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633A -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633A
KR20170018633A KR1020150112509A KR20150112509A KR20170018633A KR 20170018633 A KR20170018633 A KR 20170018633A KR 1020150112509 A KR1020150112509 A KR 1020150112509A KR 20150112509 A KR20150112509 A KR 20150112509A KR 20170018633 A KR20170018633 A KR 2017001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temperature
unit
cast stee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675B1 (ko
Inventor
문상운
이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1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6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6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adjusting the mould size or mould t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은 용강을 주편으로 주조하기 위한 주조부와, 주편의 이동경로 상에 이격 배치되어, 주조 중에 주편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유닛, 온도 측정 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온도 측정 유닛에서 측정된 주편의 온도를 시각화하고,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주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주조 중에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산출 그래프와, 기준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기준 그래프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비교하는 과정, 비교하는 과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편의 변형 발생이 판단되면, 상기 주조의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주조 중에 실시간으로 주편의 폭 및 두께와 형상을 확인할 수 있어, 주편의 변형 발생 판단 및 문제 대응이 용이하여 주조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Casting apparatus and casting method of using it}
본 발명은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조 공정 중 주편의 형상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장치(이하 연주기)는 제강로에서 생산된 용강을 래들(ladle)에 수용한 후 일정량을 턴디쉬(tundish)에 공급하고, 턴디쉬에 수용된 용강을 주형(mold)에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주편으로 연속 생산하는 설비이다.
이와 같은 연주기를 통해 주형 내에서 반 응고된 주편을 연속적으로 주형의 하측으로 인발하여 슬라브(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연속주조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을 수행한다.
이때, 압연 공정을 통해 원하는 크기의 압연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압연기에 특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슬라브의 투입이 요구된다. 즉, 연속 주조 공정 중에 슬라브의 두께나 폭이 변화하면 연주기 내부에서 슬라브의 이송 경로를 벗어나는 조업 사고가 발생하여, 특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슬라브의 투입이 요구된다. 또한, 슬라브 내 미응고 용강의 철정압에 의해 발생하는 단변부 벌징량에 따라서 압연 조건이 달라진다.
이에, 종래에는 연속 주조 공정 이후에 슬라브를 절단하는 절단기를 통과할 때, 슬라브의 이송 장치에 설치된 변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슬라브의 형상 중 두께 및 폭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변위 측정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슬라브의 단변부 벌징량을 측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절단된 슬라브를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작업자가 직접 수동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주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이 감소하며, 결과적으로 조업에 소모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로 야기된다. 또한, 작업자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어 인력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도 야기된다.
JP 2014-36998 A KR 1443278 B1
본 발명은 주조 중에 주편의 폭, 두께 및 벌징량을 측정할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조 중 발생하는 문제에 단시간에 대응할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조 조업의 안전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는 용강이 경유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용강을 주편으로 주조하기 위한 주조부, 상기 주편의 이동경로 상에 이격 배치되어, 주조 중에 상기 주편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유닛, 상기 온도 측정 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온도 측정 유닛에서 측정된 주편의 온도를 시각화하고,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주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편의 형상은 상기 주편의 수치변동, 벌징량 및 어긋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 유닛은 상기 주편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편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주편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측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결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재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측정부재와 상기 주편이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기 및 상기 측정부재를 상기 폭 및 두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산출 그래프와, 미리 산출된 기준 그래프를 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산출 그래프와 상기 기준 그래프를 비교하여, 상기 주편의 변형 발생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그래프는 폭, 두께가 설정범위 내인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그래프화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주편의 폭 및 두께방향의 위치별 온도로 상기 벌징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 연동되어, 상기 산출 그래프와 상기 기준 그래프의 차이별로 상기 용강의 주입 조건, 상기 주조부의 세그먼트 롤 압하 조건 및 상기 주조 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주조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주편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재와 상기 주편 사이에, 상기 측정부재로부터 상기 주편으로 상기 가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스 공급관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은 주조 중에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산출 그래프와, 기준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기준 그래프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하는 과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편의 변형 발생이 판단되면, 상기 주조의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과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의 위치에 따라 판단하며,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으로부터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이 오차범위를 벗어나도록 이격된 경우, 상기 주편의 사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들의 거리와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들의 거리에 따라 판단하며,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 모서리 저짐들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들의 거리가 크거나 작은 경우, 상기 주편의 폭 및 두께 값이 변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편의 벌징량을 판단하며, 상기 주편의 벌징량은 상기 주편의 위치별 온도를 표시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으로부터 최고 온도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으로부터 최고온도 지점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설정한 설정범위를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으로부터 최고온도 지점까지의 거리가 벗어나는 경우, 상기 주편의 벌징량이 변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조의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은 몰드에 주입되는 용강의 주입 위치, 상기 주편을 압하하는 세그먼트 롤의 압력 값 및 상기 주편의 주조 중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에 의하면 주조 중에 실시간으로 주편의 폭 및 두께와 형상을 확인할 수 있어, 주편의 변형 발생 판단 및 문제 대응이 용이하여 주조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주조 중에 주편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상에서, 이동경로를 경유하는 주편의 위치별 표면 온도 그래프를 기준 그래프와 비교하여, 주편의 폭 및 두께 값의 변형 및 주편의 사행 발생을 판단한다. 그리고, 주편의 폭 및 두께 값의 변형 및 사행 발생이 판단되면 주조부의 주조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주조 문제 발생을 실시간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주조 중에 주편의 변형 및 사행 발생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문제가 지속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주편의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주조 조건의 제어가 주조의 중단을 요구하더라도, 문제가 야기된 후 단시간에 주조가 중단되기 때문에 주조 공정의 생산성이 큰 폭으로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주편의 표면 온도 측정을 통해 주편의 단변부에 발생하는 벌징량을 확인할 수 있어, 종래에 작업자가 직접 벌징량을 확인하기 위해 투입되던 문제를 해결하여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한 주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편 변형 요건 및 이의 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주편 폭, 두께 및 벌징량 측정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의한 주편의 폭방향 주편 변형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의한 주편의 두께 방향의 두께 검출 방법을 판단하기 위한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한 주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주편 변형 요건 및 이의 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주편 폭, 두께 및 벌징량 측정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의한 주편의 폭방향 주편 변형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예시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에 의한 주편의 두께 방향의 두께 검출 방법을 판단하기 위한 예시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1)는 용강(M)을 주편(S)로 주조하는 중에 주편(S)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의 온도를 측정하여 주편(S)의 변형을 판단할 수 있는 설비이다. 즉, 주조 설비(1)는 주편(S)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주편(S)의 형상을 파악함으로써, 주조중에 주편(S)의 변형이 발생을 파악 및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주조 설비(1)는 용강(M)이 경유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용강(M)을 주편(S)으로 주조하기 위한 주조부와, 주편(S)의 이동경로 상에 이격 배치되어, 주조 중에 주편(S)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유닛(100), 온도 측정 유닛(100)에 연동되어, 온도 측정 유닛(100)에서 측정된 주편(S)의 온도를 시각화하고, 주편(S)의 형상을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200) 및 데이터 분석부(20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주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편(S)의 형상은 주편의 폭 및 두께와, 주편의 어긋남(사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편(S)의 형상을 통한 주편(S)의 변형으로는 주편(S)의 수치변동 및 주편(S)의 사행 발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주편의 수치 변동은 주편(S)의 폭, 두께 및 벌징량을 포함한다.
주조부는 용융물의 용강(M)을 소정 크기를 갖는 주편(S)으로 주조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용강(M) 및 주편(S)이 경유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주조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차례대로 래들(10), 턴디쉬(20) 및 몰드(30)가 구비되며, 몰드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세그먼트 롤(40)이 배치된다. 즉, 래들(10)을 통해 턴디쉬(20)로 공급된 용강(M)은 턴디쉬(20) 내에서 개재물 분리부상 후 몰드(30)로 주입된다. 이후, 몰드(30)로부터 용강을 인발하면서, 표면이 일부 응고된 슬라브가 주조된다. 이때, 복수의 세그먼트 롤(40)은 슬라브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주편(S)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 배치된다.
온도 측정 유닛(100)는 주편(S)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주편(S)의 폭 및 두께방향의 온도를(즉, 주편(S)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위치별 주편(S)의 온도) 측정한다. 이와 같은 온도 측정 유닛(100)는 주편(S)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주편(S)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에 연결되어 주편(S) 상에 이격 배치되며, 주편(S)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재(136c)를 포함하는 측정부(130) 및 지지부(110) 및 측정부(130)에 연결되어, 지지부(110) 및 측정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즉, 온도 측정 유닛(100)는 주편(S)이 이동하는 경로의 한 위치에서 주편(S)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조되는 주편(S)의 표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지지부(110)는 측정부(130)를 주편(S) 상에 배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주편(S)의 이동방향(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슬라브의 폭방향으로 주편(S)의 양측면에 각각 근접 배치되는 제1 지지체(111)와, 제1 지지체(111)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 지지체(113)를 포함한다.
제1 지지체(111)는 주편(S)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슬라브의 두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1 지지체(111)는 제2 지지체(113)에 후술하는 측정부(130)가 연결될 때, 측정부(130)의 하단부와 주편(S) 사이에 공간이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체(113)는 제1 지지체(111)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측정부(130)가 슬라브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다. 즉, 제2 지지체(113)는 슬라브의 폭방향으로 측정부(130)가 이동하여야 하는 폭만큼 연장 형성되어 제1 지지체(111)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지지부(110)에 연결되어 주편(S) 상에 배치되는 구성이며, 주편(S)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부재(136c)를 포함한다. 또한, 측정부(130)는 지지부(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결되는 연결체(132)와, 연결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측정부재(136c)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5) 및 주편(S)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 하우징(135)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135)을 포함한다.
연결체(132)는 지지부(110)와 하우징(135) 사이에서 지지부(110)와 하우징(135)을 연결하여 하우징(135)이 주편(S)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2 지지체(11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체(132)는 폭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연결체(132)는 T자 형상을 포함하며 제2 지지체(1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체(132)는 내부가 뚫린 관과 같은 구조를 가져 측정부재(136c)의 이동을 위한 구성들이 연결체(132)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가스 공급부(170)로부터 하우징(135) 내부로 가스의 공급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35)은 연결체(132)의 하단에 연결되며, 측정부재(136c)가 수용 가능한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135)은 측정부재(136c) 및 측정부재(136c)에 연결되는 기타 구성들이 주편(S)에서 발생하는 고온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35)은 고온에 의해 변형이 되지 않으며 방열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재(136c)는 주편(S)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35) 내부에 배치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주편(S) 표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주편(S)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재(136c)는 비접촉식 온도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방사형 온도계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주편(S)은 고온을 띄고 있어 측정부재(136c)가 접촉식으로 주편(S)의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면 측정부재(136c)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으며, 주편(S)의 이동 중에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때문에 접촉식 온도계를 이용하여 주편(S)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열방사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방사형 온도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측정부재(136c)는 주편(S)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주편(S)의 폭방향으로의 측면과 상면을 마주보도록 이동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주편(S)와 마주보지 않는 측정부재(136c)의 일단은 회전판(136b)에 연결되고 회전판(136b)은 구동축(136a)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축(136a)은 후술하는 구동부(150)에 연결되어 측정부재(136c)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하우징(135)에는 측정부재(136c)가 주편(S)을 마주보기 위해 배치되는 위치에 관통홀(135)이 형성된다. 즉, 도 2의 (b)를 참조하면, 주편(S)의 표면과 측정부재(136c)가 주편(S)을 마주보는 위치에 하우징(135)을 관통하는 관통홀(135)이 형성된다. 이는, 하우징(135) 내의 측정부재(136c)가 주편(S)을 바라보면서 온도를 측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측정부재(136c)와 주편(S)의 사이를 하우징(135)이 차단하고 있으면 측정부재(136c)가 측정한 온도가 하우징(135)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주편(S)의 온도 측정 결과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측정부재(136c)가 측정하여야 하는 주편(S)의 표면(즉, 폭방향으로의 슬라브의 측면 또는 슬라브의 상면)을 측정부재(136c)가 마주보는 위치인 3개의 위치에 관통홀(13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관통홀(135)이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으나, 하우징(135) 내에서 측정부재(136c)가 마주보는 영역, 즉, 슬라브의 길이방향으로의 하우징(135)의 폭 중 측정부재(136c)가 배치되는 영역만큼은 투명한 투명창으로 형성하여 하우징(135)이 금속 재질 및 투명창의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하우징(135)은 측정부재(136c)가 고온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과, 측정부재(136c)와 주편(S) 사이를 차단하지 않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지지부(110) 및 측정부(130)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지지부(110)를 주편(S)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1 구동기(152) 및 측정부재(136c)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기(154)를 포함한다.
제1 구동기(152)는 지지부(11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지지체(111)를 슬라브의 두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거나, 제2 지지체(113)를 주편(S)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기(152)는 측정부(130)가 주편(S)의 폭방향으로의 측면 및 상면과 마주보면서 왕복 이동함으로써, 주편(S)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구동기(154)는 측정부재(136c)를 주편(S)의 폭방향으로의 측면 및 상면과 마주보도록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측정부(130)의 구동축(136a)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판(136b)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판(136b)에 연결된 측정부재(136c)를 측정하고자 하는 주편(S)의 표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홀(135)이 형성된 지점에는 관통홀(135)로부터 주편(S) 표면 쪽으로 연장 형성된 가스 공급관(138)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체(132)에는 가스 공급관(138)으로 가스(G)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170)가 연결될 수 있다.
가스 공급부(170)는 측정부(130)가 주편(S)의 온도를 측정할 때에 주편(S)쪽으로 가스(G)를 분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연결체(132)에 연결되어, 연결체(132) 내부의 공간을 통해 하우징(135)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하우징(135)으로부터 주편(S) 표면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가스(G)는 관통홀(135)을 통해 주편(S) 표면으로 분사되는데, 관통홀(135)에는 가스(G)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스 공급관(138)이 구비된다. 여기서, 가스 공급관(138)은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지며, 가스 공급관(138)이 관통홀(135)에 연결됨으로써, 가스 공급관(138)을 통해 가스(G)가 주편(S)의 특정위치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즉, 측정부재(136c)를 이용하여 주편(S)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때에, 주편(S)에서는 냉각에 의해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된 상태이다. 이에, 가스(G)는 측정부재(136c)를 통해 주편(S)의 정확한 온도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측정부재(136c)가 마주보는 주편(S)의 표면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측정 유닛(100)는 세그먼트 롤(40)이 형성하는 주편(S)의 이동 경로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전단으로부터 60 내지 80% 범위로 이격된 위치에서 주편(S)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온도 측정 유닛(100)가 세그먼트 롤(40)이 형성하는 주편(S)의 이동 경로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전단으로부터 60% 미만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엔 세그먼트 롤(40)을 통과하는 주편(S)의 응고의 진행이 미비한 상태여서 주편(S)의 온도가 너무 높아 온도 측정 유닛(100)의 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한편, 온도 측정 유닛(100)가 세그먼트 롤(40)이 형성하는 주편(S)의 이동 경로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전단으로부터 80%를 초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엔 후술하는 데이터 분석부(200)에서 주편(S)의 변형을 판단하고 제어부(300)를 통해 주조 조건을 변경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변형이 발생된 상태로 용강의 주조가 완료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측정 유닛(100)는 상기 범위의 위치에서 주편(S)의 폭 및 두께방향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00)는 온도 측정 유닛(100)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주편(S)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산출 그래프(이하, 산출 그래프)와, 미리 산출된 기준 그래프(이하, 기준 그래프)를 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210)와, 산출 그래프와 기준 그래프를 비교하여 주편(S)의 변형 발생을 판단하는 판단부(230)를 포함한다. 즉, 데이터 분석부(200)는 주조 중 측정부(13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획득되는 산출 그래프를 기준 그래프와 비교하여 주조 중 주편(S)의 변형이 발생하는 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그래프는 폭 두께가 설정범위 내인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그래프화 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주편의 폭 및 두께의 설정범위 값을 갖는 주편이 주조될 때에 측정한 주편의 위치별 온도를 산출한 그래프이다. 이때, 기준 그래프를 기준으로 주편의 형상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측정부재(136c)가 주편(S)의 모서리로 가까이 갈수록 온도가 급격히 하락하며, 온도가 하락하다가 급격히 상승하는 구간은 측정부재(136c)가 벌징구간을 지나갈 때를 의미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주편(S)을 기준으로 표면온도 그래프를 살펴볼 때, X축은 주편의 위치를 나타내며, L1선을 기준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온도가 표면 온도 값이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P1 지점의 온도는 표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기 전 최저 온도에 도달한 시점인데, 이는 주편(S)의 모서리와 동일 지점이다. 이후, 주편(S)의 단변부에 형성될 수 있는 벌징에 의해 측정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며, P2 지점에 도달하였을 때는 주편(S)을 벗어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표면온도가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210)는 전술한 기준 그래프와, 주조 중에 실시간으로 온도가 측정되어 산출되는 산출 그래프가 표시되는 구성으로, 측정부(130)로부터 온도 값을 전달받아 화면 상에 온도를 그래프로 시각화한다. 이때, 표시부(210)에는 기준 그래프와, 산출 그래프가 중첩되어 표시된다. 이에, 표시부(210)의 화면 상에는 다수개의 온도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부(210)에는 측정시간이 증가할수록 중첩된 그래프의 개수가 증가하며 다수개의 그래프가 일 화면상에 모두 표시된다.
판단부(230)는 표시부(210)에 표시된 다수개의 그래프를 통해서 주조 중 주편(S)의 변형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표시부(210)에 표시된 그래프들 간의 비교를 통해서 주편(S)의 폭 변동 발생 및 주조 중 주편(S)의 휘어짐 발생을 포함하는 변형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230)는 기준 그래프를 통해 얻어진 주편(S)의 폭 및 두께 값을 기준으로, 폭 및 두께 값의 오차 범위 내에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주편(S)의 온도 그래프를 통해 얻어진 주편(S)의 폭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주편(S)의 폭 변동 발생을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230)는 기준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주편(S)의 모서리 지점을 기준으로, 모서리 저점의 오차 범위 내에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주편(S)의 온도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주편(S) 모서리 지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주조 중 주편(S)의 사행이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 및 두께 값의 오차범위나 모서리 지점의 오차 범위는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일 화면상이 일정 거리를 갖도록 분할된 좌표화면을 나타내는 경우, 기 표시된 온도 그래프가 표시된 좌표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5% 이내의 범위를 오차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판단부(230)를 통한 주편(S) 변형 판단 방법은 후술하는 주조 방법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00)는 데이터 분석부(20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변형이 발생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주조부의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한다. 즉, 제어부(300)는 주편(S)의 폭 및 두께 값의 변형 발생 판단 결과를 전달받은 경우, 주조부에 포함되는 세그먼트 롤(40) 주조조건, 예컨대, 압하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주편(S)이 휘어진 상태로 주조되고 있다고 판단 결과를 전달받은 경우, 주조부에 포함되는 세그먼트 롤(40)의 주조조건 및 몰드(30)로의 용강(M)의 주입 조건을 변경하여 주편(S)이 사행되는 문제를 실시간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에 의한 제어 방법은 후술하는 주조 방법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한 주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은 주조 중 주편(S)의 폭 및 두께 방향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주편(S)의 변형을 판단 및 판단결과에 따른 주조조건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주조 중에 위치별 슬라브의 폭 및 두께 방향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표시부(210)에 표시된 상기 위치별 슬라브의 폭 및 두께 방향의 온도를 표시부(210)에 기 표시된 위치별 슬라브의 폭 및 두께 방향의 온도와 비교하는 과정, 비교 결과에 따라 주편(S)의 변형 발생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판단하는 과정에서 주편(S)의 변형 발생이 판단되면, 주편(S)의 주조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우선, 전로 정련 및 2차 정련 설비를 거친 용강(M)이 수용된 래들(10)이 주조 설비(1)로 이송되면, 래들(10)로부터 턴디쉬(20)로 용강을 공급하여 개제물의 분리부상이 이루어지고, 턴디쉬(20)로부터 몰드(30)로 용강(M)을 공급하여 주조를 시작한다(S100). 이때, 주조는 용강(M)이 몰드(30)의 하부로 인발되면서 소정 형태의 주편(S)이 되며, 주편(S)은 복수개의 세그먼트 롤(40)이 형성하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세그먼트 롤(40)에 의해 압하되면서 주조가 진행된다.
주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세그먼트 롤(40)이 형성하는 이동경로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몰드(30)로부터 60 내지 80% 이격된 위치에서 위치별 슬라브 폭 및 두께 방향의 온도를 측정한다(S200). 즉, 복수개의 세그먼트 롤(40) 사이에 배치되는 측정부(130)를 통해 주조되는 주편(S)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부(130)는 주편(S)의 폭 방향으로의 표면온도와 두께 방향으로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며, 이는 폭방향으로의 주편(S)의 측면과 두께 방향으로의 상면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주편(S)의 상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측정부재(136c)의 단부가 주편(S)와 직각으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측정부재(136c)를 주편(S)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주편(S)의 상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편(S)의 측면을 측정할 때에는 제1 지지체(11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지지체(113)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측정부재(136c)가 주편(S)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하고, 제2 구동기(154)는 측정부재(136c)를 회전시켜 주편(S)의 측면과 측정부재(136c)의 단부가 직각을 형성하며 배치되도록 한다.
이처럼, 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위치별 주편(S)의 폭 및 두께 방향의 온도(X2)들 그래프화하여 표시부(210)에 표시한다(S300). 즉, 표시부(210)에는 측정부(130)가 측정된 주편(S)의 위치별 표면온도 값이 그래프로 표시된다. 이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브 위치에 따른 표면 온도 값들이 연결되어 그래프화 되면서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측정된 위치별 주편(S)의 폭 및 두께 방향의 온도(X2)들로 그래프화 된 그래프는 표시부(210)에 기 표시된 슬라브 위치별 슬라브 폭 및 두께방향 온도(X1)들로 그래프화 된 그래프와 비교된다(S400). 여기서, 표시부(210)에 기 표시된 그래프는 앞서 한번 설명한 것처럼, 주조 중 주편(S)의 변형 및 사행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적인 주조 상태에서의 주편(S)의 표면 온도 측정 값들로 이루어진 그래프이다. 기 표시된 그래프를 기준으로 측정된 주편(S)의 표면 온도 측정 값들로 이루어진 그래프를 비교하면 도 6의 (a)와 같이 측정시간에 따라서 이격된 다수개의 그래프들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표시부(210)에 표시된 그래프를 통해 주편(S)의 형상, 두께 및 폭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주편(S)의 위치별로 온도가 측정되기 때문에 주편(S)의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표면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즉, 도 6의 (a)에서 L1 라인을 기준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모서리 지점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응고 및 냉각이 가장 빨리 이루어지는 모서리와 근접한 영역으로 가면서 주편(S)의 온도가 점차 낮아지는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모서리 지점인 P1 및 P3 지점을 기준으로 P1 및 P3 사이의 폭 값이 주편(S)의 폭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주편(S)의 두께를 확인하는 방법은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처럼, 주편(S)의 측면의 온도를 측정하면 단변부의 벌징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되는데, 벌징의 온도는 주편(S)의 모서리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그래프상에서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기 전 위치가 주편(S)의 단변부 모서리일 수 있으며, 이에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기 전 두 위치 사이의 값이 주편(S)의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측정부재(136c)로 주편(S)의 온도를 측정하여 주편(S)의 모서리의 위치와, 폭 및 두께를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슬라브의 형상을 유추할 수 있다.
표시부(210)에 기 표시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와 측정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를 기준으로 판단부(230)는 주편(S)의 변형을 판단한다(S500). 이를 도 6의 (a)에 도시된 표시부(210)에서의 D1 및 D2의 확대부분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6의 (b)과 같이 측정부(130)의 측정시간 증가에 따른 복수개의 그래프들의 모서리 지점이 기 표시된 그래프의 슬라브 모서리 저짐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거나, 육안으로 확인 불가능할 정도의 거리로 이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부(130)를 거쳐가는 주편(S)의 모서리 지점이 동일 선상에 있는 것이 확인되면, 측정 슬라프 폭(Sw)을 기준으로 주편(S)의 폭의 변화가 주편(S)의 변형이 야기될 정도로 발생하지 않아 정상적인 주조 상태의 경우(C1)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c)와 같이 표시부(210)에 기 표시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와 측정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를 살펴볼 때, 기 표시된 주편(S) 온도 그래프를 통해 도출된 측정 슬라브의 폭(Sw)을 기준으로 측정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를 통해 도출된 측정 슬라브의 폭이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측정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에서의 주편(S)의 모서리 지점이 기 표시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에서의 주편(S)의 모서리 지점보다 큰 폭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는 주조 중에 주편(S)의 폭이 증가되는 변형이 발생한 경우(C2)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d)의 D1 및 D2 영역 확대 그래프를 살펴보면, 기 표시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를 통해 도출된 측정 슬라브의 모서리 지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를 통해 도출된 슬라브의 모서리 지점이 오른쪽으로 시프트 되어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측정된 주편(S)의 모서리 지점이 기 표시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에서의 주편(S)의 모서리 지점보다 오른쪽으로 큰 값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는 주조 중에 주편(S)의 사행이 발생한 경우(C3)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도 6의 (b)와 같이, 주조 중에 슬라브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주조부의 주조 조건을 변경하지 않고 주조를 완료하고(S600), 제조된 주편(S)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도 6의 (c)와 같이 주조 중에 주편(S)의 폭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C2)에는 판단부(230)는 제어부(300)로 주편(S)의 폭이 증가되었거나 감소되었다는 판단 결과를 전달하고, 제어부(300)는 주편(S)의 폭이 증가되는 변형이 발생한 경우, 주편(S)을 압하하는 세그먼트 롤(40)의 압력을 조절하여 주편(S)의 폭이 기 표시된 주편(S)의 온도 그래프의 폭으로 다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d)와 같이 주조 중에 주편(S)의 사행이 발생한 경우(C3)에는 판단부(230)는 제어부(300)로 주편(S)의 사행이 발생한 판단 결과를 전달하고, 제어부(300)는 주편(S)의 사행이 발생하지 않도록, 몰드(30)에 주입되는 용강의 주입 위치를 변경하거나, 슬라브의 폭방향으로의 세그먼트 롤(40)의 위치별 압력 값을 조절하여 주편(S)의 상면에 균일한 압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주편(S)의 사행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주편(S)의 변형이 발생된 경우에는 주편(S)의 변형을 조정할 수 있는 주조 조건을 변경하여(S550) 주조를 진행한 뒤 주조를 완료한다(S600).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M : 용강 S : 슬라브
SB : 벌징 1 : 주조 설비
10 : 래들 20 : 턴디쉬
30 : 몰드 40 : 세그먼트 롤
100 : 온도 측정 유닛 110 : 지지부
130 : 측정부 134 : 하우징
135 : 관통홀 136c : 측정 부재
137 : 가스 공급관 200 : 데이터 분석부
210 : 표시부 230 : 판단부
300 : 제어부

Claims (16)

  1. 용강이 경유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용강을 주편으로 주조하기 위한 주조부;
    상기 주편의 이동경로 상에 이격 배치되어, 주조 중에 상기 주편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유닛;
    상기 온도 측정 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온도 측정 유닛에서 측정된 주편의 온도를 시각화하고,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주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형상은 상기 주편의 수치 및 어긋남을 포함하는 주조 설비.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유닛은
    상기 주편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주편 상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주편의 폭 및 두께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측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연결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재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측정부재와 상기 주편이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주조 설비.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기; 및
    상기 측정부재를 상기 폭 및 두께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기;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
  6.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산출 그래프와, 미리 산출된 기준 그래프를 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산출 그래프와 상기 기준 그래프를 비교하여, 상기 주편의 변형 발생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주조 설비.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기준 그래프는 폭, 두께가 설정범위 내인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그래프화한 것인 주조 설비.
  8.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주편의 폭 및 두께방향의 위치별 온도로 상기 벌징량을 판단하는 주조 설비.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 연동되어, 상기 산출 그래프와 상기 기준 그래프의 차이별로 상기 용강의 주입 조건, 상기 주조부의 세그먼트 롤 압하 조건 및 상기 주조 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주조 조건을 변경하는 주조 설비.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주편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재와 상기 주편 사이에, 상기 측정부재로부터 상기 주편으로 상기 가스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스 공급관이 배치되는 주조 설비.
  11. 주조 중에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산출 그래프와, 기준 주편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의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기준 그래프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하는 과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편의 변형 발생이 판단되면, 상기 주조의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주조 방법.
  12.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과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의 위치에 따라 판단하며,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으로부터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이 오차범위를 벗어나도록 이격된 경우, 상기 주편의 사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주조 방법.
  13.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들의 거리와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들의 거리에 따라 판단하며,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 모서리 저짐들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들의 거리가 크거나 작은 경우, 상기 주편의 폭 및 두께 값이 변동된 것으로 판단하는 주조 방법.
  14.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형상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편의 벌징량을 판단하며,
    상기 주편의 벌징량은 상기 주편의 위치별 온도를 표시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으로부터 최고 온도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판단하는 주조 방법.
  15.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기준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으로부터 최고온도 지점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설정한 설정범위를 상기 산출 그래프에서의 주편의 모서리 지점으로부터 최고온도 지점까지의 거리가 벗어나는 경우, 상기 주편의 벌징량이 변동된 것으로 판단하는 주조 방법.
  16.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주조의 조건을 제어하는 과정은
    몰드에 주입되는 용강의 주입 위치, 상기 주편을 압하하는 세그먼트 롤의 압력 값 및 상기 주편의 주조 중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주조 방법.
KR1020150112509A 2015-08-10 2015-08-10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10176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09A KR101766675B1 (ko) 2015-08-10 2015-08-10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509A KR101766675B1 (ko) 2015-08-10 2015-08-10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33A true KR20170018633A (ko) 2017-02-20
KR101766675B1 KR101766675B1 (ko) 2017-08-09

Family

ID=5826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509A KR101766675B1 (ko) 2015-08-10 2015-08-10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5035A (zh) * 2019-08-05 2019-10-1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板坯连铸机扇形段底座安装用测量装置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6998A (ja) 2012-08-20 2014-02-27 Jfe Steel Corp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KR101443278B1 (ko) 2012-08-23 2014-09-19 주식회사 포스코 벌징 감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벌징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6998A (ja) 2012-08-20 2014-02-27 Jfe Steel Corp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KR101443278B1 (ko) 2012-08-23 2014-09-19 주식회사 포스코 벌징 감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벌징 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5035A (zh) * 2019-08-05 2019-10-1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板坯连铸机扇形段底座安装用测量装置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675B1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7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solidification point
US3358743A (en) Continuous casting system
KR101257472B1 (ko)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JP5154997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
JP6036659B2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ロール開度管理方法
KR101766675B1 (ko)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CA2663899C (en) Method of continuously casting a metal strand
JP4935383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20180014367A (ko) 연속주조 이상 예측 장치
KR101701325B1 (ko) 주조 방법 및 주조 장치
KR101159602B1 (ko) 턴디쉬의 온도 측정 장치
JP6160578B2 (ja) 連続鋳造片の表面割れ判定方法
KR101500102B1 (ko)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의 에지댐 마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33685A (ko) 연속주조장치의 벤더 롤 갭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57901A (ko)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44421A (ko)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629754B1 (ko) 에저롤 영점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16215236A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方法、ブレークアウト防止方法、凝固シェル厚の測定方法、ブレークアウト予知装置およびブレークアウト防止装置
KR100472531B1 (ko) 연속주조설비중 구동롤의 압하 제어방법
KR101755402B1 (ko) 탕면 가시화 장치
US20180161861A1 (e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2019126811A (ja) 鋳片の中心固相率の測定方法
KR102626307B1 (ko) 세그먼트 롤 레벨 측정장치
KR20120122087A (ko) 몰드 코팅층의 결함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159613B1 (ko) 연속주조 주형의 테이퍼 판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