-10 2008-05-15 Helber Margaret J Green color filter element
JP2012507743A (ja) * 2008-10-29 2012-03-29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着色剤分散物をもつカラー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2013227497A (ja) * 2012-03-30 2013-11-07 Fujifilm Corp 顔料、それを用いた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5468B2 (ja) 2000-06-12 2003-03-10 科学技術振興事業団 新規な拡張ポルフィリン及び拡張ポルフィリンの合成法
JP5428198B2 (ja) 2008-05-12 2014-02-26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705459B2 (ja) 2009-09-04 2015-04-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光硬化性組成物、該光硬化性組成物により形成された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1775A (en) * 1980-10-06 1982-01-19 Eastman Kodak Company Novel phthalocyanine pigments and electrophotographic uses thereof
US20080112068A1 (en) * 2006-11-10 2008-05-15 Helber Margaret J Green color filter element
US7837780B2 (en) * 2006-11-10 2010-11-23 Global Oled Technology Llc Green color filter element
JP2012507743A (ja) * 2008-10-29 2012-03-29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着色剤分散物をもつカラー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2013227497A (ja) * 2012-03-30 2013-11-07 Fujifilm Corp 顔料、それを用いた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45654A1 (en) 2017-02-16
US9989683B2 (en) 2018-06-05
KR102423430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37B1 (ko) 착색 경화성 조성물 및 컬러필터
JP5493877B2 (ja) 染料を含有する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具備す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有機el表示装置
TWI608041B (zh) 著色組成物、硬化膜、彩色濾光片、圖案形成方法、彩色濾光片的製造方法、固體攝像元件及圖像顯示裝置
JP5470058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具備す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有機el表示装置
EP2624046B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004402A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TW200844495A (en) Color filter, coloring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010814A (ja) 重合性二重結合を持つトリアリールメタン染料、トリアリールメタン染料を側鎖に持つ高分子化合物、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KR101560406B1 (ko)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72379A (ko) 표시 기판, 표시 패널 및 편광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4099159A (ja) タッチパネル用前面板、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前面板と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との一体型センサー基板
KR20140122183A (ko)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KR20130049194A (ko) 액정 표시 장치용 컬러 필터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3061622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KR101910674B1 (ko)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 및 표시 장치
JP629563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KR102423430B1 (ko)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40137307A (ko)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US20120270142A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2181392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10156668B2 (en) Wire grid polariz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8194019A1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76084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93955A (ja) カラーフィルタ用含染料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具備す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有機elディスプレイ
KR20230044357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