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599A -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 Google Patents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599A
KR20170018599A KR1020150112433A KR20150112433A KR20170018599A KR 20170018599 A KR20170018599 A KR 20170018599A KR 1020150112433 A KR1020150112433 A KR 1020150112433A KR 20150112433 A KR20150112433 A KR 20150112433A KR 20170018599 A KR20170018599 A KR 20170018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water jet
excavator
water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426B1 (ko
Inventor
김경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to KR102015011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4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47/00Machines for obtaining or the removal of materials in open-pit mines
    • E21C47/10Machines for obtaining or the removal of materials in open-pit mines for quarrying stone, sand, gravel, or 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25/00Cutting machines, i.e. for making slits approximately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seam
    • E21C25/60Slitting by jets of water or other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not provided for in groups E21C25/00 - E21C33/00, E21C37/00 or E21C39/00
    • E21C35/18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7/00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 E21C37/04Other methods or devices for dislodging with or without loading by devices with parts pressed mechanically against the wall of a borehole or a sl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굴착기의 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굴착장치와; 일단은 상기 굴착기의 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굴착장치에 연결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굴착장치를 회전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굴착장치는 상기 굴착기 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4개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하며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복수의 할암기와,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할암기측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할암기를 회전 구동하는 4개의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굴착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할암기와 구동장치 작동을 통해 암반을 천공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천공된 암반을 할암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하고, 굴착장치의 할암기에 구비된 할암시스템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시켜 암반을 천공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Rock excavator and method of rock excavation}
본 발명은 암반 굴착기 및 이를 이용한 암반 굴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작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굴착기에는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굴착기에 설치된 고유의 버킷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부가적인 작업기(option attachment)를 설치함으로써 굴착기의 용도를 다양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옵션작업기는 굴착기 선단의 암에 체결용 핀과 속공 클램프에 의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암반 굴착방식은 발파방식, 파워 브레이커(Power breaker)를 사용하는 기계식 천공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파방식은 매우 큰 소음, 진동, 분진 등을 유발하여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특히 도심지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이때, 도심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굴착방식은 파워 브레이커공법으로 수압브레이커를 굴착기에 장착하여 굴착면에 치젤을 타격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방법으로 굴착된 암석을 2차 소할 하는데도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소음과 충격진동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민원을 유발하여 시가지의 장기적인 작업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종래의 암반 굴착방식들은 암반의 천공, 할암 및 상차 등을 각기 다른 장비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자유면이 없는 경우 할암작업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17939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14793
본 발명은 굴착장치의 할암기에 구비된 워터젯천공부와 할암부에 의해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암반 굴착기로 암반의 천공, 할암 및 암반의 상차 등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편의성, 경제성이 우수한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축에 구비된 할암기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암반의 형상, 위치 등에 관계없이 쉽게 굴착할 수 있는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할암부하우징의 외면쪽에 복수의 실린더 피스톤을 구비함으로써, 할암된 암반의 이송시 할암시스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할암시스템의 워터젯천공부가 워터젯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암반을 천공하고, 고압수의 반력으로 워터젯천공부가 회전함과 동시에 드릴비트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되게 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우수한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노즐을 구비함으로써, 암반의 할암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젯노즐로부터 고압수 분사가 가능한 초고압수파워팩(UHP<Ultra High Pressure water jet> Power pack)을 구비함으로써, 신속한 암반 굴착이 가능한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젯하우징에 구비된 워터젯노즐 및 각 할암부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노즐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함으로써, 굴착할 암반의 형상, 굴착 방향, 자유면의 유무 등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암반을 굴착할 수 있는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단계에서 이송시스템을 전방과 후방으로 미소하게 진동시키면서(충격을 가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여 암반을 신속하게 천공할 수 있는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굴착기의 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굴착장치와; 일단은 상기 굴착기의 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굴착장치에 연결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굴착장치를 회전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굴착장치는 상기 굴착기 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4개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하며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복수의 할암기와,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할암기측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할암기를 회전 구동하는 4개의 제2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암기는 상기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외측으로 10도에서 내측으로 60도까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외측으로 5도에서 내측으로 50도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외측으로 3도에서 내측으로 4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암기는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하는 할암시스템과, 상기 할암시스템을 이송시키는 이송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할암시스템은 천공된 암반을 할암하는 할암부와, 상기 할암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고압수를 분사하여 암반을 천공하는 워터젯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시스템은 상기 할암시스템을 유압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젯천공부는 상기 할암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워터젯하우징과, 상기 워터젯하우징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워터젯노즐 및 복수의 드릴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젯하우징은 전방의 직경선상에 형성되는 전방유로와, 상기 전방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워터젯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워터젯노즐은 상기 워터젯하우징의 중심축의 양쪽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방유로 상에 구비되며, 그 분사방향은 상기 워터젯하우징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20 내지 70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도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워터젯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암반이 천공되면서 고압수의 반력으로 워터젯천공부가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드릴비트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암부는 할암부하우징과, 상기 할암부하우징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후측면유로와, 상기 할암부하우징의 외면쪽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구비되는 복수의 실린더와, 상기 복수의 실린더 각각에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유압에 의해 상기 할암부하우징의 외면으로 압출됨으로써 암반이 할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암부하우징은 측면에 형성된 후측면유로의 전방쪽에 고압수를 측면 방향으로 분사하는 측면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암부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후측면유로 또는 상기 할암부하우징이 내부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워터젯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젯천공부는 상기 할암부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워터젯라인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전방에 구비되어 고압수 누수를 방지하는 부시와, 상기 회전축 둘레 측면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착기는 고압수를 발생시키는 초고압수파워팩(UHP<Ultra High Pressure water jet> Power pack)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초고압수파워팩은 상기 워터젯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워터젯하우징에 구비된 워터젯노즐 및 각 할암부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노즐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굴착장치를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 상에 거치하는 거치단계와; 상기 제2구동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각 할암기를 소정의 각도로 위치시키는 각도조정단계; 상기 이송시스템을 전방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워터젯노즐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각 할암기가 암반을 천공해 들어가는 천공단계; 상기 할암부의 피스톤을 압출시켜 암반을 할암하는 할암단계; 상기 굴착기를 작동시켜 상기 할암된 암반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제2구동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할암된 암반을 적치하거나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단계에서 상기 이송시스템으로 상기 할암시스템을 전방과 후방으로 미소하게 진동시키면서 전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워터젯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천공되지 않은 미천공 암반이 충격에 의해 잘 천공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단계에서 측면노즐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할암될 방향으로 암석을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굴착장치의 할암기에 구비된 워터젯천공부와 할암부에 의해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암반 굴착기로 암반의 천공, 할암 및 암반의 상차 등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편의성,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축에 구비된 할암기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암반의 형상, 위치 등에 관계없이 쉽게 굴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할암부하우징의 외면쪽에 복수의 실린더 피스톤을 구비함으로써, 할암된 암반의 이송시 할암시스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할암시스템의 워터젯천공부가 워터젯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암반을 천공하고, 고압수의 반력으로 워터젯천공부가 회전함과 동시에 드릴비트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되게 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노즐을 구비함으로써, 암반의 할암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젯노즐로부터 고압수 분사가 가능한 초고압수파워팩(UHP<Ultra High Pressure water jet> Power pack)을 구비함으로써, 신속한 암반 굴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젯하우징에 구비된 워터젯노즐 및 각 할암부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노즐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함으로써, 굴착할 암반의 형상, 굴착 방향, 자유면의 유무 등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암반을 굴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단계에서 이송시스템을 전방과 후방으로 미소하게 진동시키면서(충격을 가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여 암반을 신속하게 잘 굴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반 굴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암반 굴착기의 굴착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암반 굴착기의 할암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c는 도 3의 AA', BB', CC'의 단면도로써 할암부하우징(151)의 측면에 유로가 형성된 경우임
도 5a~c는 도 3의 AA', BB', DD'의 단면도로써 할암부하우징(151)의 내측에 유로가 형성된 경우임
도 6은 본 발명의 암반 굴착기의 워터젯천공부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암반 굴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a~c은 본 발명의 암반 굴착 방법에서 자유면이 없는 경우의 암반 굴착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암반 굴착 방법에서 자유면이 있는 경우의 암반 굴착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접속" 또는 "구비"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접속 또는 구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접속" 또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암반 굴착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기(10)의 암(11)의 단부에 굴착장치(100)가 구비되고, 굴착기(10)의 암(11)과 굴착장치(100) 사이에는 굴착장치(10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장치(101)가 구비된다. 또한, 굴착장치(100)는 회전 가능한 중심축(110)과, 이 중심축(110) 주위에 복수 개의 할암기(120)가 설치되고, 중심축(110)과 할암기(120) 사이에는 할암기(120)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2구동장치(130)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장치(100)는 굴착기(10)의 암(11)의 단부에 결합되어 암(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구동장치(101)는 유압에 의해 굴착장치(100)를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일단은 굴착기(10)의 암(11)에 연결되고, 타단은 굴착장치(100)의 중심축(110)의 상측에 연결된다. 이 제1구동장치(101)는 도면과 달리 암(11)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1구동장치(101)는 그 작동에 의해 굴착장치(100)를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상에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장치(100)는 암(1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축(110)과, 중심축(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할암기(120)와, 중심축(110)과 할암기(120)에 연결되어 할암기(120)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2구동장치(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심축(110)은 연결핀(111)을 통해 굴착기(10)의 암(11)의 단부에 연결되며, 중심축(110)은 상단이 제1구동장치(101)와 연결되어 제1구동장치(101)의 작동을 통해 암(11)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한다. 여기서 암(11)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한다는 의미는 암(11)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회전한다는 의미이고, 다시 말하면 중심축(110)은 회전 전후 모두 암(11)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게된다는 의미이다.
할암기(120)는 중심축(110)의 둘레에 120도 간격으로 3개 구비되거나, 90도 간격으로 4개 구비되거나, 또는 그 이상도 가능하며, 각각의 할암기(120)는 중심축(110)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하고,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암반을 천공하게된다. 여기서 전후방향에서의 전방은 할암기(120) 관점에서 그 단부 즉, 후술하는 워터젯천공부(142) 쪽을 지칭한다.
이하 4개의 할암기(120)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2구동장치(130)는 4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제2구동장치(130)의 일단은 중심축(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4개의 할암기(120) 각각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할암기(120)를 천공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천공 및 할암된 암반을 이송한 후에는 할암기(120)를 회전 구동하여 즉, 할암기(120)의 전방을 벌려서 암반을 적치하거나 적재하게 된다.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 8a, 도 8b도 함께 고려하여 굴착장치(100)로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하는 과정을 간단히 먼저 설명한다. 도 8a와 같이 굴착장치(100)를 암반에 거치하고, 할암기(120)의 이송시스템(150)을 작동하여 4개의 할암시스템(140)을 전진시키면서 동시에 할암시스템(140)의 전방에 위치하는 워터젯노즐(144)로 고압수를 분사하면 4개의 할암시스템(140)이 도 8b와 같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암반을 천공해 들어가게된다(천공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8b를 고려하면, 4개의 할암시스템(140)이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정사각뿔형상으로 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럴필요는 없다. 즉 4개의 할암기(120)는 중심축(110)으로부터의 설치 거리를 달리함으로써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천공하는 각도도 각기 달리하여 천공할 수도 있다. 암반을 천공한 후 할암시스템(140)의 후부에 해당하는 할암부(141)에 구비된 피스톤(154)을 압출하면 내면쪽(중심축쪽)으로 4개의 할암부(141)가 작동하게 되고, 이들의 합력에 의해 머리 잘린 사각뿔 형상으로 암반이 할암되며, 이 할암된 암반을 들어올려 적재 또는 적치하게된다. 도 8b의 아래쪽 도면에서 큰 사각형 점선은 암반 표면상의 할암선이고 내측의 작은 사각형 점선은 암반의 아래쪽의 할암선이다. 즉 4개의 할암시스템(140)이 중심쪽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이들의 힘의 합력은 상측 즉, 중심축(110)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때 암반의 할암선은 각 할암시스템(140)의 좌우방향으로 진행하여 인접한 할암선이 서로 만나게됨으로써 머리잘린 사각뿔 형상으로 암석이 할암된다. 실제에 있어서는 암석의 상태 등에 따라 할암선은 다소 방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형상은 도 8b의 아래쪽 도면과 같은 머리잘린 역사각추 형상으로 할암된다.
이와 같이 4개의 할암시스템(140)을 사각추 형상으로 위치시켜 천공 및 할암하는 경우 표면외에 자유면이 없은 평탄한 암반에서도 암반의 천공 및 할암 작업이 가능하게된다. 또한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한 후, 할암기(120)를 이동하여 암반을 적치하고자 할 때 할암기(120)의 전방을 벌려 암반을 내려놓게되는데 이를 위해서 할암기(120)는 적어도 중심축(110)과 나란한 방향 또는 그 이상으로 벌어져야 한다. 따라서 할암기(120)의 회전은 중심축(110)과 나란한 방향에서 외측으로 10도에서 내측으로 6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고(여기서 외측은 중심축에서 먼쪽, 내측은 중심축쪽을 지칭한다), 바람직 하게는 외측으로 5도에서 내측으로 50도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3도에서 내측으로 4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내측으로의 회전각은 측면에 자유면이 없는 경우의 암반의 할암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외측으로의 회전은 천공 및 할암된 암반을 쉽게 내려놓기 위함이다. 내측으로의 회전각을 크게하면 할암은 잘 되나 할암되는 암반의 양이 적게되고, 내측으로의 회전각을 적게하면 할암은 어려워지나 할암되는 암반의 양은 많아지게 된다. 또한 외측으로의 회전각은 크게하면 암반을 내려놓기가 좋고, 외측으로의 회전각을 작게하면 암반을 내려놓기가 어렵게된다. 이때 할암기(120)를 외측으로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이송시스템(150)을 이용하여 할암시스템(140)을 후진시켜 암반을 내려 놓을 수도 있고, 또한 할암기(120)를 중심축(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즉, 외측으로 0도로 하더라도 암반의 무게에 의해 암반을 내려 놓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다시, 할암기(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할암기(120)는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하는 할암시스템(140)과, 할암시스템(140)을 유압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시스템(150)을 포함하며, 이송시스템(150)은 할암시스템(140)의 내측에 위치한다. 할암시스템(140)은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하고, 이송시스템(150)은 할암시스템(14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암시스템(140)은 천공된 암반을 할암하는 것으로 후방부의 할암부(141)와, 할암부(141)의 전방에 구비되어 고압수를 분사하여 암반을 천공하는 워터젯천공부(142)로 이루어진다. 할암시스템(140)은 워터젯천공부(142)를 통해 암반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천공한 후, 할암부(141)를 통해 암반을 할암하고, 이 할암된 암반을 적치하거나 상차함으로써, 즉 천공과 할암과 이송 등을 하나의 장치도 수행하여 암반 굴착을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송시스템(150)은 유압에 의해 할암시스템(14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즉 이송시스템(150)은 할암시스템(140)을 적절한 유압으로 전진시킴으로써 할암시스템(140)이 암반을 천공해들어가게 한다. 이 경우 이송시스템(150)은 할암시스템(140)을 단순히 전진시킬수도 있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미소하게 진동시키면서, 즉 적절한 충격을 가하면서 전진시킬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암반의 천공이 더욱 빨리 진행될 수 있다.
워터젯천공부(142)는 할암부(141)의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암반을 천공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젯하우징(143)과, 워터젯하우징(143)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워터젯노즐(144) 및 복수의 드릴비트(145)를 포함한다.
워터젯하우징(143)은 전방의 직경선상에 형성되는 전방유로(146)와, 전방유로(146)와 연결되고 워터젯하우징(143)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유로(147)를 포함하고, 한 쌍의 워터젯노즐(144)은 워터젯하우징(143)의 중심축(110)의 양쪽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방유로(146) 상에 구비된다. 이 전방유로(146)와 측면유로(147)는 천공 작업 시 발생되는 암분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통로로 사용된다.
한 쌍의 워터젯노즐(144)은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함으로써, 고압수에 의해 암반이 천공되고 동시에 고압수의 반력에 의해 워터젯천공부(142)가 회전하게 되며, 이 때 복수의 드릴비트(145)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된다. 따라서 워터젯노즐(144)의 분사방향은 워터젯천공부(142)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평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되는데, 이 분사방향은 워터젯하우징(143)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20 내지 70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도 경사지게 하는 것이 좋다.
즉, 한 쌍의 워터젯노즐(144)에서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암반이 천공되고, 고압수의 반력으로 워터젯천공부(142)가 회전하며, 이 회전시 워터젯천공부(142) 저면에 형성된 드릴비트(145)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분쇄)된다. 이때 이송시스템(150)으로 부터 가해지는 전방방향의 압력은 천공작업을 잘 수행되게 하며, 또한 전후방향으로의 진동 즉, 충격은 천공을 더욱 빨리 진행되게 한다.
한 쌍의 워터젯노즐(144)의 분사방향의 각도를 크게하면 워터젯천공부(142)의 회전은 잘 되나 천공방향이 너무 외측으로 향하게 되고, 분사방향의 각도를 적게하면 워터젯천공부(142)의 회전이 잘 않 되게 되어 결국 드릴비트(145)에 의해 천공이 불리하게 되므로, 분사방향의 각도를 위에서 한정한 범위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할암부(141)는 할암부하우징(151)과, 할암부하우징(151)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후측면유로(152)와, 할암부하우징(151)의 외면쪽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구비되는 복수의 실린더(153)와, 복수의 실린더(153) 각각에 구비되는 피스톤(154)을 포함한다.
이때, 할암부하우징(151)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후측면유로(152)가 형성되는데, 이 후측면유로(152)는 원형의 할암부하우징(151)의 측면이 절단된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할암부하우징(151)의 측면에 요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후측면유로(152)는 워터젯천공부(142)에 의해 천공된 암분이 전방유로(146)와 측면유로(147)를 거친 후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이다. 또한 이 후측면유로(152)의 전방쪽에 고압수를 측면 방향으로 분사하는 측면노즐(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면노즐(155)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함으로써, 할암시스템(140)의 측면 방향으로 암반을 절단(할렬)시킬수 있고 이는 암반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할암할 수 있게 한다.
고압수를 공급하는 워터젯라인(156)은 할암부하우징(151)의 측면에 형성된 후측면유로(152)에 형성하거나, 또는 할암부하우징(15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워터젯라인(156)은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5a, 5b에는 할암부하우징(151) 내부에 복수의 워터젯라인(156)이 구비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워터젯천공부(142)는 할암부(141)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 워터젯라인(156)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된 회전축(157)과, 회전축(157) 전방에 구비되어 고압수 누수를 방지하는 부시(158)와, 회전축(157) 둘레 측면에 구비되는 베어링(159)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압수 누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굴착기(10)는 고압수를 발생시키는 초고압수파워팩(UHP<Ultra High Pressure water jet> Power pack)(160)을 더 포함하고, 초고압수파워팩(160)은 워터젯라인(156)과 연결되도록 하여 고압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각 워터젯하우징(143)에 구비된 워터젯노즐(144) 및 각 할암부하우징(151)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노즐(155)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하고자 하는 굴착 작업에 맞게 작동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즉 각 워터젯하우징(143)에 구비된 워터젯노즐(144)들 만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작업할 수도 있고, 이에 더하여 측면노즐(155)을 동시에 분사하여 암반의 할암작업이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의 형상이나 자유면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일부 워터젯하우징(143)의 워터젯노즐(144)만을 분사하거나, 이와 함께 그 후부에 구비된 측면노즐(155)로 더 분사할 수도 있다.
또한, 4개의 할암기(120)를 구비하는 경우, 고압수를 발생시키는 UHP Power pack은 압력 3,000bar 이상의 고수압과 유량 30 l/min 이상의 유량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며, 각각의 워터젯천공부(142)에는 6~7 l/min의 유량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고압수를 워터젯천공부(142)에 공급하여 할암 작업에 사용하는 고압수의 압력은 1,500 bar 정도로 설정하여 별도의 유압장치 없이 초고압수파워팩(160)으로 천공 및 할암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워터젯천공부(142)는 그 단부에 워터젯노즐(144)이 형성된 구조로, 고압 분사 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사되는 8kgf 정도의 고압수에 의해 반발력이 작용하며, 이 반발력에 의해 회전축(157)을 중심으로 회전이 발생한다.
이때, 회전축(157)에 형성된 부시(158)는 고압수의 누수를 방지하며, 베어링(159)은 원활한 회전을 위한 구조를 제공하고, 워터젯노즐(144)을 통해 암반 천공 시 노즐의 수가 2개이나 워터젯노즐(144)에 의해 워터젯천공부(142)는 회전을 하며 전 면적을 빠짐없이 천공함으로써 원형의 천공공이 형성된다.
특히, 드릴비트(145)가 회전하며 할암부(141)에 의하여 천공되지 않은 돌출된 부분을 타격하여 분쇄하도록 하여 순수 워터젯 보다 기계 천공을 병용하는 워터젯 천공의 천공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워터젯천공부(142)의 천공속도는 일반적으로 볼 때 Φ60mm 기준 500mm/min 정도인데, 이 속도는 유압 크롤러드릴 천공속도보다 작으나 공압식 천공기보다는 높은 수준이고, 또한 일반적으로 암반 할암에 사용되는 회전식 코어드릴의 50mm/min 보다는 매우 빠른 속도이다.
일반적으로 천공속도가 빠른 유압식 크롤러 드릴보다 속도가 떨어지는 코어드릴 사용이유는 천공경이 매끈하게 천공되어야 할암기(120)의 삽입이 편리하고, 할암시 밀착이 잘되어 원활한 할암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본 발명의 워터젯천공부(142)는 첫째 고속으로 회전하는 워터젯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크롤러 드릴과 달리 타격에 의한 암반의 교란을 최소화하므로 매끈한 형태의 천공 확보가 가능하고, 둘째 천공기로 천공 후 할암장치를 다시 삽입하여 할암하는 일반 공법과 달리 천공과 동시에 할암을 수행하므로 천공경의 상태가 할암작업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일반적인 할암 공법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할암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천공된 암분(debris)은 워터젯천공부(142), 할암부(141) 등에 설치된 배출통로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크롤러드릴 등은 천공된 암분을 고압공기를 사용하여 밖으로 배출하지만 수 ~ 십수 m에 달하는 크롤러 드릴 천공 깊이와 달리 본 발명은 천공경이 500mm 정도로 매우 짧으므로 고압공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며, 고압의 워터젯을 분사하므로 배출수와 함께 암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암반 굴착 시 크롤러 드릴에 의한 천공, 할암기(120)에 의한 암반 할암, 브레이커에 의한 굴착암 소할, 굴착기(10)에 의한 굴착암의 상차(덤프트럭)를 하므로 다수의 장비와 인원 및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인 암반 굴착기(10)는 천공(drilling), 덜 천공된 암반 블록의 절단 또는 할암(rock splitting), 분리된 암반의 이동 또는 제거(mucking) 작업을 하나의 장비로 수행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굴착 작업이 매우 신속할 뿐 아니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암반 굴착기를 이용한 암반 굴착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장치(100)를 암반에 거치시키는 거치단계(S10)와, 할암기(120)를 소정 각도로 위치시키는 각도조정단계(S20)와, 고압수를 분사하여 암반을 천공하는 천공단계(S30)와, 피스톤(154)을 압출시켜 암반을 할암하는 할암단계(S40)와, 할암된 암반을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50)와, 할암된 암반을 적재하는 적재단계(S60)를 포함한다. 한편, 암반 굴착기(10)와 관련된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거치단계(S10)는 굴착장치(100)를 암반 상에 거치시켜 암반 굴착 작업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는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의 형상, 위치 등을 고려하여 거치하게 된다.
각도조정단계(S20)는 제2구동장치(130)를 구동하여 각각 할암기(120)를 소정의 각도로 위치시켜 암반의 할암 작업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거치단계(S10) 이전에 미리 조정해 둘수도 있다.
천공단계(S30)는 이송시스템(150)을 전방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워터젯노즐(144)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각 할암기(120)가 암반을 천공해 들어가게 된다.
할암단계(S40)는 할암부(141)의 피스톤(154)을 압출시켜 암반을 할암하는 단계이다.
이동단계(S50)는 굴착기(10)를 작동시켜 할암된 암반을 들어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적재단계(S60)는 제2구동장치(130)를 구동하여 할암된 암반을 지정된 위치 또는 트럭 등에 적치하거나 적재하는 단계이다.
한편, 천공단계(S30)에서 이송시스템(150)을 전방과 후방으로 미소하게 진동시키면서 전방으로 이송하여 워터젯노즐(144)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천공되지 않은 미천공 암반이 잘 천공(분쇄)되게 하여 암반의 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천공단계(S30)에서 측면노즐(155)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할암될 방향으로 암석을 절단(할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할암 작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암반 천공은 장비를 정위치 시키고, 4방향에서 마주보며 경사지게 암반을 천공하고, 할암하여 암괴를 기반암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피스톤(154)의 진행으로 암반에 가압 시 발생되는 할암력은 각각 1,000~2,000ton 이고, 이로 인해 암반에 균열이 발생하며, 일반 할암장치의 경우 할암 후 암괴를 기반암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후속 작업을 위해 암반의 균열 발생 후 충분히 기반암에서 이탈되도록 변위를 가하는 것이 필요하나 본 발명은 동일한 장비로 암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많은 변위가 필요 없이 암반균열 발생으로 충분하다.
한편, 일반적인 할암장치와 달리 본 발명은 할암에 사용되는 피스톤(154)의 위치는 할암부(141)의 배면에 위치하여 할암 후 암괴를 들어 올릴 때 암괴에 의한 피스톤(15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굴착 가능한 암괴의 무게는 최대 300kg 이하이하로 하는 것이 좋으며, 굴착 후 추가 작업에 의한 암괴 소할을 하지 않도록 굴착되는 암괴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좋다.
그 후 최종적으로 분리된 암괴를 들어 올려 트럭 등에 상차하며, 이 공법의 가장 큰 특징은 천공, 할암, 상차를 동일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인데 종래에 비하여 굴착 효율이 상당이 우수하다.
종래에는 자유면이 없는 경우 할암기로 압력을 가하더라도 구속압에 의하여 할암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암반에 자유면을 먼저 형성한 후 할암을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유면이 없는 경우에도 할암이 가능하다. 이 자유면이 없는 경우의 작업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유면이 있는 경우에도 당연히 할암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면이 있는 경우 워터젯천공부(142)를 자유면의 모서리에 위치시킨 후 2개의 할암기(120)로만 고압수를 분사하여 천공을 수행하고, 피스톤(154)을 압출하여 할암하게 된다. 이때 자유면 외측에 위치하는 할암기(120)는 고압수를 분사할 필요 없이 분리된 암괴를 지지하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천공장치(100)를 암반에 거치시키는 거치단계(S10)와, 할암기(120)를 소정 각도로 위치시키는 각도조정단계(S20)와, 고압수를 분사하여 암반을 천공하는 천공단계(S30)와, 피스톤(154)을 압출시켜 암반을 할암하는 할암단계(S40)와, 할암된 암반을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50)와, 할암된 암반을 적재하는 적재단계(S60)로 이루어져, 굴착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할암기(120)와 구동장치 작동을 통해 암반을 천공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천공된 암반을 할암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굴착장치(100)의 할암기(120)에 구비된 할암시스템(140)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시켜 암반을 천공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굴착기 11 : 암
100 : 굴착장치 101 : 제1구동장치
110 : 중심축 120 : 할암기
130 : 제2구동장치 140 : 할암시스템
141 : 할암부 142 : 워터젯천공부
143 : 워터젯하우징 144 : 워터젯노즐
145 : 드릴비트 146 : 전방유로
147 : 측면유로 150 : 이송시스템
S10 : 거치단계 S20 : 각도조정단계
S30 : 굴착단계 S40 : 할암단계
S50 : 이동단계 S60 : 적재단계

Claims (13)

  1. 굴착기의 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굴착장치와;
    일단은 상기 굴착기의 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굴착장치에 연결되며 유압에 의해 상기 굴착장치를 회전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굴착장치는 상기 굴착기 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4개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회전하며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복수의 할암기와, 일단은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할암기측에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할암기를 회전 구동하는 4개의 제2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암반 굴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암기는 상기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외측으로 10도에서 내측으로 60도까지,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외측으로 5도에서 내측으로 50도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외측으로 3도에서 내측으로 40도까지 회전 가능한 것인 암반 굴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암기는 암반을 천공 및 할암하는 할암시스템과, 상기 할암시스템을 이송시키는 이송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할암시스템은 천공된 암반을 할암하는 할암부와, 상기 할암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고압수를 분사하여 암반을 천공하는 워터젯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시스템은 상기 할암시스템을 유압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인 암반 굴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워터젯천공부는 상기 할암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워터젯하우징과, 상기 워터젯하우징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워터젯노즐 및 복수의 드릴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젯하우징은 전방의 직경선상에 형성되는 전방유로와, 상기 전방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워터젯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워터젯노즐은 상기 워터젯하우징의 중심축의 양쪽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방유로 상에 구비되며, 그 분사방향은 상기 워터젯하우징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20 내지 70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도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워터젯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암반이 천공되면서 고압수의 반력으로 워터젯천공부가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드릴비트에 의해 미천공된 암반이 천공되는 것인 암반 굴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할암부는 할암부하우징과, 상기 할암부하우징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후측면유로와, 상기 할암부하우징의 외면쪽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구비되는 복수의 실린더와, 상기 복수의 실린더 각각에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유압에 의해 상기 할암부하우징의 외면으로 압출됨으로써 암반이 할암되는 것인 암반 굴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할암부하우징은 측면에 형성된 후측면유로의 전방쪽에 고압수를 측면 방향으로 분사하는 측면노즐을 더 포함하는 암반 굴착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할암부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후측면유로 또는 상기 할암부하우징이 내부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워터젯라인이 형성되는 것인 암반 굴착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워터젯천공부는 상기 할암부에 나사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워터젯라인과 연통되는 유로가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전방에 구비되어 고압수 누수를 방지하는 부시와,
    상기 회전축 둘레 측면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암반 굴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착기는 고압수를 발생시키는 초고압수파워팩(UHP<Ultra High Pressure water jet> Power pack)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초고압수파워팩은 상기 워터젯라인과 연결되는 것인 암반 굴착기.
  10. 청구항 4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워터젯하우징에 구비된 워터젯노즐 및 각 할암부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노즐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것인 암반 굴착기.
  11. 청구항 10의 암반 굴착기를 이용한 암반 굴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굴착장치를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 상에 거치하는 거치단계와;
    상기 제2구동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각 할암기를 소정의 각도로 위치시키는 각도조정단계;
    상기 이송시스템을 전방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워터젯노즐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각 할암기가 암반을 천공해 들어가는 천공단계;
    상기 할암부의 피스톤을 압출시켜 암반을 할암하는 할암단계;
    상기 굴착기를 작동시켜 상기 할암된 암반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제2구동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할암된 암반을 적치하거나 적재하는 적재단계;를 포함하는 암반 굴착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천공단계에서 상기 이송시스템으로 상기 할암시스템을 전방과 후방으로 미소하게 진동시키면서 전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워터젯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천공되지 않은 미천공 암반이 충격에 의해 잘 천공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암반 굴착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천공단계에서 측면노즐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할암될 방향으로 암석을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암반 굴착방법.
KR1020150112433A 2015-08-10 2015-08-10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KR10174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33A KR101745426B1 (ko) 2015-08-10 2015-08-10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33A KR101745426B1 (ko) 2015-08-10 2015-08-10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599A true KR20170018599A (ko) 2017-02-20
KR101745426B1 KR101745426B1 (ko) 2017-06-09

Family

ID=5826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433A KR101745426B1 (ko) 2015-08-10 2015-08-10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611A (ko) *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CN114151078A (zh) * 2021-12-02 2022-03-0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射流夹矸层掏槽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389B1 (ko) 2021-08-12 2021-12-14 (주)성진이엔씨 증압 기능을 갖는 파워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939A (ja) 2001-06-28 2003-01-17 Kyocera Corp 発振器及びその発振制御方法
KR101014793B1 (ko) 2010-08-31 2011-02-14 (주)진양이엔씨 암반 파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3069A (ja) * 2003-03-26 2004-10-21 Minotsu Tekko Kk 掘削バケット
JP4883494B2 (ja) * 2008-11-04 2012-02-22 株式会社本間組 水底の危険物回収装置とその回収方法
KR101261882B1 (ko) * 2012-09-05 2013-05-06 김우일 천공장치
KR101442165B1 (ko) * 2013-07-19 2014-09-22 김남규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939A (ja) 2001-06-28 2003-01-17 Kyocera Corp 発振器及びその発振制御方法
KR101014793B1 (ko) 2010-08-31 2011-02-14 (주)진양이엔씨 암반 파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611A (ko) * 2019-07-15 2021-01-25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CN114151078A (zh) * 2021-12-02 2022-03-0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射流夹矸层掏槽装置
CN114151078B (zh) * 2021-12-02 2024-04-19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射流夹矸层掏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426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29087A (zh) 具有驱动圆盘刀具的采矿机
KR101745426B1 (ko) 암반 굴착기 및 암반 굴착방법
CN103883329A (zh) 矿山硬岩井巷掘进施工方法
CN102071920A (zh) 低渗煤层瓦斯抽采设备及方法
KR101803452B1 (ko) 할암 장치
US64498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edging underwater ground layers
KR102067515B1 (ko) 암반 급속 굴착을 위한 일체형 구조를 갖는 굴착 장치
KR101858060B1 (ko) 암반 굴착 장치
KR20190002020A (ko) 연암 굴착용 수평천공장치
CN103867203B (zh) 矿山井巷链锯式硬岩掘进机
CN211342922U (zh) 高压水射流边刀及水力-机械联合破岩脱困tbm刀盘
JPH0274792A (ja) トンネルの無発破施工法
CN112483107B (zh) 基于脉冲射流+点处理的内外刀盘tbm装置
KR102279896B1 (ko) 저소음천공기와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KR101649888B1 (ko) 워터젯 굴착기 및 이를 이용한 암반 굴착 공법
JP2909014B2 (ja) 土砂層と岩盤とを削孔する方法及び土砂層と岩盤とを削孔する装置
KR102566443B1 (ko) 복수의 시추공으로 이루어진 단위 할렬공을 이용한 3자유면 무진동 암파쇄 굴착공법
JP4781195B2 (ja) 打込材の打設方法及び先行掘削用打込材
KR102266106B1 (ko)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87599A (ko) 암반 굴착 시스템
CN204782740U (zh) 复合式钻机
KR101874708B1 (ko) 무진동 터널굴착방법 및 무진동 터널굴착장치
JP4462460B2 (ja) 溝掘削装置
KR101698445B1 (ko) 슬라이딩붐을 이용한 암파쇄장치
CN214366071U (zh) 基于脉冲射流+点处理的内外刀盘tbm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