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934A - 열간 성형 다이 ??칭 - Google Patents

열간 성형 다이 ??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934A
KR20170018934A KR1020177001146A KR20177001146A KR20170018934A KR 20170018934 A KR20170018934 A KR 20170018934A KR 1020177001146 A KR1020177001146 A KR 1020177001146A KR 20177001146 A KR20177001146 A KR 20177001146A KR 20170018934 A KR20170018934 A KR 2017001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blocks
die blocks
sides
ope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누엘 로페즈 라게
Original Assignee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filed Critical 오토테크 엔지니어링 에이.아이.이.
Publication of KR2017001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73Quenching devices for die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국부적으로 상이한 마이크로구조들 및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보론강 구조 부품들의 열간 성형 다이 ??칭용 공구가 기술된다. 공구는 상부 및 하부 결합 다이들, 각 다이는 성형될 구조 부품과 대면하여 사용되는 작업면 및 측면들로 구성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다이 블록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다이들은 국부적으로 상이한 마이크로구조들과 기계적 특성을 갖도록 성형되는 구조 부품의 구역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은 그것들의 측면들 사이의 갭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작업면에 근접한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의 측면들의 단부들은 사용중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열간 성형 다이 ??칭{HOT FORMING DIE QUENCHING}
본 출원은 2014년 6월 16일에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번호 제 EP14382233.6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고장력의 영역들 및 증가된 연성(소프트구역들)의 영역들을 가진 열간-성형된 차량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열간 성형(및) 다이 ??칭을 하기 위한 공구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중량 감소에 대한 요구는 경량 재료들, 및 관련된 제조 공정 및 공구들의 개발 및 구현으로 이어졌다. 탑승자 안전에 대해 증가하는 관심은 또한 에너지 흡수를 향상시키는 동안에 충돌 중에 차량의 완전성도 향상시키는 재료들의 채택으로 이어진다.
열간 성형 다이 ??칭(Hot Forming Die Quenching, HFDQ)으로 알려진 공정은 1,500 MPa까지 인장강도를 가진 초고강도강(Ultra High Strength Steel, UHSS) 성질을 가진 스탬핑된 부품들을 생성하기 위한 보론 강판들을 이용한다. 강도의 증가는 이용될 더 얇은 게이지 재료를 허용하고, 그것은 통상적으로는 냉간 스탬핑된 연강판 부품들에 대한 중량 감소로 이어진다.
HFDQ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일반적인 차량 부품들은: 도어 빔, 범퍼 빔, 크로스/사이드 부재들, A/B 필러 보강재, 및 웨이스트 레일 보강재를 포함한다.
보론강들의 열간 성형은 그것들의 뛰어난 강도 및 성형성 때문에 자동차 산업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연강으로부터 전통적으로 냉간 성형된 많은 구조 부품들은 따라서 강도에 있어서 상당한 증가를 제공하는 열간 스탬핑 등가물들로 교체된다. 이것은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는 동안 재료 두께(및 따라서 중량)에서의 감소를 허용한다. 그러나, 열간 성형된 부품들은 같은 성형 조건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연성 및 에너지 흡수를 제공한다.
빔과 같이 부품의 주요 영역들에서 연성 및 에너지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부품 내에 더 부드러운 영역들을 도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전반적으로 요구된 고강도를 유지하는 동안 국부적으로 연성을 향상시킨다. 마이크로구조 및 특정 구조 부품들의 기계적 특성들을 국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매우 높은 강도(매우 단단한)를 가진 영역들 및 증가된 연성(더 부드러운)을 가진 영역들을 포함하고, 그것은 전반적인 에너지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그리고 충돌 상황 동안 구조적인 완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또한 전반적인 중량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프트 구역들은 충격을 받은 부품의 붕괴시 동적 거동을 또한 유리하게 바꿀 수 있다.
차량 구조 부품들에서 증가된 연성(소프트구역들)을 가지는 영역들을 생성하는 알려진 방법들은 한 쌍의 상호 보완적인 상부 및 하부 다이 유닛들, 분리된 다이 부재들(스틸 블록들)을 가지는 각각의 유닛들을 포함하는 공구들의 설비를 포함한다. 다이 부재들은 ??칭 공정 동안 성형된 부분의 상이한 구역들에서 상이한 냉각 속도를 갖기 위해 상이한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최종 제품(소프트 구역들)에서 상이한 재료 성질을 이뤄낸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 부재는 높은 냉각 속도에서 제조된 부품의 대응하는 영역을 ??칭하기 위해 그리고 부품의 온도를 급격하게 감소함으로써 냉각될 수 있다. 다른 이웃하는 다이 부재는 제조된 부품의 대응하는 부분이 더 낮은 냉각 속도에서 냉각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가열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탈형될 때 부품의 나머지보다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조의 종류와 관련된 하나의 문제점은 서로 상이한 온도 접점에서 동작하는 다이 부재들에서, 큰 온도차가 나타내어질 수 있고, 그것은 상온(warm) 다이 부재로부터 저온(cold) 다이 부재로의 열 흐름을 생성한다. 상온 다이 부재는 따라서 약간 더 냉각되고 그리고 저온 다이 부재는 약간 더 가열된다. 결과는 상대적으로 넓은 전이 구역이 부품의 소프트 구역과 하드 구역 사이에서 생성된다는 것이다. 부품의 거동 및 특징들은 따라서 덜 명확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예를 들어, 그것들 사이에 아이들 갭을 구비함으로써 그리고/또는 갭 내에 단열 재료를 구비함으로써 다이 부재를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열적으로 단열하는 것이 될 수 있다.
특허문헌 제 US 3,703,093호는 이러한 방법들 및 공구들을 기술한다. 제조 결함들 예를 들어 최종 성형된 부품에서의 주름 또는 다른 불규칙성들은 다이 부재에 의해 적절히 지지되지 않거나 또는 접촉되지 않은 제품의 이러한 영역들에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알려진 방법들은 레이저로 가열함으로써 증가된 연성을 가진 영역들을 생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레이저 가열이 HFDQ 공정 이후에 실행됨으로써 조금 느리고 그리고 번거롭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의 영역들 및 증가된 연성의 다른 영역들(소프트구역들)을 가진 열간-성형된 차량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공구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측면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상이한 마이크로구조들과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보론강 구조 부품들의 열간 성형 다이 ??칭용 공구가 제공된다. 공구는 상부 및 하부 결합 다이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각 다이는 성형될 구조 부품과 대면하여 사용되는 작업면 및 측면들로 구성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다이 블록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다이들은 국부적으로 상이한 마이크로구조들과 기계적 특성을 갖도록 성형되는 구조 부품의 구역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은 그것들의 측면들 사이의 갭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작업면에 근접한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의 측면들의 단부들은 사용중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그것들이 동작할 때 측면들의 단부들이 접촉 중에 있다는 사실은 전체 블랭크가 그것이 성형될 때 다이 블록과 접촉 중에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블랭크의 지지되지 않은 부분들이 없어 따라서 예를 들어 최종 성형된 부품에 있어서 주름 또는 다른 불규칙성들과 같은 제조 결함들을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측면들 사이에 제공된 갭은 다이 블록들 사이에 단열을 제공하고 따라서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 사이에 열 흐름이 감소한다, 즉 상대적으로 좁은 전이 구역이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명확히 정의된 구역들을 가진 부품을 제공하고, 그리고 동시에 불규칙성들은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줄여질 수 있다.
몇몇 예시들에 있어서, 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단열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 사이에 갭의 단열 특성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성형된 부품의 각 구역의 기술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예시들의 일부에 있어서, 작업면에 근접한 단부들에 대항하는,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의 측면들의 단부들도 또한 사용중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갭 내에 단열 재료의 설비를 향상시킨다.
몇몇 예시들에서, 작업면에 대항하는 다이 블록들의 표면은 더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다이 블록들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는 냉각 시스템을 가지는 냉각판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것은 다이 지지 구조의 가열을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줄인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비-제한하는 예시들이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 1은 일예에 따라 열간 성형된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의 일부를 나타내고;
도 2는 다른예에 따라 열간 성형된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의 유사한 일부를 나타내고;
도 3은 추가예에 따라 열간 성형된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의 일부를 나타내고; 그리고
도 4는 일예에 따라 하부 또는 상부 다이의 반대 편에서 보여진 하부 또는 상부 다이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예에 따라 열간 성형된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의 일부를 나타낸다. 공구는 상부 및 하부 결합 다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오직 하부 다이(10)를 나타내었다. 하부 다이(10)는 상이한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2개의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11, 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 블록(11)은 다이 블록(11)보다 더 낮은 온도("저온 블록")를 달성하도록 적용되기 위하여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이 블록(12)보다 더 높은 온도("고온 블록")를 달성하도록 적용되기 위하여 열원을 포함한다. 추가예들에서, 더 많은 수의 다이 블록들이 단일 공구에(그리고 각 결합 다이에)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 더 낮은 또는 더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기 위한 블록들을 적용하는 다른 방법들이 예견될 수 있다.
본 기술 및 청구항들 전체에서 더 높은 온도는 일반적으로 350℃ 내지 550℃ 범위 내로 떨어지는 온도로 이해될 수 있고 그리고 더 낮은 온도는 200℃ 아래로 떨어지는 온도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다이 블록들(11, 12) 각각은 성형될 블랭크(20)와 사용 중에 접촉되는 작업면(111, 121) 및 측면들(112, 122)을 포함한다. 이웃하는 블록들(11,12)의 측면들(112, 122) 사이에, 갭(13)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 다이 블록들(11,12)은 작업면들(111, 121)에 근접한 측면들(112, 122)의 단부들(113, 123)이 가열될 때 접촉되도록 추가로 설계된다. 이것은 공구가 사용되지 않고 그리고 블록들이 아직 가열되지 않았을 때, 그것들이 가열될 때 블록들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하여 단부들(113, 123) 사이에 또한 존재하고 이로써 가열될 때(확장되었을 때) 단부들(113, 123)은 접촉 중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난 예시에 있어서, 갭(13)은 완전하게 단열 재료(14)로 채워질 수 있다. 대안적인 예시들에 있어서, 갭은 부분적으로 단열 재료(도 3 참조)로 채워질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심지어 "비어있는", 즉 공기로 채워진 것이 될 수 있다.
추가의 예시들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 또는 부품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도 2는 다른 예시에 따라 열간 성형된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2의 예시는 단부들(113, 123)에 대항하는 이웃하는 블록들(11, 12)의 측면들(112, 122)의 단부들(114, 124)이라는 점에서 도 1과 상이하고, 또한 사용 중에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이처럼, 도 1과 관련하여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유사한 방식에서, 블록들(11,12)을 가열하기 전에, 그것들이 가열될 때 블록들(11,12)의 확장을 허용하기 위하여 갭(미도시)이 단부들(114, 124)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리세스(13')는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11, 12)의 측면들(112, 122) 사이에 남겨질 수 있다. 리세스(13')는 또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던 것과 같이 단열 재료(14)로 완전하게 채워질 수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비어있는", 즉, 공기로 채워진 것이 될 수 있다. 추가의 예시들에서, 리세스는 블록들의 측면에서 개구 또는 눌린 자국(indentation)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즉, 리세스는 측면의 전체 길이 또는 너비에 반드시 제공될 필요가 없다.
도 3은 추가의 예에 따라 열간 성형된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3의 예는 3개의 다이 블록들(11, 12, 15)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2의 그것과 상이하다. 블록들(12, 15)은 더 낮은 온도("저온 블록들")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될 수 있고 그리고 블록들(12, 15) 사이에 배열된 블록(11)은, 더 높은 온도("고온 블록")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다이 블록들(11, 12) 그리고 다이 블록들(11, 15)은 이웃하는 블록들로 여겨질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다이 블록들(11, 12)에 대해 설명되었던 것과 유사하게, 다이 블록(15)은 또한 성형될 블랭크(20)와 사용 중 접촉되는 작업면(151) 및 측면들(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하는 블록들(11, 15)의 측면들(112, 152) 사이에서, 분리(갭)가 또한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 다이 블록들(11, 15)은 또한 설계될 수 있어 이로써 작업면들(111, 151)에 근접한 측면들(112, 152)의 단부들(113, 153)은 가열될 때 접촉 중에 있다.
도 3에서 그리고 도 2와 관련하여 다이 블록들(11, 12)에 대해 설명되었던 것과 유사하게 나타난 예시에서, 단부들(113, 153)에 마주하는 이웃하는 블록들(11, 15)의 측면들(112, 152)의 단부들(114, 154)은 또한 사용 중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도 3에 나타난 예시는 또한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11, 12)(또는 (11, 15)의 측면들(112, 122) 또는 (112, 152)) 사이에 제공된 분리가 단열 재료(14')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을 수 있지만, 그러나 갭(13")은 각 측면(112, 122)(또는 (112, 152)) 그리고 단열 재료(14') 사이에 남겨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 2와 상이하다. 갭(13")은 실제로 공기로 채워질 수 있고, 그것은 또한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서, 더 낮은 온도("저온 블록들")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다이 블록들(12, 15)은 예를 들어, 냉각수 또는 다른 냉매의 순환을 위한 냉각 채널들(16)을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 낮은 온도(200℃ 아래)에서 동작하기 위한 다이 블록들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대안들이 또한 예견될 수 있다.
도 3에서 더 높은 온도("고온 블록")에서 동작하기 위해 조정된 다이 블록(11)은 다이 블록(11)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히터들(17) 및 온도 센서들(18)이 제공될 수 있다. 더 높은 온도(350℃ 내지 550℃ 내에서)에서 동작하기 위한 예를 들어, 내장된 카트리지 히터들과 같이 다이 블록을 조정하기 위한 다른 대안들이 또한 예견될 수 있다. 센서들은 열전대들(thermocouples)일 수 있다.
더욱이, 도 3에서 나타난 하부 다이(10')는 다이 블록(11), 즉, "고온 블록"과 일치하게 배열된 냉각 시스템(31)을 포함하는 냉각판(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냉각 시스템은 다이 지지 구조의 가열을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줄이기 위하여 냉각수 또는 다른 냉매의 순환을 위한 냉각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도 3과 관련되어 기술된 것과 같이 상부 및 하부 다이들을 가지는 다이로 만들어진 성형된 최종 구조 제품은 증가된 항복 강도를 갖는 블록들(12, 15)("저온 블록들")과 접촉하여 성형된 구역과 개선된 에너지 흡수 특성을 갖는 블록들(11)("고온 블록들")과 접촉하여 성형된 구역을 갖는 부품들이 된다. 예를 들어 충돌과 같이 높은 동적 하중 하에 부품의 구조적 완전성의 유지가 따라서 달성된다.
비록 도 3의 예는 2개의 저온 블록들(12)과 (15) 사이에 배열된 고온 블록(11)을 포함하지만,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블록은 그것의 4면들에서 저온 블록들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고,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블록들을 고려하여 그리고 그것은 또한 더 큰 "고온 구역"을 정의하는 다른 고온 블록에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블록들을 포함하는 다른 예들에서, 3개의 면들은 성형될 부분의 결합구조 및 기계적 특성에 따라, 이웃하는 저온 블록들 또는 심지어 오직 하나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비록 도표들이 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블록들(저온 및 고온 블록들)을 기술하지만, 블록들은 다른 형태(도 4의 (E3-E8)블록들 참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연속적인 블록들이 상호 보완적인 면들을 갖는 한 부분적으로 둥근 형태들도 가질 수 있어 그리하여 그것들은 마치 그것들이 상부 및 하부 다이들을 성형하는 퍼즐의 조각들이었던 것처럼 조립될 수 있다.
더욱이, 열간 성형된 구조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구를 성형하는 각 상부 및 하부 다이는 교체 가능한 다수의 다이 블록들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온 블록을 갖는 어떤 구역도 성형될 부품 및/또는 그 기계적 특성을 바꾸기 위하여 고온 블록을 갖는 구역으로 바뀔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한다.
도 4는 예에 따라 하부 또는 상부 다이의 반대편에서 보여진 하부 또는 상부 다이(40)를 나타낸다. 도 4의 예는 B-필러의 하부를 열간 스탬핑하기 위한 다이(40)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시에서, 다이(40)는 8개의 부재들(E1-E8)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다이 부재는 다수의 열전대들(41)(검은 점들로 표현된)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많은 열전대들을 포함하는 블록들은 열간 성형된 부품의 결합구조에서 변화들을 스탬핑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평면 결합구조에서는 오직 하나 또는 두 개의 열전대들은 사용될 수 있는(블록 (E1) 참조) 반면 더 복잡한 결합구조는 더 많은 열전대들을 사용한다.
각 열전대(41)는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동작하는 공구의 구역을 정의할 수 있다. 더욱이, 각 열전대(41)는 해당 구역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히터 또는 히터들의 그룹과 연관될 수 있다. 구역(블록) 당 총 전력의 양은 히터들을 함께 그룹으로 나누는 것의 용량을 제한할 수 있다.
열전대들은 컨트롤 패널과 연관될 수 있다. 각 히터 또는 히터들의 그룹은 따라서 동일 블록 내에서도 다른 히터들 또는 히터들의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동일 블록 내에서 각 구역의 주요 파라미터들(전력, 온도, 설정 온도 범위, 유수 온/오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24개의 열전대들(41)이 상부 또는 하부 다이들 중 어떤 것을 성형하는 8개의 블록들(E1-E8)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 다이는 24개의 구역들(또는 열전대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완전한 공구(B-필러의 이러한 부분에 대해)는 따라서 48개의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는 48개의 상이한(독립적인) 구역들까지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동일 블록 내의 각 구역에서 온도의 매우 정밀한 제어를, 몇몇 예시들에서는 심지어 대략 0.1℃, 가능하게 한다.
소프트웨어는 상이한 열전대들을 더 연결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더 관련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만약 열전대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도, 그것은 가장 가까운 열전대와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만약에 이들 열전대들이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온도에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면, 그들이 동일 블록에 속하거나 또는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에 제공될 때만 가능하다.
몇몇 예시들에서 단열 재료는 예를 들어, 세라믹 내화성 섬유지인 세라믹 재료가 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단열 재료는 생분해성 고성능 세라믹, 무기 섬유질들, 필러들 및 암면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유기 바인더들, 실리카 충전재들 및 유기 바인더들의 조성물이 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예들에서, 상부 다이는 하부 다이와 협력하기 위하여 하부 다이로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심지어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비록 오직 다수의 예시들이 여기에 공개되었지만, 그것의 다른 대안들, 변형들, 사용 및/또는 균등물들이 가능하다. 더욱이, 기술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이 또한 다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뒤따르는 청구범위들의 올바른 이해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부 다이
11: 다이 블록
13: 갭
14: 단열 재료
16: 냉각 채널
17: 전기 히터
18: 온도 센서
20: 블랭크

Claims (11)

  1. 국부적으로 상이한 마이크로구조들과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보론강 구조 부품들의 열간 성형 다이 ??칭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상부 및 하부 결합 다이들을 포함하고, 각 다이는 성형될 상기 구조 부품과 대면하여 사용되는 작업면 및 측면들로 구성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다이 블록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다이들은 국부적으로 상이한 마이크로구조들과 기계적 특성을 갖도록 성형되는 상기 구조 부품의 구역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은 그것들의 상기 측면들 사이의 갭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작업면에 근접한 상기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의 상기 측면들의 단부들은 사용중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성형 다이 ??칭용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블록들의 상기 측면들은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갭 및/또는 상기 리세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단열 재료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재료는 세라믹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재료는 세라믹 페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면에 근접한 상기 단부들에 대항하는, 상기 이웃하는 다이 블록들의 상기 측면들의 상기 단부들도 또한 사용중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 낮은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상기 다이 블록들은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상기 다이 블록들은 상기 다이 블록들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히터들 및 센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상기 히터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과 연관된 열전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단일 열전대 또는 열전대의 그룹과 연관된 상기 히터들은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면에 대항하는 상기 다이 블록들의 표면은 더 높은 온도에서 동작하도록 적용된 상기 다이 블록들에 대응하여 제공된 냉각 시스템을 가지는 냉각판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KR1020177001146A 2014-06-16 2015-06-15 열간 성형 다이 ??칭 KR20170018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82233.6 2014-06-16
EP14382233.6A EP2957361A1 (en) 2014-06-16 2014-06-16 Hot forming die quenching
PCT/EP2015/063372 WO2015193256A1 (en) 2014-06-16 2015-06-15 Hot forming die quenc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934A true KR20170018934A (ko) 2017-02-20

Family

ID=5116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146A KR20170018934A (ko) 2014-06-16 2015-06-15 열간 성형 다이 ??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50668B2 (ko)
EP (2) EP2957361A1 (ko)
JP (1) JP6628746B2 (ko)
KR (1) KR20170018934A (ko)
CN (1) CN106457338B (ko)
ES (1) ES2942324T3 (ko)
WO (1) WO2015193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1674B3 (de) * 2017-02-02 2018-03-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essgehärteten Bauteils sowie Pressform
DE102018205998A1 (de) 2018-04-19 2019-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erkzeug zur Ausführung eines Spritzgieß-, Warmumformungs- oder Druckgussverfahren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Werkzeugs
JP6877619B1 (ja) 2020-09-30 2021-05-26 株式会社ジーテクト 熱間プレス成型用金型、熱間プレス成型用金型の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車体部品の製造方法
TWI798058B (zh) 2022-04-18 2023-04-01 中原大學 包含模具感測器冷卻結構的模具設備
CN117960900A (zh) * 2024-03-27 2024-05-03 无锡朗贤轻量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钢热成形的热成形分段强化工艺与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487A (en) * 1969-01-16 1971-06-15 Arne H Carlson Precision forming of titanium alloys and the like by use of induction heating
US3703093A (en) 1969-11-11 1972-11-21 Aisin Seiki Proces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imultaneous and combined press-forming and heat-treatment of steel stock
DE10162437A1 (de) * 2001-12-19 2003-07-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Umformwerkzeug mit einer formgebenden Gravur zum Herstellen von Werkstücken aus metallischen Werkstoffen, insbesondere Aluminium
US7066000B2 (en) * 2004-03-10 2006-06-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Forming tool apparatus for hot stretch-forming processes
JP2006326620A (ja) * 2005-05-25 2006-12-07 Toa Kogyo Kk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US8381562B2 (en) * 2007-02-06 2013-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al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rapid cool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FR2927828B1 (fr) * 2008-02-26 2011-02-18 Thyssenkrupp Sofedit Procede de formage a partir de flan en materiau trempant avec refroidissement differentiel
JP2011255413A (ja) * 2010-06-11 2011-12-22 Toyoda Iron Works Co Ltd 鋼板の加熱装置、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品
DE102011018850B4 (de) * 2011-04-27 2015-06-25 Gestamp Umformtechnik Gmbh Vorrichtung zum Umformen und partiellen Presshärten eines Werkstücks aus härtbarem Stahlblech
CN102304612B (zh) * 2011-09-20 2013-07-17 山东建筑大学 超高强钢高温拼接淬火成形工艺及装置
CN102873213A (zh) * 2012-10-21 2013-01-16 吉林大学 超高强度钢板局部淬火硬化成形模具
DE102012112334A1 (de) * 2012-12-14 2014-06-18 Manuela Braun Warmumformvorrichtung
CN103233109B (zh) 2013-05-13 2014-08-13 武汉钢铁(集团)公司 高强钢热成形塑性分布控制方法及其装置
CN103464607A (zh) 2013-09-26 2013-12-25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模块化差温成形热冲压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7338B (zh) 2021-06-22
ES2942324T3 (es) 2023-05-31
US20170113260A1 (en) 2017-04-27
EP3154723B1 (en) 2023-01-11
JP2017518187A (ja) 2017-07-06
EP3154723A1 (en) 2017-04-19
JP6628746B2 (ja) 2020-01-15
EP2957361A1 (en) 2015-12-23
CN106457338A (zh) 2017-02-22
WO2015193256A1 (en) 2015-12-23
US10350668B2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8934A (ko) 열간 성형 다이 ??칭
KR101461887B1 (ko) 핫 스탬핑 금형
KR101281740B1 (ko) 엠보스가 형성된 강판의 가압성형방법
CN103534364B (zh) 用于金属板部件的控制热处理的炉系统
JP2013522048A (ja) プレス硬化プラント、及び、鋼板ブランクをプレス硬化する方法
CN102284638A (zh) 钢板加热装置、制造压制成型件的方法和压制成型件
JP2006326620A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CN107107155B (zh) 用于热成型结构部件的工具
CN106457337A (zh) 用于制造热成形构件的方法
CN107530757A (zh) 用于工具的激光烧结模具表面
CN109789467B (zh) 热冲压法以及热冲压系统
JP2017518187A5 (ko)
JP4845813B2 (ja) ダイクエンチ工法におけるプレス加工装置
JP4828267B2 (ja) 熱間プレスによる閉断面形状品の製造方法
WO2012160703A1 (ja) ホットプレス用金型
KR100804963B1 (ko)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의 고온소재 냉각 지연장치
US2014019023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ress-Hardened Molded Part, and Press-Hardening Tool
KR101952231B1 (ko) 모듈형 금형장치
CN109420712B (zh) 一种汽车超高强钢板不等温冷却模具
CN106660097B (zh) 用于制造热成形构件的模具
KR101344963B1 (ko) 두께 가공을 포함하는 핫스탬핑 성형 방법
CN213440817U (zh) 一种橡胶制品制造设备
KR20180113559A (ko) 경화된 스틸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035785B1 (ko) 프레스 경화용 금형의 인서트구조체
KR20150080353A (ko) 핫 스탬핑 소재 가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